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배현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현경은 고려의 개국 공신으로, 본래 이름은 백옥 또는 백옥삼이었으며 경주 출신이다. 고려 태조 왕건에게 배씨 성을 하사받고 현경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918년, 홍유, 신숭겸, 복지겸과 함께 태조에게 반정을 권유하여 고려 건국에 기여했으며, 도읍을 송악으로 옮기는 데 기여하고 궁예의 잔당을 소탕하는 등 공을 세워 대광의 벼슬에 올랐다. 936년 병으로 사망했으며, 태조는 그를 위로하고 관비로 장례를 치르게 했다. 시호는 무열이며, 994년 태사로 추증되어 태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봉의 장군 - 복지겸
    복지겸은 태봉의 마군 장군으로, 918년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 개국에 공헌하고 개국공신 1등에 녹훈되었으며, 994년 태사로 추증되고 시호는 무공이다.
  • 경주 배씨 - 배재정
    배재정은 부산일보 기자 출신으로 통합민주당 특임위원을 거쳐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문재인 정부에서 국무총리비서실장 및 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 언론인이다.
  • 경주 배씨 - 배명진
    배명진은 숭실대학교 전자공학과 졸업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전자공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한국의 음향학자로, 한국전기통신연구소 위촉연구원, 호서대학교 교수, 숭실대학교 교수를 거쳐 한국음향학회 회장 및 세계전기전자공학회(IEEE) 한국 신호처리챕터 회장을 역임하며 학술 활동을 했으나, 2018년 MBC PD수첩에서 음성 분석 연구의 과학적 근거 부족 및 연구 윤리 문제가 제기되어 논란이 되었다.
  • 고려의 개국공신 - 홍유
    홍유는 고려 초기의 인물로, 궁예를 섬기다 고려 건국에 기여하여 개국 일등 공신으로 왕건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배현경 등과 함께 역성혁명을 모의하고 청주 호족의 반란을 진압하는 등 고려의 안정을 위해 활동했다.
  • 고려의 개국공신 - 복지겸
    복지겸은 태봉의 마군 장군으로, 918년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 개국에 공헌하고 개국공신 1등에 녹훈되었으며, 994년 태사로 추증되고 시호는 무공이다.
배현경 - [인물]에 관한 문서
귀족 정보
이름배현경
원래 이름배현경(裵玄慶)
본명배현경(裵玄慶)
다른 이름백옥(白玉), 백옥삼(白玉三 白玉衫)
별명미상
출생일생년 미상
출생지미상
사망일936년
사망지미상
재위901~918
재위2918~936
매장지미상
배우자미상
어머니미상
자녀배은우(裵殷祐)
주군태조(太祖)
묘호혜종
시호무열공(武烈公)
종교불교(佛敎)
가문경주(慶州)
사당미상
관직무신(武臣)
문신(文臣)
병부령(兵部令)
목록고려의 무신

2. 생애

신라의 옛 수도인 경주 출신으로, 처음 이름은 백옥(白玉) 또는 백옥삼(白玉三, 白玉衫)이었다. 고려 건국 원년에 고려 태조로부터 배(裵)씨 성과 현경(玄慶)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다.

그는 뛰어난 담력으로 고려 태조가 후삼국 시대를 통일하고 고려를 건국하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공을 세운 핵심 인물이다. 918년 홍유, 신숭겸, 복지겸 등과 함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을 추대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 공로로 고려 개국 일등공신으로 꼽혔다.

고려 건국 이후에도 도읍 송악 건설을 책임지고 궁예의 잔당을 소탕하는 등 국가 안정에 기여했으며, 대광 및 대상행이조상서 겸 순군부령도총 병마대장 등의 높은 관직을 역임했다. 특히 재경 청주 세력을 견제하는 등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고려 태조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936년 병으로 세상을 떠났을 때 고려 태조가 직접 문병하고 그의 죽음을 애통해했으며, 사후 무열(武烈)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아들은 은우(殷祐)이다. 994년에는 태사로 추증되어 고려 태조의 묘정에 배향되었고, 995년 평산 태백성에 그를 기리는 태사사(太師祠)가 세워져 매년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

2. 1. 출신과 초기 활동

배현경(裵玄慶)은 경주 사람으로, 초명은 백옥(白玉) 또는 백옥삼(白玉三, 白玉衫)이다. 고려 개국 원년에 고려 태조로부터 배(裵)씨 성과 현경(玄慶)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다.

태조가 사방을 정벌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 담력이 뛰어나고 병졸 출신으로 여러 차례 승진하여 대광(大匡) 벼슬에 이르렀다.

918년 음력 6월, 홍유(당시 이름 홍술), 신숭겸(당시 이름 삼능산), 복지겸(당시 이름 복사귀) 등과 함께 비밀리에 모의하여 밤에 태조의 사저로 찾아갔다. 이들은 당시 태봉의 왕이었던 궁예의 폭정을 비판하며 왕건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지금 주상이 형벌을 남용하여 처자를 죽이고 신료를 주멸하니, 백성들이 도탄에 빠져 살 수가 없습니다. 예로부터 혼미한 군주를 폐하고 명철한 군주를 세우는 것은 천하의 대의입니다. 청컨대 공은 탕왕과 주 무왕의 일을 행하기 바랍니다."

태조가 처음에는 "내가 충성과 순직으로 자처하여 왔는데, 지금 주상이 포학하다고 하지만 감히 두 마음을 가질 수 없다. 신하로서 임금을 교체하는 것을 혁명이라 하는데, 내가 박덕하여 어찌 감히 은(殷)·주(周)의 일을 본받을 수 있으랴"라며 거절하였다.

그러나 여러 장수들은 "때는 두 번 오지 않고, 만나기는 어렵고 잃기는 쉽습니다. 하늘이 주는 것을 취하지 않으면 도리어 그 벌을 받습니다. 지금 정사는 어지럽고 나라는 위태로운데, 백성들이 모두 윗사람 미워하기를 원수와 같이 합니다. 오늘날 덕망이 공보다 높은 사람이 없습니다. 하물며 왕창근이 얻은 경문(비밀 기록)이 저러한데, 어찌 숨어 지내다가 포악한 군주의 손에 죽을 것입니까?"라고 설득했다. 태조의 부인 유씨 또한 여러 장수들의 의견을 듣고 태조에게 "인(仁)으로써 불인(不仁)을 치는 것은 예로부터 그러합니다. 지금 여러 사람의 의논을 들으니 첩으로서도 분한 마음이 일어나는데, 하물며 대장부이겠습니까? 여러 사람의 마음이 갑자기 변하는 것은 천명이 돌아왔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하며 갑옷을 들어 태조에게 올렸다.

919년(태조 2년) 도읍을 송악으로 옮길 때 개주도찰사(開州都察使)로서 새 도읍 건설을 책임졌으며, 궁예의 잔당을 소탕하는 데 공을 세워 대상행이조상서 겸 순군부령도총 병마대장(大相行吏曹尙書兼徇軍部令都統兵馬大將)의 관직에 이르렀다.

이후 태조가 청주 사람 현률(玄律)을 순군 낭중(徇軍郞中)으로 임명하려 하자, 신숭겸과 함께 반대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지난날 임춘길(林春吉)이 순군리(徇軍吏)로 있으면서 반란을 음모하다가 누설되어 사형을 당한 일이 있었는데, 이것은 병권을 잡은 데다가 자기 고향인 것을 믿었기 때문입니다. 지금 또 현률을 순군 낭중으로 임명하시려는 데 대하여 저희들은 의혹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태조는 이 의견을 옳게 여겨 현률을 병부 낭중으로 고쳐 임명하였다. 이는 당시 청주 지역 세력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2. 2. 고려 건국

경주 출신으로, 처음 이름은 백옥(白玉) 또는 백옥삼(白玉三, 白玉衫)이었다. 고려 건국 원년에 고려 태조로부터 배(裵)씨 성과 현경(玄慶)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다. 그는 태조 왕건이 사방을 정벌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 뛰어난 담력으로 병졸에서 시작하여 대광(大匡)의 벼슬까지 올랐다.

918년 음력 6월, 당시 태봉의 장군이었던 홍유(홍술), 배현경(백옥삼), 신숭겸(삼능산), 복지겸(복사귀) 네 사람은 비밀리에 모의하여 밤에 태조의 집으로 찾아갔다. 그들은 궁예의 폭정을 비판하며 "지금 주상(궁예)이 형벌을 남용하여 처자와 신하들을 죽이니 백성들이 도탄에 빠져 살 수 없습니다. 예로부터 혼란한 군주를 폐하고 현명한 왕을 세우는 것은 천하의 대의입니다. 공께서 탕왕과 무왕처럼 혁명을 일으키시길 바랍니다"라고 왕건을 설득했다.

태조 왕건은 처음에는 "내가 충성스럽고 정직하게 살아왔는데, 주상이 포학하다고 하나 어찌 두 마음을 품겠는가. 신하가 임금을 바꾸는 것을 혁명이라 하는데, 내가 덕이 부족하여 어찌 감히 은나라와 나라의 일을 본받겠는가"라며 거절했다.

그러나 장수들은 "기회는 두 번 오지 않으며, 만나기는 어렵고 잃기는 쉽습니다. 하늘이 주는 것을 받지 않으면 도리어 벌을 받습니다. 지금 정치는 어지럽고 나라는 위태로우며 백성들은 임금을 원수처럼 미워합니다. 공보다 더 덕망 높은 이가 없습니다. 왕창근이 얻은 예언적인 글도 있는데, 어찌 숨어 지내다가 포악한 군주의 손에 죽으려 하십니까?"라고 강하게 주장했다. 이때 태조의 부인 유씨도 장수들의 뜻을 듣고 태조에게 "어진 것으로 어질지 못한 것을 치는 것은 예로부터의 일입니다. 여러 사람의 뜻을 들으니 저 또한 분한 마음이 드는데, 하물며 대장부이시겠습니까? 여러 사람의 마음이 갑자기 변하는 것은 하늘의 명이 돌아왔기 때문입니다"라고 말하며 갑옷을 들어 태조에게 바쳤다.

고려 건국 후인 919년, 도읍을 송악(개경)으로 옮길 때 개주도찰사로서 새 도읍 건설을 감독했으며, 궁예의 잔당을 소탕하는 데 공을 세워 대상행이조상서 겸 순군부령도총 병마대장(大相行吏曹尙書兼徇軍部令都統兵馬大將)의 높은 벼슬에 올랐다.

또한, 태조가 청주 출신 현률(玄律)을 순군 낭중(徇軍郞中)으로 임명하려 하자, 배현경은 신숭겸과 함께 반대하며 "과거 임춘길이 순군리로서 반란을 꾀하다 처형된 것은 병권을 쥐고 자기 고향 세력을 믿었기 때문입니다. 현률을 다시 순군 낭중으로 삼으려는 것에 대해 의구심을 갖지 않을 수 없습니다"라고 간언했다. 태조는 이 의견을 옳게 여겨 현률을 병부 낭중으로 바꾸어 임명함으로써, 배현경은 재경 청주 세력을 견제하고 고려 초기 정치 안정에 기여했다.

936년(태조 19년) 병이 위독해지자 태조가 직접 그의 집을 찾아 손을 잡고 “아! 천명이로구나! 그대의 자손이 있으니 내 어찌 감히 잊겠느냐!”라고 말했다. 태조가 문을 나서자마자 배현경은 세상을 떠났고, 왕은 행차를 멈추고 관에서 장례 비용을 대도록 명한 뒤 환궁했다. 시호는 무열(武烈)이며, 아들은 은우(殷祐)이다.

994년(성종 13년)에는 태사(太師)로 추증되어 태조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995년(성종 15년)에는 평산 태백성에 태사사를 세워 매년 봄, 가을에 제사를 지내게 하였다.

2. 3. 왕건의 신임

고려가 개국하던 해, 태조 왕건은 배현경에게 배(裵)씨 성과 현경(玄慶)이라는 이름을 직접 내려주며 그에 대한 깊은 신임을 보였다. 배현경은 본래 경주 사람으로, 처음 이름은 백옥(白玉) 또는 백옥삼(白玉三, 白玉衫)이었다. 그는 태조 왕건이 고려를 세우고 사방을 정벌하는 과정에서 뛰어난 담력과 용맹함으로 큰 공을 세웠으며, 병졸 출신임에도 능력을 인정받아 대광(大匡)이라는 높은 벼슬까지 올랐다.

918년 음력 6월, 당시 태봉의 왕이었던 궁예의 폭정이 극에 달하자, 배현경은 홍유(당시 이름 홍술), 신숭겸(당시 이름 삼능산), 복지겸(당시 이름 복사귀) 등 세 장군과 함께 비밀리에 왕건을 찾아갔다. 그들은 왕건에게 "지금의 왕(궁예)이 형벌을 남용하여 처자와 신하들을 마구 죽이니 백성들이 고통 속에서 살 수가 없습니다. 예로부터 포악한 군주를 폐하고 현명한 왕을 세우는 것은 천하의 대의입니다. 부디 탕왕이나 주 무왕처럼 혁명을 일으키시길 바랍니다"라고 간청했다.

처음에 왕건은 "내가 충성스럽고 정직하게 살아왔다. 지금 왕이 포학하다고는 하나 신하로서 두 마음을 품을 수는 없다. 더구나 혁명은 덕이 부족한 내가 어찌 감히 옛 성현들의 일을 본받을 수 있겠는가"라며 거절했다. 그러나 장수들은 "때는 두 번 오지 아니하므로, 만나기는 어렵고 잃기는 쉽습니다. 하늘이 주는 것을 취하지 않으면 도리어 그 벌을 받습니다. 지금 정사는 어지럽고 나라는 위태로운데, 백성들이 모두 웃사람 미워하기를 원수와 같이 합니다. 오늘날에 덕성이 공의 위에 있을 사람이 없습니다. 하물며, 왕창근이 얻은 경문이 저러한데, 어찌 칩복해 있다가 독부의 손에 죽을 것입니까"라고 재차 설득했다. 이때 왕건의 부인 유씨 또한 "어진 것으로 어질지 못한 것을 치는 것은 예로부터 당연한 일입니다. 지금 여러 사람의 의논을 들으니 첩으로서도 분심이 일어나는데, 더구나 대장부에 있어서이겠습니까? 지금 여러 사람의 마음이 갑자기 변하는 것은 천명이 돌아왔기 때문입니다"라며 손으로 갑옷을 들어 태조에게 올렸다. 결국 왕건은 이들의 뜻을 받아들여 고려를 건국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배현경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왕건의 절대적인 신임을 얻게 되었다.

919년 고려의 수도를 송악(지금의 개성)으로 옮길 때, 배현경은 개주도찰사(開州都察使)로서 새 수도 건설의 중책을 맡았으며, 궁예의 잔존 세력을 소탕하는 데에도 공을 세워 대상행이조상서 겸 순군부령도총 병마대장(大相行吏曹尙書兼徇軍部令都統兵馬大將)에 이르렀다.

또한 배현경은 왕건에게 직언을 서슴지 않으며 신뢰 관계를 보여주었다. 태조가 청주 사람 현률(玄律)을 군사 관련 직책인 순군 낭중(徇軍郞中)에 임명하려 하자, 배현경은 신숭겸과 함께 반대하며 "지난날에 임춘길(林春吉)이 순군리(徇軍吏)로 있으면서 반란을 음모하다가 누설되어 사형을 당한 일이 있었는바 이것은 병권을 잡은 데다가 자기 고향인 것을 믿었기 때문입니다. 지금 또 현률을 순군 낭중으로 임명하시려는 데 대하여 저희들은 저으기 의혹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라고 간언했다. 태조는 이들의 의견이 옳다고 판단하여 현률을 병부 낭중으로 바꾸어 임명했다.

936년 배현경이 병으로 위독해지자 태조 왕건은 직접 그의 집을 찾아 손을 잡고 “아! 천명이로구나! 그대의 자손이 있으니 내 어찌 감히 잊겠느냐!”라고 말하며 끝까지 깊은 신뢰와 애정을 보였다. 태조가 문을 나서자마자 배현경이 숨을 거두자, 왕은 가던 길을 멈추고 나라의 비용으로 장례를 성대히 치르도록 명한 후에야 궁으로 돌아갔다. 이는 배현경에 대한 왕건의 신임이 얼마나 두터웠는지를 보여주는 일화이다. 시호는 무열(武烈)이며, 아들은 은우(殷祐)이다.

994년(성종 13년) 태사(太師)로 추증되어 태조 묘정(廟庭)에 배향되었으며, 995년(성종 15년)에는 평산 태백성에 태사사(太師祠)가 세워져 매년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

2. 4. 죽음과 추증

936년(태조 19년) 병이 위독해지자, 태조가 직접 그의 집으로 찾아가 손을 잡고 위로하며 "그대의 자손이 있으니 내 어찌 감히 잊겠느냐!"라고 말하며 후사를 약속했다. 태조가 문을 나서자마자 배현경은 세상을 떠났다. 이에 태조는 가던 길을 멈추고 나라의 비용으로 장례를 치르도록 명한 뒤 궁으로 돌아갔다. 시호는 무열(武烈)이며, 아들은 은우(殷祐)이다.

994년(성종 13년)에는 태사(太師)로 추증되었고, 태조의 묘정(廟庭)에 홍유, 복지겸, 박술희, 신숭겸 등 다른 개국공신들과 함께 배향되었다. 이듬해인 995년(성종 15년)에는 평산 태백성에 그를 기리는 태사사(太師祠)가 세워져 매년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

3. 배현경이 등장하는 작품

(내용 없음)

3. 1. TV 드라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