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위는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무신으로, 고려 우왕 때 김해 부사를 지냈으며,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동래성을 축성했다. 이성계를 따라 위화도 회군에 참여하여 최영을 몰아냈으며, 1389년 경상도 도순문사가 되어 대마도를 정벌했다. 공양왕을 옹립한 공으로 지문하부사가 되었고, 조선 개국 후에는 회군공신이 되었으나, 이방원의 제1차 왕자의 난 때 살해당했다. 박위는 대마도 정벌과 위화도 회군에 기여한 공로로 칭송받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신남서원이 존재한다. 또한, 장보고급 잠수함 '박위'의 함명으로도 사용되었으며, 여러 드라마에서 그의 생애가 다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98년 사망 - 문익점
문익점은 고려 말 문신으로, 원나라에서 목화씨를 들여와 전국에 보급하여 백성들의 의생활 향상에 기여했으며, 성균관 대사성을 지내고 조선 시대에 참지의정부사로 추증되었다. - 1398년 사망 - 심효생
심효생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조선 개국공신 3등에 책록되고 이조전서와 예문관 대제학을 역임했으며, 왕실과 인척관계를 맺었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 등과 함께 숙청되었다. - 고려의 무신 - 태조 (조선)
고려 말 무신으로서 위화도 회군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뛰어난 리더십으로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나, 왕위 계승 갈등으로 인해 상왕으로 물러났다. - 고려의 무신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조선의 무신 - 방우정
방우정은 조선 후기 무신으로 홍경래의 난 진압에 참여하여 서정군의 좌초관으로 활약했으며, 난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서정일기》를 저술하여 홍경래의 난 연구에 중요한 사료를 남겼다. - 조선의 무신 - 김응우
김응우는 김일성의 고조부로 평안도 대동 출신이며, 북한에서는 제너럴 셔먼호 격침에 기여했다고 주장하나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비판이 있고, 김일성 가문으로 이어진 전주 김씨이다.
박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박위 |
한자 표기 | 朴葳 |
별칭 | 정국군, 충의백 |
직업 | 무신 |
출생지 | 밀양 |
사망지 | 한성 |
사망일 | 1398년 |
경력 | |
주요 경력 | 우달치 경상도상원수 친군위 도진무 |
2. 생애
1398년 이방원의 제1차 왕자의 난 당시 참찬문하부사 겸 의흥친군위 도진무(參贊門下府事 兼 義興親軍衛都鎭撫)[7]로 숙직 중 쿠데타군의 군세를 살피러 갔다가 살해되었다.[8]
해군의 장보고급 잠수함(209급 잠수함) 4번함인 "박위"함은 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생활
우왕 때 우달치로 등용되어 김해 부사가 되었고, 1387년(우왕 13)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동래성을 축성하였다. 요동 정벌 때 경상도상원수(慶尙道上元帥)로 이성계를 따라 위화도 회군하여 최영을 몰아냈다.[6]1389년 경상도 도순문사(都巡問使)가 되어 전함 100척을 이끌고 대마도를 쳐서 왜선 300척을 불태워 크게 이기고 돌아왔다. 그 후 판자혜부사가 되어 이성계와 함께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추대한 공으로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가 되고 충의백(忠義伯)에 봉해졌으며, 공신이 되었다.
1390년(공양왕 2) 김종연(金宗衍)의 옥사에 연루되어 풍주(豊州)에 유배되었으나 곧 사면되어 회군공신 정국군(回軍功臣 靖國君)이 되었다. 조선 초에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를 거쳐 양광도절도사(楊廣道節度使)가 되어 왜구를 물리쳤다. 이때 밀성(密城: 지금의 밀양)의 소경 이흥무(李興茂)의 옥사에 연루되어 구금되었다. 대간(臺諫)과 형조에서 대역죄로 논의되었으나 태조의 호의로 석방, 서북면도순문사(西北面都巡問使)로 나갔다가 사헌부의 거듭되는 탄핵으로 파직되었다.
2. 2. 위화도 회군과 대마도 정벌
1387년(우왕 13) 요동 정벌 때 경상도상원수(慶尙道上元帥)로 이성계를 따라 위화도 회군하여 최영을 몰아냈다.[6]1389년 경상도 도순문사(都巡問使)가 되어 전함 100척을 인솔하고 대마도를 쳐서 왜선 300척을 불태워 크게 이기고 돌아왔다.[6]
2. 3. 조선 개국과 죽음
우달치로 등용되어 우왕 때 김해 부사가 되었고 1387년(우왕 13)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동래성을 축성하였다. 요동 정벌 때 경상도상원수(慶尙道上元帥)로 이성계를 따라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최영을 몰아냈다.[6]1389년 경상도 도순문사(都巡問使)가 되어 전함 100척을 인솔하고 대마도를 쳐서 왜선 300척을 불태워 크게 이기고 돌아왔다. 그 후 판자혜부사가 되어 이성계와 함께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추대한 공으로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가 되고 충의백(忠義伯)에 봉해졌으며, 공신이 되었다.
1390년(공양왕 2) 김종연(金宗衍)의 옥사에 연루되어 풍주(豊州)에 유배되었으나 곧 사면되어 회군공신 정국군(回軍功臣 靖國君)이 되었다. 조선 초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를 거쳐 양광도절도사(楊廣道節度使)가 되어 왜구를 물리쳤다. 이때 밀성(密城: 지금의 밀양)의 소경 이흥무(李興茂)의 옥사에 연루되어 구금되었다. 대간(臺諫)과 형조에서 대역죄로 논의되었으나 태조의 호의로 석방, 서북면도순문사(西北面都巡問使)로 나갔다가, 사헌부의 거듭되는 탄핵으로 파직되었다.
1398년 이방원의 제1차 왕자의 난 당시 참찬문하부사 겸 의흥친군위 도진무(參贊門下府事 兼 義興親軍衛都鎭撫)[7]로 숙직 중 쿠데타군의 군세를 살피러 갔다가 살해당했다.[8]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7대조 | 박을재(朴乙材) | 삼사좌윤, 밀직부사, 밀성박씨 삼사좌윤공파 시조 |
조부 | 박천명(朴天命) | 전법판서 |
아버지 | 박광후(朴光厚) | 보문각대제학, 증 정승 |
동생 | 박천(朴蕆) | 대광보국숭룩대부 영의정, 구산박씨 시조 |
아들 | 박기(朴耆) | 자헌대부 이조참판, 오위도총관, 낙향 후 고향 밀양에서 변계량과 함께 후학 양성, 신남서원에 아버지 박위와 함께 배향 |
손자 | 박대생(朴大生) | 가선대부 황해도병마절도사 |
손자 | 박현생(朴賢生) | 좌리공신 |
손자 | 박효생(朴孝生) | 집현전 학사, 단종 폐위와 사육신의 죽음을 슬퍼하며 세조의 부름에 따르지 않음. 사육신을 기리는 시를 써 단종 충의록에 전해짐. |
4. 신남서원 경보당
고려 말기 대마도 정벌과, 이성계를 도와 위화도 회군에 공을 세운 정국군 박위와 조선 초기 문신 박기 부자를 기리는 서원이다.[9]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56호로 지정되었다.
5. 박위를 기리는 시설
장보고급 잠수함(209급 잠수함)의 4번함인 박위의 함명은 그에게서 유래되었다.
참조
[1]
논문
武田
2005
[2]
웹사이트
박위(朴葳)
http://encykorea.aks[...]
2022-07-19
[3]
논문
金
2002
[4]
논문
村井
1993
[5]
문서
밀양 박씨
[6]
간행물
고려사 권116, 열전29
[7]
문서
대통령 경호실장 겸 수도방위사령관
[8]
간행물
태조실록14권
1398-08-26
[9]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