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난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난아는 1925년 제주도 출생으로, 1940년 콩쿠르 입상을 계기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오동동 극단'으로 데뷔하여 '찔레꽃', '낭랑 18세' 등 여러 곡을 발표하며 인기를 얻었다. 해방 후에는 '파라다이스 쇼단'을 운영하며 활동했으며, 한국 전쟁 중에는 대구에서 군예대 활동을 하기도 했다. 1960년대까지 활동을 이어갔으며, TV 방송에도 출연했다. 1991년 대장암 발병 후 투병하다 1992년 6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트로트 가수 - 반야월 (작사가)
    반야월(본명 박창오)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초기에 활동한 작사가이자 가수로, 진방남이라는 예명으로 가수 활동을 시작하여 <불효자는 웁니다>를 불러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작사가로 전향하여 서민들의 애환과 향토적인 정서를 담은 수많은 곡을 작사하며 한국 대중가요사에 큰 영향을 남겼다.
  • 일제강점기의 트로트 가수 - 황금심
    황금심은 1936년 오케레코드 전속가수 선발 1등으로 데뷔하여 〈알뜰한 당신〉, 〈울산 큰애기〉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며 활동하다가 1996년 파킨슨병으로 투병, 2001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해주 오씨 - 오탁근
    오탁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검찰총장 및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검사로 활동하다 10·26 사건 처리 후 강제 퇴임, 이후 법무부 장관, 한국가스공사 이사장, 변호사 등으로 활동했다.
  • 해주 오씨 - 오세훈
    오세훈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으며, 국회의원, 변호사, 방송인으로 활동하다 서울시장에 4선 당선되었다.
  • 제주시 출신 - 우근민
    우근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행정가로, 총무처 공무원 요직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를 역임하며 민자당, 새정치국민회의, 열린우리당 등 다양한 정당 활동을 했으나, 공직선거법 위반, 성희롱 소송 패소, 새누리당 입당 논란 등 여러 논란이 있었다.
  • 제주시 출신 - 강금실
    강금실은 1981년 사법시험 합격 후 판사, 인권 변호사, 대한민국 최초 여성 법무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후보, 법무법인 대표변호사, 사단법인 이사장, 경기도 기후대사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자 정치인이다.
백난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인물 정보
직업가수
출생일1925년 1월 16일
출생지제주특별자치도
사망일1992년 1월 21일

2. 생애

백난아는 일제강점기대한민국의 가수이다. 1940년 데뷔 이후, 〈오동동 극단〉, 〈찔레꽃〉, 〈낭랑 18세〉 등 수많은 히트곡을 발표하며 1950년대까지 전성기를 누렸다. 한국 전쟁 중에는 대구에서 피난 생활을 하며 군예대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1960년대 이후에는 극장 무대를 중심으로 활동했고, TV 방송 시대가 열리면서 원로 가수로서 방송에 출연하였다. 1991년 대장암 발병 후 투병 중 1992년 고혈압이 겹치면서 향년 67세로 세상을 떠났다.[2]

2. 1. 초기 생애 및 데뷔 (1925년 ~ 1940년)

1925년 1월 16일 제주도에서 태어났다. 양재고등여숙을 졸업하고, 1940년 태평레코드조선일보가 공동으로 주최한 콩쿠르 대회에서 2등으로 입상하였다. 같은 해, 선배 가수 백년설에게 '백난아'라는 예명을 받고, 데뷔곡 〈오동동 극단〉을 취입하였다.[2]

〈오동동 극단〉이 히트되자 〈갈매기 쌍쌍〉, 〈망향초 사랑〉, 〈땅버들 물버들〉, 〈도라지 낭랑〉, 〈아리랑 낭랑〉, 〈찔레꽃〉, 〈흥아의 봄〉 등을 이어서 발표하였다.[2]

2. 2. 전성기 활동 (1940년 ~ 1950년대)

백난아는 1940년 태평레코드와 조선일보가 공동 주최한 콩쿠르 대회에서 2등으로 입상하며 가수로 데뷔했다. 같은 해, 선배 가수 백년설에게 '백난아'라는 예명을 받고 <오동동 극단>을 취입하였다.[2]

<오동동 극단>이 히트하자, <갈매기 쌍쌍>, <망향초 사랑>, <땅버들 물버들>, <도라지 낭랑>, <아리랑 낭랑>, <찔레꽃>, <흥아의 봄> 등을 발표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해방 직전까지 태평레코드 전속 가수로 활동했다.[2]

해방 후에는 '파라다이스 쇼단'을 운영하며 전국 순회공연을 다녔고, 1949년부터는 럭키레코드 전속으로 <금박댕기>, <낭랑 18세>, 고려레코드에서 <인도야곡>을 발표했다.[2]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대구로 피난하여 그곳에서 여러 연예인들과 함께 활동하며 군예대에서도 활동하였다. 전쟁 후에는 태평레코드와 서라벌레코드에서 <멕시코 나이트>, <고랑포 아낙네> 등을 취입하였다.[2]

2. 3. 후기 활동 및 별세 (1960년대 ~ 1992년)

1960년대까지 신곡을 발표하고, 이후에는 주로 극장 무대에서 활동하였다.

TV 방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백난아는 원로 가수로서 활발하게 방송에 출연하였는데, 특히 가요무대에 자주 출연하였다.[2] 1991년대장암이 발병하였고, 평소 앓고 있던 고혈압이 겹쳐 투병하던 중 1992년 1월 21일에 향년 67세로 별세하였다.[2]

3. 주요 곡

다음은 백난아의 주요 곡들이다.[2]


  • 1940년 - 『오동동 타령』
  • 1941년 - 『아리랑 낭랑』
  • 1942년 - 『찔레꽃』
  • 1949년 - 『낭랑 18세』

3. 1. 1940년대

태평레코드조선일보가 공동 주최한 콩쿠르 대회에서 2위에 입상한 후, 가수 백년설에게 "백난아"라는 예명을 받았다. 1940년 『오동동 타령』을 레코딩하여 데뷔했으며, 이 곡이 히트하면서 『갈매기 쌍쌍』, 『망향초 사랑』, 『땅의 버들, 물의 버들』, 『도라지 아가씨』등을 발표했다. 1941년에는 『아리랑 낭랑』, 1942년에는 『찔레꽃』을 발표하여 인기를 이어갔다. 일본이 한국을 해방하기 직전까지 태평레코드 전속 가수로 활동했다.[2]

해방 직후에는 "파라다이스 쇼단"을 운영하며 국내 순회 공연을 했다. 1949년부터는 럭키레코드 전속으로 『금박 댕기(댕기: 저고리를 입을 때 사용하는 머리 장식)』, 『열여덟 처녀』를 발표하고, 고려레코드에서 『인도 야곡』을 발표하며 인기를 얻었다.[2]

3. 2. 1950년대 이후

한국 전쟁 이후, 백난아는 태평레코드와 서라벌레코드에서 활동하며 『멕시코 야화』, 『고랑포 아가씨(아가씨: 타인의 아내를 뜻하는 옛말)』 등을 레코딩했다.[2] 1960년대까지 신곡을 꾸준히 발표했으며, 이후에는 주로 극장 무대에서 활동했다.[2] 텔레비전 방송 시대에도 베테랑 가수로 대접받으며 방송에 출연했고, 특히 『가요무대』에 출연했다.[2]

4.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1940년전국가요 콩쿠르 2위


5. 평가 및 영향

백난아는 일제 강점기부터 대한민국 초기까지 활동하며 한국 가요계에 큰 발자취를 남긴 가수이다. 특히, 그녀의 대표곡 〈찔레꽃〉은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가요 중 하나로 꼽힐 만큼 시대를 초월하여 큰 사랑을 받았다.[2]

백난아는 〈오동동 극단〉을 시작으로 〈갈매기 쌍쌍〉, 〈망향초 사랑〉, 〈아리랑 낭랑〉 등 수많은 히트곡을 발표하며 대중의 사랑을 받았다.[2] 일제 강점기에는 민족의 애환을 담은 노래로, 한국 전쟁 중에는 피난민과 군인들에게 위로를 주는 노래로, 전후에는 재건의 희망을 담은 노래로 시대와 함께하며 국민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960년대 이후 TV 시대에도 원로 가수로서 꾸준히 활동하며 〈가요무대〉 등을 통해 다양한 세대의 시청자들과 소통하였다.[2] 백난아의 음악은 단순한 유행가를 넘어, 한국인의 삶과 정서를 담아낸 예술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참조

[1] 뉴스 '찔레꽃' 백난아 고향은 '제주 명월'입니다 http://www.jejunews.[...] 제주일보
[2] 웹사이트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23-01-11
[3] 뉴스 '찔레꽃' 백난아 고향은 '제주 명월'입니다 http://www.jejunews.[...] 제주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