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너 폰 블롬베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는 독일의 군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고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군 경력을 쌓았다. 그는 아돌프 히틀러 정권에서 국방장관을 역임하며 군의 나치화에 협력했으나, 1938년 결혼 스캔들로 인해 실각했다. 이후 뉘른베르크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했으며,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국가방위군 상급대장 - 한스 폰 젝트
한스 폰 젝트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뛰어난 전략가로 활약하고, 전후 독일 국방군 재건을 이끌었으며, 중국 국민혁명군의 현대화에도 기여한 독일 군인이다. - 호엔촐레른 후작가 명예십자장 수훈자 - 콜마르 폰 데어 골츠 남작
콜마르 폰 데어 골츠 남작은 독일 제국의 군인이자 군사 이론가로, 오스만 제국 군대의 현대화에 기여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벨기에 주둔 독일군의 군정 장관으로 논란을 일으켰고, "무장한 국민" 사상을 주창하며 근대 군사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호엔촐레른 후작가 명예십자장 수훈자 - 프란츠 폰 에프 기사
프란츠 폰 에프 기사는 군국주의적 성향으로 비판받는 독일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의화단 운동 진압, 헤레로족 학살 연루,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자유군단 조직 및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 진압, 나치당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베르너 에두아르트 프리츠 폰 블롬베르크 |
별명 | 고무 사자 |
출생일 | 1878년 9월 2일 |
출생지 | 스타르가르트, 포메라니아 주, 프로이센 왕국, 독일 제국 |
사망일 | 1946년 3월 13일 |
사망지 | 뉘른베르크, 바이에른, 연합군 점령하 독일 |
사망 원인 | 대장암 |
안장지 | 바트비제 |
국적 | 독일 |
배우자 | 샤를로테 헬미히 (1904년 결혼, 1932년 사망) 에르나 그륀 (1938년 결혼) |
자녀 | 5명 |
친족 | 악셀 폰 블롬베르크 (아들) |
![]() | |
복무 | 독일 제국 바이마르 공화국 나치 독일 |
군 종류 | 육군 |
복무 기간 | 1897년–1938년 |
최종 계급 | 원수 |
경력 | |
제1보병사단 | 사단장 |
국방부 | 장관 |
국방군 최고사령부 | 총장 |
병무청 | 국장 |
주요 참전 | |
전투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수상 | |
훈장 | 푸르 르 메리트 훈장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1937년 입당) |
관직 | |
직책 | 국방부 장관 국방군 총사령관 병무청장 |
독일 국방장관 | |
전임 | 쿠르트 폰 슐라이허 |
후임 | 빌헬름 카이텔 |
독일 전쟁 장관 | |
전임 | 자신 (국방장관으로서) |
후임 | 빌헬름 카이텔 |
독일 병무청장 | |
전임 | 게오르크 베첼 |
후임 | 쿠르트 폰 하머슈타인에쿠오르트 |
2. 초기 생애와 군 경력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는 1904년 프로이센 군사학교에 입학하여 군 생활을 시작했다. 1907년 학교를 졸업하고 1908년 독일 참모본부에 들어갔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서부 전선에서 뛰어난 공적을 세워 푸르 르 메리트 훈장을 받았다.[4] 1920년 되베리츠 여단 참모장, 1921년 슈투트가르트 군관구 참모장에 임명되었다. 1925년 한스 폰 제크트 장군에 의해 육군훈련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1927년에는 소장으로 진급하여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금지되었던 독일 참모본부의 위장 기관인 군사국(Truppenamt)의 국장이 되었다.
2. 1. 출생과 가문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는 1878년 당시 독일 제국의 속령이었던 프로이센 왕국 포메라니아 주 슈탈가르트(Stargard, 현 폴란드 슈체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육군 중령 에밀 폰 블롬베르크(Emil von Blomberg)였고, 어머니는 에마(Emma)(옛 성씨 폰 체페 운트 바이덴바흐 von Tschepe und Weidenbach)였다.[4][5]아버지 가문은 발트 독일 귀족 가문 출신이라고 하나, 블롬베르크 가문의 귀족 지위는 불분명하다. 다만 블롬베르크의 삼촌인 헤르만 폰 블롬베르크(Hermann von Blomberg) 보병 대장은 귀족 지위를 인정받았다.[5] 어머니 가문은 실레지아(Schlesien, 슐레지엔)의 귀족이었다.[5]
2. 2. 군 경력 초기
1897년 독일(현재 폴란드) 스타르가르트의 발트 독일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는 1904년 프로이센 군사학교에 입학하여 군에 입대하였다. 1894년부터 1897년까지 베를린(Berlin) 그로스리히터펠데(Groß-Lichterfelde)의 프로이센 육군 사관학교(Preußische Kriegsakademie)에서 공부했다.[4] 1897년 프로이센 제73경보병 연대(Füsilier-Regiment)에 소위로 임관하여, 같은 연대 소속 제2대대 부관이 되었다.[4][6]1904년 소령의 딸인 샬로테 헬미히(Charlotte Hellmich)와 첫 번째 결혼을 했다.[4] 같은 해 1904년부터 1907년까지 프로이센 육군 대학교(Preußische Kriegsakademie)에서 공부했다.[4][6] 1908년 독일 참모본부(Großer Generalstab)에 들어갔다.[4] 1910년부터 프로이센 참모본부(Großer Generalstab)에 배속되었다.[4] 1911년에는 육군 대위로 진급했다.[4] 1914년 1월에는 제130보병 연대 소속 중대장이 되었다.[6]
2. 3.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914년 8월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블롬베르크는 제19예비사단 참모에 임명되었다.[4][6] 1916년 3월 소령으로 진급하였고, 같은 해 7월 제18예비군단 참모로 전직하였다.[6]1917년 2월 서부 전선의 제7군 참모로 전직하였다.[4][6][7]
1918년 6월 3일 푸르 르 메리트 훈장을 수여받았다.[4][6]
3.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1919년 10월부터 국방성(de)에서 근무했다.[4][6] 1920년 되베리츠 여단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1921년부터 1925년까지 슈투트가르트 군관구와 제5사단 참모장을 역임했다.[4][6] 1923년 대령으로 진급했다. 1925년 국방성으로 복귀하여 육군훈련부(T4부) 부장에 취임했다.[6] 1927년 소장으로 진급했고, 4월부터 1929년 10월까지 사실상 참모본부인 병무국 국장이 되었다.[4][6][7][8]
1928년 소비에트 연방을 방문하여 적군의 높은 지위에 깊은 인상을 받았고, 군사력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전체주의적 독재의 가치를 확신하게 되었다. 1928년 소련 방문은 전체주의적 권력이 가장 강력한 군사력을 육성한다는 그의 견해를 확신시켜 주었다. 블롬베르크는 다음 세계 대전이 이전 전쟁과 마찬가지로 총력전이 될 것이며, 국가에 의한 독일 사회와 경제의 완전한 동원을 필요로 할 것이며, 전체주의 국가가 평시에 사회를 군사적, 경제적으로 전쟁에 대비시키는 데 가장 적합할 것이라고 믿었다. 1927년부터 1929년까지 독소 비밀 군사 협력을 수행하던 소비에트 연방을 자주 방문하며 독재 체제·전체주의 체제에 깊은 감명을 받았고, 전차와 독가스 개발, 공군 건설에 관여했다.[8][9][10]
그러나 병무국장으로서 프랑스와 폴란드의 두 전선 전쟁이 되었을 경우의 작전 계획을 세우지 못했기 때문에, 국방성에 의해 쿠르트 폰 함머슈타인-에크보르트와 교체되었다.
1929년 쿠르트 폰 슐라이허 장군과 갈등을 빚어 병무국장에서 해임되고 동프러시아의 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29년 10월 중장으로 진급과 동시에 동프로이센 제1사단장과 제1군관구 사령관에 임명되었다.[4][6][9]
동프러시아 군관구 (베어크라이스 I) 사령관으로 재직하는 동안 나치에 동조하는 루터교 목사인 루트비히 뮐러의 영향을 받아 나치즘에 입문하였다. 그는 동프러시아에 단 하나의 보병 사단만 지휘했기 때문에 전투원의 수를 늘리기 위해 ''그렌츠슈츠''에 매우 의존했고, SA와 긴밀히 협력하게 되었다. 블롬베르크는 이 시기에 SA와 훌륭한 관계를 맺었고, 1931년까지 SA가 ''라이히스베어''를 지원하는 비공식적인 민병대로 활동하게 되었다. 많은 장군들은 동프러시아를 독일 전역의 미래 군-나치 협력의 모델로 보았다. 1931년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수 아돌프 히틀러와 처음 만나 큰 감명을 받았으며, 히틀러 개인의 강인함에 매료되어 그의 숭배자가 되었다. 히틀러의 독재 정치를 탄생시키는 것에야말로 독일의 미래라고 믿고, 모든 기회를 이용하여 친히틀러 운동을 벌였다.[9][11] 1931년 미국을 방문하여 독일을 위한 나치 정부의 확실성과 이점에 대한 그의 믿음을 공개적으로 선언했다. 미국을 공식 방문했을 때조차 "나치당 정권의 탄생은 불가피하며, 그것이 바람직한 일이다"라고 말했다.[3]
1932년 제네바 군축 회의(de)에서 독일 군사 대표단장을 역임했다.[9] 당시 그라이너 국방장관의 방침에 반대하여 독일의 군비 강화와 소비에트 연방과의 군사 협력을 주장했기 때문에, 회의 및 국제 연맹 탈퇴도 마다하지 않는 자세를 보였다. 1932년 그의 첫 번째 부인 샤를로테가 5명의 자녀를 남기고 54세에 사망했다.[3]
4. 나치 독일 국방장관 시대
블롬베르크는 1933년 히틀러 정부에서 국방장관으로 임명되면서 전국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는 히틀러의 충실한 추종자 중 한 명이 되었고, 군대의 규모와 권력을 확장하기 위해 열심히 일했다. 1933년 블롬베르크는 그 공로로 상급대장(generaloberst, 대장)으로 임명되었다.[1] 힌덴부르크는 블롬베르크를 국방부의 이익을 보호하고 히틀러와 잘 협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어 직접 선택했다.[1]
힌덴부르크는 블롬베르크를 프로이센 시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군대의 전통적인 "국가 내 국가" 지위를 보호할 인물로 보았다. 이 지위에 따르면 군대는 총리(수상)가 이끄는 민정부의 명령을 받지 않고 국가원수에게만 충성하기 때문에 민정부와 동등한 입장으로 공존했다.[1] 1918년까지 국가원수는 황제였고, 1925년부터는 힌덴부르크 자신이었다.[1] 군대의 "국가 내 국가"를 방어하고 군대를 나치에 순응시키는 것이 국방장관으로서 블롬베르크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였다.[1]
1934년 8월 2일 힌덴부르크 대통령 사망 후, 블롬베르크는 군을 대표하여 히틀러에게 충성 맹세를 했다.[26] 이로써 독일 전역의 모든 독일 군인들이 히틀러에게 충성 맹세를 하게 되었다.[27][28]
1935년 3월 16일 히틀러는 베르사유 조약의 독일 군비 제한 조항 파기를 선언했다.[29] "국방성"은 "'''전쟁성''' (Reichskriegsministerium, 영어: Ministry of War)"으로 개명되었다. 히틀러는 같은 해 그의 충성에 대한 보답으로 국방 삼군의 지휘권을 위임했다. 1936년에는 육군 원수로 승진했고, 1937년 1월 30일에는 황금 나치당원 배지를 받았다.
1937년 11월 5일, 블롬베르크는 히틀러가 주재한 비밀 회의(호스바흐 각서)에 참석했다. 이 회의에서 블롬베르크는 전쟁 계획에는 찬성했지만, 국방군의 전쟁 준비가 충분하지 않다는 이유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2]
4. 1. 국방장관 임명과 초기 활동
1933년 1월 말,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은 쿠르트 폰 슐라이허 총리나 쿠르트 폰 함머슈타인 육군 총사령관에게 알리지 않고, 제네바에서 열린 세계 군축 회의에 참석 중이던 블롬베르크를 베를린으로 소환했다.[13] 1월 30일, 힌덴부르크는 아돌프 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하기 몇 시간 전, 블롬베르크를 히틀러 내각의 국방장관으로 임명했다.[14] 이는 내각 구성 전에 장관을 임명하는 것으로, 바이마르 헌법에 위배되는 행위였다.[15]블롬베르크는 보수파에 의해 히틀러를 "포섭"하고 "길들이기"를 기대했지만, 실제로는 히틀러의 신임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반(反)히틀러적인 전 국방장관 쿠르트 폰 슐라이허의 측근들을 국방성에서 제거하는 데 힘썼다. 국방성 관방장 페르디난트 폰 브레도를 해임하고 발터 폰 라이헨나우를 대신 임명했으며,[16] 병무국장을 빌헬름 아담에서 루트비히 베크로 교체했다.[17] 또한 국방군국장 오이겐 오트를 일본으로 보내고, 프리드리히 프롬을 대신 임명했다.[18] 블롬베르크는 나치스에 우호적인 라이헨나우를 육군 총사령관으로 임명하려 했으나, 반발이 심해 베르너 폰 프리치를 임명했다.[19]
히틀러는 블롬베르크의 충성에 보답하여 군의 권위와 권한을 확대했다. 1933년 4월 4일, 비밀 재군비를 위한 국방회의를 설립했고,[20][19] 같은 해 7월 20일에는 국방군법을 제정하여 군에 대한 일반 법원의 사법권이 미치지 않음을 규정하고, 국방법을 개정하여 국방군이 유일한 국방 담당자임을 명시했다.[21][22]
나치당의 돌격대는 정권 획득 당시 400만 명의 대원(그중 무장 병사 50만 명)을 보유하여 제2의 군대라고 불릴 정도였다. 블롬베르크는 국방군의 반발을 고려하여 히틀러에게 명확한 결정을 요구했다.[23] 1934년 2월, 히틀러의 중재로 블롬베르크와 에른스트 룀은 협정을 맺었지만, 돌격대는 이를 지키지 않았다. 돌격대 반란 소문이 돌자, 히틀러는 힌덴부르크와 블롬베르크로부터 돌격대에 대한 조치를 요구받았고, 1934년 6월 30일부터 7월 2일까지 긴 칼의 밤으로 불리는 대숙청을 실시했다.[24] 이때 쿠르트 폰 슐라이허와 페르디난트 폰 브레도 등 은퇴한 장군 두 명이 살해되었으나, 블롬베르크는 항의하지 않았다. 오히려 7월 3일 각료회의에서 군을 대표하여 히틀러에게 찬사를 보냈다.[25]
4. 2. 나치 정권과의 협력 및 군의 나치화
1933년 히틀러 정부에서 국방장관으로 임명된 블롬베르크는 히틀러의 충실한 추종자로서 군대의 규모와 권력을 확장하는 데 힘썼다. 그는 나치 정권의 열렬한 지지자였으며, 독일 법 아카데미에서 활동하는 등 나치 정권과 여러 분야에서 협력했다.[1]블롬베르크는 1933년 4월 4일 비밀 재군비를 위한 국방회의를 설립했다.[20][19] 같은 해 7월 20일에는 새로운 군법을 통과시켜 민간 법원의 군에 대한 관할권을 종식시키고, 군이 의회를 선출할 수 있는 이론적인 권리를 소멸시켰다.[21][22]
1934년 2월, 블롬베르크는 '라이히스베어'(Reichswehr)에서 복무하는 유대인으로 간주되는 모든 남성에게 자동적이고 즉각적인 불명예 제대를 명령했다.[16] 그 결과, "유대인 피"를 가졌다는 이유로 74명의 군인이 직업을 잃었다.[17] 이는 당시 나치가 원했던 것조차 넘어서는 "선제적인 복종의 행위"였다.[18] 같은 해 5월, 블롬베르크는 '라이히스베어'(Reichswehr)가 유니폼에 나치 상징을 채택하도록 했다.[19] 8월 2일 힌덴부르크 대통령 사망 후, 블롬베르크는 군대의 모든 병사와 해군의 모든 선원에게 아돌프 히틀러에게 충성 맹세를 하도록 명령했다.[26][27][28]

1935년 3월 16일, 히틀러는 베르사유 조약의 독일 군비 제한 조항 파기를 선언했다.[29] 같은 해, 국방부는 전쟁부(Reichskriegsministerium)로 개칭되었고, 블롬베르크는 국방군(Wehrmacht) 최고사령관이라는 직책을 맡았다. 또한, 블롬베르크는 소위 미슐링이 복무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국방군이 뉘른베르크 법률을 준수하도록 노력했다.[20]
1936년 4월 20일, 블롬베르크는 히틀러에 의해 독일 최초의 원수(Generalfeldmarschall)로 임명되었다.[21] 1937년 1월 30일, 그는 황금 나치당원 배지를 받았다.[1]
4. 3. 돌격대(SA)와의 갈등 및 긴 칼의 밤
1933년 가을부터 블롬베르크는 에른스트 룀이 이끄는 돌격대(SA)와 갈등을 빚었다. 룀은 SA가 '라이히스베어'(Reichswehr)를 흡수하기를 원했지만, 블롬베르크는 이를 막으려 했다.[23] 1934년 2월, 룀이 SA가 '라이히스베어'를 흡수하여 새로운 군대가 되는 것에 대한 각서를 작성하자, 블롬베르크는 히틀러에게 군대가 어떤 조건하에서도 그것을 절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알렸다.[23] 1934년 3월, 블롬베르크와 룀은 내각 회의에서 공개적으로 서로 싸우고 모욕과 위협을 주고받았다.[23]룀과의 갈등이 심해지자 블롬베르크는 히틀러에게 SA의 야망을 억제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군대가 스스로 그렇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결국 히틀러는 1934년 6월 30일부터 7월 2일까지 긴 칼의 밤 숙청을 통해 룀을 비롯한 SA 지도부를 제거했다.[24] 이때 쿠르트 폰 슐라이허와 페르디난트 폰 브레도 등 은퇴한 장군 두 명이 살해되었지만, 블롬베르크는 국방장관으로서 아무런 항의도 하지 않았다.[25] 오히려 7월 3일 각료회의에서 군을 대표하여 히틀러에게 찬사를 보냈다.[25]
4. 4. 실각과 그 이후
1937년 11월 5일, 블롬베르크는 히틀러가 주재한 비밀 회의에 참석했다. 이 회의에는 육군 총사령관 베르너 폰 프리치, 해군 총사령관 에리히 레더, 공군 총사령관 헤르만 괴링, 외무장관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가 참석했다. 회의의 주요 안건은 오스트리아와 체코슬로바키아에 대한 전쟁 계획이었는데, 블롬베르크는 전쟁 계획 자체에는 찬성했지만, 국방군의 전쟁 준비가 충분하지 않다는 이유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2] 히틀러는 영국과 프랑스가 개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블롬베르크와 프리치는 이에 회의적이었다.1938년 1월, 블롬베르크는 에르나 그룬(Erna Gruhn)과의 재혼으로 인해 큰 스캔들에 휘말리게 되었다. 블롬베르크의 첫 번째 부인은 1932년에 사망했으며, 에르나 그룬은 24세의 타이피스트이자 비서였다.[2] 그러나 베를린 경찰은 그녀와 그녀의 어머니에 대한 범죄 기록을 가지고 있었고, 여기에는 에르나 그룬이 1932년에 음란 사진을 찍었다는 정보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 정보는 베를린 경찰청장 볼프-하인리히 그라프 폰 헬돌프를 통해 빌헬름 카이텔에게 전달되었고, 카이텔은 이를 다시 헤르만 괴링에게 알렸다. 블롬베르크의 결혼식에서 들러리를 섰던 괴링은 이 정보를 이용하여 블롬베르크가 전쟁 장관직을 수행하기에 부적합하다고 주장했고, 히틀러에게도 이 사실을 알렸다. 히틀러는 블롬베르크에게 결혼을 무효화하라고 명령했지만, 블롬베르크는 이를 거부했다. 결국 괴링이 에르나 그룬과 그녀의 어머니의 과거를 폭로하겠다고 위협하자, 블롬베르크는 1938년 1월 27일에 사임했다.
블롬베르크의 파면 이후, 히틀러는 국방군 최고사령관과 국방군 총사령관을 겸임하고, 빌헬름 카이텔을 총장으로 하는 국방군 최고사령부(OKW)를 신설하여 군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했다. 블롬베르크는 사직 후 1년간 신혼여행을 떠났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현역 복귀를 원했지만, 히틀러는 이혼하지 않는 한 복귀시키지 않겠다고 거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블롬베르크는 은둔 생활을 했으며, 종전 후 전범 혐의로 연합군에 체포되어 뉘른베르크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1946년 3월, 블롬베르크는 암으로 사망했다.
5. 계급
진급일 | 계급 |
---|---|
1897년 3월 13일 | 소위 (Leutnantde) |
1907년 5월 18일 | 중위 (Oberleutnantde) |
1911년 3월 20일 | 대위 (Hauptmannde) |
1916년 3월 22일 | 소령 (Majorde) |
1920년 12월 18일 | 중령 (Oberstleutnantde) |
1925년 4월 1일 | 대령 (Oberstde) |
1928년 4월 1일 | 소장 (Generalmajorde) |
1929년 10월 1일 | 중장 (Generalleutnantde) |
1933년 1월 30일 | 명예 보병 대장 (Charakter als General der Infanteriede) |
1933년 8월 31일 | 상급 대장 (Generaloberstde) |
1936년 4월 20일 | 원수 (Generalfeldmarschallde) |
6. 수훈
수훈 내용 |
---|
프로이센 푸르 르 메리트 훈장 (프로이센 왕국) |
1급 및 2급 1914년형 철십자훈장 (프로이센 왕국) |
호엔촐레른 왕가 훈장 검과 기사십자장 (프로이센 왕국) |
4급 프로이센 왕관 훈장 (프로이센 왕국) |
3급 검과 왕관이 달린 호엔촐레른 공가 훈장 (프로이센 왕국) |
4급 검이 달린 바이에른 군공훈장 및 4급 검과 왕관이 달린 군공훈장 (바이에른 왕국) |
검이 달린 알브레히트 훈장 1급 기사십자장 (작센 왕국) |
헤센 용감 훈장 (헤센 대공국) |
1급 및 2급 브라운슈바이크 전쟁공로훈장 (브라운슈바이크 공국) |
1급 및 2급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십자훈장 (올덴부르크 대공국) |
한자 도시 동맹 십자훈장 (브레멘시) |
작센-마이닝겐 전쟁공로훈장 (작센-마이닝겐 공국) |
리페 전쟁공로훈장 (리페 공국) |
샤움부르크-리페 충정훈장 (샤움부르크-리페 공국) |
명예십자훈장 전선 병사장 (독일국) |
1급 내지 4급 국방군 복무훈장 (독일 국방군) |
1918년형 전상장 흑장 (독일국) |
다이아몬드가 달린 조종사 및 관측사 훈장 금장 (독일 공군) |
황금 나치 당원 배지 (나치당) |
욱일대수장[31](일본 제국) |
참조
[1]
웹사이트
Nazi Conspiracy and Aggression, Volume V, pp. 543-544, Document 2879-PS
https://www.loc.gov/[...]
Office of United States Chief of Counsel For Prosecution of Axis Criminality
1946-01-01
[2]
웹사이트
Erna / Eva Margarete Gruhn
https://www.geni.com[...]
2018-03-28
[3]
문서
ベネット、p.274
[4]
웹사이트
LeMO
http://www.dhm.de/le[...]
[5]
문서
Barnett,p.129
[6]
웹사이트
"Generalfeldmarschall Werner von Blomberg"
https://web.archive.[...]
[7]
문서
Barnett,p.130
[8]
문서
ベネット、p.273
[9]
문서
ヴィストリヒ、p.241
[10]
문서
テーラー、ショー、p.248
[11]
문서
ベネット、p.274
[12]
문서
ベネット、p.274-275
[13]
문서
Barnett,p.131
[14]
문서
ベネット、p.261
[15]
문서
阿部、p.213
[16]
문서
ベネット、p.275
[17]
문서
ベネット、p.276
[18]
문서
ベネット、p.277
[19]
문서
ベネット、p.277-278
[20]
문서
阿部、p.229、p.246
[21]
문서
阿部、p.246
[22]
문서
ベネット、p.278
[23]
문서
トーランド上巻、p.375
[24]
문서
阿部、p.274
[25]
문서
阿部、p.277
[26]
문서
ベネット、p.306
[27]
문서
ベネット、p.306
[28]
문서
阿部、p.282
[29]
문서
阿部、p.295
[30]
문서
ハート、p.23
[31]
간행물
独国外務大臣男爵「フォン、ノイラート」外三十三名叙勲ノ件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