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길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길성은 대한민국의 사회학자로,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경제 사회학, 정보 사회학, 비교 사회학, 발전 사회학, 세계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한다. 위스콘신-메디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고려대학교 교육부총장, 문과대학장, 한국비교사회학회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사회의 재구조화: 강요된 조정, 갈등적 조율》, 《IMF 10년, 한국 사회 다시 보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교수 - 더글러스 노스
    더글러스 노스는 미국의 경제사학자이자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선구자로, 1993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재산권, 거래비용, 제도의 역할과 경제 성장 간의 관계 연구, 역사적 맥락에서 신제도주의 이론을 적용한 경제사 연구에 기여했고, 국제 신제도경제학회를 공동 설립하는 등 경제학, 특히 신제도주의 경제학과 정치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교수 - 마키 후미히코
    일본 건축가 마키 후미히코는 모더니즘과 일본 전통 건축의 조화를 추구하며 힐사이드 테라스, MIT 미디어랩 증축 건물 등 국내외 주요 건축물을 설계했고, 프리츠커 건축상, 미국건축가협회 금메달 등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사회학자 - 강준만
    강준만은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한 대한민국의 대학교수이자 언론인이자 저술가이다.
  • 대한민국의 사회학자 - 이정옥 (사회학자)
    이정옥은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와 사회과학연구소장, 사회과학대학장을 역임하고 국방부 양성평등위원회 민간위원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사회학자이자 정무직 공무원으로, 여성가족부 장관과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조직위원회 공동조직위원장을 역임했다.
  • 강릉시 출신 - 조순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조순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한국은행 총재, 민선 1기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고 한나라당 국회의원을 지냈다.
  • 강릉시 출신 - 권오규 (1952년)
    권오규는 1952년 강원도 강릉 출신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공직에 입문하여 대통령비서실 정책수석비서관, 경제정책 수석비서관, 정책실장을 거쳐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역임했다.
박길성 - [인물]에 관한 문서
박길성
박길성
박길성
로마자 표기Bak Gilseong
한글박길성
한자
MR 표기Pak Kilsŏng
RR 표기Bak Gilseong
기본 정보
출생일1957년 5월 9일
출생지대한민국 강원도 명주
국적대한민국
직업학자
종교정보 없음
학력
학사고려대학교
석사고려대학교
박사위스콘신-메디슨대학교
경력
소속 기관고려대학교
분야사회학

2. 약력

고려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1988년 위스콘신-메디슨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2년부터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조교수, 부교수를 거쳐 2000년에 정교수로 임용되었다. 고려대 교육부총장, 문과대학장, 대통령 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 위원회 전문위원, 한국비교사회학회장, 한국사회학회 부회장, 세계한류학회장, 워싱턴-세인트루이스대학교 방문교수 등을 역임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및 유타주립대학교 사회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1]

2. 1. 학력

Park Gil-sung|박길성영어강원도 명주군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8년 위스콘신-매디슨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2. 2. 경력

위스콘신-메디슨대학교에서 1988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부터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에서 조교수, 부교수를 역임하고 2000년 정교수로 임용되었다.[1] 고려대 교육부총장, 고려대 문과대학장, 대통령 자문 고령화 및 미래사회 위원회 전문위원, 한국비교사회학회장, 한국사회학회 부회장, 세계한류학회장, 미국 워싱턴-세인트루이스대학교 방문교수 등을 지냈다.[1] 현재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 교수이자 미국 유타주립대학교 사회학과 겸임교수로 재직중이다.[1]

''한국사회학''의 전 편집장이었으며, Global Policy[2] 및 ''비교사회학 국제 저널''[3] 등 여러 학술지의 편집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해당 저널의 특별호 객원 편집을 맡기도 했다.[4]

3. 연구 분야

박길성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사회학자로 경제 사회학, 정보 사회학, 비교 사회학, 발전 사회학, 세계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른다.[1] 그는 대통령 자문 고령사회 및 미래사회 위원회 위원, 한국비교사회학회 회장 및 세계한류학회(WAHS) 회원을 역임했다. 또한, 하버드 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방문학자였으며,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다. 고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원장을 역임했으며, 유타 주립 대학교 겸임교수를 지냈다.[1]

3. 1. 주요 연구 주제

박길성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사회학자로서, 경제 사회학, 정보 사회학, 비교 사회학, 발전 사회학, 세계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해 왔다.[1] 현재는 한류와 한국 및 세계 맥락에서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함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4. 저서 및 논문

박길성은 한국사회학의 전 편집장이었으며, Global Policy[2] 및 ''비교사회학 국제 저널''[3] 등 여러 학술지의 편집 위원으로 활동했다.[4]

4. 1. 저서

출판 연도제목출판사비고
2022대한민국에서의 발전과 세계화: 금융 위기에서 K팝까지.고려대학교 출판부[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42475 외부 링크]
2020한 사회학자의 어떤 처음나남
2017전염의 상상력나남공저
2017동아시아 비즈니스 윤리의 정치 경제.엘스비어I. 오 공저,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B9780081006900000099 외부 링크], 151-157쪽
2013사회가 갈등을 만들고, 갈등이 사회를 만든다.고려대학교 출판부[https://kupress.com/books/3706/ 외부 링크]
2011페어 소사이어티: 기회가 균등한 사회한국경제신문사공저
2009한국인의 갈등의식 : 2007년 한국인의 갈등의식 조사 결과 분석고려대학교 출판부공저
2008IMF 10년, 한국 사회 다시 보다나남출판
200721세기 한국의 기업과 시민사회굿인포메이션공저
2007글로벌과 로컬의 상호 작용: 한국의 세계화 재고찰.국제 비교 사회학 저널장용석, 이항영 공저, 48(4): 337-353.
2007경제 사회학 이론의 이해나남출판이택면 공저
2006한국사회 권력이동굿인포메이션공저
2005한국사회 어디로가나굿인포메이션공저
2005현대한국인의 세대경험과 문화집문당공저
2004경제사회구조와 복지소화공저
2003한국 사회의 재구조화: 강제적 조정과 논쟁적 조정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불평등한 세계를 바라보는 123가지 방법문화디자인윤상우 공역
2003현대사회학(제4판)을유문화사A. Giddens, Sociology, 공역
2002아시아 태평양지역의 환경문제, 환경운동 및 환경정책서울대학교출판부공저
2001현대 한국사회의 계층구조집문당공저
1999한국사회의 계급연구아르케공저
1997정보정책론나남공저
1996세계화: 자본과 문화의 구조변동사회비평사
1996현대사회의 구조와 변동사회비평사공저
1996동남아시아의 사회계층: 5개국 비교연구고려대학교 출판부공저
1995중국조선족의 사회발전과 한중관계의 위상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공저
1994신경제사회학의 이해역사비평사공편
1994Sociology(현대사회학)을유문화사공역
1993오늘의 한국사회나남공편


4. 2. 주요 논문


  • 박길성 (2022) [https://scholar.korea.ac.kr/handle/2021.sw.korea/142475 "대한민국에서의 발전과 세계화: 금융 위기에서 K팝까지."]. ''고려대학교 출판부''.
  • 박길성, I. 오 (2017)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B9780081006900000099 "동아시아 비즈니스 윤리의 정치 경제."]. ''엘스비어''. 151-157쪽.
  • 박길성 (2013) [https://kupress.com/books/3706/ "사회가 갈등을 만들고, 갈등이 사회를 만든다."]. ''고려대학교 출판부''.
  • 박길성, 장용석, 이항영 (2007) "글로벌과 로컬의 상호 작용: 한국의 세계화 재고찰." ''국제 비교 사회학 저널'' 48(4): 337-353.
  • 박길성, 이택면 (2007) ''경제 사회학 이론의 이해''. 서울: 나남출판.
  • 박길성 (2003) ''한국 사회의 재구조화: 강제적 조정과 논쟁적 조정''.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참조

[1] 웹사이트 Korea University's Entry on Gil-Sung Park http://www.korea.ac.[...]
[2] 웹사이트 Global Policy: Editorial board http://www.globalpol[...]
[3] 간행물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arative Sociology - Editorial Board" http://www.sagepub.c[...]
[4] 논문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arative Sociology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