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블랑키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랑키주의는 1881년 프랑스에서 설립되어 1898년 해산된 정당인 중앙혁명위원회(CRC)와 관련된 사상이다. CRC는 오귀스트 블랑키의 정치 투쟁을 계승하기 위해 에두아르 발랑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혁명적 행동주의, 무신론, 사회주의적 애국심, 자코뱅주의를 지지했다. 블랑키주의는 혁명가들의 실천이 노동계급과 충분히 결합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로자 룩셈부르크와 레닌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또한, 블랑키주의와 유사한 혁명 전략을 비판하는 용어로 '극좌 모험주의'가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혁명 이론 - 게바라주의
    게바라주의는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기반한 체 게바라의 포코 이론을 중심으로, 소규모 게릴라 부대가 혁명의 선봉대 역할을 수행하여 대중봉기를 촉발한다는 혁명 전략이다.
  • 혁명 이론 - 반혁명
    반혁명은 혁명에 대한 반대나 저항을 의미하며, 혁명 이전 체제 복원 시도와 혁명 세력에 대항하는 움직임을 모두 포함한다.
  • 극좌 정치 - 아나키즘
    아나키즘은 국가와 권위에 반대하며 다양한 분파로 나뉘는 정치 철학으로, 사회적 아나키즘은 생산 수단의 사회화를,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은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며, 21세기 사회 운동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국가 부재 시의 문제점과 실현 가능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극좌 정치 - 볼셰비키
    볼셰비키는 1903년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에서 레닌을 중심으로 시작되어 멘셰비키와 대립하며 러시아 혁명을 주도,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실현하고 소비에트 연방을 수립한 정치 세력이다.
  • 정치인과 관련된 정치철학 -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는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제시한 사회, 경제, 정치 이론을 포괄하는 세계관으로, 계급 투쟁을 강조하며 공산주의 사회를 목표로 생산 수단의 공유 소유를 통해 자본주의의 착취적 노동 조건을 없애려 한다.
  • 정치인과 관련된 정치철학 - 마르크스-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마르크스의 사상을 레닌과 후계자들이 재해석하고 발전시킨 이념으로, 생산수단의 공동소유와 계급투쟁을 중시하며 공산당 주도의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평등 사회를 목표로 했으나, 권위주의 통치, 냉전, 소련 붕괴 등으로 영향력이 감소했고 현재 일부 국가에서만 권력을 유지하며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블랑키주의
개요
이름블랑키주의
로마자 표기Beullangki-juui
영문명Blanquism
핵심 주장소수의 혁명적 엘리트가 무장 봉기를 통해 권력을 장악해야 한다.
특징사회주의
급진주의
엘리트주의
폭력 혁명 지향
프롤레타리아 독재
마르크스주의에 영향을 받았으나, 대중 운동보다 소수 엘리트의 봉기를 강조
역사
기원19세기 프랑스에서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의 사상에서 비롯
영향파리 코뮌에 영향을 미침
일부 급진적인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줌
비판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서 대중 운동을 경시한다는 비판을 받음
레닌주의의 선구적 사상으로 평가되기도 함
사회민주주의에서 점진적 개혁보다 소수 봉기를 옹호한다는 이유로 비판받음
주요 인물
주요 인물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영향 받은 인물루이 앙리 드루레
마르크스
엥겔스
레닌
관련 개념
관련 개념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
레닌주의
급진주의
폭력 혁명
프롤레타리아 독재
엘리트주의
대중 운동
파리 코뮌
관련 문서
관련 문서극좌 모험주의

2. 중앙혁명위원회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중앙혁명위원회(CRC, Central Revolutionary Committee)는 1881년 에두아르 발랑이 오귀스트 블랑키의 정치 투쟁을 계승하기 위해 설립한 프랑스의 블랑키주의 정당이다. CRC는 혁명적 행동주의, 무신론, 사회주의적 애국심, 프랑스 혁명자코뱅주의를 지지했다.

1888년 뷜랑제 장군을 지지하는 분파가 발생하면서 약화되었지만, 1896년 혁명 사회주의 노동자당(POSR) 분파들이 결성한 혁명 공산 동맹(ACR)의 가입으로 강화되었다. 이후 1898년 사회주의 혁명당에 합병되었다.

2. 1. 블랑키주의 정당



중앙혁명위원회(CRC, Central Revolutionary Committee)는 1881년에 설립되어 1898년에 해산된 프랑스의 블랑키주의 정당이었다.

CRC는 에두아르 발랑이 오귀스트 블랑키(1805~1881)의 정치 투쟁을 계승하기 위해 설립했다. CRC는 혁명적 행동주의, 무신론, 사회주의적 애국심, 그리고 프랑스 혁명자코뱅주의를 지지하는 블랑키즘 정당이었다. 1888년, 많은 당원들(앙리 로슈포르 등)이 자코뱅 민족주의와 사회주의를 결합한 뷜랑제 장군을 따르면서 CRC는 분열로 약화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뷜랑지즘을 사회주의로 가는 가능한 길로 보았다. 뷜랑지즘 분파 이후, 발랑은 신디칼리즘과 파업 투쟁 전략을 채택했다.

1896년 혁명 사회주의 노동자당(POSR)의 분파들이 결성한 혁명 공산 동맹(ACR)이 가입하면서 CRC는 더욱 강화되었다.

CRC는 1898년 사회주의 혁명당에 합병되었다.

2. 2. 분열과 쇠퇴

1888년 뷜랑제 장군을 따르는 분파가 발생하면서 중앙혁명위원회(CRC)는 약화되었다. 앙리 로슈포르 등 많은 당원들이 뷜랑제 장군을 지지했으며, 이들은 뷜랑지즘을 사회주의로 가는 가능한 길로 보았다. 뷜랑지즘 분파 이후, 에두아르 발랑은 신디칼리즘과 파업 투쟁 전략을 채택했다.

2. 3. 혁명 공산 동맹과의 통합

1896년 혁명 사회주의 노동자당(POSR)의 분파들이 결성한 혁명 공산 동맹(ACR)에 가입하면서 중앙혁명위원회(CRC)는 더욱 강화되었다.

2. 4. 사회주의 혁명당으로 합병

블랑키주의 정당인 중앙혁명위원회(CRC)는 1898년 사회주의 혁명당에 합병되었다.[1]

3. 블랑키주의라는 용어의 사용

"블랑키주의"라는 용어는 혁명가들이 그들의 실천을 대중 노동계급과 충분히 결합하지 못했다고 비난하는 데 사용되었다.[4] 로자 룩셈부르크는 레닌을 블랑키주의자라고 비판했다.[15]

레닌은 '블랑키주의'라는 용어가 부르주아에 의해 인민의 투쟁을 폄하하고 비판하기 위해 사용된다고 반박했다. 그는 프롤레타리아와 농민이 구체제로부터 양보만을 얻으려 할 때 부르주아가 이득을 보며, 우익 사회민주주의자들이 이 용어를 단지 논쟁적인 수사로 사용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부르주아는 이를 프롤레타리아에 대한 무기로 활용한다고 비판했다.[16] 레닌은 저서 국가와 혁명에서 자신에 대한 블랑키주의 비난을 모두 부인했으며, 사회민주주의자인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을 기회주의자라고 비판했다.[17]

3. 1.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비판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자신들의 혁명 개념을 블랑키주의와 구분하고자 했다. 엥겔스는 "파리 코뮌에서 도망친 블랑키스트들의 강령"에서 블랑키는 본질적으로 정치 혁명가이며, 감정적으로만 사회주의자이고, 사회주의 이론이나 사회적 해결책에 대한 명확한 실용적 제안이 없다고 비판했다.[4]

"블랑키즘"이라는 용어는 혁명가들이 그들의 실천을 대중 노동계급과 충분히 결합하지 못했다고 비난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3. 2. 블라디미르 레닌

로자 룩셈부르크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8]블라디미르 레닌이 블랑키주의적이고 엘리트주의적인 혁명관을 가졌다고 비판했다. 룩셈부르크는 레닌이 사회민주주의와 블랑키주의의 차이를 소수 음모 세력과 계급 의식을 가진 프롤레타리아의 유무 정도로 축소했고, 조직, 중앙집권주의, 당과 투쟁의 관계에 대한 개념을 블랑키주의적으로 파악했다고 비판했다.[15]

레닌은 이러한 비판에 대해 부르주아가 블랑키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해 인민의 투쟁을 폄하한다고 반박했다.[16] 그는 저서 국가와 혁명에서 자신에 대한 블랑키주의 비난을 부인하고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을 기회주의자라고 비판했다.[17]

3. 2. 1. 로자 룩셈부르크의 비판

로자 룩셈부르크블라디미르 레닌사회민주주의와 블랑키주의의 차이를 단순히 계급 의식 유무로 축소했다고 비판했다. 룩셈부르크에 따르면, 블랑키주의는 노동계급의 직접행동을 고려하지 않고 소수 혁명가의 쿠데타에 의존하는 반면, 사회민주주의는 노동계급 투쟁을 기반으로 한 대중 조직을 지향한다.[15] 룩셈부르크는 레닌이 이러한 차이를 망각하고 조직, 중앙집권주의, 당과 투쟁의 관계에 대한 블랑키주의적 관점을 취한다고 지적했다.[5]

레닌은 이러한 비판에 대해, 부르주아가 블랑키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해 인민의 투쟁을 폄하하려 한다고 반박했다. 그는 우파 사회민주주의자들이 블랑키주의라는 말을 논쟁적인 수사로 사용하며, 부르주아는 이를 프롤레타리아에 대한 무기로 사용한다고 주장했다.[16] 레닌은 국가와 혁명에서 자신에 대한 블랑키주의 비난을 부인하고,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을 기회주의자라고 비판했다.[17]

3. 2. 2. 레닌의 반박

레닌은 부르주아들이 '블랑키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인민의 투쟁을 폄하하고 비판한다고 반박했다. 그는 프롤레타리아와 농민이 구체제로부터 양보만을 얻으려 할 때 부르주아가 이득을 본다고 주장했다. 또한, 우익 사회민주주의자들이 이 용어를 단지 논쟁적인 수사로 사용하며, 부르주아는 이를 프롤레타리아에 대한 무기로 활용한다고 비판했다. 레닌은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노동자들이여, 이성적으로 행동하라! 입헌민주당두마의 권력 확대를 위해 싸워라! 부르주아를 위해 불 속에서 밤송이를 꺼내는 격인, 민중의 완전한 권력을 위한 투쟁이라는 무정부주의나 블랑키주의 같은 광기는 생각하지도 마라!"[16]

4. "극좌 모험주의" 및 유사 용어의 사용 예

레닌 사후, 블랑키주의와 유사한 혁명 전략을 비판하는 용어로 "극좌 모험주의"가 사용되었다.


  • 일본 공산당은 1955년 제6차 전국협의회에서 소감파의 무장 투쟁 노선을 "극좌 모험주의"라고 비판했고, 1960년 안보투쟁에서는 전학련 등을 "극좌 모험주의 트로츠키스트 집단"이라고 비판했다.[12][13]

4. 1. 트로츠키의 비판

1930년, 트로츠키는 소비에트 연방의 경제 정책을 "관료적 모험주의"라고 비판했다.[9]

4. 2. 코민테른의 비판

코민테른은 트로츠키즘을 "극좌 모험주의"이자 "제국주의의 앞잡이"라고 비판했다.[9]

4. 3. 김일성의 비판

김일성은 1931년 저서 「극좌 모험주의 노선을 배격하고 혁명적 조직 노선을 관철하자」에서 5.30폭동을 "극좌 모험주의적"이라고 비판했다.[10][11]

4. 4. 중화인민공화국의 비판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민주화 운동을 "극좌 모험주의를 조장한다"고 비판했다.[9]

4. 5. 일본 공산당의 비판

일본 공산당은 1955년 제6차 전국협의회에서 1950년대 주류파였던 소감파의 무장 투쟁 노선을 "극좌 모험주의"라고 비판했다(51년 강령 참조. 현재의 당은 국제파의 계보로 여겨진다).[12][13] 또한 1960년 60년 안보 투쟁에서는 전학련 등을 "극좌 모험주의 트로츠키스트 집단"이라고 부르며 비판했다.

참조

[1] 웹사이트 Blanquism http://www.wisdomsup[...] 2007-04-25
[2] 웹사이트 Blanquism http://www.newyouth.[...] 2007-04-25
[3] 웹사이트 Louis-Auguste Blanqui Archive https://www.marxists[...]
[4] 뉴스 The Program of the Blanquist Fugitives from the Paris Commune http://www.marxists.[...] 1874-06-26
[5] 서적 Organizational Questions of the Russian Social Democracy https://www.marxists[...] 2007-04-25
[6] 일반
[7] 서적 The Congress Summed Up http://www.marxists.[...] 1906-05-06
[8] 서적 The State and Revolution
[9] 웹사이트 ソ連経済の新路線 - 経済的冒険主義とその危険性 - トロツキー http://www.marxists.[...]
[10] 웹사이트 極左冒険主義路線を排撃し、革命的組織路線を貫徹しよう - CiNii https://ci.nii.ac.jp[...]
[11] 웹사이트 金日成 - 延吉県明月溝で開かれた党および共青幹部会議でおこなった演説 http://kcyosaku.web.[...]
[12] 웹사이트 日本共産党元中央委員会議長 宮本顕治さん死去 - 日本共産党 https://www.jcp.or.j[...]
[13] 웹사이트 警察白書 https://www.npa.go.j[...]
[14] 웹사이트 Blanquism http://www.wisdomsup[...] 2007-04-25
[15] 웹사이트 Leninism or Marxism? http://www.marx.org/[...] 2007-04-25
[16] 웹사이트 The Congress Summed Up http://www.marxists.[...] 1906-05-06
[17] 웹인용 The State and Revolution http://www.marxis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