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반레닌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레닌주의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혁명 이론과 통치 방식에 반대하는 사상 및 운동을 포괄한다. 초기에는 마르크스주의 내부의 멘셰비키, 로자 룩셈부르크, 좌파공산주의자들이 레닌의 권위주의, 엘리트주의, 국가자본주의적 경향을 비판했다. 사회혁명당, 아나키스트 등 비마르크스주의 세력도 볼셰비키 정부에 반대하며 무장 투쟁을 벌이거나 레닌 암살을 시도하기도 했다. 레닌 사후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국가자본주의 변질을 비판하며 레닌주의 원칙에 대한 반대가 심화되었으며, 아나키스트들은 레닌주의가 새로운 형태의 억압 체제를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좌파공산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마르크스주의
  • 좌파공산주의 - 평의회공산주의
    평의회공산주의는 1918년 이후 독일과 네덜란드에서 발생한 좌익 공산주의 분파로, 레닌주의와 볼셰비즘을 비판하며 노동자 평의회에 기반한 직접 민주주의를 지향하고 사회민주주의, 선거 정치, 소련의 관료주의적 형태를 비판한다.
  • 레닌주의 - 볼셰비키
    볼셰비키는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레닌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멘셰비키와 대립하며 러시아 혁명을 주도,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실현하고 소비에트 연방을 수립한 정치 세력이다.
  • 레닌주의 - 마르크스-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마르크스의 사상을 레닌과 후계자들이 재해석하고 발전시킨 이념으로, 생산수단의 공동소유와 계급투쟁을 중시하며 공산당 주도의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평등 사회를 목표로 했으나, 권위주의 통치, 냉전, 소련 붕괴 등으로 영향력이 감소했고 현재 일부 국가에서만 권력을 유지하며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아나키즘 - 파리 코뮌
    파리 코뮌은 1871년 프랑스에서 72일간 지속된 급진적인 사회주의 혁명으로,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사회적 혼란 속에서 파리 시민들이 자치 정부를 수립하여 진보적인 사회 개혁을 추진했으나 베르사유 정부군의 진압으로 붕괴되며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이다.
  • 아나키즘 - 아나르코자본주의
    아나르코자본주의는 국가를 거부하고 자유 시장 자본주의를 이상으로 삼으며, 비침해 원칙에 기반하여 사유재산과 자유 계약을 통해 모든 서비스와 인프라를 시장에서 제공하는 사회를 지향하는 이념이다.
반레닌주의
반레닌주의
개요
정의레닌의 이론 및 실천에 반대하는 정치적 이념
주요 반대 대상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관련 사상반공주의
마르크스주의 비판
반스탈린주의
특징
레닌주의 비판레닌의 전위당 개념 반대
민주주의적 원칙 결여 비판
권위주의적 성격 비판
주요 주장노동자 자치 강조
풀뿌리 민주주의 강조
국가 권력의 축소 또는 폐지 주장
영향좌파 공산주의 운동
자율주의 운동
일부 사회주의 경향
역사적 맥락
등장 배경레닌 사후 소련 내부의 권력 투쟁
코민테른의 노선 변화
트로츠키주의자의 레닌주의 비판
주요 운동독일 공산노동자당
이탈리아 공산당 좌파
상황주의 인터내셔널
주요 인물
주요 인물로자 룩셈부르크
카를 카우츠키
안톤 판네쿡
아마데오 보르디가
오토 륄레
실비아 팽크허스트
가브릴 먀스니코프
파울 마티크
기 드보르
관련 개념
관련 개념좌파 공산주의
평의회주의
자유지상주의적 마르크스주의
반권위주의
불가능주의
같이 보기
같이 보기반공주의
마르크스주의 비판
반스탈린주의

2. 초기 반대

레닌과 볼셰비키에 대한 초기 반대는 다양한 세력으로부터 비롯되었다.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내부에서는 1903년 제2차 당대회에서 볼셰비키멘셰비키로 분열되면서 레닌주의에 대한 반대가 시작되었다. 멘셰비키는 레닌주의와 볼셰비키즘의 권위주의적 성격과 마르크스주의 국가 건설 방법에 반대했다. 10월 혁명 이후 유리 마르토프의 고발 등으로 이러한 반대는 더욱 거세졌다.[1]

러시아 내에서는 사회혁명당, 아나키스트 등 다양한 세력이 레닌볼셰비키에 반대했다. 사회혁명당은 볼셰비키의 의회 해산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체결에 반대하며 무장 투쟁을 전개했고, 1918년 8월 30일에는 사회혁명당원 파니 카플란이 레닌에 대한 암살을 시도했다.[8][9]

레닌 암살시도를 묘사한 그림


아나키스트들은 레닌이 국가를 해체할 의도가 없다고 비판하며 국가 권력에 대한 근본적인 반대 입장을 견지했다.[10] 표트르 크로폿킨의 장례식은 반대 없이 거행되었지만, 아나키스트의 반레닌주의 운동은 크게 억압되었다. 마흐노는 "볼셰비키를 포함한 모든 종파의 국가사회주의자들은 부르주아 통치의 근본 구조를 내버려 둔 채로 이를 그들 자신의 이름으로 바꿔쓰고 있다"고 비판했고,[11][12] 엠마 골드만은 "러시아에는 공산주의가 없다"라는 글에서 "소비에트 러시아는 정치적으로는 절대적인 독재국이며, 경제적으로는 국가자본주의의 추잡한 형태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13]

2. 1. 마르크스주의자들의 반대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로자 룩셈부르크는 레닌의 혁명 개념이 본질적으로 엘리트주의적이고 블랑키주의적이라고 비판했다.[2] 룩셈부르크는 "Leninism or Marxism?"라는 글에서 레닌에게 사회 민주주의와 블랑키주의의 차이는 소수의 음모세력 대신에 계급의식을 가진 프롤레타리아가 있다는 관측으로 축소되었다고 비판했다. 룩셈부르크는 레닌이 이 차이가 조직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수정하고, 중앙집권주의와 당과 투쟁 사이에 대한 다른 개념이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망각했다고 지적했다. 룩셈부르크는 블랑키주의는 노동계급의 직접행동을 지향하지 않으며, 혁명을 위해 사람들을 조직할 필요가 없고, 혁명의 순간에만 그들의 역할을 해야하며 혁명 준비는 소수의 혁명가들이 쿠데타를 시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혁명 음모의 성공을 위해서는 대중과 음모세력 사이에 거리를 두는 것이 현명하다고 생각했다고 비판했다.[3]

좌파공산주의라는 소아병은 볼셰비키에 대한 좌파의 비판을 공격하기 위해 작성된 레닌의 글이다. 좌파공산주의는 코민테른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총회에서의 레닌의 관점보다 더욱 확실하게 정통적 마르크스주의적이고 프롤레타리아적인 입장에서 볼셰비키의 정치 사상을 비판했다. 좌파공산주의를 지지하는 여러 조직의 분석에 따르면 소련은 국가자본주의였다. 1918년 러시아 공산주의 좌파는 권위주의적 자본주의 관계와 생산 방법의 재도입을 비판했다. 오신스키(Osinsky)는 “일인 관리”(레닌이 제거해버린 노동자들의 민주적 공장 위원회 대신에)와 다른 자본주의적 징계의 부과는 생산 조직에 대한 노동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저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테일러주의는 노동자들을 기계의 부속장치로 만들어 버렸고 생산에 대한 집단 보상이 아닌 개인적 보상은 노동자들에게 쁘띠 부르주아적 가치를 주입시켰다. 이러한 조치들은 프롤레타리아가 생산의 집단적 주체로부터 원자화된 자본의 대상으로 되돌아 가는 것이였다. 좌파 공산주의자들은 노동계급은 의식적으로 경제와 정치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18년 좌파 공산주의는 자본주의 생산의 문제는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취급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동자들의 의식적인 창조행위와 참여를 통해 이를 극복하는 것은 마르크스의 소외에 대한 비판과 관련된 것이였다.[4] 신경제정책이 도입된 이후 이러한 비판은 러시아 공산당 좌파에서 부활했다. 노동자 반대파(Workers' Opposition)와 Decists(모두 이후에 금지된 정당이된다.) 많은 당원들과 지하의 좌파 공산주의 조직들은 러시아는 새로운 관료 계급의 지배를 받는 국가자본주의 사회가 되어 가고 있다는 이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5][6]

독일로자 룩셈부르크는 레닌의 전위당론과 민족자결론을 비판했다.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내부의 레닌주의에 대한 반대는 1903년 제2차 당대회에서 볼셰비키멘셰비키로 당파가 분열되면서 시작되었다. 멘셰비키는 레닌주의와 볼셰비키즘의 권위주의적 성격과 마르크스주의 국가 건설 방법에 반대했다. 이러한 반대는 10월 혁명 이후 마르토프의 고발 등으로 더욱 거세졌다.[1]

2. 2. 비마르크스주의자들의 반대

러시아 내에서는 사회혁명당, 아나키스트 등 다양한 세력이 레닌볼셰비키에 반대했다. 사회혁명당은 볼셰비키의 의회 해산과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 체결에 반대하며 무장 투쟁을 전개했다.[8] 1918년 8월 30일, 사회혁명당원 파니 카플란은 레닌에 대한 암살을 시도했다.[9]

아나키스트들은 레닌이 국가를 해체할 의도가 없다고 비판하며, 국가 권력에 대한 근본적인 반대 입장을 견지했다.[10] 표트르 크로폿킨의 장례식은 반대 없이 거행되었지만, 아나키스트의 반레닌주의 운동은 크게 억압되었다. 마흐노는 "볼셰비키를 포함한 모든 종파의 국가사회주의자들은 부르주아 통치의 근본 구조를 내버려 둔 채로 이를 그들 자신의 이름으로 바꿔쓰고 있다"고 비판했다.[11][12] 엠마 골드만은 "러시아에는 공산주의가 없다"라는 글에서 "소비에트 러시아는 정치적으로는 절대적인 독재국이며, 경제적으로는 국가자본주의의 추잡한 형태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13]

3. 1924년 이후의 반대

1924년 레닌 사후, 반레닌주의는 레닌주의 자체에 대한 비판으로 발전했다.

영국 사회당 (SPGB)이나 세계 사회주의 운동 등은 러시아 혁명 이후 국가자본주의가 수립됨으로써 공산주의 이상이 배반당했다고 비판했다.[5]

아나키스트들은 레닌주의가 또 다른 형태의 억압 체제를 만들었다고 비판하며, 전위당론에 대한 반대를 이어갔다. 러시아 아나키스트 운동에서도 반레닌주의가 존재했는데, 이는 아나키즘과 맑스주의 사이의 초기 분열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레닌이 국가를 해체할 의도가 없다는 것이 명백해지자 격렬해졌다. 표트르 크로폿킨의 장례식은 반대 없이 거행되었지만, 아나키스트의 반레닌주의 운동은 크게 억압되었다.[10]

마흐노는 볼셰비키를 포함한 모든 국가사회주의자들이 부르주아 통치의 근본 구조를 바꾸지 않고 이름만 바꿔 쓰고 있다고 비판하며, 모든 정부는 자유를 갈망하는 사람들을 찢어발기려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11][12]

엠마 골드만은 "러시아에는 공산주의가 없다"라는 글에서 소비에트 러시아가 정치적으로는 절대적인 독재국이며, 경제적으로는 국가자본주의의 추잡한 형태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13]

머레이 북친은 맑스주의가 국가자본주의 운동의 가장 진보된 형태로서 동화되었다고 비판했다. 그는 프롤레타리아가 혁명적 계급으로 발전하는 대신 부르주아 사회의 장기가 되었다고 주장하며, 레닌이 "사회주의"를 "단지 전 인민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국가 자본의 독점"이라고 묘사한 것을 괴상한 진술이라고 평가했다.[14]

'''An Anarchist FAQ'''의 저자들은 레닌주의가 엘리트주의적이고 계층적이며 사회주의 사회를 성취하는데 매우 비효율적이라고 비판하며, 레닌주의 정당이 권력을 장악하면 새로운 계급 사회(국가자본주의)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주장한다.[15]

3. 1. 마르크스주의자들의 반대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로자 룩셈부르크는 레닌의 혁명 개념이 엘리트주의적이고 블랑키주의적이라고 비판했다.[2] 룩셈부르크는 "Leninism or Marxism?"라는 글에서 레닌주의와 블랑키주의의 차이점을 지적하며, 레닌이 조직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수정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블랑키주의는 노동계급의 직접행동을 지향하지 않지만, 레닌은 소수의 음모세력 대신 계급의식을 가진 프롤레타리아가 있다고 보았다.[3]

좌파공산주의라는 소아병은 볼셰비키에 대한 좌파의 비판을 공격하기 위해 작성된 레닌의 글이다. 좌파공산주의는 코민테른에서의 레닌의 관점보다 더욱 정통적 마르크스주의적이고 프롤레타리아적인 입장에서 볼셰비키의 정치 사상을 비판했다. 이들은 소련이 국가자본주의라고 분석했다. 1918년 러시아 공산주의 좌파는 권위주의적 자본주의 관계와 생산 방법의 재도입을 비판했다. 오신스키(Osinsky)는 “일인 관리”(레닌이 제거해버린 노동자들의 민주적 공장 위원회 대신에)와 자본주의적 징계의 부과가 생산 조직에 대한 노동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저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테일러주의는 노동자들을 기계의 부속장치로 만들고, 생산에 대한 집단 보상이 아닌 개인적 보상은 쁘띠 부르주아적 가치를 주입시킨다고 보았다. 좌파 공산주의자들은 노동계급이 의식적으로 경제와 정치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자본주의 생산의 문제는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취급하는 것이며, 노동자들의 의식적인 창조행위와 참여를 통해 이를 극복해야 한다고 보았다.[4]

신경제정책 도입 이후, 노동자 반대파(Workers' Opposition)와 Decists 등 많은 당원들과 지하의 좌파 공산주의 조직들은 러시아가 새로운 관료 계급의 지배를 받는 국가자본주의 사회가 되어 가고 있다는 이론을 개발했다.[5][6] 미스니코프(Myasnikov)는 1931년 책자에서 이러한 생각을 발전시켰다.[7]

1924년 이전의 비판은 레닌 개인에 대한 반대가 중심이었지만, 1924년 이후에는 레닌주의에 대한 반대로 초점이 맞춰졌다. 영국 사회당 (SPGB)이나 세계 사회주의 운동 등은 러시아 혁명 이후 국가자본주의가 수립됨으로써 공산주의 이상이 배반당했다고 비판했다.

트로츠키주의는 반스탈린주의의 입장에서 소비에트 연방을 “배반된 혁명”, “타락한 노동자 국가”라고 비판하지만, “반레닌주의”는 아니다.

3. 2. 비마르크스주의자들의 반대

아나키스트들은 레닌주의가 또 다른 형태의 억압 체제를 만들었다고 비판하며, 전위당론에 대한 반대를 이어갔다.

러시아 아나키스트 운동에서도 반레닌주의가 존재했다. 이는 아나키즘과 맑스주의 사이의 초기 분열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레닌이 국가를 해체할 의도가 없다는 것이 명백해지자 격렬해졌다. 표트르 크로폿킨의 장례식은 반대 없이 거행되었지만, 아나키스트의 반레닌주의 운동은 크게 억압되었다.[10]

마흐노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볼셰비키를 포함한 모든 종파의 국가사회주의자들은 부르주아 통치의 근본 구조를 내버려 둔 채로 이를 그들 자신의 이름으로 바꿔쓰고 있다. 그렇게 그들은 모든 모순과 함께 주인과 노예의 관계를 되살리려 하고 있다...... 부르주아 정부는 교수대에 혁명가들을 매달았지만, 사회주의자나 볼셰비키 공산주의 정부는 슬금슬금 다가가서 잠자고 있는 혁명가들의 목을 조르거나 속임수로서 그들을 죽인다. 이 둘 모두 타락한 행위이지만, 사회주의자들은 그 방법에 있어서 더욱 타락했다...... 정부 권력은 결코 노동자들이 자유의 길을 걷도록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타인을 지배하고자 하는 게으른 사람들의 도구일 뿐이며, 권력이 부르주아, 사회주의자, 볼셰비키를 비롯하여 누구에게 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모든 정부는 그들의 송곳니를 숨긴 채로 자유와 삶을 갈망하는 어떤 사람이라도 찢어발기려 할 것이며, 그런 송곳니를 숨기지 않은 정부란 존재하지 않는다."[11][12]

반레닌주의는 아나키스트 운동에서 표준적인 주장이 된다. 예를 들어, 저명한 아나키스트인 엠마 골드만은 "러시아에는 공산주의가 없다(There Is No Communism in Russia)"라는 글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그러한 조건은 아마도 국가자본주의라 불릴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어떤 면에서든 공산주의적이라고 부르는 것은 터무니 없는 일이다...... 이제 분명히 하자. 소비에트 러시아는 정치적으로는 절대적인 독재국이며, 경제적으로는 국가자본주의의 추잡한 형태에 불과하다.”[13]

머레이 북친은 맑스주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마르크스주의는 사실 이데올로기가 되었다. 그것은 특히 러시아에서 국가자본주의 운동의 가장 진보된 형태로서 동화되었다. 역사의 엄청난 아이러니로 인하여, 마르크스의 사회주의는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의 변증법에서 예상하지 못했던 국가자본주의라고 판명되었다. 프롤레타리아는 자본주의의 뱃속에서 혁명적 계급으로 발전하는 대신에, 부르주아 사회의 육체의 장기가 되었다…… 레닌은 이것을 감지 했고 “사회주의”를 “단지 전 인민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국가 자본의 독점”이라고 묘사했다. 이것은 그 말이 지닌 모순을 생각한다면 매우 괴상한 진술이다.”[14]

'''An Anarchist FAQ'''의 저자들은 레닌주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 “혁명을 성취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수단을 제시하는 대신, 레닌주의 모델은 엘리트주의적이고 계층적이며 사회주의 사회를 성취하는데 매우 비효율적이다. 기껏해야, 이들 정당은 대중적 구조와 조직 내에서 그들의 조직 원칙과 조작적인 전술로서 활동가들을 소외시킴으로써 계급투쟁을 방해할 것이다. 최악의 경우 그러한 정당들은 권력을 장악해서 새로운 계급 사회(국가자본주의)를 만들어 낼것이고, 노동계급은 그들의 새로운 보스들에게 억압받게 될것이다.(당의 위계질서와 권력을 임명받은 사람들에게서)”[15]

아나키즘 운동에 의한 레닌주의 교리에 대한 강한 반대도 계속되고 있으며, 그중에는 전위당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own with the Death Penalty! http://www.marxists.[...]
[2] 웹인용 The State and Revolution http://www.marxists.[...]
[3] 웹사이트 Leninism or Marxism? http://www.marx.org/[...] 2007-04-25
[4] 간행물 Soviet state capitalism? The history of an idea 1967-01
[5] 문서 Ante Ciliga
[6] 서적 The Interregnum 1923-1924 London
[7] 웹인용 Makhaevism After Machajski https://web.archive.[...] 2014-04-07
[8] 웹인용 Social Revolutionaries (SRs) https://web.archive.[...] About.com 2014-12-05
[9] 웹인용 1918: Fanya Kaplan, Lenin’s would-be assassin https://web.archive.[...] ExecutedToday.com 2018-04-08
[10] 서적 The Unknown Revolution
[11] 웹사이트 Nestor Makhno: The Anarchist Revolution https://theanarchist[...]
[12] 웹사이트 Restless Specters of the Anarchist Dead: A Few Words from the Undead of 1917 https://crimethinc.c[...]
[13] 웹사이트 There Is No Communism in Russia http://theanarchistl[...]
[14] 웹사이트 Listen, Marxist! http://theanarchistl[...]
[1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