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르 롱 달랑베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르 롱 달랑베르는 1717년 프랑스 파리에서 사생아로 태어난 프랑스의 수학자, 물리학자, 철학자이자 백과사전 편집자이다. 그는 고아원에 맡겨졌지만, 아버지의 후원으로 교육을 받았고, 파리 대학교에서 다양한 분야를 공부했다. 달랑베르는 역학, 유체역학, 미적분학, 음악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역학론》을 통해 고전 역학의 기초를 다졌다. 또한, 드니 디드로와 함께 《백과전서》를 편집하며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백과사전 편집자 - 프랑수아 케네
프랑수아 케네는 프랑스의 의사이자 경제학자로, 중농학파의 창시자이며, 농업을 부의 유일한 원천으로 보는 경제 순환 모델을 제시하고 자유방임주의 경제 정책을 주창하여 경제학과 프랑스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백과사전 편집자 - 드니 디드로
드니 디드로는 18세기 프랑스의 계몽주의 철학자이자 작가이며, 특히 《백과전서》 편집을 주도하여 계몽주의 사상을 집대성하는 데 기여했다. - 1783년 사망 - 홍대용
홍대용은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천문학자로 북학파의 중심 인물이었으며, 청나라 학자들과 교류하며 서양 천문학 지식을 접하고 지구 자전설과 우주 무한론을 주장하여 학계에 영향을 미쳤고, 사헌부 감찰과 영주군수를 역임하며 실학적 이상을 실현하려 노력했다. - 1783년 사망 - 에티엔 베주
에티엔 베주는 18세기 프랑스의 수학자이며, 베주 정리, 베주 항등식, 베주 정역 등 수학 분야에 기여했고, 《대수방정식론》을 저술하여 소거 이론과 방정식의 근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동상이 세워지고 소행성이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 프랑스의 음악 이론가 - 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명제로 유명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수학자로, 근대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해석기하학 창시 등 수학과 과학에도 기여했고, 방법적 회의와 이원론 철학으로 서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음악 이론가 - 나디아 불랑제
프랑스의 작곡가, 지휘자, 음악 교수인 나디아 불랑제는 드뷔시의 영향을 받은 조성 음악 작곡과 여성 지휘자로서의 선구적인 활동을 펼쳤으며, 롱기 음악학교, 피바디 음악원, 파리 음악원, 퐁텐블로 음악학교 등에서 애런 코플랜드, 레너드 번스타인, 퀸시 존스 등 수많은 저명한 음악가들을 배출한 영향력 있는 교육자이다.
장 르 롱 달랑베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장바티스트 르 롱 달랑베르 |
출생일 | 1717년 11월 16일 |
출생지 | 프랑스 왕국 파리 |
사망일 | 1783년 10월 29일 |
사망지 | 프랑스 왕국 파리 |
국적 | 프랑스 |
로마자 표기 | Jean-Baptiste Le Rond d'Alembert |
발음(한글) | 달람베어 |
학문 분야 | |
분야 | 수학 역학 물리학 철학 음악 이론 |
소속 기관 |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아카데미 프랑세즈 |
모교 | 파리 대학교 |
제자 | 피에르시몽 라플라스 |
업적 | |
주요 업적 | 달랑베르 판정법 달랑베르 힘 달랑베르 연산자 달랑베르 차수 감소 달랑베르 시스템 달랑베르 형식의 가상 일의 원리 달랑베르 공식 달랑베르 방정식 달랑베르 함수 방정식 달랑베르의 역설 달랑베르의 원리 달랑베르 정리 달랑베르-오일러 조건 디드로와 달랑베르의 나무 코시-리만 방정식 유체 역학 백과전서 삼체 문제 |
수상 | 런던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1748년) |
철학 | |
철학 사조 | 백과전서파 계몽주의 |
주요 관심사 | 자연 철학 수학 물리학 유체역학 |
2. 생애
달랑베르는 1717년 11월 16일 파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유명한 살롱을 운영하던 클로딘 알렉상드린 게랭 드 탕생이었다. 추정 아버지는 아렌베르크 공작이라는 설과, 실제 아버지는 성 라자로 기사단 단원이자 프랑스 왕국군 포병 장교였던 루이카뮈 데투슈라는 설이 있다.
태어나자마자 어머니에 의해 시테 섬의 생장르롱 교회 계단에 버려졌고, 고아원에 들어갔으나, 외국에서 귀국한 데투슈가 이 사실을 알고 곧 데려가 양자로 키웠다. 이후 달랑베르는 양어머니와 50년 이상 함께 살았다. 데투슈는 인지는 하지 않았지만 비밀리에 교육비를 지원했고, 사후에도 유산을 남겼다.
어릴 때부터 수학적 재능을 보인 달랑베르는 콜레주 데 카트르나시옹[26]을 거쳐 파리 대학교에서 문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법학, 철학, 수학 등 다양한 분야를 공부했다.
1743년 『역학론』을 출판하여 전 유럽에서 주목을 받았고, 이후 물리학 연구를 잇달아 발표했다. 파리 사교계에서도 주목을 받으며 디드로, 루소, 콩디야크 등의 철학자들과 교류하며 관심 분야를 넓혔다. 1751년 디드로와 함께 『백과전서』의 책임 편집자가 되어 서론을 집필했다.
1757년 볼테르를 방문하여 친분을 맺었다. 같은 해 『백과전서』에 집필한 "제네바" 항목이 루소 등의 반론을 불렀고, 왕권의 압력이 강해지면서 1759년 책임 편집자를 사임하였다.[27] 1761년부터 『수학 소론집』을 출판하기 시작하여 1780년에 완결시켰다.
1768년에는 라플라스의 재능을 알아보고 파리 왕립 군사학교 수학교수직에 취임하는 것을 도왔다.
말년에 달랑베르는 방광 염증으로 고생하다 1783년 10월 29일 파리에서 사망했다. 그는 불가지론자였기 때문에, 아무런 묘비도 없고 위치도 알려지지 않은 익명의 묘에 매장되었다.[23][24][25]
2. 1. 유년 시절
1717년 11월 16일 파리에서 사생아로 태어났다. 아버지 루이카뮈 데투슈(프랑스 육군 중장)와 어머니 클로딘 알렉상드린 게랭 드 탕생(생마르탱드레 남작 부인)은 작가였다.[6]드 탕생은 달랑베르가 태어난 지 며칠 뒤 달랑베르를 (노트르담 대성당 옆에 있었으며, 1751년에 파괴된) 파리의 생장르롱 교회(Église Saint-Jean-le-Rond) 문턱에 포기하였으며, 달랑베르는 전통을 따라 이 교회의 수호 성인(장 르 롱 = 통통한(rond프랑스어) 세례자 요한)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6]
이후 달랑베르는 고아원에 배치되었으나, 아버지 데투슈가 그를 발견하여 에티에네트 가브리엘 퐁티외 루소라는 보모의 집에서 자라게 되었다. 데투슈는 달랑베르의 교육을 위해 몰래 돈을 댔으나, 공식적으로 자신의 사생아의 존재를 인정하지는 않았다.[6]
데튜슈는 1726년에 사망하였으며, 유언에서 달랑베르에게 매년 1200 리브르의 연금을 지급하라고 적었다. 이 돈으로 12세에 달랑베르는 파리 대학교의 전신(前身)인 콜레주 데 카트르나시옹에 입학하였다. 이 학교는 얀센주의 가톨릭 신부들이 운영하였다. 여기서 달랑베르는 가톨릭 신학을 공부하였으나,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1735년에 학사 학위를 받고 졸업하였다.[6]
이후 달랑베르는 법학을 공부하여 1738년에 변호사의 자격을 취득하였다.
2. 2. 성년 시절
1739년 7월에 최초로 수학 논문을 발표하여 당시 표준 수학 교재의 오류를 지적하였고, 1740년에는 유체 역학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1741년 미적분학에 관한 저술을 발표하였고, 1742년에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 1743년 《역학편》을 저술하여 유명해졌다.[8]1740년대 후반부터 《백과전서》의 저술에 참여하여 서론과 수학 항목을 담당하였다. 1751년에 출판된 《백과전서》에서 "역학", "원인", "가속적" 등 150개 항목을 집필하였고, "역학은 단순한 실험 과학이 아니라 혼합 응용 수학의 제1 부문이다"라는 주장을 펼쳤다. 뉴턴 역학을 긍정하면서도 그 안에 나타난 신의 영향을 제거하고, "역학" 항목에서 "다랑베르의 원리"를 밝힌 것은 달랑베르 역학의 큰 업적이다.[26] 1757년 볼테르를 방문하여 친분을 맺었다. 그러나 같은 해 《백과전서》에 집필한 "제네바" 항목이 루소 등의 반론을 불렀고, 왕권의 압력이 강해지면서 1759년 책임 편집자를 사임하였다.[27] 1754년에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회원이 되었다.[8]
달랑베르는 여러 살롱에 참여하였는데, 특히 마리 테레즈 로데 조프랭(Marie Thérèse Rodet Geoffrin|마리 테레즈 로데 조프랭프랑스어), 마리 안 드 비시샹롱 뒤 데팡 후작 부인(Marie Anne de Vichy-Chamrond, marquise du Deffand|마리 안 드 비시샹롱 뒤 데팡 후작 부인프랑스어), 잔 쥘리 엘레오노르 드 레스피나스(Jeanne Julie Éléonore de Lespinasse|잔 쥘리 엘레오노르 드 레스피나스프랑스어, 1732~1776) 등의 살롱에 자주 참석하였다.[8] 그의 어머니는 『백과전서』 편찬에 기여했고, 유명인, 지식인, 상류 귀족들을 모아 살롱을 생토노레 거리 부근 등에서 열었다.[26]
2. 3. 말년
1765년에 드 레스피나스와 동거하게 되었으나, 그 둘 사이의 관계는 친구 내지 플라토닉 러브라고 한다. 드 레스피나스는 자크 앙투안 이폴리트 기베르 백작(Jacques Antoine Hippolyte, Comte de Guibert프랑스어)을 사랑하였으나, 기베르 백작은 1775년에 다른 여자와 결혼하였다. 이로 인해 드 레스피나스는 우울증에 빠져 건강을 급격히 잃게 되었으며, 1776년에 달랑베르의 곁에서 43세의 나이에 사망하였다.달랑베르는 방광 염증으로 인해 1783년 10월 29일 파리에서 사망하였다. 그는 불가지론자였으므로, 아무런 묘비도 없고 위치도 알려지지 않은 익명의 묘에 매장되었다.[23][24][25]
3. 주요 업적
달랑베르는 수학, 역학, 유체역학, 음악 이론,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1739년 수학 분야에 처음 기여한 이후,[10] 1743년에는 달랑베르의 원리를 제시한 ''역학론''을 출판하여 전 유럽의 주목을 받았다. 유체의 평형과 운동, 바람의 원인 등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며 물리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쌓았다.
1752년에는 달랑베르의 역설을 발표하여 유체 저항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제시했다.[14] 1754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772년에는 상임 서기가 되었다.[14]
장-필립 라모의 음악 이론을 연구하고, ''백과전서''의 서론에서 음악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등 음악 이론 분야에서도 활동했다.
디드로를 비롯한 여러 철학자들과 교류하며 철학적 관심을 넓혔고, 뉴턴의 역학을 긍정하면서도 신의 영향을 제거하려는 시도를 통해 그의 철학적 관점을 엿볼 수 있다.
3. 1. 역학

1743년, 달랑베르는 자신의 운동 법칙을 개발한 ''Traité de dynamique''(역학편)을 출판했다.[12] 그는 이 책에서 역학을 단순한 실험 과학이 아니라 혼합 응용 수학의 제1 부문이라고 주장했다. 뉴턴의 역학을 긍정하면서도, 그 안에 나타난 신의 영향을 제거했다는 점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 또한 "역학" 항목에서 달랑베르의 원리를 제시했다.
달랑베르의 원리는 고전 역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현대 물리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정하는 비율 검사를 고안하기도 했다.
달랑베르가 진동하는 현을 분석하며 처음 등장시킨 달랑베르 연산자는 현대 이론 물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는 수학과 물리학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지만, ''Croix ou Pile''에서 동전이 뒷면이 나올 때마다 앞면이 나올 확률이 증가한다고 잘못 주장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길수록 베팅 금액을 줄이고 질수록 베팅 금액을 늘리는 전략을 달랑베르 시스템이라고 하는데, 이는 마틴게일의 한 유형이다.
3. 2. 수학
1739년, 달랑베르는 샤를-르네 레이노가 1708년에 출판한 ''Analyse démontrée''의 오류를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 지적하며 수학 분야에 처음 기여했다.[10] ''L'analyse démontrée''는 당시 표준적인 수학 저술이었으며, 달랑베르 자신도 수학의 기초를 연구할 때 사용했다.1743년, 달랑베르는 『역학론』을 출판하여 전 유럽에서 주목받았다. 이어서 "유체의 평형과 운동론", "바람의 일반적인 원인에 관한 연구" 등의 물리학 연구를 잇달아 발표했다. 1754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772년 4월 9일 상임 서기가 되었다.[14]
달랑베르 연산자는 달랑베르의 진동하는 현에 대한 분석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현대 이론 물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는 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인 비율 검사를 고안했다.
달랑베르는 수학과 물리학에서 큰 발전을 이루었지만, ''Croix ou Pile''에서 동전이 뒷면이 나올 때마다 앞면이 나올 확률이 증가한다고 잘못 주장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와 관련된 도박 전략은 달랑베르 시스템이라 불리며, 마틴게일의 한 유형이다.
1757년 볼테르를 방문하여 친분을 맺었다. 1759년에는 『백과전서』 책임 편집자를 사임했다. 1761년에 『수학 소론집』의 출판을 시작하여 1780년에 완결시켰다. 1768년에 라플라스의 재능을 인정하고 파리 왕립 군사학교 수학교수직에 취임하는 것을 도왔다.
프랑스에서는 대수의 기본 정리를 달랑베르/가우스 정리라고 부르는데, 이는 달랑베르의 증명에서 가우스가 오류를 발견했기 때문이다.
3. 3. 유체 역학
1752년, 달랑베르는 달랑베르의 역설로 알려진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는 점성이 없는 비압축성 유체에 잠긴 물체에 대한 항력이 0이라는 결론을 내렸다.[14] 이는 유체 저항에 대한 중요한 발견이었지만, 당시의 상식과는 반대되는 결과였다.1743년, 달랑베르는 운동 법칙을 개발한 ''역학론''을 출판하여 전 유럽에서 주목을 받았다. 이후 "유체의 평형과 운동론"을 발표하였다.
3. 4. 음악 이론
달랑베르가 처음 음악 이론에 접한 것은 1749년으로, 장-필립 라모가 아카데미에 제출한 "회고록(Mémoire)"을 검토하라는 요청을 받으면서였다.[17] 디드로와 함께 집필한 이 글은 나중에 라모의 1750년 논문 "조화의 원리 증명(Démonstration du principe de l'harmonie)"의 기초가 되었다. 달랑베르는 찬사를 담은 서평을 통해 저자의 연역적 특성을 이상적인 과학적 모델로 칭찬했다. 그는 라모의 음악 이론에서 자신의 과학적 아이디어를 뒷받침하는 완전히 체계적인 방법, 강력한 연역적 종합 구조를 보았다.2년 후인 1752년, 달랑베르는 그의 저서 "라모 씨의 원리에 따른 이론 및 실제 음악 요소(Eléments de musique théorique et pratique suivant les principes de M. Rameau)"에서 라모의 작품을 포괄적으로 조사하려고 시도했다.[17] 라모의 주장, 즉 음악은 수학적 과학이며, 모든 음악 연습의 요소와 규칙을 연역할 수 있는 단일 원리가 존재한다는 점과 사용된 명시적인 데카르트적 방법론을 강조하면서, 달랑베르는 작곡가의 작품을 대중화하고 자신의 이론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17] 그는 라모의 원리를 "명확하게 하고, 발전시키고, 단순화했다"고 주장하며, "소리 덩어리(corps sonore|코르 소노르프랑스어)"라는 단일 개념만으로는 음악 전체를 유도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18] 달랑베르는 대신 장음계, 단음계, 옥타브의 동일성을 생성하는 데 세 가지 원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음악가가 아니었기 때문에 라모의 사고의 미묘한 점을 잘못 해석하여 그의 음악 이해에 깔끔하게 맞지 않는 개념을 변경하고 제거했다.
처음에는 감사했지만, 라모는 결국 장 자크 루소의 "백과전서" 음악 관련 기사에 대한 불만이 커지면서 달랑베르에게 등을 돌렸다.[19] 이것은 두 사람 사이에 일련의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달랑베르와 라모의 우정의 끝에 기여했다. 달랑베르가 그의 "요소(Elémens)" 1762년판을 위해 쓴 긴 서론은 이 논쟁을 요약하고 최종 반박으로 작용하려고 시도했다.
달랑베르는 또한 디드로의 "백과전서"의 유명한 "서론(Discours préliminaire)"에서 음악의 상태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논했다. 달랑베르는 다른 예술과 비교하여 "상상력과 감각에 동시에 말하는" 음악은 "그것을 기르는 사람들의 충분한 발명력과 기발함의 부족" 때문에 현실을 그다지 많이 나타내거나 모방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20] 그는 음악적 표현이 단순히 열정만이 아니라 모든 육체적 감각을 다루기를 원했다. 달랑베르는 현대(바로크) 음악이 그의 시대에야 비로소 완성에 이르렀다고 믿었는데, 연구하고 모방할 고전 그리스 모델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시간이 고대인들이 이 장르에 남겼을지도 모르는 모든 모델을 파괴했다"고 주장했다.[21] 그는 라모를 프랑스 음악 예술에서 장-바티스트 륄리가 남긴 공백을 메운 "남성적이고, 용감하며, 풍요로운 천재"로 칭찬했다.[22]
3. 5. 철학
달랑베르는 디드로 등과 교류하며 철학적 관심을 넓혔다. 뉴턴의 역학을 긍정하면서도, 그 안에 나타난 신의 영향을 제거하려 했다는 점에서 그의 철학적 관점을 엿볼 수 있다.[26]4. 저서
달랑베르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많은 저서를 남겼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제목 | 연도 | 내용 |
---|---|---|
적분 계산에 대한 논문[1] | 1739년 | 달랑베르의 첫 번째 출판 작품이다. |
유체의 평형과 운동에 대한 논문[2] | 1744년 | 유체역학에 대한 연구를 담고 있다. |
바람의 일반적인 원인에 대한 성찰[3] | 1746년 | 기상학적 현상에 대한 달랑베르의 견해를 담고 있다. |
진동하는 현에 대한 연구[4] | 1747년 | 음향학의 기초가 되는 현의 진동에 대한 연구이다. |
뉴턴 체계에서의 춘분의 세차 운동과 지구 축의 변화에 대한 연구[5] | 1749년 | 천문학적 현상에 대한 연구를 담고 있다. |
이론 및 실제 음악 요소[6] | 1759년 | 장필리프 라모의 이론에 기반한 음악 이론서이다. |
유체 저항에 대한 새로운 이론에 대한 에세이[7] | 1752년 | 유체 저항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다. |
철학 요소에 대한 에세이[8] | 1759년 | 달랑베르의 철학적 견해를 담고 있다. |
유체 저항에 대한 새로운 실험[9] | 1777년 | 유체 저항에 대한 실험 결과를 담고 있다. |
프랑스 아카데미 공개 회의에서 낭독된 찬사[10] | 1779년 | 여러 인물에 대한 찬사를 담고 있다. |
수학 소논문[11] (8권) | 1761년-1780년 | 다양한 수학적 주제에 대한 논문을 모은 것이다. |
백과전서 | 1751년-1772년 | 드니 디드로와 함께 《백과전서》 편찬에 참여하여 서문을 작성하고 여러 항목을 집필하였다. |
5. 한국과의 관계
장 르 롱 달랑베르는 프랑스의 철학, 수학, 물리학, 백과전서파 학자로, 그의 사상과 업적은 한국 사회와 학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현재 주어진 소스 자료가 없어, 달랑베르와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참조
[1]
서적
Alembert, d'
http://dictionary.re[...]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2]
웹사이트
Jean Le Rond d'Alembert French mathematician and philosopher
https://www.britanni[...]
2021-06-26
[3]
논문
1747
[4]
논문
1747
[5]
논문
1750
[6]
논문
1906
[7]
서적
The National Cyclopaedia of Useful Knowledge
Charles Knight
1847
[8]
웹사이트
Jean Le Rond d'Alembert French mathematician and philosopher
https://www.britanni[...]
2023-04-10
[9]
간행물
Moon of Venus
https://books.google[...]
Galaxy Science Fiction
1952
[10]
논문
1990
[11]
웹사이트
Library and Archive Catalogue
https://web.archive.[...]
Royal Society
2010-12-03
[12]
논문
1743
[13]
서적
History of Materialism and Critique of its Present Importance
[14]
웹사이트
Jean LE ROND, dit d’ ALEMBERT (1717-1783) Secrétaire perpétuel
http://www.academie-[...]
[15]
논문
1858
[16]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A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14
[17]
논문
1989
[18]
논문
1980
[19]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20]
논문
1995
[21]
논문
1995
[22]
논문
1995
[23]
논문
2011
[24]
논문
1990
[25]
논문
1999
[26]
웹사이트 # Wiki 내용이므로 웹사이트로 분류
[27]
간행물
Moon of Venus
https://books.google[...]
Galaxy Science Fiction
195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