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이징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징어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표준어인 보통화의 기반이 된 언어로, 춘추전국시대 연(燕)나라의 수도였던 계(薊)를 기원으로 한다. 이후 여러 왕조를 거치며 북방 민족의 언어적 영향을 받았으며, 명나라 시대에 베이징으로 천도하면서 북경이라는 명칭이 부활했다. 베이징은 오랫동안 중국의 수도였기에 베이징 방언은 표준 중국어의 음운론적 기준으로 채택되었으며, 현재에도 중국의 정치, 문화적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베이징어는 독특한 어휘와 문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표준 중국어와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 다른 중국어 방언과는 상호 이해가 어렵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징시 - 베이징 군구
    베이징 군구는 수도 방위를 담당하며 허베이성, 베이징시, 내몽골 자치구, 산시성, 톈진시를 관할했던 중국 인민해방군의 군구였으나, 시진핑 정부의 군사 개혁에 따라 북부전구와 중부전구로 분리되었다.
  • 베이징시 - 베이징 텔레비전
    베이징 텔레비전(BTV)은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 위치한 방송국으로, 10개의 채널을 운영하며 1979년 설립 후 중국중앙텔레비전으로 개편되었다가 베이징 지역 방송을 위해 재설립되었고, 2020년 베이징 미디어 네트워크로 통합되었다.
  • 관화 - 쓰촨어
    쓰촨어는 쓰촨성과 충칭시를 중심으로 쓰촨분지 일대에서 약 1.2억 명이 사용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파촉어에서 기원하여 이민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고유한 특징을 지니고 보통화 보급 정책 속에서도 생존하고 있다.
  • 관화 - 동북관화
    동북 관화는 중화인민공화국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만주어와 몽골어의 영향을 받아 베이징어와 차이를 보이며, 권설음 부재, 낮은 음평성, 얼화 현상 등의 특징을 가진다.
베이징어
지도
기본 정보
언어 이름베이징어
다른 이름페킹어, 베이징어
지역베이징 도시 지역
언어 계통중국티베트어족
중국어파
중국어
관화
베이징관화
징스편
사용 국가중화인민공화국
ISO 639-3 코드cmn-bej
ISO 639-6 코드bjjg
언어학 정보
글롯로그beij1234
링구아79-AAA-bb
IETFcmn-u-sd-cnbj
기타

2. 역사

중국의 정치·문화 수도인 베이징은 오랜 역사 동안 중요한 도시였으며, 이곳의 방언은 중국어 공용어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베이징은 이후 여러 왕조의 수도 역할을 수행하며 정치, 문화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고,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베이징 방언은 점차 중요성을 더해갔다.

특히 시대를 거치며 수도로서의 지위가 확고해지고, 관리를 선발하는 과거 제도가 베이징 말로 시행되면서 베이징 방언은 전국의 지배층과 지식인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언어가 되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만주어와 함께 공식적인 궁중 언어로 사용되기도 했다.[6]

18세기 후반까지 중국 엘리트 계층의 표준어는 정치적 중심지가 베이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난징 방언에 기반했지만,[4] 19세기를 거치면서 서구의 기록 등을 통해 궁중에서 사용되는 표준어가 점차 베이징 방언 기반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5]

근대에 들어 중화민국 시기 제정된 국어와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제정한 보통화 모두 베이징 발음을 표준으로 삼으면서,[6][7][8] 베이징 방언은 공식적인 표준어의 기반으로서 중요한 위상을 확립하게 되었다.[2][3]

2. 1. 고대 ~ 중세

베이징은 춘추전국시대에 연나라의 수도인 계(薊)였다. · 시대에는 북평(北平)이라 불렸고, 시대에는 대운하 건설로 중요한 교통 요충지가 되었다.

오대십국 시대에 내몽골에서 남하한 연운십육주를 할양받아 베이징을 부수도 중 하나인 남경(南京)으로 삼았다. 이 요나라를 멸망시킨 후에는 이곳으로 천도하여 중도(中都)로 삼았다. 역시 금나라를 멸망시키고 이곳을 수도로 삼아 대도(大都)로 개칭했다.

2. 2. 명나라 ~ 현대

을 몰아낸 후 수도를 남경으로 옮기면서, 베이징은 '''북평(北平)'''으로 불렸다. 그러나 영락제 때 수도가 다시 베이징으로 옮겨지면서 '''북경(北京)'''이라는 이름이 부활했다. 금나라 이래 수도로서 전국에서 사람들이 모이는 곳이었고, 특히 북방 민족의 지배를 오랫동안 받았기 때문에 문법어휘에 북방 여러 언어의 영향이 남아있다. 또한, 전국에서 관리를 선발하는 과거 제도가 수도 베이징의 말로 시행되었기 때문에, 전국의 통치자와 지식인 계층에게 영향을 미치는 언어가 되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만주어와 함께 공식 궁중어로 사용되었다.[6] 18세기 후반까지 중국 엘리트 계층의 표준어는 정치적 중심이 베이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난징 방언에 기반했지만,[4] 19세기를 거치면서 점차 베이징 기반의 표준어로 변화하였다.[5]

중화민국 초기에도 북경은 수도였으나, 장제스중국국민당 정권이 남경을 수도로 정하면서 북경을 다시 '''북평'''으로 개칭했다. 표준 중국어 음운론 정립은 1913년 발음 통일 위원회에서 시작되었는데, 베이징 방언을 기준으로 삼으면서도 다른 방언의 음운 요소를 유지한 구국음을 만들었다.[6][7] 이는 1926년에 수정되어 "베이징의 교육받은 원주민 발음"이 국어(Guoyu)의 음운론 기준으로 공식 채택되었다.[6][7]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베이징은 다시 수도가 되었고 현재에 이른다.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은 보통화(普通话)를 "베이징 발음을 표준으로 삼고, 북방 방언을 기초 방언으로 하며, 모범적인 현대 백화문 저작에서 어법 규범을 받아들인다"고 선포했다.[6][8] 이처럼 베이징어는 중국의 정치·문화 수도로서 역사적 중요성을 지녀왔으며, 그 방언은 공용어로서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2][3]

베이징 방언은 상당한 "문화적 무게"를 지닌 것으로 평가받으며,[11] 베이징어문대학의 장시팡(Zhang Shifang) 교수는 "중국의 고대와 현대 수도로서 베이징과 그 언어 문화는 우리나라 전체 문명을 대표하며...베이징 사람들에게 베이징 방언은 중요한 정체성의 상징"이라고 언급했다.[11] 일부에서는 광둥어가 표준 중국어와 경쟁할 만한 위상을 가진 유일한 방언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9] 또한 베이징 방언은 "연예계의 공식 언어" 또는 "연예계 악센트"로 묘사되기도 했다.[10] 베이징 내에서도 방언은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어, 자금성 북쪽 사람들의 발음이 남쪽 지역 사람들보다 더 "세련된"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다.[11] 현재 중화민국(타이완)에서 사용되는 국어는 보통화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언어이지만, 양안의 언어 정책 및 문화적 차이로 인해 어휘 등에 차이가 있으며 발음에도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 화교 사회에서는 이를 '''화어(華語)'''라고 부르기도 한다.

2. 3. 위상 언어로서의 지위

중국의 정치·문화 수도인 베이징은 오랜 역사 동안 중요한 도시였으며, 이곳의 방언은 공용어로서 영향력을 가져왔다. 표준 중국어의 음운 기준으로 공식 채택되면서, 베이징 방언은 위상 언어로서의 지위를 더욱 확고히 했다.[2][3] 때로는 중국어의 유일한 위상 언어로 여겨지기도 하며, 일부 학자들은 이를 "베이징 엘리트 악센트"라고 부르기도 한다.[4]

역사적으로 볼 때, 18세기 후반까지 중국 엘리트 계층의 표준어는 정치 중심지가 베이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난징 방언이었다.[4] 그러나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서구 사전 기록 등을 통해 궁중에서 사용되는 표준어가 난징 기반에서 베이징 기반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5] 청나라 시대에는 만주어와 함께 공식적인 궁중 언어로 사용되었다.[6]

표준 중국어의 음운 체계가 확립되는 과정은 20세기 초에 본격화되었다. 1913년 발음 통일 위원회는 베이징 방언을 기준으로 삼았으나, 다른 표준어 변종의 음운 특징도 일부 유지하여 구국음을 만들었다. 그러나 이 결정은 1926년에 변경되어, "베이징의 교육받은 원주민 발음"이 표준 중국어(국어, Guoyu)의 음운 기준으로 공식 채택되었다.[6][7] 이후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표준 중국어(보통화)를 "베이징 발음을 표준으로 삼고, 북방 방언을 기초 방언으로 하며, 모범적인 현대 백화문 저작을 어법 규범으로 삼는다"고 공식적으로 정의했다.[6][8]

베이징 방언은 상당한 "문화적 무게"를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다.[11] 베이징어문대학 장시팡(Zhang Shifang) 교수는 베이징 방언의 중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중국의 고대와 현대 수도로서 베이징과 그 언어 문화는 우리나라 전체 문명을 대표합니다...베이징 사람들에게 베이징 방언은 중요한 정체성의 상징입니다."[11]


일각에서는 광둥어가 "표준 중국어와 경쟁할 만한 위상을 가진 유일한 방언"이라는 주장이 있다.[9] 또한 베이징 방언은 "연예계의 공식 언어"로 묘사되며 "연예계 악센트"로 통하기도 한다.[10]

베이징 도시 내에서도 방언은 다양하여, 자금성 북쪽 지역 주민들은 남쪽 지역의 서민, 장인, 공연자들보다 더 "세련된" 억양을 사용한다는 인식이 있었다.[11]

베이징은 금나라 이후 여러 왕조의 수도 역할을 하며 정치,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고, 이는 베이징 방언의 위상 형성에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오랜 수도 역사 동안 전국 각지 사람들이 모이는 중심지였으며, 특히 북방 민족의 지배를 받은 영향으로 문법어휘에 북방 언어의 특징이 남아있다. 또한, 관리 선발 시험인 과거가 수도인 베이징의 언어로 시행되면서 전국의 지배층과 지식인들에게 베이징 방언의 영향력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속에서 베이징어는 중화민국 시기 공용어인 '''국어'''의 기초가 되었고, 이는 다시 중화인민공화국의 표준어인 '''보통화''' 제정의 기반이 되었다. 다만, 표준 중국어에는 어휘와 어법 측면에서 문어체적인 요소가 상당수 포함되었다. 현재 타이완(중화민국)에서 사용되는 국어는 중국 대륙의 보통화와 기본적으로 같은 언어지만, 양측의 언어 정책 및 문화적 차이로 인해 어휘나 발음에서 약간의 차이가 나타난다. 화교 사회에서는 이를 '''화어'''(華語)라고 부르기도 한다.

2. 4. 젊은 세대

일각에서는 베이징 방언이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다.[11] 2010년 베이징연합대학교의 연구 결과, 1980년 이후 출생한 젊은 베이징 주민 중 49%가 베이징 방언보다 표준 중국어 사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2] 이는 중국 전역의 언어 상황과도 관련이 있는데, UN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소수민족이 사용하는 약 100개의 중국 방언이 소멸 위기에 놓여 있다.[13]

3. 음운

베이징어의 음운 체계는 현대 표준 중국어 음운의 기초가 되었지만,[15] 표준 중국어와는 다른 고유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베이징 방언에는 표준 중국어에 없는 독특한 음절 조합이 존재하며, 특히 단어 끝에 'ㄹ' 받침과 유사한 발음을 덧붙이는 얼화(儿化) 현상이 표준 중국어보다 훨씬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이 대표적인 특징이다.[11] 이 외에도 특정 자음이나 모음의 발음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16][15][17] 구어체에서는 표준 중국어에서 잘 쓰이지 않는 다양한 음운 축약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11][15] 성조 역시 기본적인 체계는 표준 중국어와 같지만, 실제 발음 시 각 성조의 높낮이 변화 폭이나 경성(輕聲)의 사용 빈도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3. 1. 특징

표준 중국어의 발음은 베이징 발음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기본 구조에서 베이징 방언과 표준 중국어의 음운론은 거의 동일하다.[15] 하지만 베이징 방언에는 표준 중국어에는 없는 독특한 발음 조합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嗲|diǎ중국어, 塞|sēi중국어, 甭|béng중국어, 忒|tēi중국어,[15] 色|shǎi중국어 등이 있다.

베이징어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얼화(儿化) 현상이다. 이는 단어 끝에 'ㄹ' 받침과 유사한 /-ɚ/ 발음을 덧붙이는 것으로, 명사 접사로 주로 사용된다. 이 접사가 붙지 않고 /[ɐɚ̯]/로 발음되는 일부 단어도 있다. 표준 중국어에도 얼화 현상이 있지만, 베이징 방언만큼 빈번하지는 않다. 얼화는 베이징어의 상징적인 특징으로 여겨지며,[11] 결과적으로 유성 모음이 표준 중국어보다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중국어에서 "오늘"을 뜻하는 今天|jīntiān중국어은 베이징어에서 今儿|jīnr중국어로 발음되기도 한다.

음절 끝의 치경 비음 /n/ 대신 비모음 /ɨ̃/이 사용되는 경향도 나타난다.

다른 음운론적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 /w/가 음절 첫머리에 올 때, 많은 화자들은 我|wǒ중국어 와 같이 [o] 외의 모음 앞이나 五|wǔ중국어 와 같이 [u] 앞에서 [ʋ]로 발음한다. 예를 들어 尾巴|wěiba중국어는 /[ʋei̯˨pa˦]/로 발음된다.[16][15]
  • /ŋ/이 활음이나 모음 앞에 올 경우, 뒤따르는 활음과 함께 생략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中央|zhōngyāng중국어는 zhuāng중국어처럼, 公安局|gōng'ānjú중국어는 guānjú중국어처럼 발음될 수 있다.[17]
  • 표준 중국어의 치경 마찰음/파찰음 /ts tsʰ s/는 베이징어에서 /[tθ tθʰ θ]/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 일부 여성 화자들은 표준 중국어의 /tɕ tɕʰ ɕ/ 발음을 /ts tsʰ s/로 발음하기도 하는데, 이를 女国音|nǚguóyīn|여성 표준 중국어중국어라고 한다.[15]


또한 베이징 방언에는 표준 중국어에서 너무 구어체로 여겨 잘 쓰이지 않는 음운 축약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축약은 음절의 강세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 빠른 말씨에서 강세가 없는 음절의 첫 자음이 연화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병음의 /tʂ tʂʰ ʂ/는 /e i u/ 앞에서 /ɻ/이 될 수 있다. 따라서 不知道|bùzhīdào|모른다중국어는 bùrdào중국어처럼, 老师|lǎoshī중국어는 lǎor중국어처럼 들릴 수 있다. 이를 "자음 삼킴"([11] 吞音|tūnyīn중국어)이라고도 한다.
  • /tɕ tɕʰ ɕ/는 /j/로 축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赶紧去|gǎnjǐnqù|빨리 가다중국어는 gǎnyǐnqù중국어처럼 들릴 수 있다.
  • 병음 /p t k/는 유성화되어 /[b d ɡ]/로 발음될 수 있다.
  • 음절 사이의 /pʰ tʰ kʰ/ 역시 기식을 잃고 유성화되어 /p t k/와 동일하게 /[b d ɡ]/처럼 들릴 수 있다.[15]
  • /f/는 음절 사이에서 유성화되고 이완되어 [ʋ]가 되기도 한다.
  • 단어 첫머리가 아닌 폐쇄음은 마찰음으로 약화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茅厕|máocè중국어는 máosi중국어처럼 발음될 수 있다.[15]


이러한 음운 변화는 大柵欄|Dà Zhàlán중국어 거리 이름처럼 표준 중국어의 음절 구조 규칙에 맞지 않는 발음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현지인들은 이를 Dàshlàr중국어와 같이 발음한다.[18][19][20]

베이징 방언의 성조는 표준 중국어보다 더 과장되는 경향이 있다. 표준 중국어의 네 가지 성조(고평조, 고상승조, 저하강상승조, 고하강조)와 비교할 때, 베이징 방언에서는 1성과 2성이 더 높게 발음되고, 3성은 더 뚜렷하게 내려가며, 4성은 더 낮게 떨어진다. 또한, 베이징 방언 구어체에서는 성조가 약화되는 경성(輕聲) 현상이 매우 흔하며, 3성은 하강 부분만 낮게 발음되는 '반3성'(半三聲)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많다.

3. 2. 만주어에 미친 영향

베이징에서 사용되는 만주어는 베이징어의 영향을 받아 음운 체계에 변화가 나타났다. 파울 게오르크 폰 묄렌도르프는 저서 《만주어 문법: 분석된 텍스트와 함께》에서 "많은 만주어 단어들은 현재 중국어 발음의 특징을 몇 가지 반영하여 발음되는데, i와 e 앞의 k는 ch', i와 e 앞의 g는 ch, i 앞의 h와 s는 hs 등으로 발음됩니다."라고 기록했다.[21]

만주어 음운론 기록은 주로 베이징 거주 만주인의 중국어식 발음을 바탕으로 했기에, 원래의 만주어 발음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22][23]

베이징 거주 만주인들은 고유 발음의 어려움 때문에 베이징 방언의 영향을 받아 중국어식으로 발음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아이훈이나 헤이룽장 지역 만주인들은 고유 발음을 제대로 구사하면서도 베이징식 발음을 모방할 수 있었다. 이는 베이징 유학 경험이나 파견된 관리를 통해 베이징식 발음을 접했기 때문이다. 때로는 베이징식 발음 사용이 더 높은 교육 수준이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다.[24]

3. 3. 몽골어에 미친 영향

몽골어에 있는 차용어의 상당수는 중국어에서 유래했으며, 가장 오래된 차용어 층 역시 중국어에서 비롯되었다.[25] 특히 내몽골에서 사용되는 몽골어표준 중국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어휘 면에서는 코르친 몽골어가, 음운론 면에서는 카르친 방언 몽골어가 표준 중국어의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 있다.[26] 몽골어에서 제한적으로 나타나는 무기음 양순 파열음 /pʰ/와 순음 근사음 /w/는 중국어나 티베트어에서 들어온 차용어에서만 발견되는 음소이다.[27] 내몽골 지역에서는 이중 언어 사용도 상당히 관찰된다.[28]

4. 어휘

베이징어는 표준 중국어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독특한 어휘와 속어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어휘들은 베이징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며, 다른 지역 방언과의 차이를 보여준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4. 1. 특징

베이징 방언은 표준 중국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속어를 많이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베이징 출신이 아니면 이런 속어를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속어 중 상당수는 단어 끝에 '-r' 발음을 덧붙이는 얼화(兒化, érhua) 현상을 보인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倍儿|bèir중국어: 매우, 특히 (방식이나 속성을 가리킴)
  • 别价|biéjie중국어: 하지 마 (보통 명령형으로 사용될 때 呀|ya중국어가 뒤따르며, 친한 친구의 호의나 정중함을 거절할 때 사용됨)
  • 搓火儿|cuōhuǒr중국어: 화가 나다
  • 颠儿了|diārle중국어: 떠나다, 도망치다
  • 二把刀|èrbǎdāo중국어: 서투른 사람
  • 撒丫子|sayazi중국어: 발을 놓다, 가다, 떠나다
  • 㞞蔫儿|sóngniār중국어: 줏대가 없다, 기운이 없다 (종종 怂|sóng중국어으로 쓰기도 한다.)
  • 消停|xiāoting중국어: 마침내 조용하고 고요해지다
  • 辙|zhé중국어: 방법 (표준 중국어 办法|bànfǎ중국어와 같은 뜻)
  • 褶子了|zhezile중국어: 망쳐졌다 (특히 해야 할 일들에 대해)
  • 上|shàng중국어: 종종 去|qù중국어(가다) 대신 사용됨.
  • 搁|gē중국어: 종종 放|fàng중국어(놓다) 대신 사용됨.


베이징 구어체 중 일부는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가기도 했다.

  • 抠门儿|kōumér중국어: 인색한, 구두쇠인 (현재 베이징 외부에서도 사용됨)
  • 劳驾|láojia중국어: 실례합니다! (대중교통에서 자주 들리며, 고전 중국어에서 유래함)
  • 溜达|liūda중국어: 산책하다 (표준 중국어 逛街|guàngjiē중국어 또는 散步|sànbù중국어와 같은 뜻)
  • 特|tè, tēi중국어: 매우 (표준 중국어 很|hěn중국어보다 강한 표현이며 特别|tèbié중국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짐)[33]


일부 속어는 土话|tǔhuà중국어(촌스러운 말)로 여겨져, 주로 예전 세대가 사용했고 교육 수준이 높은 사람들 사이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起小儿|qíxiǎor중국어: 어린 시절부터 (打小儿|dǎxiǎor중국어와 비슷하며, 젊은 세대에서 더 자주 사용됨)
  • 晕菜|yūncài중국어: 방향 감각을 잃다, 혼란스러워하다, 당황하다


반면 젊은 세대나 유행에 민감한 집단이 사용하는 신조어도 있다.

  • 爽|shuǎng중국어: 멋진 (어떤 일에 대해), 사람을 묘사할 때 쓰는 酷|kù중국어와 비교됨
  • 套瓷儿|tàocír중국어: 후프에 던지다 (농구에서 사용됨)
  • 小蜜|xiǎomì중국어: 특별한 여자 친구 (부정적인 의미를 지님)


이 외에도 馬上|mǎshàng중국어(곧), 去|qù중국어(가다), 喫|chī중국어(먹다), 站|zhàn중국어(역) 등 독특한 어휘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런 어휘 중 일부는 중국 북방 민족 언어(알타이어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한자로는 표기하기 어려운 속어도 있어, 현대에는 알파벳으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 2. 만주어 및 몽골어 차용어

베이징 방언에는 만주어와 몽골어에서 온 차용어가 포함되어 있다.[11]

  • 후퉁(胡同, hútòng): 중세 몽골어 'quddug'(우물, 현대 몽골어: худаг) 또는 'ɣudum'(통로, 현대 몽골어: гудам)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어 '衕'(거리, 통로)이나 '巷'(골목, 좁은 길)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다.
  • 站(zhàn, 역): 중세 몽골어 'ǰamči'(역참, 현대 몽골어: замч '안내자')에서 유래했다.
  • 哏哆/哏叨(hēnduo, 꾸짖다): 만주어 'hendu'에서 유래했다.[29][30]
  • 馬上(“곧”), 去(“가다”), 喫(“먹다”), 站(“역”) 등 독특한 어휘도 존재한다. 이러한 요소 중 일부는 중국 북방 민족 언어(알타이어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 한자로 옮길 수 없는 속어 등도 있으며, 현대에는 알파벳으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 문법

표준 중국어와 베이징 방언 사이에는 통사론적인 차이가 있다.[31] 표준 중국어에는 남중국어와 남쪽 만다린어의 통사론적 특징이 통합된 반면, 베이징 방언은 북쪽 만다린어의 특징을 유지한다.[32] 베이징 방언은 또한 구어적 표현을 다르게 사용한다.

특정 상황에서는 수사 '一'(보통 'yí'로 발음됨) 다음에 오는 양사가 소실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뒤에 오는 양사 '个'(gè)와 성조 변화를 겪는 것처럼 보인다.[33][32]

일반적으로 표준 중국어는 고전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더 간결하고 함축적이다. 따라서 베이징 방언은 더 장황하게 들릴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더 빠른 말하기 속도와 구어적 베이징어의 음운 축약에 의해 균형을 이루기도 한다.

6. 상호 의사 소통

베이징 방언은 표준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북경어 방언과 일반적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그러나 중국티베트어족의 다른 언어나 광둥어, 푸젠어, 우어를 포함한 다른 중국어 방언과는 상호 이해할 수 없다.

중앙아시아, 특히 키르기스스탄카자흐스탄에서 사용되는 둥간어는 북경어에서 유래한 언어이다. 둥간어 시인이자 학자인 이아시르 시바자 등을 포함한 화자들은 베이징 방언을 사용하는 중국인은 둥간어를 이해할 수 있지만, 둥간어 사용자는 베이징 방언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한다.[14] 즉, 베이징어 화자와 둥간어 화자 간의 상호 의사 소통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참조

[1] 서적 现代北京话研究 Beijing Normal University Press 2002
[2] 웹사이트 Learning Mandarin is really, really hard — even for many Chinese people https://www.latimes.[...] 2016-06-03
[3] 서적 Geek in China: Discovering the Land of Alibaba, Bullet Trains and Dim Sum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6-11-15
[4] 웹사이트 The enregisterment of Putonghua in practice https://www.kcl.ac.u[...] 2009
[5]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Chinese Applied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
[6] 학술지 Whence Came Mandarin? Qīng Guānhuà, the Běijīng Dialect, and the National Language Standard in Early Republican China 2017
[7] 서적 Modern Chinese: History and Sociolinguistic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8] 학술지 Conflicting notions of language purity: the interplay of archaising, ethnographic, reformist, elitist and xenophobic purism in the perception of Standard Chinese 2004-04
[9] 학술지 Chinese as a Lingua Franca in Greater China 2006-01
[10] 웹사이트 How well do you know your Chinese accents? A quick guide to 5 common accents and what they say about the speaker http://shanghaiist.c[...] 2011-06-09
[11] 뉴스 The Disappearing Dialect at the Heart of China's Capital https://www.nytimes.[...] 2016-11-23
[12] 웹사이트 民生周刊 http://paper.people.[...]
[13] 뉴스 China's minority languages face threat of extinction https://www.reuters.[...] 2010-03-12
[14] 서적 Monumenta serica, Volume 33 https://books.google[...] H. Vetch
[15] 웹사이트 Beijing, the Language of https://hal.archives[...]
[16] 학술지 Divergent places of articulation: [w] and [ʋ] in modern spoken Mandarin http://naccl.osu.edu[...]
[17] 웹사이트 太可爱了,"北京话十级"最全段子! - 搜狗字媒体 https://pinyin.sogou[...]
[18] 블로그 Language Log http://languagelog.l[...]
[19] 웹사이트 A Quick Guide to China's Main Dialects http://english.visit[...]
[20] 웹사이트 A Question That Is Not a Question https://scholarspace[...]
[21] 서적 A Manchu Grammar: With Analysed Texts https://archive.org/[...] Printed at the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22] 서적 Manchu Grammar, Part 8 https://books.google[...] Brill
[23] 서적 Cahiers de linguistique: Asie orientale, Volumes 31-32 https://books.google[...] E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 Centre de recherches linguistiques sur l'Asie orientale
[24] 서적 Archives polonaises d'etudes orientales, Volumes 8-10 https://books.google[...] Państwowe Wydawn. Naukowe.
[25] 서적 Grammar of Written Mongolian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1974
[26] 서적 Mongolian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12
[27] 서적 Mongolian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12
[28] 서적 More morphologies : contributions to the Festival of Languages, Bremen, 17 Sep to 7 Oct, 2009 https://books.google[...] Brockmeyer Verlag 2012
[29] 학술지 Altaic Influences on Beijing Dialect: The Manchu Case 1996
[30] 웹사이트 还是关于东北话 http://www.wangxiaof[...]
[31] 서적 Missionary recorder: a repository of intelligence from eastern missions, and a medium of general information, Volume 1 https://books.google[...] American M.E. Mission Press.
[32] 서적 Encyclopedia of Chinese Linguistics Brill
[33] 웹사이트 Language Variation and Social Identity in Beijing https://qmro.qmul.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