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방준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방준혁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으로, 1968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98년 인터넷 영화 사업 실패 이후, 2000년 넷마블을 설립하여 부분 유료화 과금 방식을 도입하며 PC온라인 게임 시장을 개척했다. 2004년 CJ그룹에 넷마블을 편입시킨 후, 2006년 건강 악화로 사임했다. 이후 CJ E&M 총괄상임고문을 거쳐 2014년 넷마블게임즈의 최대주주가 되었고, 모바일 게임 시장에 주력하여 회사를 성장시켰다. 2017년 넷마블게임즈의 IPO를 통해 2조 6,600억 원의 자금을 조달하고 매출 1위를 달성했으며, 카카오게임즈와 빅히트엔터테인먼트에 투자했다. 2020년 웅진코웨이를 인수하여 코웨이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다. 2003년 골든브랜드 윤리경영대상, 2015년 동탑산업훈장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양 방씨 - 미르 (가수)
    미르는 2009년 보이 그룹 엠블랙의 래퍼로 데뷔하여 활동했으며, 예능 프로그램 출연 및 다른 가수 곡 피처링 참여 등의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남양 방씨 - 설인아
    설인아는 2015년 드라마 데뷔 후 다수의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하며 연기 활동을 펼치는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가수로, MC 활동과 연기대상 신인상 수상, 싱글 앨범 발매 등을 통해 대중적 인지도를 높이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CJ ENM 사람 - 한상대 (법조인)
    한상대는 제23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검사로 임용, 검찰총장을 역임하고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빙교수 등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 CJ ENM 사람 - 최중경
    최중경은 행정고시 합격 후 재정경제부, 기획재정부, 지식경제부 등에서 주요 보직을 거쳐 장관까지 역임한 경제관료 출신으로, 공직 퇴임 후에는 한국공인회계사회 회장, 기업 사외이사, 한미협회 회장 등으로 활동하는 기업인이자 대학교수이다.
  • 대한민국의 억만장자 - 문선명
    문선명은 통일교를 창설하고 원리강론을 통해 사상을 체계화했으며 국제 합동 축복 결혼식을 주재했으나, 메시아 주장과 교리로 비판받았고 다양한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억만장자 - 정몽준
    정몽준은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7선 국회의원, 대한축구협회 회장, FIFA 부회장을 역임하고 2002년 FIFA 월드컵 유치에 기여했으며, 아산나눔재단을 설립하여 사회 공헌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축구 행정가이다.
방준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방준혁
출생일1968년 12월 23일 ()
출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본관남양
경력
직업
직업기업인
소속넷마블 이사회 의장
정치
종교
가족 관계
기타 정보
수상
수상2015년 동탑산업훈장
수상2017년 제26회 다산경영상 창업경영인부문
수상2019년 제13회 EY 최우수 기업가상 마스터상

2. 생애

방준혁은 여러 차례 사업에 실패했지만, 넷마블을 설립하고 성장시키며 한국 게임 산업에 큰 영향을 미쳤다. 건강 문제로 잠시 물러나기도 했으나, 복귀 후 넷마블을 재도약시키고 코웨이를 인수하는 등 활발한 경영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의 주요 이력은 다음과 같다.


  • 1968년 서울특별시 출생, 이후 사업 실패와 아이팝소프트 사외이사 역임[2]
  • 2000년 넷마블 설립, 2002년 부분유료화 도입, 2004년 CJ그룹에 편입[2]
  • 2006년 건강 악화로 사임, 2011년 복귀, 2014년 텐센트 투자 유치[2]
  • 2014년 넷마블게임즈 이사회 의장, 2017년 IPO, 2018년 카카오게임즈와 빅히트엔터테인먼트 투자, 2020년 코웨이 인수[2]

2. 1. 초기 생애 및 사업 실패 (1968년 ~ 1999년)

1968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2] 1998년 인터넷영화사업을 시작했지만 실패했다.[2] 1999년 위성인터넷 사업으로 재도전했지만 셋톱박스 등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데 드는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또 실패했다.[2] 이후 게임기업 아이팝소프트 사외이사가 되었다.[2]

2. 2. 넷마블 설립과 성장 (2000년 ~ 2006년)

2000년 자본금 1억 원과 직원 8명으로 게임회사 넷마블을 설립했다.[2] 2002년 부분유료화 과금방식을 한국 PC온라인게임 시장에 최초로 도입했고, 처음 도입된 게임은 '캐치마인드'였다.[2]

2003년 넷마블은 사업확대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상장기업이던 플래너스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 넷마블의 이름은 ‘플래너스’로 바뀌었다.[2] 2003년 5월 모회사인 플래너스엔터테인먼트 지분을 흡수하여, 넷마블은 플래너스엔터테인먼트가 보유하고 있던 콘텐츠 기획과 생산, 마케팅 등에 대한 노하우를 고스란히 흡수할 수 있었다.[2]

2004년 넷마블은 CJ그룹에 편입됐고 이름은 CJ인터넷으로 변경되었다.[2] 방준혁은 이 대가로 8000억에 이르는 주식 부자반열에 올랐고, 3년간 CJ인터넷 경영권을 보장받았다.[2]

2006년 건강이 나빠져 CJ인터넷 사장에서 물러났다.[2]

2. 3. 건강 악화와 복귀 (2006년 ~ 2014년)

2006년 건강이 나빠져 CJ인터넷 사장에서 물러났다가[2] 2011년 CJ E&M에 ‘총괄상임고문’으로 복귀했다.[2] 2014년 CJ E&M이 CJ넷마블을 물적분할해 자회사인 CJ게임즈와 통합하면서 CJ넷마블 최대주주에 올랐다.[2] 당시 텐센트에게 5억달러에 이르는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다.[2]

2. 4. 넷마블 재도약과 코웨이 인수 (2014년 ~ 현재)

2014년 CJ E&M이 CJ넷마블을 물적분할해 자회사인 CJ게임즈와 통합하면서 CJ넷마블 최대주주에 올랐다. 당시 중국 최대 게임기업인 텐센트에게 5억달러에 이르는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다.[2]

2014년 10월 CJ넷마블의 이름을 넷마블게임즈로 바꾼 뒤 이사회 의장을 맡아 모바일게임에 주력하면서 넷마블게임즈를 연매출 1조 원 기업으로 키워냈다.[2]

2017년 5월 17일 IPO로 26.6조의 자금을 조달하였고, 시가총액 13조 원을 돌파하였다. 2017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2.987조을 기록하며, 대한민국 게임업계 매출 1위에 올랐다.[2]

2018년 2월 카카오게임즈와 게임사업 협력 및 제휴를 위해 5000억을 투자해 지분 5.76%를 확보했다.[2]

2018년 3월 30일 주주총회에서 기존 넷마블게임즈였던 회사명을 넷마블로 바꿨다.[2]

2018년 4월 친척 동생인 방시혁 대표의 빅히트엔터테인먼트에 2.014조을 투자하여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지분 25.71%를 확보하여 2대주주가 됐다.[2]

2020년 2월 웅진코웨이 지분 25.08%를 17.4조에 인수하였고, 코웨이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되었다.[2]

3. 경력

연도경력
2000년넷마블 설립 및 대표 ( ~ 2003년)
2003년 ~ 2004년플레너스 사업전략담당 사장
2004년 ~ 2006년CJ 인터넷 사업전략담당 사장
2011년 ~ 2014년CJ E&M 게임부문 총괄상임고문
2014년 10월 ~ 2018년 3월넷마블게임즈 이사회 의장
2017년상반기 넷마블 상장(157,000원), 시가총액 130억달러 돌파
2017년 10월 19일주가 173,000원 돌파, 리니지2 레볼루션 매출 1210억 (2016년)
2017년단일게임사상 첫 매출 1조 돌파 예상
2018년 3월 ~넷마블 이사회 의장
넷마블문화재단 이사장
2020년 2월 ~코웨이 이사회 의장


4.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2003년골든브랜드 윤리경영대상
2005년한국인터넷기업협회 주관 올해의 인터넷기업대상 정보통신부장관상
2015년동탑산업훈장
2016년2015년도 고용창출 100대 우수기업 인증패 (수여자: 박근혜)
2017년제26회 다산경영상 창업경영인부문상
2019년제13회 EY 최우수 기업가상 마스터상


참조

[1] 뉴스 방준혁 넷마블게임즈 의장, 주식부호 '2조클럽' 가입 눈앞 http://news1.kr/arti[...] 뉴스1 2016-02-21
[2] 웹인용 [Who Is ?] 방준혁 넷마블 이사회 의장 http://www.businessp[...] 2020-08-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