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레코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평레코드는 1932년 10월 28일에 설립된 일본의 음반 회사로, 1940년대 초 오케레코드를 위협할 정도로 성장했다. 이재호-백년설 콤비의 〈나그네 설움〉, 백난아의 〈찔레꽃〉, 반야월의 〈불효자는 웁니다〉 등의 히트곡을 발매했으나, 1942년 킹 레코드에 강제 매수되어 군수 공장으로 전환된 후, 1943년 말에 해체되었다. 이후 1950년 재건되었으나, 1980년 폐업하며 56년의 역사를 마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없어진 음반사 - 소니 BMG
소니 BMG 뮤직 엔터테인먼트는 2004년 소니 뮤직과 베텔스만 뮤직 그룹의 합병으로 탄생한 세계 4대 음반사 중 하나였으나, 2008년 소니가 베텔스만 AG의 지분을 인수하여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 없어진 음반사 - 빅터 토킹 머신 컴퍼니
빅터 토킹 머신 컴퍼니는 엘드리지 R. 존슨이 1901년에 설립한 미국의 축음기 및 음반 회사로, 혁신적인 기술과 음악을 통해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웨스턴 일렉트릭의 전기 녹음 시스템 도입으로 음질을 혁신했고, RCA에 인수된 후 "주인의 목소리" 로고와 빅토롤라 축음기로 유명해졌다. - 1932년 설립 - 만주국군
만주국군은 1932년 만주국 건국 후 동북군 등을 기반으로 창설되어 일본 관동군의 개입 하에 운영된 괴뢰군으로, 무장과 훈련 개선을 통해 규모가 확장되었으나, 소련군의 만주 침공으로 해체되었고, 만주국군 출신 조선인들은 광복 후 한국 사회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친일 행적으로 논란이 되었다. - 1932년 설립 -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는 1932년 시작된 세계 최고(最古)의 영화제 중 하나로, 초기 무솔리니 정권의 영향 아래 이탈리아 영화 산업 육성을 목표로 예술 영화 중심으로 성장했지만, 시장 부문 신설 이후 상업 영화 비중 증가 등 변화를 겪으며 정치적 영향력 논란과 상업 영화 중심 선정 기준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국제 영화계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1943년 폐지 - 도쿄부
도쿄부는 1868년 에도에서 개칭된 도쿄에 설치된 일본의 행정 구역으로, 에도 시가지에서 현재의 도쿄도와 거의 같은 영역으로 확장되었으며, 1943년 도쿄도제가 시행되면서 도쿄도로 개편되었다. - 1943년 폐지 - 독립신문 (대한민국 임시정부)
독립신문은 1919년 상해에서 창간되어 독립운동 소식을 전하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며 임시정부 활동을 지원하는 언론 기관이다.
태평레코드 | |
---|---|
회사 정보 | |
이름 | 닛토 레코드 |
로마자 표기 | Nittō rekōdo |
일본어 표기 | ニットーレコード |
이전 회사명 | 타이헤이 축음기 주식회사 (Taihei Chikuonki Kabushiki Gaisha) 다이니폰 축음기 주식회사 (Dainippon Chikuonki Kabushiki Gaisha) |
종류 | 레코드 레이블 |
국가 | 일본 |
추가 정보 | |
관련 정보 | 타이헤이 레코드 (영어) 일본 머큐리 레코드 발매원 |
2. 역사
1932년 10월 28일 설립된 태평레코드는 약 680여 종의 음반을 발매했다. 초기에는 소규모였으나, 1940년대 초 오케레코드를 위협할 정도로 성장했다.[2] 이재호-백년설 콤비는 〈나그네 설움〉 등의 히트곡을 내며 박시춘-남인수 콤비와 경쟁했고, 〈찔레꽃〉의 백난아와 〈불효자는 웁니다〉의 반야월도 태평레코드에서 스타가 되었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군국가요를 발매하기도 했으며, 1943년 말 해체되었다. 자회사로는 기린레코드가 있었다.
2. 1. 설립과 초기 발전 (1924년 ~ 1930년대 초)
1924년 8월 10일, 일본 컬럼비아의 디렉터였던 모리가키 지로는 라이징 선 석유의 효고현 총대리점으로서 재산을 모은 의제(義弟)인 마츠다 분조에게 제안하여, 합자회사 '''내외축음기상회'''를 효고현니시노미야시 이마즈에 설립하고, 레코드 시제품 제작에 착수했다.[9]1925년 3월 1일, '''나이가이 레코드''' 레이블로 신보 제1탄을 발매했다. 곧 전기 녹음에도 대응하여, 가요곡·연예 중심의 대중 영합적인 라인업을 통해, 간사이 유수의 레코드 회사로 급성장했다.
1930년 11월 5일, '''태평축음기'''로 주식회사화했다. 신임 사장으로는 마츠다 분조의 동생인 마츠다 코신이 취임하였고, '''조개별표'''[10], '''타이헤이 레코드''' 레이블을 사용하게 되었다.
2. 2. 전성기와 합병 (1930년대 중반 ~ 1940년대 초)
1935년 11월 1일, 태평레코드는 간사이 지역의 오래된 레코드 회사인 닛토 축음기 ('''닛토 레코드''', '''제비표''')를 산하의 일본 크리스탈 축음기 합자회사 ('''크리스탈 레코드''')와 함께 흡수 합병하여 '''대일본 축음기'''로 조직을 개편했다.[9] 도쿄시아라카와구오구에 분공장을 설치하고, 이마가와 코지 공동 건축(후의 구단시타 빌딩)에 『닛토·타이헤이 도쿄 녹음소』를 설치하는 등 사업을 확대했다.[9]합병 후에도 '제비표', 타이헤이 레코드 레이블을 계속 사용하면서 기린 레코드, 코멧 레코드, 올림피아 레코드도 함께 사용했다.[9] 이다 테루오, 미하라 준코, 나카노 타다하루(변명: 미즈타 키요시/나가타 키요시/마키 타다오), 마츠다이라 아키라(변명: 오가와 후미오/마츠다이라 후지오) 등 여러 가수들이 태평레코드 소속으로 활동했다.[9]
한국에서는 이재호-백년설 콤비가 〈나그네 설움〉과 같은 노래를 히트시키며 간판급 스타로 활약했고, 오케레코드의 박시춘-남인수 콤비와 경쟁했다. 〈찔레꽃〉의 백난아와 〈불효자는 웁니다〉의 반야월도 태평레코드에서 스타 가수로 성장했다.
2. 3. 일제 강점기 말기와 해체 (1940년대 초 ~ 1943년)
1940년대 초, 태평레코드는 오케레코드를 위협할 만큼 성장하였다.[2] 이재호-백년설 콤비는 박시춘-남인수 콤비와 경쟁하며 태평레코드의 간판 스타로 활약했고, 〈나그네 설움〉과 같은 히트곡을 냈다. 〈찔레꽃〉의 백난아와 〈불효자는 웁니다〉의 반야월도 태평레코드에서 배출한 스타 가수였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군국 가요를 발매하기도 하였다. 1943년 말 태평레코드는 해체되었으며, 자회사로는 기린레코드가 있었다.2. 4. 전후 부활과 쇠퇴 (1950년대 ~ 1980년)
1950년 1월, 고단샤의 물품세 체납으로 국세청이 공장을 압류, 공매하자 이시이 코지[13] 등 유지들이 매입하여 신생 태평레코드로 부흥시켰다. 1951년 6월, '''타이헤이 음향'''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신보 제작을 재개했다. 1952년, 미국의 머큐리 레코드와 독점 계약을 체결하여 재즈 음반이 큰 인기를 얻었다.1953년 6월 1일, '''일본 머큐리'''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고[14], 라디오 도쿄(현 TBS 홀딩스)와 공동 주최한 JATP 일본 공연을 성공시켰다. 도카이린 타로, 세가와 신, 오카 하루오 등 베테랑 가수들과 후지시마 타카오, 노무라 유키코, 니시다 사치코 등 신인 가수들이 활약하여 전성기를 맞았다.
1955년, 음반 시장 경쟁이 심화되면서, 일본 머큐리는 일본 빅터에 노무라 유키코를 빼앗기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1957년에는 머큐리 레코드 발매권을 킹 레코드에 빼앗겨 유명무실해졌다. 1958년에는 토시바 레코드에 의해 후지시마 타카오, 마츠야마 케이코 등 간판 가수와 작사/작곡가, 스태프들까지 집단으로 이적하여[15] 큰 타격을 입었다.
1960년, 휴업 상태에 들어가고, 구반 판권 일부는 머큐리 레코드 본사로 넘어갔다.[16][17] 생산 설비 절반은 요시모토 흥업으로 넘어가 '''얀마 음향'''[18]으로 재출발했지만, 일본 머큐리 잔당과의 경영 내분이 계속되었다.[19] 1980년 8월, 토지 인도로 인해 폐업하며 56년 역사에 마침표를 찍었다.[20]
3. 번호 체계
번호 범위 | 발매 기간 |
---|---|
Taihei 8001 ~ Taihei 8699 | 1932년 10월 28일 ~ 1940년대 말 |
Taihei GC-3001 ~ Taihei GC-3042 | 1940년 8월 ~ 1943년 말 |
Taihei KC-5001 ~ Taihei KC-5086 | 1941년 5월 ~ 1943년 말 |
4. 이후의 움직임
1965년 도쿄도 신주쿠구에서 태평음향 주식회사(현 도쿠마 재팬 커뮤니케이션즈)가 설립되었으나, 이는 태평주택 창업자 나카야마 코이치가 설립한 것으로 태평레코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21]
1970년대 이후 발매된 카세트 테이프에는 본사 소재지가 도쿄도 분쿄구 코마고메로 기재되어 있었다.
1983년, 일본 머큐리 레코드(NRC-MUSIC.JP)가 나가세 모모를 중심으로 활동했으나, 나가세 모모의 은퇴 후 활동이 중단되었다.
2006년경, 연예 기획사 Frog Entertainment Japan이 일본 머큐리의 후예를 칭하며 단기간 영업 후 행방불명되었다.
2009년 11월, 벳쇼 노리타카가 일반 사단법인 일본 머큐리(효고현 고베시)를 설립하였다. 2010년 1월, 신생 일반 사단법인 일본 머큐리는 사업을 부흥시켜 헬스케어 사업에 진출했다가 철수했다.[23] 2017년 4월, 키시모토 타카유키가 대표 이사로 취임했고, 2023년 7월에는 쿠마다 카츠아키가 대표 이사로 취임하며 주된 사무소를 기후현 기후시로 이전했다.
참조
[1]
논문
近代沖縄における録音メディアの導入、Chapter 4: ニットーレコード設立と活動の変遷
http://www.okigei.ac[...]
Miki Takahashi
[2]
뉴스
『蓄音機 芸人の争奪戦 経営百態』東京朝日新聞
http://www.lib.kobe-[...]
Tokyo Asahi Shimbun
1925
[3]
문서
Consort of Nitto founder Shirayama's daughter.
[4]
뉴스
『関西発 レコード120年 第7部 レコード各社興亡秘話 No.14』
http://www.kobe-np.c[...]
The Kobe Shimbun
1999
[5]
뉴스
『関西発 レコード120年 第7部 レコード各社興亡秘話 No.15』
http://www.kobe-np.c[...]
The Kobe Shimbun
1999
[6]
서적
Blue Nippon: authenticating jazz in Japan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politics of gender in colonial Korea: education, labor, and health, 1910-194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웹사이트
World and traditional music: East Asia
http://www.bl.uk/res[...]
[9]
문서
[[ヒコーキ印レコード]]発売元で、後に[[日本コロムビア|日蓄]]に買収された帝國蓄音器(昭和に入ってから[[南口重太郎]]が[[松下幸之助]]の出資で創業した[[テイチクエンタテインメント|帝國蓄音器商會=後のテイチク]]とは無関係)の神戸工場を買い取ったとの説もある。
[10]
문서
初期には[[ロイヤル・ダッチ・シェル]]の貝印[[商標]]を流用していたが、抗議を受け星の付いたデザインに変更した。
[11]
문서
当時[[新興キネマ]]所属の新人女優。
[12]
문서
キングレコードも戦時統合で[[富士音盤]]に集約。
[13]
문서
[[国会議員]]の[[石井一]]、[[石井一二]]兄弟の父で、戦中戦後の混乱期に社長を務めた地元の名士。
[14]
문서
但しマーキュリー・レコードとの資本関係は皆無で、「ジャズを売るには洋風の社名の方が格好いい」との理由から、タイヘイ側が勝手に社名変更したという。
[15]
문서
[[松村又一]]、[[藤田まさと]]、[[松坂直美]]、[[飯田景応]]、[[島田逸平]]、[[遠藤実|星幸男(後の遠藤実)]]、[[西脇功|西脇稔和(後の西脇功)]]、[[袴田宗孝]]ら
[16]
문서
その後マーキュリー・レコードも親会社を転々として、タイヘイと日本マーキュリーの旧盤は現在[[ユニバーサルミュージック (日本)|ユニバーサルミュージック]]から再版されている。
[17]
문서
松山恵子・藤島桓夫両名に関しては、移籍先の[[EMIミュージック・ジャパン|東芝EMIレーベル]]からも再版。
[18]
문서
[[ヤンマー|ヤンマーディーゼル]]とは一切無関係。
[19]
웹사이트
誰が昭和を想わざる 昭和ラプソディ(昭和43年・上)
https://web.archive.[...]
2010-04-30
[20]
웹사이트
関西発レコード120年 埋もれた音と歴史(神戸新聞社)
https://web.archive.[...]
2004-10-29
[21]
문서
その一方、会社立ち上げの際に[[遠藤実]]一門以下、タイヘイ(日本マーキュリー)の元スタッフを少なからず採用し、プレスもヤンマー音響に委託するなど、人的には浅からぬ関係にあった。
[22]
웹사이트
企業情報 {{!}} 一般社団法人日本マーキュリー
https://www.nipponme[...]
2024-10-03
[23]
웹사이트
事業内容
http://www.nipponmer[...]
一般社団法人 日本マーキュリー
2018-01-31
[24]
문서
キングレコード西宮工場の生産設備を一部移管し、戦後の一時期に[[元町 (神戸市)|神戸元町3丁目]]で繁盛した録音スタジオ。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