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어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범어역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지하철역이다. 범어동의 옛 지명인 '범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 구조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005년 10월 18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2010년에 출입구가 확장되었다. 범어네거리에 위치하며, 주변에 수성구청, 대구수성경찰서 등 다양한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수성구의 전철역 - 연호역
연호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05년 개통 이후 인근 군부대 위치로 인해 승객 수가 가장 적다. - 대구 수성구의 전철역 - 고산역 (대구)
고산역은 2005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우체국 등이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 - 연호역
연호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05년 개통 이후 인근 군부대 위치로 인해 승객 수가 가장 적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 - 고산역 (대구)
고산역은 2005년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학교와 우체국 등이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서 운행되는 통근형 전동차이며, 2004년 10월부터 2005년 2월 사이에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어 6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연호역
연호역은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05년 개통 이후 인근 군부대 위치로 인해 승객 수가 가장 적다.
범어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주소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1면 2선 (섬식 승강장) |
개업일 | 2005년 10월 18일 |
역 번호 | 233 |
운영 기관 | 대구교통공사 |
한국어 역명 | |
한글 | 범어역 |
한자 | 泛魚驛 |
로마자 표기 | Beomeo Yeok |
노선 정보 |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19.1 km (문양역 기점) |
이전 역 | 대구은행역 |
다음 역 | 수성구청역 |
역간 거리 (이전 역) | 1.0 km |
역간 거리 (다음 역) | 0.9 km |
위치 | |
좌표 | 35°51′33″N 128°37′34″E |
2. 역명의 유래
마을의 형상이 마치 물고기 한 마리가 냇물에 떠 있는 모습 같아 '''범어동(泛魚洞)'''[6]이라고 하였다.
범어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총 11개소이며, 이 중 5~11번 출구는 2010년에 확장되었다. 1~4번 출구 쪽에 출입용 게이트가 있다.
3. 역 구조
3. 1. 승강장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에서 반대 방향 열차에 탑승할 수 있다.
4. 역사
- 2005년 10월 18일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1]
- 2010년 2월 1일 : 수성구청 인근에 출입구 7개 신설 개통[1]
- 2012년 4월 24일 : 대구도심영어거리 조성[1]
- 2016년 7월 30일 : 스크린도어 설치[1]
범어역은 범어네거리에 있다. 처음 개통 당시 출구는 대구광역시의 서쪽 시내 방면인 달구벌대로 쪽에 치우쳐 있었고(당시 4개), 시내버스 환승이 불편했다. 2006년 범어2동에 두산 위브 더 제니스(Beomeo-dong Doosan We've the Zenith Apartments) 아파트가 건설될 때, 교통영향평가 과정에서 범어역과 연결되는 지하 보도와 상가 부지 기증을 조건으로 아파트 건설이 승인되었다. 그 결과 출구가 확장되었다. 그랜드호텔, KTCU, 두산 위브 더 제니스 아파트 앞, 수성구청역(Suseong-gu Office Station), 대구수성경찰서 인근에 7개의 출구가 신설되어 2010년 2월 1일 개통되었다. 출구 확장과 함께 범어월드프라자라는 지하 상가가 두류역(Duryu Station)과 유사하게 신설되었으나, 입점하는 점포가 없어 개발이 지지부진했고, 대신 2012년 4월 24일 대구광역시 영어마을(E-Street)이 조성되었다. 그러나 대구광역시 영어마을 역시 경제 침체를 피해가지 못하고 운영 중단 위기에 놓여 있다.[1] 2010년에 신설된 7번 출구는 수성구청, 수성경찰서와 가까우며, 수성구청역보다 수성구청에 더 가깝다.[1]
범어네거리 일대에서 대규모 공공 행사가 열릴 경우 범어역 접근이 차단되는 경우가 있다.[1]
수성구민운동장역(Suseong District Stadium Station)이 개통되면서 동대구 방면 노선으로 수요가 분산되어 이용객이 대폭 감소했다. 그러나 2호선 다른 역에 비해 이용객이 여전히 많아 안전을 위해 2016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1]
본 역의 부역명은 눈Eye안과(Nune Eye Hospital)였으나, 2017년 9월 4일 삭제되었다.[1]
범어역에서는 '[http://artstreet.koweb.co.kr/ 범어아트스트리트]'라는 이름으로 전시가 열리고 있다. 정기적으로 변경되므로 방문 계획 시 행사 일정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1]
5. 특징
범어역은 범어네거리에 있다. 개통 당시에는 달구벌대로 서쪽 시내 방향에만 출구가 편중(당시 출구 수 4개)되어 있어서 시내버스 환승이 불편했다. 2005년 1월 교통영향평가 심의 과정에서 2006년 범어2동 두산 위브 더 제니스 아파트 신축시 범어역을 연결하는 지하보도 겸 상가를 기부채납 형식으로 설치하는 조건으로 아파트 건축을 승인하면서 출구를 확장하게 되었다.[2] 그 결과 그랜드호텔 앞, 교직원공제회관 앞, 두산 위브 더 제니스 앞, 수성구청, 대구수성경찰서 인근으로 출구가 7개 신설되어 2010년 2월 1일에 개통했다.[2] 출구 확장 때 두류역처럼 지하 상가인 범어월드프라자가 신설되었으나, 들어온 점포가 없어 개발이 지지부진하였고, 그 대신 2012년 4월 24일에 대구도심영어거리가 조성되었다.[3] 하지만 대구도심영어거리 역시 영업 부진을 면하지 못해 운영 중단 위기에 놓였다.[4]
2010년에 신설된 7번 출구 인근에 수성구청과 대구수성경찰서가 있으며 수성구청은 수성구청역보다 더 가깝다. 가끔 범어네거리에서 거리 응원 행사가 있을 때 범어역의 출입이 통제되는 경우가 있다.[5]
도시철도 전동차 안내방송에는 대구지방법원, 대구지방검찰청, 대구고등법원, 대구고등검찰청 하차 방송을 송출하고 있으며(4개 모두 합쳐 간략하게 법원, 검찰청으로 송출함) 범어역에서 하차한 후 11번 출구로 나간 뒤 범어 네거리에서 동대구역 방향으로 올라가면 된다.
남쪽의 궁전아파트삼거리에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수성구민운동장역이 개통되었으나, 범어역에서는 직접 환승으로 연결할 수 없으며, 대구광역시에서는 소프트 환승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내버스로 이동해야 한다. 게다가 수성구민운동장역의 영업이 시작된 이후 동대구로 쪽 연선 수요가 분산되어 이용률이 크게 감소했다.
하지만, 2호선의 다른 역들과 비교하면 이용률이 높은 편이어서 2016년에 안전을 위해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1번 출구와 4번 출구 사이에는 KB손해보험 대구사옥과의 연결 통로가 있다.
이 역의 부역명은 2017년 9월 3일까지 '''누네안과병원'''이었으나, 2017년 9월 4일자로 부역명이 삭제되었으며, 2018년부터 '''그랜드호텔면세점'''라는 새로운 부역명이 표기되었다. 지금은 '''그랜드호텔면세점'''이 삭제되었다.
6. 역 주변
범어역은 달구벌대로의 범어 네거리에 있다. 개통 당시에는 달구벌대로 서쪽 시내 방향에만 출구가 4개로 편중되어 있어서 시내버스 환승이 불편했다. 2005년 1월 교통영향평가 심의 과정에서 범어2동에 두산 위브 더 제니스 아파트 건축을 승인하면서 범어역을 연결하는 지하보도 겸 상가를 기부채납 형식으로 설치하는 조건으로 출구를 확장하게 되었다. 그랜드호텔 앞, 교직원공제회관 앞, 범어동위브더제니스아파트 앞, 수성구청, 대구수성경찰서 인근으로 출구가 7개 신설되어 2010년 2월 1일에 개통했다.[2] 출구 확장 때 두류역처럼 지하 상가인 범어월드프라자가 신설되었으나, 들어온 점포가 없어 개발이 지지부진하였고, 그 대신 2012년 4월 24일에 대구도심영어거리가 조성되었다.[3] 하지만 대구도심영어거리 역시 영업 부진을 면하지 못해 운영 중단 위기에 놓였다.[4] 2010년에 신설된 7번 출구 인근에 수성구청과 대구수성경찰서가 있으며 수성구청은 수성구청역보다 더 가깝다.
가끔 범어네거리에서 거리 응원 행사가 있을 때 범어역의 출입이 통제되는 경우가 있다.[5]
1번 출구와 4번 출구 사이에는 KB손해보험 대구사옥과의 연결 통로가 있다.
주변에는 다음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시설 |
---|
범어3동 치안센터 |
범어우방유쉘 |
KB손해보험 대구사옥 (연결 통로 있음) |
수성구민운동장역 방면 |
한국전력공사 대구전력관리처 |
대구은행 범어동 지점 |
우리은행 범어동 지점 |
하나은행 범어동 지점 |
하나은행 범어역지점 |
범어1동 주민센터 |
수성119안전센터 |
대구동도초등학교 |
범어시장 |
신한은행 범어동 위브 더 제니스지점 |
SC제일은행 대구지점 |
범어동코오롱하늘채아파트 |
범어롯데캐슬 |
범어네거리 |
범어천네거리 |
범어지구대 |
그랜드호텔 |
농협 범어동지점 |
대구지방노동청방면 |
수성구청 (7번 출구) |
대구수성경찰서 (7번 출구) |
대구여자고등학교 (7번 출구) |
중소기업은행 동대구지점 |
대구은행 수성구청지점 (수성구청 옆) |
우방궁전아파트방면 |
범어2동 주민센터 |
범어2동 우체국 |
범어동두산위브더제니스아파트 (8·9번 출구) |
상수도사업본부수성사업소 |
대구범어초등학교 |
대구지방법원·검찰청 (11번 출구) |
KT 수성지사 (11번 출구) |
교직원공제회관 |
국민건강보험공단 수성지사 |
천주교 대구대교구 제2주교좌 범어대성당 |
대구문화방송 방면 |
대구상공회의소방면 |
동대구역방면 |
신천4동방면 |
황금동방면 |
7. 승차량 변동
2010년 출구가 확장되면서 이용객이 많이 증가했으나,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수성구민운동장역 개통 이후 동대구로 연선 수요가 분산되어 이용객이 크게 감소했다. 현재 2호선의 역들 중 여섯 번째로 이용객이 많다.[7]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2호선 | 4,367 | 5,326 | 5,491 | 5,779 | 5,966 | 7,081 | 7,699 | 8,299 | 8,957 | 9,156 | 8,574 | 8,188 |
8. 인접한 역
참조
[1]
간행물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1997~2008
http://www.dtro.or.k[...]
2009-01-30
[2]
뉴스
대구 범어네거리 지하도, 내달 1일 전면 개통
https://news.naver.c[...]
매일신문
[3]
뉴스
“대구 영어거리를 아시나요”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2-04-24
[4]
뉴스
대구 영어거리, 1년 안 돼 문 닫을 판
https://news.naver.c[...]
중앙일보
[5]
뉴스
월드컵 길거리 응원 "이것만은 알고 가세요"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06-06-13
[6]
웹인용
동명유래
http://stat.suseong.[...]
수성구 통계연보
2018-06-03
[7]
간행물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1997~2008
http://www.dtro.or.k[...]
2009-01-3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대구서 새롭게 경험하는 주거 환경”…포스코이앤씨, ‘어나드범어’ 5월 분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