관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절은 뼈와 뼈 사이를 연결하는 부위로, 구조와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구조적 분류는 뼈의 연결 방식에, 기능적 분류는 관절의 움직임 정도에 따른다. 관절은 움직임 정도에 따라 부동관절, 반관절, 가동관절로 나뉘며, 가동관절은 허용하는 움직임 유형에 따라 평면관절, 구관절, 경첩관절, 중쇠관절, 타원관절, 안장관절로 구분된다. 또한, 척추동물, 절지동물, 극피동물 등 다양한 생물에서 관절의 형태와 기능이 나타나며, 관절의 손상은 관절 탈구, 골관절염, 관절염 등 다양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절 - 팔꿈치
팔꿈치는 위팔과 아래팔을 굽힘, 폄,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관절 부위로, 뼈, 인대, 근육, 혈관, 신경 등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테니스 엘보, 골프 엘보 등의 부상과 류마티스 관절염, 주관 증후군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 관절 - 활액
활액은 활막 관절의 윤활 작용을 하는 혈장 성분과 단백질로 이루어진 점액성 액체로, 관절 연골에 영양을 공급하고 마찰을 줄여 관절 운동을 돕고, 활액 분석은 관절 질환 진단에 중요하다. - 뼈대계 - 외골격
외골격은 다양한 생물에서 발견되는 외부 보호막 또는 지지 구조로, 포식 방어, 근육 부착, 탈수 방지 등의 역할을 하며, 화석 연구에 기여하고 신소재 개발에 영감을 주지만, 화석 기록 편향과 해양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 뼈대계 - 내골격
내골격은 동물의 몸속에서 지지, 운동, 보호 기능을 하는 골격 구조로, 척삭동물, 극피동물, 해면동물 등에서 발견되며, 척삭동물의 경우 척추, 두개골 등으로 구성되고 뼈, 연골, 콜라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관절 | |
---|---|
개요 | |
![]() | |
라틴어 | articulus, junctura, articulatio |
계통 | 근골격계 관절계 |
세부 사항 | |
전구체 | 해당 사항 없음 |
식별 | |
MeSH | D007524 |
TA98 | A03.0.00.001 |
TA2 | 50 |
FMA | 7082 |
관절의 종류 | |
섬유 관절 | 봉합 합착 정식 |
연골 관절 | 연골 결합 섬유연골 결합 |
윤활 관절 | 평면 관절 경첩 관절 중쇠 관절 타원 관절 안장 관절 절구 관절 |
2. 분류
관절은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크게 뼈가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따른 구조적 분류와 관절을 이루는 뼈 사이의 움직임 정도에 따른 기능적 분류로 나뉜다. 이 두 가지 분류는 서로 겹치는 부분이 많다.
관절은 또한 허용하는 움직임 축의 수에 따라 비축성, 단축성, 이축성, 다축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17] 이 외에도 허용되는 자유도에 따라, 관절면의 수와 모양에 따라 관절을 분류하기도 한다.[17]
척추동물의 관절은 내골격에서 뼈와 뼈 사이를 연결하며, 무릎, 팔꿈치, 허리, 어깨 등 몸 전체에 존재한다. 관절에는 양쪽 뼈 사이에 윤활유 역할을 하는 활막이 존재한다.
절지동물의 관절은 외골격의 연결 부위이며, 유연한 절간막으로 연결된다. 극피동물은 내골격을 가지며, 바다나리류나 성게류 등에서는 골격들이 연결되어 골격계를 구성하므로, 일종의 관절이 있다. 하지만 골격 조각이 작기 때문에 척추동물의 관절처럼 명확하지는 않다.
넓은 의미에서, 특정 위치에서 꺾이는 부분도 관절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양치식물에서는 잎의 기부에 관절이 있으면 잎이 말랐을 때 그 위치에서 툭 부러진다.
2. 1. 가동범위에 따른 분류
관절은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크게 부동관절, 반관절, 가동관절로 나눌 수 있다.- 부동관절은 움직임이 거의 또는 전혀 허용되지 않는 관절이다. 대부분 섬유관절이며, 두개골 봉합이 그 예이다. 두개골 뼈가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없는 것은 중요하다.[13] 뇌를 감싸는 두개골이나 폐와 심장을 감싸고 있는 갈비뼈 등에서 볼 수 있다. 섬유관절이나 연골관절로 뼈들이 연결되며 움직임이 거의 또는 아주 없다.[27]
- 반관절은 약간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관절이다. 대부분 연골관절이며, 척추간 원반이 그 예이다. 개별 척추간 원반은 인접한 척추 사이의 작은 움직임을 허용하지만, 이것들이 더해지면 척추는 몸이 비틀리거나 앞, 뒤, 옆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13]
- 가동관절 (활액관절)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이다.[1][12] 윤활관절을 갖는 2개 이상의 뼈들이 만나 움직이는 가동 범위를 갖는다. 활액관절은 허용하는 움직임 유형에 따라 평면관절, 구관절, 경첩관절, 중쇠관절,[14][15] 타원관절, 안장관절의 6가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16]
관절은 허용하는 움직임 축의 수에 따라 비축성(미끄러짐, 자뼈와 노뼈의 근위단 사이), 단축성(일축성), 이축성 및 다축성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17] 또한 허용되는 자유도에 따라 한 개, 두 개 또는 세 개의 자유도를 가진 관절로 구분할 수 있다.[17] 관절면의 수와 모양에 따라 평평한 표면, 오목한 표면 및 볼록한 표면으로 분류하기도 하며,[17] 관절면의 유형에는 도르래 표면이 포함된다.[18]
척추동물의 경우, 관절은 내골격에서 뼈와 뼈 사이의 연결 부위이며, 부동성 결합과 가동성 결합이 있다. 무릎, 팔꿈치, 허리, 어깨 등 몸 전체에 존재한다. 관절에는 양쪽 뼈 사이에 윤활유 역할을 하는 활막이 있다.
관절을 사이에 둔 뼈들은 근육이나 인대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의 견인력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다. 움직이는 방향과 크기는 어느 정도 정해져 있으며, 이를 넘어서는 굽힘이 있을 경우 장애가 발생한다. 하지만 시간을 들여 익숙해지면 가동 범위와 방향을 어느 정도 변경할 수도 있다. 이 폭은 개체 차이도 크며, 잘 구부러지는 사람은 "관절이 유연하다"고 한다. 이는 체조 등에서 중요한 능력으로 여겨진다. 관절의 가동 범위가 적은 사람은 부상을 입기 쉽다고도 한다.
2. 2. 운동축에 따른 분류
관절은 운동 축의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단관절성 - 하나의 관절에 관련된 경우이다.
- 희소관절성 또는 핍관절성 - 2~4개의 관절에 관련된 경우이다.
- 다관절성 - 5개 이상의 관절에 관련된 경우이다.
2. 3. 구조적 분류
관절은 뼈를 서로 연결하는 결합 조직의 유형에 따라 이름을 짓고 분류한다.[1] 관절의 구조적 분류에는 다음 네 가지가 있다.[8]
- 섬유 관절 - 콜라겐 섬유가 풍부한 조밀한 규칙적인 결합 조직에 의해 연결된다.[9]
- 연골 관절 - 연골에 의해 연결된다. 일차 연골 관절은 유리 연골로 구성되고, 이차 연골 관절은 관여하는 뼈의 관절 표면을 유리 연골로 덮고 있으며, 이를 섬유 연골이 연결하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 활막 관절 -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뼈는 활막강을 가지며 부속 인대와 일반적으로 관련된 관절낭을 형성하는 조밀한 불규칙 결합 조직에 의해 결합된다.[9]
- facet joint - 두 척추뼈 사이의 두 관절 돌기 사이의 관절.[10][11]
2. 4. 기능적 분류
관절은 허용하는 움직임의 유형과 정도에 따라 기능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1][12] 관절의 움직임은 기본적인 해부학적 평면을 기준으로 설명된다.[3]- 부동관절 – 움직임이 거의 또는 전혀 허용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부동관절은 섬유관절이며, 두개골 봉합이 그 예이다. 이러한 움직임의 부재는 두개골 뼈가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13]
- 반관절 – 약간의 움직임을 허용한다. 대부분의 반관절은 연골관절이다. 척추간 원반이 그 예이다. 개별 척추간 원반은 인접한 척추 사이의 작은 움직임을 허용하지만, 이것들이 더해지면 척추는 몸이 비틀리거나 앞, 뒤, 옆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한다.[13]
- 활액관절 (또는 ''가동관절'') –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1][12] 활액관절은 허용하는 움직임 유형에 따라 평면관절, 구관절, 경첩관절, 중쇠관절,[14][15] 타원관절 및 안장관절의 6가지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16]
관절은 또한 허용하는 움직임 축의 수에 따라 비축성(미끄러짐, 자뼈와 노뼈의 근위단 사이), 단축성(일축성), 이축성 및 다축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17] 또 다른 분류는 허용되는 자유도에 따라 한 개, 두 개 또는 세 개의 자유도를 가진 관절로 구분된다.[17] 추가적인 분류는 관절면의 수와 모양에 따라 평평한 표면, 오목한 표면 및 볼록한 표면으로 분류된다.[17] 관절면의 유형에는 도르래 표면이 포함된다.[18]
2. 5. 생체역학적 분류
관절은 해부학적 특성 또는 생체역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19] 해부학적 분류에 따르면 관절은 관여하는 뼈의 수에 따라 단순 관절과 복합 관절로 세분되며, 복잡 관절과 조합 관절로도 분류된다.[19]구분 | 설명 | 예시 |
---|---|---|
단순 관절 | 두 개의 관절면 | 어깨 관절, 엉덩이 관절 |
복합 관절 | 세 개 이상의 관절면 | 요골 손목 관절 |
복잡 관절 | 두 개 이상의 관절면과 관절 원판 또는 반월판 | 무릎 |
가동관절은 형태와 운동 특성에 따라 평면 관절, 구(球)관절, 경첩 관절, 중쇠 관절, 타원 관절, 안장 관절 등으로 분류된다.
3. 가동관절의 종류
3. 1. 평면 관절 (Plane joint)
평면관절은 관절두와 관절와 모두 평면으로 되어 있어 그 면에서 미끄러져 움직이는 관절이다. 기하학적인 평면보다는 곡면으로 되어 있다. 척추 뼈 사이에 있는 추간 관절이 여기에 속한다. 그 밖에 수근골(손목뼈)이나 족근골(발목뼈) 사이의 관절도 평면 관절이지만 가동 범위는 좁다.
3. 2. 구(球)관절 (Ball-and-socket joint)
절구관절이라고도 하며, 무한개의 축 주위로 운동이 가능한 관절이다. 어깨 관절, 고관절, 가운데손마디 관절, 가운데발마디 관절 등이 이에 해당한다.
3. 3. 경첩 관절 (Hinge joint)
경첩 관절은 1축 관절이라고도 하며, 하나의 축 주위로 제한된 회전 운동만이 가능하다.[1] 엄밀하게 말하면 팔꿈치 관절 속의 완척(腕尺) 관절뿐이지만 다른 방향으로의 가동성이 극히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하나의 축 주위의 운동이 주가 되는 것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1] 턱관절, 팔꿈치 및 무릎 관절, 거퇴(距腿) 관절, 손마디관절 등은 거의 경첩 관절로도 볼 수 있다.[1]
3. 4. 중쇠 관절 (Pivot joint)
팔꿈치 관절 가운데 완요(腕橈) 관절과 근위 요척(近位橈尺) 관절과 손목의 원위(遠位) 요척 관절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을 하는 중쇠관절이다.[1]
3. 5. 타원 관절 (Ellipsoidal joint)
요골과 수근골의 손목 관절처럼 관절면이 타원체로 되어 있어 그 긴 축 주위의 운동을 주로 하면서도 짧은 축 주위의 운동도 가능하기 때문에 2축 관절 또는 장원관절이라고도 한다.[1] 손마디관절도 형태적으로는 여기에 속하지만 짧은 축 주위의 운동은 힘줄이나 인대의 방해를 받아 거의 불가능하다.[1]
3. 6. 안장 관절 (Saddle joint)
손목이나 거퇴 관절은 말등에 얹는 안장 같은 모양을 하고 있어 안(鞍)관절(Saddle joint영어)이라고도 한다.[1] 이것도 형태상으로는 2축 관절이지만 제2축 주위의 운동은 극히 좁은 범위에 한정되어 있다.[1]
4. 인체 가동관절의 부위
관절 부위 |
---|
어깨관절 |
팔꿉관절 |
대퇴관절 |
무릎관절 |
손관절 |
발관절 |
척추관절 |
척추동물의 내골격에서 뼈와 뼈 사이를 연결하는 부위로, 부동성 결합과 가동성 결합이 있다.[1] 무릎, 팔꿈치, 허리, 어깨 등 몸 전체에 존재한다.[1]
5. 윤활관절 운동
운동에 대한 해부학 용어에서 휘돌림(원형운동), 돌림(회전) 또는 활주운동(미끄러짐), 굽힘과 폄, 또는 모음과 벌림을 보여주고 있다. 관절의 움직임은 관절의 구조적 기능상 원운동의 전체 또는 일부를 기반으로 하는 회전을 한다. 척추동물의 경우, 이는 내골격에서의 뼈와 뼈 사이의 연결 부위이며, 부동성 결합과 가동성 결합이 있다. 무릎, 팔꿈치, 허리, 어깨 등 몸 전체에 존재한다. 관절에는 양쪽 뼈 사이에 윤활유 역할을 하는 활막이 존재한다.
관절을 사이에 둔 뼈들은 근육이나 인대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의 견인력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다. 움직이는 방향과 크기는 어느 정도 정해져 있으며, 이를 넘어서는 굽힘이 있을 경우 장애가 발생한다. 하지만 시간을 들여 익숙해지면 가동 범위와 방향을 어느 정도 변경할 수도 있다. 이 폭은 개체 차이도 크며, 잘 구부러지는 사람은 "관절이 유연하다"고 한다. 이는 체조 등에서 중요한 능력으로 여겨진다. 관절의 가동 범위가 적은 사람은 부상을 입기 쉽다고도 한다.
6. 관절의 가동 범위
관절에서 두 뼈의 가동성은 서로 인접하는 골단의 형태에 의해 제한되지만, 실제 관절의 움직임에는 추가적인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제약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관절 인대에 의한 제한
- 근육 부착 방법에 의한 제한
- 근육 수축에 의한 제한
이러한 제한들로 인해 관절의 가동 범위는 현저하게 좁아진다. 인대는 가소성과 탄력성이 없어 일정 길이 이상으로 늘어날 수 없기 때문에, 인대의 길이나 방향이 가동 한계를 결정한다. 근육 또한 부착 방식에 따라 뼈의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다. 관절에 붙어 있는 근육의 상태 역시 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대항근(對抗筋)처럼 반대 운동을 일으키는 근육이 동시에 수축하면 관절이 고정되어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는 경련이 일어났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척추동물의 내골격에서 뼈와 뼈 사이를 연결하는 부위인 관절은 부동성 결합과 가동성 결합으로 나뉜다. 무릎, 팔꿈치, 허리, 어깨 등 몸 전체에 걸쳐 존재하며, 양쪽 뼈 사이에는 윤활유 역할을 하는 활막이 있다.
관절을 사이에 두고 연결된 뼈들은 근육이나 인대에 의해 당겨져 구부러질 수 있다. 움직이는 방향과 크기는 어느 정도 정해져 있으며, 이를 넘어서는 굽힘은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꾸준한 훈련을 통해 가동 범위와 방향을 어느 정도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러한 유연성은 개인차가 크며, "관절이 유연하다"는 것은 체조와 같은 운동에서 중요한 능력으로 평가된다. 반면, 관절의 가동 범위가 좁은 사람은 부상을 입기 쉽다고 알려져 있다.
7. 기타
더 넓은 의미에서, 특정 위치에서 꺾이는 부분도 관절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양치식물에서는 잎의 기부에 관절이 있으면 잎이 말랐을 때 그 위치에서 툭 부러지지만, 관절이 없으면 잎의 기부가 줄기에 붙어 남는다. 이것의 유무는 분류학적으로 중요한 특징이 된다.
7. 1. 척추동물의 관절
척추동물의 경우, 이는 내골격에서의 뼈와 뼈 사이의 연결 부위이며, 부동성 결합과 가동성 결합이 있다. 무릎, 팔꿈치, 허리, 어깨 등 몸 전체에 존재한다. 관절에는 양쪽 뼈 사이에 윤활유 역할을 하는 활막이 존재한다.관절을 사이에 둔 뼈들은 근육이나 인대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의 견인력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다. 움직이는 방향과 크기는 어느 정도 정해져 있으며, 이를 넘어서는 굽힘이 있을 경우 장애가 발생한다. 하지만 시간을 들여 익숙해지면 가동 범위와 방향을 어느 정도 변경할 수도 있다. 이 폭은 개체 차이도 크며, 잘 구부러지는 사람은 "관절이 유연하다"고 한다. 이는 체조 등에서 중요한 능력으로 여겨진다. 관절의 가동 범위가 적은 사람은 부상을 입기 쉽다고도 한다.
나이가 들면 류마티스 등으로 관절통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관절 부분이 손상된 경우, 인공 관절로 교체하는 치료법이 시행된다.
7. 2. 절지동물의 관절
절지동물의 관절은 외골격 연결 부위이며, 유연한 절간막으로 연결된다. 이는 부속지(부속지)에서 특히 현저하게 나타나며, 관절을 통해 지절이라는 원통형 유닛으로 나뉜다. 이 관절은 종종 하나 또는 한 쌍의 관절구에 회전축이 정해져 분해되지 않고 구부러지도록 되어 있다.[25] 관절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주변 외골격에서 윤활 물질을 분비하기도 한다.[26]7. 3. 극피동물의 관절
극피동물은 내골격을 가지며, 바다나리류나 성게류 등에서는 이것들이 연결되어 골격계를 구성하므로, 이곳 골격 사이에는 일종의 관절이 있지만, 골격 조각이 작기 때문에 척추동물의 그것과 같은 명확한 관절은 아니다. 그러나 성게류의 껍데기와 가시 사이는 뚜렷한 관절이 되어 있으며, 이들은 결합 조직과 근육으로 연결되어 근본부터 크게 움직일 수 있다.8. 임상적 중요성
관절의 연골(관절 연골)이나 관절을 안정시키는 뼈와 근육이 손상되면 관절 탈구 및 골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수영은 관절에 최소한의 손상을 주면서 운동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3]
관절 질환은 관절병증이라고 하며, 하나 이상의 관절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 이를 관절염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관절 질환은 관절염을 수반하지만, 외부 신체적 외상에 의한 관절 손상은 일반적으로 관절염이라고 칭하지 않는다. 관절병증은 여러 관절을 포함하는 경우 '다발 관절'이라고 하고, 단일 관절만 포함하는 경우 '단발 관절'이라고 한다.
관절염은 55세 이상 인구의 주요 장애 원인이다. 관절염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기 다른 원인을 가지고 있다. 가장 흔한 형태인 골관절염(퇴행성 관절 질환)은 관절 외상, 관절 감염 후 또는 노화와 관절 연골의 열화로 인해 발생한다. 비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가 골관절염의 초기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는 새로운 증거도 있다. 다른 형태의 관절염으로는 자가면역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과 건선 관절염, 관절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패혈성 관절염이 있다. 통풍성 관절염은 관절에 요산 결정이 침착되어 발생하는 염증으로 인해 발생한다. 드물게 발생하는 통풍의 한 형태는 피로인산 칼슘의 마름모꼴 결정을 형성하여 발생하며, 가성 통풍으로 알려져 있다.
측두하악 관절 증후군(TMJ)은 턱 관절과 관련이 있으며, 안면 통증, 턱에서 딸깍거리는 소리, 턱 움직임 제한 등 여러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심리적 긴장과 턱의 부정교합(부정교합)으로 인해 발생하며, 최대 7천 5백만 명의 미국인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3]
나이가 들면 류마티스 등으로 관절통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관절 부분이 손상된 경우에는 인공 관절로 교체하는 치료법이 시행된다.
참조
[1]
서적
Dynamic Human Anatomy
https://books.google[...]
Human Kinetics
[2]
웹사이트
Articulation definition
http://www.emedicine[...]
eMedicine Dictionary
2013-10-30
[3]
문서
Anatomy & Physiology
http://connect.mhedu[...]
McGraw-Hill Connect
[4]
서적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https://archive.org/[...]
Elsevier Churchill Livingstone
2006
[5]
간행물
The sesamoid bones of the hand and their pathology
https://pubmed.ncbi.[...]
1984-10
[6]
웹사이트
Sesamoid Injuries in the Foot – Sesamoiditis Foot
https://www.footheal[...]
2021-07-04
[7]
간행물
Prevalence and variation of sesamoid bones in the hand: a multi-center radiographic study
2015-07-15
[8]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Joints (3) – Joints – Classification by Tissue Joining Bones
http://anatomy.med.u[...]
anatomy.med.umich.edu
2008-01-29
[9]
문서
Principles of Anatomy & Physiology
Wiley & Sons
[10]
웹사이트
Articular Facet
http://www.medilexic[...]
Medilexicon – Medical Dictionary
2013-12-19
[11]
웹사이트
Foundational Model of Anatomy
http://www.ontobee.o[...]
2013-12-19
[12]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Joints (2) – Joints – Classification by Movement
http://anatomy.med.u[...]
anatomy.med.umich.edu
2012-10-06
[13]
서적
"- Anatomy and Physiology"
OpenStax
2022-04-20
[14]
서적
An Illustrated System of Human Anatomy
https://archive.org/[...]
[15]
서적
Anatomy, descriptive and surgical
https://archive.org/[...]
[16]
서적
Anatomy, descriptive and surgical
https://archive.org/[...]
[17]
서적
Color Atlas of Human Anatomy
https://books.google[...]
Thieme
[18]
문서
Sarrafian's Anatomy of the Foot and Ankle: Descriptive, Topographic, Functional
https://books.google[...]
[19]
웹사이트
Introductory Anatomy: Joints
http://www.leeds.ac.[...]
2008-01-29
[20]
웹사이트
Clinical Neuroanatomy and Neuroscience - 6th Edition
https://www.elsevier[...]
2019-03-17
[21]
문서
A comprehensive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Dealing with the origin of words and their sense development thus illustratio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and culture.
Elsevier Science B.V.
1971
[22]
문서
"A Latin dictionary founded on Andrews' edition of Freund's Latin dictionary."
Clarendon Press
1879
[23]
뉴스
Switching to Farming Made Human Joint Bones Lighter
http://www.smithsoni[...]
Smithsonian Magazine
2014-12-22
[24]
웹사이트
関節とは
https://kotobank.jp/[...]
2022-04-16
[25]
간행물
Chapter 5 - Systems and Scaling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17-01-01
[26]
간행물
Lubrication in the joints of insects (Arthropoda: Insecta)
https://onlinelibrar[...]
2022-01
[27]
뉴스
약국신문-1 골관절계 생리학
http://www.pharm21.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