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네딕토 요셉 라브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네딕토 요셉 라브르(1748-1783)는 프랑스 출신의 가톨릭 성인이다. 그는 부유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부터 신앙심이 깊었으며, 여러 수도회에 입회를 시도했으나 거절당했다. 이후 로마의 성 알렉시오와 성 로크의 삶에 영감을 받아 가난하고 순례하는 삶을 살기로 결심, 프란치스코회 제3회원이 되어 구걸로 연명하며 유럽의 주요 성지를 순례했다. 말년에는 로마에서 극도의 청빈한 생활을 하며 '40시간의 헌신을 드리는 빈자'로 불렸으며, 1783년 성체 조배 후 선종했다. 그는 기적을 행하고 노숙자들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으며, 1860년 복자, 1881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레오 13세가 시성한 성인 - 장 바티스트 드 라 살
    프랑스 사제이자 교육자인 장 바티스트 드 라 살은 가난한 아이들을 위한 교육에 헌신하며 현대 교육 시스템의 기초를 다졌고, 사범학교 설립, 학년별 교육과정 도입 등 혁신적인 교육 정책으로 교육자의 수호성인으로 추대되었다.
  • 교황 레오 13세가 시성한 성인 - 요한 베르크만스
    요한 베르크만스는 1599년 벨기에에서 태어나 예수회 수련생으로 활동하며 철학을 공부했고, 1621년 사망 후 복자, 성인으로 시성되었으며, 전 세계에 그를 기념하는 학교, 성당, 기관 등이 세워졌다.
  • 1783년 사망 - 장 르 롱 달랑베르
    장 르 롱 달랑베르는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이자 음악 이론가로서, 달랑베르의 원리를 제시하여 역학 발전에 기여하고 드니 디드로와 함께 《백과전서》를 편찬하며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1783년 사망 - 홍대용
    홍대용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천문학자로 북학파의 중심 인물이었으며, 청나라 학자들과 교류하며 서양 천문학 지식을 접하고 지구 자전설과 우주 무한론을 주장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사헌부 감찰과 영주군수를 역임하며 실학적 이상을 실현하려 노력했다.
  • 1748년 출생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1748년 출생 - 올랭프 드 구주
    프랑스 혁명 시대 작가이자 여성 인권 운동가인 올랭프 드 구주는 '여성과 여성 시민의 권리 선언'을 통해 여성의 권리 신장을 촉구하고 노예제 폐지 등을 주장했으나, 반혁명 혐의로 처형당했다.
베네딕토 요셉 라브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베네딕토 요셉 라브르
존칭 접두사성인
이름베네딕토 요셉 라브르
존칭 접미사TOSF
출생일1748년 3월 25일
사망일1783년 4월 16일
축일4월 16일
공경하는 교회가톨릭교회
출생지프랑스 아르투아 아메트
사망지교황령 로마
시복일1860년 5월 20일
시복 장소로마
시복자교황 비오 9세
시성일1881년 12월 8일
시성 장소로마
시성자교황 레오 13세
상징물삼각 모자, 자선
수호 성인집 없는 사람들, 정신 질환으로 고통받는 사람들
주요 성지이탈리아 로마 산타 마리아 아이 몬티 교회

2. 생애

베네딕토 요셉 라브르는 1748년 프랑스 북부 아메트에서 부유한 상인의 15자녀 가운데 맏이로 태어났다.[3] 어릴 때부터 신앙심이 깊었던 그는 고해성사를 통해 죄를 고백하고 공개적으로 보속 행위를 실천하였다. 16세 때 트라피스트회, 카르투시오회, 시토회 등 여러 수도회에 입회하려 했으나, 너무 신중하다는 이유로 수도회 공동체 생활에 부적합하다는 판단을 받아 거절당했다.[4] 그는 18세 때 유행병(어떤 유행병인지 불명확)이 돌자 삼촌과 함께 환자들을 돌보았으나, 유행병으로 삼촌이 사망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3]

안토니오 카발루치가 묘사한 베네딕토 요셉 라브르 (1752–1795)


라브르는 로마의 성 알렉시오의 전기를 읽고 깊은 영감을 받아, 성 로크의 모범을 따라 가난하고 순례하는 삶을 살기로 결심했다.[3] 프란치스코회 제3회원이 된 그는 돈 한 푼 없이 구걸로만 연명하며 도보로 로마까지 순례를 떠났다. 로마 순례 이후 유럽의 주요 성지들을 순례하며, 찢어진 옷을 입고 폐가나 야외에서 잠을 자는 등 극도의 청빈한 생활을 하였다. 그는 빵 한 조각도 감사히 여기며 다른 가난한 이들과 나누었고, 기도에 전념하며 사람들의 조롱과 무시에도 인내하는 모습을 보였다.[5]

라브르는 십자고상을 바라보며 기도할 때 탈혼 상태에 빠져 공중에 부양되거나 두 곳에 동시에 존재하는 은총을 체험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노숙자들의 병을 치유하고 빵의 개수가 늘어나는 기적을 행하기도 했다.[2] 말년에는 로마에 머물며 콜로세움에서 잠을 자고 성당에서 기도로 시간을 보냈다. 성체 신심이 깊었던 그는 감실 앞에서의 기도를 통해 '40시간의 헌신을 드리는 빈자'로 불리며 로마에서 유명 인사가 되었다. 1783년 성주간 수요일, 산타 마리아 아이 몬티 성당에서 성체 조배 후 선종하였으며, 그의 유해는 같은 성당에 안치되었다.[2]

2. 1. 유년 시절과 수도회 입회 시도

베네딕토 요셉 라브르는 1748년 프랑스 북부 아메트에서 부유한 상인의 15자녀 가운데 맏이로 태어났다.[3] 어릴 때부터 신앙심이 깊었던 그는 소죄를 지었을 때도 속죄를 위해 고해성사를 하고 공개적으로 보속 행위를 하곤 하였다. 그는 가족과 멀리 떨어진 곳에 살고 있는 본당 신부인 삼촌에게서 사제 교육을 받았다.[3] 16세 때, 트라피스트회 수사가 되고 싶다고 삼촌에게 말했지만, 부모는 그가 더 나이가 들 때까지 기다리라고 하였다.

18세 무렵, 유행병이 도시에 퍼졌고, 라브르와 그의 삼촌은 환자들을 돌보았다. 그의 삼촌은 사람들의 영혼과 육신을 돌본 반면, 라브르는 도시의 가축을 돌보았다. 유행병으로 라브르의 삼촌은 사망하였다.[3]

유행병이 끝난후, 라브르는 라 트라페 수도원에 가서 트라피스트회에 입회하려 했지만, 미성년자이고, 몸이 약하며, 특별한 추천도 없다는 이유로 거절당했다.[4] 그는 카르투시오회, 시토회 등 여러 수도회에 입회하려고 노력하였지만, 수도회는 그가 공동 생활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모두 거절하였다. 그는 약 6주 동안 누빌의 카르투시오회에서 수련생으로 있었다. 1769년 11월 그는 시토회인 세프-퐁 수도원에 입회했지만, 건강이 악화되어 수도 생활을 계속 할 수 없었다.[3]

가톨릭 전통에 따르면, 라브르는 로마의 알렉시우스와 성 로크의 모범에서 영감을 받아 "그의 나라, 그의 부모, 그리고 세상에서 아첨하는 모든 것을 버리고, 황야나 수도원이 아닌 세상 한가운데에서, 경건하게 순례하며 그리스도교 신앙의 유명한 장소를 방문하는, 가장 고통스럽고 가장 참회적인 새로운 삶의 방식"을 살라는 신의 부르심을 경험했다고 한다.[3]

2. 2. 청빈과 순례의 삶

베네딕토 요셉 라브르는 1748년 프랑스 북부 아메트에서 부유한 상인의 15자녀 가운데 맏이로 태어났다.[3] 어릴 때부터 신앙심이 깊었던 그는 고해성사를 통해 죄를 고백하고 공개적으로 보속 행위를 실천하였다. 16세 때 트라피스트회, 카르투시오회, 시토회 등 여러 수도회에 입회하려 했으나, 너무 신중하다는 이유로 수도회 공동체 생활에 부적합하다는 판단을 받아 거절당했다.[4] 그는 18세 때 유행병(어떤 유행병인지 불명확)이 돌자 삼촌과 함께 환자들을 돌보았으나, 유행병으로 삼촌이 사망하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3]

라브르는 로마의 성 알렉시오의 전기를 읽고 깊은 영감을 받아, 성 로크의 모범을 따라 가난하고 순례하는 삶을 살기로 결심했다.[3] 프란치스코회 제3회원이 된 그는 돈 한 푼 없이 구걸로만 연명하며 도보로 로마까지 순례를 떠났다. 로마 순례 이후 유럽의 주요 성지들을 순례하며, 찢어진 옷을 입고 폐가나 야외에서 잠을 자는 등 극도의 청빈한 생활을 하였다. 그는 빵 한 조각도 감사히 여기며 다른 가난한 이들과 나누었고, 기도에 전념하며 사람들의 조롱과 무시에도 인내하는 모습을 보였다.[5]

라브르는 십자고상을 바라보며 기도할 때 탈혼 상태에 빠져 공중에 부양되거나 두 곳에 동시에 존재하는 은총을 체험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노숙자들의 병을 치유하고 빵의 개수가 늘어나는 기적을 행하기도 했다.[2] 말년에는 로마에 머물며 콜로세움에서 잠을 자고 성당에서 기도로 시간을 보냈다. 성체 신심이 깊었던 그는 감실 앞에서의 기도를 통해 '40시간의 헌신을 드리는 빈자'로 불리며 로마에서 유명 인사가 되었다. 1783년 성주간 수요일, 산타 마리아 아이 몬티 성당에서 성체 조배 후 선종하였으며, 그의 유해는 같은 성당에 안치되었다.[2]

2. 3. 로마에서의 말년과 기적

베네딕토 요셉 라브르는 말년에 로마에 머물며 낮에는 성당에서 기도로 시간을 보냈고, 밤에는 콜로세움에서 잠을 청했다.[2] 성체에 대한 신심이 남달랐던 그는 감실 안에 모셔진 성체 앞에서 계속 기도하였으며, 사람들은 그를 ‘40시간의 헌신을 드리는 빈자’라고 불렀다.[2] 그는 십자고상을 바라보며 기도할 때 탈혼 상태에 빠져 공중에 부양하거나 두 곳에 동시에 존재하는 은총을 받기도 하고,[2] 노숙자들의 병을 치유해주고 빵의 개수가 늘어나는 기적을 행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1783년 성주간 수요일, 라브르는 산타 마리아 아이 몬티 성당에서 성체 조배를 한 후 선종하였으며,[2] 그의 유해는 산타 마리아 아이 몬티 성당에 안치되었다.

2. 4. 죽음

베네딕토 요셉 라브르는 1783년 성주간 수요일, 산타 마리아 아이 몬티 성당에서 성체 조배를 마친 후 선종하였다.[2] 그는 콜로세움에서 몇 블록 떨어진 산타 마리아 아이 몬티 성당 계단에서 쓰러졌고, 그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성당 뒤 비아 데이 세르펜티 2번지에 있는 집으로 옮겨졌다. 그는 1783년 4월 16일 성주간에 영양실조와 탈진으로 그곳에서 사망했으며,[2] 산타 마리아 아이 몬티 성당에 안치되었다. 그는 죽기 전 사십 시간동안 성체 숭배를 하여 "사십 시간의 성인"으로 알려졌다.[2]

3. 시성

라브르의 고해신부였던 마르코니는 그의 일대기를 기록하였으며, 특히 라브르가 선종하기 3개월 전에 그의 기도로 136명이 기적적으로 치유된 사건을 언급하면서 이를 라브르의 전구 덕분이라고 확신하였다.[6] 또한 라브르가 선종할 때에 미국의 프로테스탄트교 목회자였던 존 세이어가 로마에 머무르고 있다가 가톨릭 신자로 회심하였는데, 이러한 그의 회심에도 라브르의 전구가 영향을 끼쳤다고 주장하였다.[6] 라브르의 선종 후, 그에 대한 사람들의 존경심은 나날이 높아져 갔다. 그리하여 1860년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복자로 시복되었으며, 1881년에는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7] 베네딕토는 노숙인의 수호성인이다.[8] 그의 축일은 4월 16일에 기념된다.

4. 공경

라브르의 고해 신부인 마르코니는 그의 전기를 썼고 그가 죽은 지 3개월 만에 그의 중재로 136건의 개별적인 치유가 일어났다고 주장했다.[6] 이 기적들은 미국 최초의 개신교 성직자였던 존 테이어 신부가 가톨릭으로 개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6] 그는 성 베네딕토가 죽었을 당시 로마에 거주하고 있었다.[6] 그가 죽은 직후 그를 숭배하는 숭배가 생겨났고, 1860년 복자 비오 9세에 의해 시복되었으며, 1881년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성인으로 선포되었다.[7] 베네딕토는 노숙인의 수호성인이다.[8] 그의 축일은 4월 16일에 기념된다.

5. 한국 천주교에서의 공경

라브르의 고해 신부인 마르코니는 그의 전기를 썼고 그가 죽은 지 3개월 만에 그의 중재로 136건의 개별적인 치유가 일어났다고 주장했다. 이 기적들은 미국 최초의 개신교 성직자였던 존 테이어 신부가 가톨릭으로 개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6] 그가 죽었을 당시 로마에 거주하고 있었다.[6] 그가 죽은 직후 그를 숭배하는 숭배가 생겨났고, 1860년 복자 비오 9세에 의해 시복되었으며, 1881년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성인으로 선포되었다.[7] 베네딕토는 노숙인의 수호성인이다.[8] 그의 축일은 4월 16일에 기념된다.

참조

[1] 웹사이트 Who are the Patron Saints of mental illness? https://savellirelig[...] Savellireligious.com 2022-02-03
[2] 웹사이트 Labre Project https://jcu.edu/stud[...]
[3] 간행물 St. Benedict Joseph Labre
[4] 웹사이트 St. Benedict Joseph Labre 2017-07-15
[5] 웹사이트 St. Benedict Joseph Labre http://www.ewtn.com/[...] 2017-07-15
[6]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John Thayer http://www.newadvent[...] 2017-07-15
[7] 학술지 Folie en Christ à la romaine et à la moscovite : deux exemples de la religiosité chrétienne au XIXe siècle https://journals.ope[...] 2013-07-01
[8] 서적 Saint of the Day, Lives, Lessons, and Feast http://www.americanc[...] Franciscan M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