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촌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촌역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에 있는 역이다. 고려 시대에는 격양동, 조선 중기에는 유광촌으로 불리다가 일제강점기 이후 방촌동으로 불린 데서 역명 유래를 찾을 수 있다. 1998년 5월 2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에는 iM뱅크, 국민은행, 농협, 행정복지센터, 시장, 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동구의 전철역 - 동대구역
동대구역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철도역이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환승역으로, 고속철도 개통과 복합환승센터 개장으로 동남부 지역의 주요 교통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철도 노선과 도시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다. - 대구 동구의 전철역 - 안심역
안심역은 1998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3년 화재 참사로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으며, 2014년 부역명 적용, 2016년 스크린도어 설치를 거쳐 2024년 하양 연장 구간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고, 신라 시대 왕건이 안심했다는 데서 유래된 역명과 함께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에서 유일하게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역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2003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발생한 방화로 인해 192명이 사망하고 151명이 부상당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는 방화범의 범행, 안전 불감증, 부실한 시설 관리, 미흡한 초기 대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지하철 참사로 기록되며 사회 안전망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방촌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주소 | 방촌동, 대구광역시 동구 |
로마자 표기 | Bangchonnyeok |
한자 표기 | 芳村驛 |
운영 정보 |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2면 2선 |
개업일 | 1998년 5월 2일 |
역 번호 | 140 |
운영 기관 | 대구교통공사 |
역사 정보 | |
역간 거리 | 이전 역: 해안역, 1.0km 다음 역: 용계역, 1.1km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설화명곡 기점 22.1km |
기타 정보 | |
2. 역명의 유래
고려시대에는 풍요롭고 살기 좋은 마을이라고 하여 '''격양동'''이라고 불렀다. 조선 중기에는 방촌천 좌우가 버드나무로 숲을 이루었다고 하여 '''유광촌'''이라고 하였다. 그러다가 일제강점기 이후부터는 흙이 기름지고 물도 풍부하여 살기 좋은 곳이라는 뜻으로 '''방촌동'''이라고 불렀다.
3. 역사
4. 역 구조
승강장 벽면 색상은 노란색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이다. 승강장 번호는 없다.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5. 역 주변
1번 출구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출구로 나가 우회전하여 둔산로를 따라가면 옛 해안동 마을이 나온다. 역 주변의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6. 승차량 변동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미개통 | 2,272 | 3,131 | 미공개 | 2,990 | 3,090 | 1,750 | 2,989 | 3,127 | 3,498 | [2] |
노선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1호선 | 3,260 | 3,196 | 3,086 | 3,034 | 3,279 | 3,376 | 3,336 | 3,314 | 3,401 | 3,399 | [3] |
노선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1호선 |
7. 인접한 역
용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