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록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록담은 한라산 정상에 위치한 산정화구호이다. 해발 1,850m에 위치하며, 면적 약 300,000m2, 최장 길이 1km, 깊이 6m이다. 백록담이라는 명칭은 한라산 정상에 흰 사슴이 많이 놀았다는 데에서 유래되었으며, 최익현의 면암선생문집 등에서 관련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침식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순상화산의 원지형이 잘 보존되어 학술적 가치가 높고, 빼어난 경관으로 영주 12경 중 하나인 녹담만설로 불릴 만큼 자연경관적 가치 또한 뛰어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라산 - 한라산 선작지왓
한라산 선작지왓은 해발 1600m 지점에 위치한 관목 지대로, 털진달래와 산철쭉 군락을 이루어 봄철 아름다운 꽃 경관을 연출하며 겨울철에는 설경으로도 유명하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지리 - 제주해협
제주해협은 한반도와 제주도 사이의 해협으로, 따뜻한 쿠로시오 해류의 지류가 흐르며 역사적으로 한반도 전쟁사에서 중요한 요충지였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지리 - 올레길
제주 올레길은 서명숙에 의해 2007년 개장되어 제주도의 해안과 중산간을 따라 437km에 이르는 도보 여행길로, 자연과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27개 코스로 구성되어 제주올레 재단의 관리하에 탐방객을 위한 편의시설과 안내 시스템을 제공한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명승 - 산방산
산방산은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에 있는 해발 345m의 종상 화산으로, 산방굴사와 '산방덕의 눈물' 전설, 그리고 용머리해안, 하멜표류기념탑 등의 관광지와 함께 한라산 바위가 변했다는 전설이 있는 신성한 곳이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명승 - 정방폭포
정방폭포는 제주도 서귀포시에 있는, 바다로 직접 떨어지는 폭포로, 아름다운 경관으로 유명하지만 4·3 사건의 비극적인 역사를 지닌 곳이기도 하며, 제주도의 대표적인 자연경관 중 하나이다.
백록담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라산 백록담 |
로마자 표기 | Baengnokdam Crater Lake on Hallasan Mountain |
유형 | 명승 |
지정 번호 | 90 |
지정일 | 2012년 11월 23일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토평동 산15-1 |
소유 | 제주특별자치도 |
관리 | 제주특별자치도 |
참고 | 자연유산 / 명승 / 문화경관 |
면적 | 210,230m2 |
수량 | 1필지 |
꼬리표 | 제주 토평동 |
![]() | |
좌표 | |
문화재청 | |
문화재청 코드 | 15,00900000,50 |
2. 명칭 유래
백록담(白鹿潭)이라는 이름은 한라산 정상에 백록(흰 사슴)이 많이 놀았다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1] 백록담과 관련된 옛 문헌으로는 최익현의 勉菴先生文集|면암선생문집중국어 별도진(別刀鎭), 勉菴先生文集|면암선생문집중국어 한라산 유람기 등이 있다.[1]
백록담은 해발 1850m에 위치하며, 면적은 300000m2, 최장 길이는 1km, 깊이는 6m이다.
3. 지리적 특징
3. 1. 문화재적 가치
한라산 백록담은 남한에서 가장 높은 산정화구호로 침식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아 순상화산의 원지형이 잘 보존되어 학술 가치가 크고 빼어난 경관을 보여주는 화산지형이다.[1]
백록담은 한겨울 쌓인 눈이 여름철까지 남아 있어 영주 12경 중 하나인 녹담만설(鹿潭晩雪)로 불릴 만큼 자연경관적 가치가 매우 뛰어나다.[1]
4. 사진
참조
[1]
인용
[2]
설명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제주 '한라산 각력암 지대' 천연기념물 지정
2만 8천 년 전 생성된 '한라산 화산암 돌밭' 천연기념물 됐다
“와! 아빠! 백록담 호수가 하트 모양이야”
한라산 야간 산행, 7월 중 이틀간 '한시 허용'
“아빠, 이번에는 록담이 만날 수 있겠지?” 박준형의 아이와 백패킹 한라산 등반 ①
5월부터 예약 없이 한라산 등반 가능해진다
5월 황금연휴, 예약없이 한라산 탐방하세요
한라산 백록담 54일 만에 재개방…탐방객 300명 찾아
한라산 백록담 17일도 탐방 금지…폭설·강풍에 50일째 통제
"허술하게 도전했다간 큰 코"…한라산 산악사고 흑역사
"고 김새론과 성인 된 후 교제…변제 촉구한 적 없다"
한라산 백록담 17일부터 오를 수 있다…49일 폭설 통제 종료
폭설에 막힌 ‘한라산 백록담 길’ 50일 만에 열린다
한라산 백록담 50일 만에 등산객 맞는다…17일 재개방
한라산 백록담엔 물 대신 눈…폭설에 폭설로 한 달째 통제 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