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캄보디아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캄보디아 전쟁은 1975년부터 1989년까지 이어진 캄보디아와 베트남 간의 무력 충돌이다. 13세기부터 캄보디아에 영향을 미치던 베트남은 19세기 전반에 직접 지배를 시작했고, 프랑스 식민 지배 시기에도 영향력을 유지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산주의 세력이 성장하면서 양국 관계는 더욱 복잡해졌다. 크메르 루주 정권 시기에는 국경 분쟁이 발생했고, 1978년 베트남은 캄보디아를 침공하여 크메르 루주 정권을 붕괴시켰다. 국제 사회는 베트남의 침공을 비난했고, 중국과의 전쟁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베트남은 경제적 어려움과 국제적 압력으로 인해 1989년 캄보디아에서 철수했고, 이후 파리 평화 협정을 통해 캄보디아의 평화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 이 전쟁은 베트남의 국제 관계에 영향을 미쳤으며, 캄보디아의 산림 파괴와 정치적 갈등을 심화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9년 베트남 - 중국-베트남 전쟁
중국-베트남 전쟁은 1979년 중국과 베트남 간에 벌어진 국경 분쟁으로, 양국 관계 악화,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 국경 분쟁, 중국계 주민 탄압 등이 원인이 되어 중국의 침공과 베트남의 저항으로 이어졌으며, 양국 모두 피해를 입고 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베트남-캄보디아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 | |
기본 정보 | |
분쟁 명칭 |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
다른 명칭 | 서남 국경 반격 작전 (베트남)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 (캄보디아 민족주의자) |
로마자 표기 | Sângkréam Kâmpŭchéa-Viĕtnam (크메르어) |
로마자 표기 | Chiến tranh Campuchia–Việt Nam (베트남어) |
로마자 표기 | Karchhléanpéan rôbâs Viĕtnam môk Kâmpŭchéa (크메르어) |
관련 분쟁 |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 냉전 중국-베트남 전쟁 중소 분쟁 |
기간 | 1977년 4월 30일 – 1991년 10월 23일 (대규모 전투: 1978년 12월 25일 – 1979년 1월 7일) |
장소 | 캄보디아 베트남 남부 태국 동부 국경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초기) | 베트남 FUNSK |
교전국 1 (침공 이후) | 베트남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
교전국 1 지원국 | 소련 알바니아 |
교전국 2 (초기) | 민주 캄푸치아 |
교전국 2 (침공 이후) | CGDK 크메르 루주 KPNLF FUNCINPEC 태국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루마니아 |
지휘관 | |
교전국 1 지휘관 | 레주언 (베트남) 쯔엉찐 (베트남) 응우옌반린 (베트남) 보응우옌잡 (베트남) 반티엔중 (베트남) 레득아인 (베트남) 레쫑떤 (베트남) 보찌꽁 (베트남) 헹삼린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훈센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펜소반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찬시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치아심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
교전국 2 지휘관 | 폴 포트 (민주 캄푸치아) 키우 삼판 (민주 캄푸치아) 이엥 사리 (민주 캄푸치아) 손 산 (크메르 인민국가해방전선) 디엔 델 (크메르 인민국가해방전선) 노로돔 시아누크 (FUNCINPEC) 쁘렘 띤나술라논 (태국) 차티차이 추나반 (태국) |
병력 | |
교전국 1 병력 | 150,000명 – 200,000명 (베트남군) 1,000명 (라오스군, 1988년) |
교전국 2 병력 | 1979년: 73,000명 1989년: 30,000명 |
사상자 | |
교전국 1 사상자 (1975-1979) | 10,000명 사망 (베트남) |
교전국 1 사상자 (1979-1989) | 15,000명 - 25,300명 사망 (베트남) 30,000명 부상 (베트남) 불명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
교전국 2 사상자 (1975-1979) | 약 15,000명 사망 |
교전국 2 사상자 (1979-1989) | 100,000명 이상 사망 |
민간인 사상자 | 200,000명 이상 사망 (캄보디아, 기근 사망자 제외) |
민간인 사상자 | 30,000명 이상 사망 (베트남, 1975-1978) |
총 사상자 (교전국 1) | 25,000명 – 52,000명 사망 |
결과 | |
결과 | 베트남의 승리 크메르 루주 축출 및 민주 캄푸치아 붕괴 캄보디아 집단살해 종식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수립 및 해체 베트남의 캄보디아 점령 중국-베트남 전쟁 발발 및 국경 충돌 지속 1989년까지 베트남 점령 CGDK 반군 활동 및 태국 국경 충돌 시작 1991년 파리 평화 협정 체결 및 유엔 주도 과도 정부 구성 합의 |
2. 배경
베트남 전쟁(1964년~1975년) 당시, 베트남 공산당과 크메르 루주는 모두 국내의 친미 정권에 대항하기 위해 연합을 형성했다. 그러나 크메르 루주 지도부는 베트남 공산당이 인도차이나 연방을 형성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우려했다.[18]
1975년 론 놀 정권이 항복한 후, 크메르 루주 지도부는 베트남에서 훈련받은 동지들을 숙청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5월, 크메르 루주가 지배하는 민주 캄보디아는 베트남 푸꾸옥섬을 공격하며 베트남에 대한 전쟁을 시작했다.
1976년, 양국은 겉으로는 강력한 관계를 강조하는 외교를 전개했지만, 캄보디아 지도부는 여전히 베트남의 팽창주의를 두려워했다. 1977년 4월 30일, 캄보디아는 베트남에 대한 대규모 군사 공격을 개시했다. 이에 베트남은 1977년 말 보복 공격을 시작했으나, 1978년 1월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철수했다.
중국이 양국의 평화 협상을 중재했지만, 1978년 양국 간의 논쟁은 계속되었고, 협상에서 타협에 이르지 못했다. 1978년경 베트남 지도부는 크메르 루주 정권을 친중, 반베트남 세력으로 간주하고 제거하기로 결정했다.
2. 1. 베트남-캄보디아 관계
베트남은 13세기부터 앙코르 문명과 거의 같은 시기에 캄보디아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그 영향은 간접적이고 점진적으로 확대되어 19세기 전반 베트남의 직접 지배에 이르기까지 이어졌다.[166] 1813년 낙 온 장이 베트남의 도움을 받아 캄보디아 왕위에 오르자, 캄보디아는 베트남의 보호령이 되었다.[167] 1834년 낙 온 장이 죽자, 베트남은 캄보디아를 식민지로 만들어 베트남 당국의 지배하에 베트남의 한 성으로 만들었다.[168] 1830년대를 거치면서 베트남은 중국보다 인도의 사회, 의복, 종교에 기원을 둔 크메르 문화를 없애려고 했다.[169] 그 후, 캄보디아는 남부 지역 대부분(호치민시와 메콩 삼각주, 타이닌성)을 강제로 할양하는 상황에서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지만, 이 시기에도 베트남의 지배는 계속되었다.[170] 이후 이 지역을 회복하려는 시도는 베트남 침공에 앞선 크메르 루주 정권의 국경 침입으로 정당화되었다.[171]2. 2. 공산주의의 부상
캄보디아와 베트남의 공산주의 운동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인도차이나 공산당(ICP)의 설립과 함께 시작되었다. 이 당은 주로 베트남인들로 구성되었으며, 인도차이나 반도에서 프랑스의 식민 통치에 맞서 싸우는 것을 목표로 했다.[172] 1941년 호찌민으로 알려진 응우옌 아이 꾸옥은 베트민을 창설했다.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일본이 패배하자,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발발했다. 이 시기 베트남군은 캄보디아를 무기, 식량, 병력 수송에 활용했다. 베트남 전쟁 동안 베트남 공산 세력은 캄보디아를 남베트남 공격을 위한 수송로 및 거점으로 이용했다.[28] 1951년 베트남은 캄보디아 인민당(KPRP) 설립을 지원했으며, KPRP는 캄보디아 민족주의 세력과 연대하여 독립 투쟁을 전개했다. 1954년 제네바 협정에 따라 북베트남은 캄보디아에서 병력을 철수시켰으나, KPRP 내에는 베트남계 공산주의자들이 잔류했다.[173]
베트남이 떠난 후 캄보디아에는 좌익 세력의 공백이 생겼다. 이 공백은 프랑스에서 공산주의 교육을 받은 젊은 혁명가들이 귀국하면서 채워졌다.[174] 1960년 KPRP는 캄푸치아 공산당(KCP)으로 개칭했다. 이들은 훗날 크메르 루주의 핵심 세력이 되었으며, 마오쩌둥주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175]
2. 3. 민주 캄보디아와 크메르 루주
크메르 루주 정권은 '앙카'(조직)라는 비밀스러운 명칭을 사용했으며, 1977년까지 지도부의 실체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다.[176] 국가 주석은 키우 삼판이었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폴 포트와 이엥 사리에게 있었다.[177] 크메르 루주는 봉건적, 자본주의적 요소를 타파하고 노동자, 농민 중심의 무계급 사회를 건설하려 했다. 그러나 이들의 급진적인 사상과 정책은 대중의 지지를 얻지 못했으며,[178] 극단적인 민족주의와 억압적인 통치, 베트남에 대한 적대감을 통해 권력을 유지하려 했다.[179]1970년부터 1975년까지 5년간 이어진 크메르 루주의 반란에서, 중국과의 긴장 관계가 발생했지만, 북베트남의 지원은 크메르 루주가 최종적으로 승리하는 데 필수적이었다.[180] 베트남 전쟁이 끝나기 전부터 크메르 루주와 베트남의 관계는 긴장 상태였고, 베트남 공산당과 크메르 루주군 간의 충돌은 1974년부터 시작되었다. 1975년, 폴 포트는 크메르 루주와 중국 간의 "우호 관계"를 명문화하는 조약에 서명했다.[181]
2. 4. 론 놀의 반베트남 정책
1970년 쿠데타로 집권한 론 놀 정권은 반공주의를 표방하며 남베트남과 공산 베트콩 모두를 탄압했다. 론 놀 정권은 베트남계 주민들을 학살하고 추방했으며, 이는 훗날 크메르 루주 정권의 베트남계 주민 학살로 이어졌다.[16][17][18] 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남과 캄보디아 공산주의자들은 각국의 미국 지원 정부와 싸우기 위해 동맹을 맺었지만, 크메르 루주 지도부는 베트남 공산주의자들이 베트남 주도의 인도차이나 연방을 형성하려 한다는 것을 우려했으며, 메콩 삼각주에 대한 영토 회복주의적 감정을 품고 있었다.3. 외교와 군사 행동
베트남 전쟁 (1964년~1975년) 동안, 베트남 공산당과 크메르 루주는 국내의 친미 정권에 대항하기 위해 연합했다. 그러나 크메르 루주 지도부는 베트남 공산당이 인도차이나 연방을 형성하려는 것을 우려했다.[15] 1975년 론 놀 정권 항복 후, 크메르 루주 지도부는 베트남에서 훈련받은 동지들을 숙청하고, 같은 해 5월 민주 캄푸치아는 베트남 푸꾸옥섬을 공격하며 베트남에 대한 전쟁을 시작했다. 양국 간 전투 후, 베트남과 캄보디아 지도부는 1976년 표면적으로 양국 관계를 강조하는 외교를 전개했지만, 캄보디아 지도부는 여전히 베트남의 팽창주의를 두려워했다.[15]
1977년 4월 30일, 캄보디아는 베트남에 대한 대규모 군사 공격을 개시했고, 베트남은 1977년 말 보복 공격을 시작했다. 1978년 1월, 베트남군은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철수했다.[15] 1978년, 중국의 평화 협상 중재 시도에도 불구하고 양국 간 논쟁이 이어졌고, 베트남 지도부는 크메르 루주 정권을 친중, 반베트남으로 간주하여 제거하기로 결정했다. 1978년 12월 25일, 베트남군 15만 명이 민주 캄보디아를 침공하여 약 2주 만에 캄푸치아 혁명군을 섬멸했다.[15]
3. 1. 1975년~1976년: 전투에서 우호 관계 구축
베트남 전쟁 (1964년~1975년) 동안, 베트남 공산당과 크메르 루주는 각 국가의 친미 정권에 대항하기 위해 연합했다. 그러나 크메르 루주 지도부는 베트남 공산당이 인도차이나 연방을 형성하려는 것을 우려했다.[15] 베트남의 지배를 막기 위해, 크메르 루주 지도부는 1975년 론 놀 정권 항복 후 베트남에서 훈련받은 인원들을 숙청하기 시작했다.[15]1975년 5월 1일, 캄보디아 혁명군은 푸꾸옥섬을 공격하며 베트남에 대한 전쟁을 시작했다. 9일 후인 1975년 5월 10일, 캄보디아군은 토추섬(Thổ Chu Islands)(en)을 공격하여 베트남 민간인 500명을 학살했다.[182] 베트남군은 즉각 반격하여 캄보디아군을 몰아내고 풀로와이섬(Koh Poulo Wai)(en)을 공격했다.[182]
1975년 6월, 폴 포트는 하노이를 방문하여 베트남과의 우호 조약 체결 및 국경 문제 논의를 제안했으나, 실현되지 않았다.[182] 1975년 8월, 베트남은 풀로와이섬을 캄보디아에 반환하고 캄보디아의 영유권을 공식 인정했다.[182]
이후 양국은 외교 관계 개선을 시도했다. 1976년 4월 17일, 베트남 지도부는 키우 삼판, 누온 찌어, 폴 포트의 요직 선출을 축하했다. 또한 베트남은 1976년 2월 시엠레아프에 대한 "미국의 폭격"을 주장하며 캄보디아의 주장을 옹호했다.[183] 1976년 6월, 캄보디아 지도부는 남베트남 공화국 건국 7주년 축하 메시지를 보냈다.[184]
1976년 7월,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건국 후, 프놈펜 라디오는 양국 간의 '''"전투적 연대와 우정은 끊임없이 활기에 넘치는 불굴의 것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같은 달, 폴 포트는 베트남 언론 대표단에게 양국 관계에 "장애와 어려움"이 있다고 언급하며 긴장감을 고조시켰다.[185] 1976년 9월 21일, 하노이와 호치민시, 프놈펜을 잇는 최초의 항공로가 개설되었다. 1976년 12월, 캄보디아 혁명 조직은 베트남 공산당에 제4차 당 대회 개최 축하 인사를 전했다.
1976년 말, 양국은 공식적으로 관계 개선을 시도했지만, 양국 지도부의 불신은 커져갔다. 베트남은 스스로를 동남아시아 '진정한'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의 지지자로 여겼고, 캄보디아와 라오스에 대한 지배를 필수적이라고 생각했다.[186] 그러나 크메르 루주 지배 지역에서 북베트남군 부대가 동맹군의 공격을 받으면서, 1973년에 이미 그 희망은 깨졌다.[187]
1976년 9월, 친중파 폴 포트와 이엥 사리가 사임하자, 베트남의 팜 반 동 수상과 레 즈엉 서기장은 베트남이 캄보디아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낙관했다. 1976년 11월 16일, 레 즈엉은 소련 주 베트남 대사와의 비공개 면담에서 이엥 사리와 폴 포트를 "나쁜 놈들"로 폄하했다. 그러나 이후 사건들로 레 즈엉은 누온 치아에 대한 평가를 수정하게 된다.
프놈펜의 캄보디아 지도부는 베트남의 역사적 우월성으로 인해 베트남 지도부에 대한 혐오감과 공포감을 키웠다. 캄보디아는 베트남의 인도차이나 지배 전략이 베트남에서 훈련받은 당원들을 캄보디아 공산당과 라오스 공산당에 침투시키는 것이라고 보았다. 북베트남에서 훈련받은 크메르 루주 당원들은 귀국 즉시 숙청되었다. 폴 포트는 소련과 베트남의 앞잡이라고 여기는 사람들을 숙청했다. 크메르 루주 지도부는 "미국 제국주의"를 혼자서 무찔렀다고 주장하며 승리감에 도취되어 베트남과의 전쟁을 시작했다.[188]
3. 2. 1977년: 전쟁으로 발전
1976년 말, 베트남과 캄보디아는 표면적으로는 관계 개선을 시도했지만, 양국 지도부 간에는 서로에 대한 불신이 깊었다. 베트남은 스스로를 동남아시아의 진정한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의 후원자로 여겼고, 캄보디아와 라오스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42] 북베트남이 론 놀 정권에 맞서 싸우는 크메르 루주를 지원한 것도 캄보디아 공산주의자들이 승리 후 친베트남 노선을 채택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다. 그러나 1973년 초, 크메르 루주 점령 지역에서 활동하던 베트남 인민군 부대가 동맹군으로부터 무장 공격을 받으면서 이러한 기대는 무너졌다. 캄보디아 공산당 내 친베트남 세력이 제거되면서 캄보디아에서 베트남의 입지는 더욱 약화되었다.[43]1976년 9월, 친중 성향의 폴 포트와 그의 처남 이엥 사리가 각각 총리와 외무장관직에서 사임하자, 베트남 총리 팜반동과 공산당 서기장 레주언은 베트남이 캄보디아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레주언은 소련 주재 베트남 대사와의 비공개 회담에서 이엥 사리와 폴 포트를 친중 성향의 "나쁜 놈들"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누온 체아가 폴 포트의 뒤를 이어 민주 캄보디아 총리가 되면, 그가 친베트남 성향이기 때문에 베트남이 그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그러나 이후 몇 달 동안의 사건들은 레주언의 누온 체아에 대한 평가가 잘못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프놈펜의 캄보디아 지도부는 베트남의 역사적 지배에 대한 두려움과 증오를 키워왔다. 캄보디아는 베트남의 인도차이나 지배 전략이 베트남에서 훈련받은 간부들을 캄보디아와 라오스 공산당에 침투시키는 것을 포함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북베트남에서 훈련받은 최초의 크메르 루주 인원들이 귀국하자마자 숙청되었다. 론 놀 정권 패배 후 몇 달 동안, 폴 포트는 소련과 베트남의 스파이로 의심되는 사람들을 캄푸치아 공산당(KCP)과 민주 캄보디아 정부에서 계속 제거했다. 크메르 루주 지도부 사이에 "미국 제국주의자들"을 단독으로 물리쳤다는 승리감이 팽배한 가운데, 민주 캄보디아는 베트남에 대한 전쟁을 준비하기 시작했다.[44]
캄푸치아 혁명군(KRA)이 베트남과의 전쟁을 준비하는 동안, 베트남 국영 언론은 1977년 4월 17일 민주 캄보디아 정부 수립 2주년을 축하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1977년 4월 30일, 사이공 함락 2주년에 캄보디아는 안장성과 쩌우독의 베트남 지역에 대한 군사 공격으로 응답하여 수백 명의 베트남 민간인을 살해했다. 베트남 인민군은 캄보디아가 공격한 지역으로 병력을 이동시켰고, 1977년 6월 7일 베트남은 미해결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고위급 회담을 제안했다. 1977년 6월 18일, 캄보디아 정부는 베트남이 분쟁 지역에서 모든 군대를 철수하고 양측 군대 사이에 비무장 지대를 설치해야 한다고 답변했다.[45]
양측 모두 상대방의 제안을 무시했고, KRA는 계속해서 국경을 넘어 베트남 마을을 공격했다. 1977년 9월, KRA 포병은 국경을 따라 여러 베트남 마을을 공격했고, 동탑성의 6개 마을이 캄보디아 보병에 의해 함락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6개 사단의 KRA가 타이닌성으로 약 10km 정도 진격하여 떤비엔현에서 1,000명 이상의 베트남 민간인을 살해했다.[46] 캄보디아의 대규모 침공에 분노한 베트남 인민군은 약 6만 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8개 사단을 소집하여 캄보디아에 대한 보복 공격을 시작했다. 1977년 12월 16일, 베트남 인민공군 부대의 지원을 받은 베트남 사단은 캄보디아 정부와의 협상을 강요하기 위해 여러 축을 따라 국경을 넘었다.
전투에서 KRA는 베트남에 급속히 땅을 잃었다. 1977년 말까지 베트남은 캄보디아에 대한 명확한 군사적 승리를 거두었고, 베트남 부대는 스바이리엥주를 행진했으며 주도 진입 직전에서야 멈췄다. 베트남의 격렬한 보복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 정부는 계속해서 반항했다. 1977년 12월 31일, 키우 삼판은 베트남 군대가 "민주 캄푸치아의 신성한 영토"에서 철수할 때까지 캄보디아 정부가 베트남과의 외교 관계를 "일시적으로" 단절할 것이라고 선언했다.[47] 1978년 1월 6일, 베트남 인민군(PAVN) 사단은 프놈펜에서 불과 38km 떨어진 곳에 있었지만, 베트남 정부는 베트남의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기 때문에 캄보디아에서 군대를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철수하는 동안 베트남 인민군(PAVN)은 미래의 지도자 훈센을 포함한 수천 명의 포로와 민간 난민들을 대피시켰다.
3. 3. 1978년: 정권 교체 준비
베트남의 군사 행동이 잦아들자, 캄보디아 정부는 베트남군의 철수를 1975년 4월 17일 '미국 제국주의의 패배'에 비견되는 민주 캄보디아의 대승이라고 자랑했다.[1] 캄보디아는 더 나아가 "1월 6일 합병주의적인 베트남 침략군에 대한 우리의 승리는 우리 국민과 국가, 캄보디아 공산당과 캄보디아 혁명군, 그리고 우리 당의 인민 전쟁 노선에 대한 우리 모두의 신뢰를 더욱 높여주었다"고 선언했다.[1]캄보디아 지도부는 캄보디아 병사 한 명이 베트남 병사 30명과 맞먹는다고 주장하며, 캄보디아가 800만 인구에서 200만 명의 병사를 모을 수 있다면 5,000만 명의 베트남 인구를 전멸시키고도 600만 명이 남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48] 실제로는 캄보디아 지도자들이 자국과 베트남의 인구 상황을 무시한 것이었다. 베트남인들은 가난했지만 신체적으로 건강했던 반면, 캄보디아인들은 수년간의 강제 노동, 기아, 질병으로 신체적, 정신적으로 쇠약해져 있었다.[1]
이러한 열세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는 군대가 베트남 국경 지역을 계속 공격하면서 주저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 1978년 1월, 크메르 루주군(KRA)은 여전히 베트남 영토 일부를 점령하고 있었고 하티엔주 베트남 초소를 압도하기 시작했다. 1978년 1월 27일, 베트남은 국경 지역의 KRA에게 크메르 루주 정부를 전복하도록 촉구하기 시작했다.
군사 충돌을 배경으로 1978년 1월 9일부터 2월 20일까지 베트남 부외무장관 판 히엔(Phan Hien)은 베이징을 여러 차례 방문하여 캄푸치아 정부 대표들과 논의를 가졌지만 결국 결실을 보지 못했다. 1978년 1월 18일, 중국은 저우언라이의 미망인 등영초 부총리가 프놈펜을 방문하여 캄푸치아와 베트남 간의 중재를 시도했지만, 캄보디아 지도자들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혔다.[49] 한편, 베트남 정부 관리들은 캄보디아 동부 군사 지역의 크메르 루주 지도자 쏘 핌과 비밀 회동을 시작하여 베트남의 지원을 받는 군사 봉기를 계획했다. 같은 기간, 동부 군사 지역에서 KRA가 입은 군사적 패배로 인해 폴 포트는 이 지역을 "반역자의 소굴"로 규정했다.[50]

폴 포트는 베트남에 오염되었다고 여긴 동부 군사 지역의 사람들을 숙청하기 위해 남서부 지역의 군부대가 동부 캄보디아로 진입하여 "숨겨진 반역자"들을 제거하도록 명령했다. 캄보디아 정부의 공격에 견디지 못한 쏘 핌은 자살했고 그의 부관 헹 삼린은 베트남으로 망명했다. 1978년 4월 12일, 캄보디아 정부는 베트남이 확장주의적 야망을 포기하고 캄푸치아의 주권을 인정하면 다시 협상할 수 있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베트남이 7개월간의 시험적 휴전을 통해 여러 의무를 이행해야 한다는 전제 조건도 있었다. 베트남 정부는 즉시 이 요구를 거부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KRA의 두 개 사단이 베트남 영토에 진입하여 학살을 저질렀고, 안장성 바촉 마을에서 3,000명이 넘는 베트남 민간인이 학살당했다.
4.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
1978년 12월 25일, 베트남은 15만 명의 병력을 동원하여 민주 캄푸치아를 전면 침공했다.[19][20] 캄보디아군은 제대로 저항하지 못하고 패퇴했으며, 1979년 1월 7일 베트남군은 프놈펜을 점령했다.[205] 다음 날, 베트남은 헹 삼린을 국가원수로 하는 캄푸치아 인민공화국(PRK)을 수립했다.[111]
1978년 12월 초, 2개 사단 규모의 캄보디아군 부대가 베트남군의 공격에 대비해 시험적으로 국경을 넘어 크라티에 시로 진격했다. 한편 다른 보조 사단들은 캄보디아군 보급로를 차단하기 위해 지방 도로를 따라 전개되었다.[205] 중국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군은 베트남군의 공격을 견디지 못하고 큰 피해를 입었다.[206]
1978년 12월 25일, 베트남은 15만 명으로 추정되는 13개 사단을 투입하는 대규모 침공을 개시했다. 이들은 중화기와 공군력으로 충분히 지원받았다. 초기에 캄보디아는 베트남군에 대해 일반적인 전투 방식으로 직접 맞섰지만, 이 전술로 인해 2주 만에 캄보디아군의 절반을 잃었다. 전장에서 크게 패하면서 캄보디아 지도부는 서부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205] 1979년 1월 7일, 베트남군은 캄푸치아 통일전선(KUFNS) 구성원들과 함께 프놈펜에 진입했다.[205]
베트남의 침공으로 붕괴된 정부와 군부 인원, 그리고 많은 크메르 루주 지도부는 태국으로 피신해야 했고, 태국 정부는 이들을 따뜻하게 맞이했다. 심각한 경제 문제와 난민 유입에도 불구하고, 태국 정부는 트랏 주의 카오랄롱 캠프에서 크메르 루주를 보호했다.[207] 한편 프놈펜에서는 신생 캄보디아 정부가 정치적 격변과 반복된 전쟁으로 크게 파괴된 경제와 사회를 재건하려 했다. 그러나 국가 재건 노력은 교육받고 유능한 인재가 심각하게 부족하다는 문제에 직면했다. 지난 4년간 교육받은 사람들 대부분이 망명하거나 크메르 루주 정권에 의해 살해되었기 때문이다. 연말까지 신정부의 국가 건설 시도는 서부 지역의 여러 반베트남 저항 운동에 의해 더욱 어려워졌다.[208]
5. 국제사회의 반응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은 국제사회의 거센 비난을 불러일으켰다.[90]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긴급 회의를 소집하여 노로돔 시하누크의 연설을 허용했다. 시하누크는 크메르 루주 정권의 인권 침해를 비판하면서도 베트남의 침공을 규탄하며 유엔 회원국들의 지원 중단을 촉구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7개 비동맹국의 주도로 휴전과 외국군 철수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제출했으나,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의 반대로 채택되지 못했다.[208] 미국, 서방 국가,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회원국들은 베트남의 무력 사용을 비난하고 즉각적인 철군을 요구했다.
중국은 베트남을 "소련의 패권주의 도구"로 비난하며 크메르 루주 정권을 지원했다. 대한민국 역시 당시 냉전 상황과 북한과의 대립 구도 속에서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을 강력하게 규탄하는 입장을 취했다.
1979년 2월 16일부터 19일까지 베트남과 캄푸치아 인민공화국은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간 평화·우호·협력 조약에 서명했다.[212] 조약 제2조는 베트남과 캄보디아의 안보는 상호 관련이 있다고 규정하여 베트남군의 캄보디아 주둔을 정당화했다. 얼마 후 소련,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 인도가 캄푸치아 인민공화국을 즉각 승인했다. 소련 정부는 캄푸치아 인민공화국의 "주목할 만한 승리"를 칭찬하고 사회주의 건설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표명했다. 또한 소련은 크메르 루주 정권의 테러 기록을 강력히 비난하며, 이것이 중국에 의해 야기된 것이라고 암시했다.
제34차 유엔 총회에서 캄푸치아 인민공화국과 민주 캄푸치아는 모두 대표권을 주장했다. 유엔 자격위원회는 6대 3으로 민주 캄푸치아를 승인하기로 결정했고, 민주 캄푸치아 대표단은 중국의 강력한 지원을 받아 총회에 참석할 수 있었다.[213] 1980년 1월, 29개국이 캄푸치아 인민공화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지만, 여전히 80개국 가까이가 민주 캄푸치아를 정당한 정권으로 인정했다.[212]
6. 중국-베트남 전쟁
1979년 2월 17일, 중국은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에 대한 보복으로 베트남을 침공했다.[73] 중국군은 베트남 국경 지대의 여러 도시를 점령했으나, 베트남군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하여 한 달 만에 철수했다.[216] 당시 베트남군은 소련과 미군으로부터 노획한 무기로 잘 훈련되어 있었으며, 베트남 정치국은 총동원령을 내리고 완전 징병을 계획했다.[74]
이 전쟁으로 베트남은 캄보디아 주둔 병력 일부를 북부 국경으로 이동시켜야 했으며,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은 징병제를 실시해야 했다.[76] 중국이 27일간의 분쟁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거나 캄보디아에서 베트남군을 철수시키지는 못했지만, 캄보디아에서의 병력 이동은 크메르 루주 반군 작전의 재개를 용이하게 만들었다.[76]
7. 저항 세력의 등장
베트남 전쟁 (1964년~1975년) 중에 베트남 공산당과 크메르 루주는 모두 국내의 친미 정권에 대항하기 위해 연합을 형성했다. 그러나 베트남과의 공동 투쟁에도 불구하고, 크메르 루주 지도부는 베트남 공산당이 인도차이나 연방을 형성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우려했다.[1] 1975년 론놀 정권이 항복하자, 크메르 루주 지도부는 베트남에서 훈련받은 동지들을 숙청하기 시작했다. 1975년 5월, 크메르 루주가 지배하는 민주 캄보디아는 베트남 푸꾸옥섬을 공격하며 베트남에 대한 전쟁을 시작했다.[1]
1976년, 양국 지도부는 외교적으로는 강력한 관계를 강조했지만, 캄보디아 지도부는 여전히 베트남의 팽창주의를 두려워했다. 1977년 4월 30일, 캄보디아는 베트남에 대한 대규모 군사 공격을 개시했고, 베트남은 1977년 말 보복 공격을 시작했다. 1978년 1월, 베트남군은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철수했다.[1]
캄푸치아 정부는 베트남군 철수를 큰 승리로 자랑하며, 1975년 4월 17일 "미국 제국주의의 패배"에 비유했다.[1] 캄푸치아 지도부는 캄푸치아 병사 한 명이 베트남 병사 30명과 맞먹는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양국의 인구 상황을 무시한 주장이었다.[48] 1977년 베트남은 61만 5천 명의 병력과 900대의 탱크, 300대의 전투기를 보유한 반면, 캄푸치아는 7만 명의 군대, 소수의 중전차, 200대의 장갑차, 제한적인 공군력만을 보유했다.[1] 1978년 1월, 크메르 루주군(KRA)은 베트남 영토 일부를 점령하고 하티엔주 베트남 초소를 공격했다.
1978년 1월 9일부터 2월 20일까지 베트남 부외무장관 판 히엔은 베이징을 방문하여 캄푸치아 정부 대표들과 논의했지만, 결실을 보지 못했다.[49] 베트남 정부는 캄푸치아 동부 군사 지역의 크메르 루주 지도자 쏘 핌과 비밀 회동을 통해 군사 봉기를 계획했다. 폴 포트는 동부 지역을 "반역자의 소굴"로 규정하고,[50] 쏘 핌은 자살, 그의 부관 헹 삼린은 베트남으로 망명했다. 1978년 4월 12일, 캄푸치아 정부는 베트남에 협상을 제안했지만, 베트남은 거부했다. KRA는 베트남 영토에 진입하여 바촉 학살을 저질렀고, 3,000명이 넘는 베트남 민간인이 학살당했다.
1978년 6월, 베트남 인민군은 국경 지역의 KRA 진지를 폭격했다. 동부 군사 지역의 생존 지도자들은 베트남으로 탈출하여 "해방군"을 결성하려 했다.[51] 베트남 공산당 정치국은 크메르 루주 정부를 중국의 대리 정부로 결론지었다. 1978년 하반기, 베트남은 소련의 지원을 구했다. 1978년 10월, 베트남 라디오는 KRA 구성원들에게 "폴 포트-이엥 사리 클리크"를 전복하거나 베트남으로 망명할 것을 촉구했다.[54]
베트남은 캄푸치아 "해방 지역"에서 캄푸치아 구국 민족 연합전선(KUFNS)의 결성을 발표했다. 헹 삼린이 KUFNS 중앙위원회 위원장이었다. 민주 캄푸치아 정부는 중국의 지원으로 군대를 강화했다. 1978년 12월 25일, 베트남은 15만 명의 병력을 동원하여 캄푸치아를 침공했다. 1979년 1월 7일, 베트남 인민군은 프놈펜에 진입했고, 다음 날 캄푸치아 인민공화국(PRK)이 수립되었다.
크메르 루주 정권 축출 이후, 캄보디아 국민들은 평화와 자유를 기대했지만, 베트남의 점령으로 인식하며 절망했다.[78] 헹 삼린 정부의 모든 단계에 베트남 고문들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크메르 루주는 캄보디아 국민들에게 단결하여 베트남과 싸울 것을 촉구했지만, 많은 캄보디아인들은 크메르 루주와 베트남 모두에 반대해야 한다고 믿었다.[81] 이러한 상황에서 두 개의 비공산주의 운동이 결성되었다.[82]
7. 1. 크메르 인민 민족 해방 전선 (KPNLF)
1979년 10월, 손 산 전 총리는 우익, 친서방 성향의 크메르 인민 민족 해방 전선(KPNLF)을 결성했다.[82] KPNLF는 태국-캄보디아 국경 지대의 여러 난민 캠프를 거점으로 활동하며,[82] 수천 명의 민간인을 통제했다. 전성기에는 KPNLF의 무장 부대가 12,000명에서 15,000명으로 추산되었지만, 1984년~1985년 베트남 건기 공세 중 전투와 탈영으로 그 수의 3분의 1이 손실되었다.[83] 그럼에도 불구하고 KPNLF는 소규모 그룹으로 계속 활동하며 게릴라 전술을 사용하여 베트남군과 그들의 캄보디아 동맹군 (캄푸치아 인민 혁명군)을 괴롭혔다.[83]
7. 2. 민주 캄푸치아 연합 정부 (CGDK)
노로돔 시아누크는 크메르 루주와 결별하고 독립, 평화, 중립, 협력을 위한 민족 통일 전선(FUNCINPEC)을 결성했다.[84] 1982년 6월 22일, 시아누크의 FUNCINPEC, 손 산의 크메르 인민민족해방전선(KPNLF), 키우 삼판의 크메르 루주는 태국의 지원을 받아 민주 캄푸치아 연합 정부(CGDK)를 수립했다.[89]CGDK의 내각은 시아누크를 민주 캄푸치아 대통령, 키우 삼판을 외교 담당 부통령, 손 산을 총리로 구성했으며, 내각 아래에는 국방, 경제 및 재정, 사회 복지 및 공중 보건, 군사 및 언론을 담당하는 6개의 별도 위원회가 있었다.[89]
CGDK는 국제 사회에서 캄보디아의 합법 정부로 인정받았으며,[66] 유엔에서 캄보디아를 대표했다. CGDK는 "캄보디아에 관한 국제 회의 및 기타 관련 유엔 총회 결의안의 이행"을 목표로 베트남에 대한 저항을 지속했다.
1986년 4월 10일 평양에서 김일성과 시아누크 간의 회담에서 김일성은 시아누크에게 북한이 그를 캄보디아의 합법적인 국가원수로 계속 여길 것이라고 확신시켰다.[69]
8. 베트남의 개혁과 철군
베트남은 1978년 12월 25일, 친중국 성향의 크메르 루주 정권을 전복시키기 위해 캄보디아를 침공했다. 이 침공은 국제사회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왔고, 베트남은 경제적, 외교적으로 고립되는 상황에 처했다.[231]
1980년대 초, 베트남은 국제사회의 압력과 경제난, 그리고 캄보디아 내 저항 세력의 저항에 직면하여 단계적인 철군을 시작했다. 1982년부터 철군을 시작했지만, 국제적인 검증이 없어 단순한 병력 교체로 여겨졌다.[237] 1984년, 베트남은 K5 계획을 발표하며 캄보디아에서의 군사 작전을 축소하고 캄푸치아 인민 혁명군(KPRAF)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했다.
1986년, 베트남은 도이모이 정책을 채택하며 경제 개혁을 추진하고 외교 관계 다변화를 모색했다.[240] 이와 함께 베트남은 캄보디아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다. 1988년 5월 13일, 베트남 공산당 정치국은 외교 정책에 관한 결의 제13호를 의결하여 베트남의 대외 관계 변화와 다각화를 추진하기로 했다.[241]
1989년 9월, 베트남은 캄보디아에서 완전히 철군했다. 그러나 베트남이 지원하는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정부에 반대하는 무장 저항 세력은 베트남군이 여전히 캄보디아에 남아있다고 주장했다.[244] 이러한 주장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은 1991년 10월 23일 1991년 파리 평화 협정에 서명하며 캄보디아 평화 정착에 기여했다.
9. 파리 평화 협정과 그 이후
1990년 제3차 자카르타 비공식 회의에서 호주가 주도한 캄보디아 평화 계획에 따라 민주 캄푸치아 연합정부(CGDK)와 캄푸치아 인민공화국(PRK) 대표들은 최고국가평의회(SNC)라는 연립 정부를 구성하여 권력 분점에 합의했다. SNC의 역할은 국제 무대에서 캄보디아의 주권을 대표하는 것이었고, 캄보디아 유엔 과도 행정부(UNTAC)는 국민이 선출한 캄보디아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국가 내정을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다.[245] 캄보디아의 평화로 가는 길은 험난했는데, 크메르 루주 지도자들이 총선에 참여하지 않고 유엔 평화유지군을 공격하고 베트남계 이민자들을 살해하는 등 선거 과정을 방해했기 때문이다.[245] 1993년 5월 시아누크의 프놈펜 자유민족 연합당(FUNCINPEC)은 캄푸치아 인민혁명당(KPRP)에서 이름이 바뀐 캄보디아 인민당(CPP)을 누르고 총선에서 승리했다. 그러나 CPP 지도부는 패배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CPP가 대부분의 표를 얻은 캄보디아 동부 지방이 캄보디아에서 분리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러한 결과를 피하기 위해 FUNCINPEC의 지도자 노로돔 라나릿은 CPP와 연립 정부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245] 그 직후 입헌 군주제가 복원되었고, 새로 구성된 캄보디아 정부는 크메르 루주를 불법화했다.[245]
1985년 1월 14일, 훈센은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총리로 임명되어 민주 캄푸치아 연합정부의 여러 파벌과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 1987년 12월 2일부터 4일까지 훈센은 프랑스 페르앙타르드누아에서 시아누크와 만나 캄보디아의 미래를 논의했다.[245] 1988년 1월 20일과 21일에 추가 회담이 열렸고, 훈센은 시아누크에게 즉시 캄보디아로 돌아온다는 조건으로 캄보디아 정부 내 직책을 제안했지만, 시아누크는 이를 거절했다.
1988년 7월 25일, CGDK와 PRK 대표들은 제1차 자카르타 비공식 회의에서 처음으로 만났다. 이 회의에서 시아누크는 휴전, 베트남군 철수를 감독할 유엔 평화유지군 파견, 모든 캄보디아 무장 세력을 단일 군대로 통합하는 3단계 계획을 제안했다.[246] 베트남 외무장관 응우옌꼬 타크는 모든 관련 당사자에게 캄보디아 문제를 내부 문제와 외부 문제로 분리할 것을 촉구했다. 베트남 대표단은 평화 회복을 위해 캄보디아 여러 파벌 간의 내부 논의를 시작하고, 이후 모든 관련 국가와 원탁 회의를 여는 2단계 계획을 제안했다. 베트남의 제안은 채택되었지만,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1989년 2월 19일, 제2차 자카르타 회의에서 호주 외무장관 가레스 에번스는 휴전, 평화유지군 파견, 선거가 치러질 때까지 캄보디아 주권을 유지할 국가 통합 정부 수립을 골자로 하는 캄보디아 평화 계획을 제시했다. 베트남군 철수를 앞두고 평화 협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1989년 4월 29일과 30일, 훈센은 국회 회의를 소집하여 새 헌법을 채택하고, 국가 주권의 모호성을 반영하여 국명을 캄보디아 국가로 변경했다.[247] 불교가 다시 국교로 재확립되었고, 시민들은 사유 재산권을 보장받았다.
1989년 파리에서 제1차 파리 캄보디아 평화 회의가 열리는 동안, 전쟁 당사자 간의 평화 협상은 계속되었다. 1990년 2월 26일, 베트남군 철수 후 제3차 자카르타 비공식 회의가 열렸고, 캄보디아 주권 보호를 위해 최고국가평의회(SNC)가 설립되었다. 처음에는 SNC가 12명으로 구성되고, CGDK 각 파벌에 3석, 친베트남 캄푸치아 인민혁명당에 3석이 배정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훈센은 이러한 구성에 반대하며 CGDK 각 파벌에 6석, 캄푸치아 인민혁명당에 6석을 배정할 것을 요구했다. 1991년 SNC는 유엔 총회에서 캄보디아를 대표하기 시작했다. 이후 훈센은 자신의 당을 민주적인 기관으로 묘사하고 혁명 투쟁을 포기하기 위해 캄푸치아 인민혁명당의 이름을 캄보디아 인민당으로 바꾸는 과감한 조치를 취했다.[248]
1991년 10월 23일, SNC의 캄보디아 여러 파벌은 베트남 및 캄보디아 국제 평화 회의의 15개 회원국과 함께 파리 평화 협정에 서명했다. 캄보디아 국민에게는 20년간의 전쟁과 13년간의 내전이 끝나는 것처럼 보였지만, 캄보디아 여러 파벌 지도자 사이에는 불안한 분위기가 남아 있었다.[249] 크메르 루주를 협정에 포함시키기 위해 주요 강대국들은 1975년부터 1979년까지 민주 캄푸치아 정부의 행동을 설명할 때 '집단 학살'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결과적으로 훈센은 파리 협정이 크메르 루주 정부의 잔혹 행위를 캄보디아 국민에게 상기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완벽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파리 협정에 따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745호에 의해 유엔 캄보디아 과도청(UNTAC)이 설립되었고,[250] UNTAC에는 캄보디아 정부가 민주적으로 선출될 때까지 주요 정책과 행정 업무를 감독할 수 있는 광범위한 권한이 부여되었다.[251]
1992년 3월, 22개국 군대를 포함한 2만 2천 명의 유엔 평화유지군, 6천 명의 관리, 3천 5백 명의 경찰, 1천 7백 명의 민간 직원과 선거 자원봉사자가 도착하면서 UNTAC 임무가 시작되었다. 이 임무는 아카시 야스시가 이끌었다.[255] 1992년 6월, 크메르 루주는 공식적으로 캄푸치아 국민연합당을 설립하고 다가오는 선거에 등록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또한 크메르 루주는 파리 협정에 따른 군대 해제도 거부했다.[256] 크메르 루주는 베트남계 주민이 선거에 참여하는 것을 막기 위해 베트남 민간인을 학살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수십만 명의 베트남인이 캄보디아를 떠났다.[257]
선거를 앞두고 크메르 루주 점령 지역에 진입한 여러 유엔 군사 순찰대가 공격을 받았다.[258] 선거 기간 중 크메르 루주의 지속적인 위협에도 불구하고, 1993년 5월 28일 FUNCINPEC은 45.47%의 득표율로 캄보디아 인민당(38.23%)을 누르고 승리했다.[259] 패배했음에도 훈센은 선거 결과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국방장관 신송은 캄보디아 인민당을 지지했던 캄보디아 동부 지방의 분리 독립을 선포했다. FUNCINPEC 지도자이자 시아누크의 아들인 노로돔 라나릿 왕자는 캄보디아가 분열되지 않도록 캄보디아 인민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는 데 동의했다. 1993년 9월 21일, 캄보디아 제헌 의회는 새 헌법을 승인했고 라나릿은 제1총리가 되었다. 그는 훈센을 제2총리로 임명했다.[260]
1993년 9월 23일, 노로돔 시아누크를 국가원수로 하는 입헌 군주제가 복원되었다.[261] 1994년 7월, 캄보디아 정부는 파리 협정을 지속적으로 위반한 크메르 루주를 불법화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캄보디아 정부가 민주 캄푸치아 시대에 발생한 집단 학살과 잔혹 행위를 구체적으로 인정했다는 것이다.[262] 1998년까지 크메르 루주는 완전히 해체되었다.[121]
10. 영향
베트남-캄보디아 전쟁은 캄보디아와 베트남 양국, 그리고 국제 사회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캄보디아에 대한 영향
- 정치적 혼란과 내전: 1979년 베트남의 침공으로 크메르 루주 정권이 붕괴되고 친베트남 성향의 캄푸치아 인민공화국(PRK)이 수립되었지만, 이후에도 크메르 루주를 비롯한 여러 무장 세력의 저항이 계속되면서 캄보디아는 오랜 내전 상태에 놓였다. 1990년 제3차 자카르타 비공식 회의에서 민주 캄푸치아 연합정부(CGDK)와 PRK는 최고국가평의회(SNC)를 구성하여 권력 분점에 합의했다. 캄보디아 유엔 과도 행정부(UNTAC)의 감독 하에 1993년 총선이 실시되었고, 프놈펜 자유민족 연합당(FUNCINPEC)이 승리했으나, 캄보디아 인민당(CPP)은 패배를 인정하지 않고 분리 독립을 선언하려다 결국 FUNCINPEC과의 연립 정부 구성에 합의했다. 1993년 입헌 군주제가 복원되고, 크메르 루주는 불법화되었다.
- 경제 및 사회 재건의 어려움: 전쟁과 크메르 루주 정권의 학살로 인해 캄보디아의 경제와 사회 기반은 심각하게 파괴되었다. 특히 교육받은 인력의 부족은 국가 재건에 큰 어려움을 초래했다.[60]
- 베트남 점령에 대한 반감: 많은 캄보디아인들은 베트남을 크메르 루주로부터의 해방자로 여기기보다는 점령군으로 인식했다.[78] 베트남 고문들이 캄보디아 정부의 모든 단계에서 활동하며 정책 결정에 깊이 관여했기 때문이다.
- 인권 침해: 베트남과 PRK 정부는 반대 세력을 억압하고 인권을 침해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K5 계획 추진 과정에서 많은 캄보디아인들이 강제 노역에 동원되고 말라리아로 사망했다.[79]
베트남에 대한 영향
- 국제적 고립과 경제적 어려움: 캄보디아 침공은 국제 사회의 비난을 초래했고, 서방 국가들의 원조 중단과 경제 제재로 이어졌다.[92] 베트남 경제는 심각한 어려움을 겪었다.
- 군사적 부담: 베트남은 캄보디아에 대규모 군대를 주둔시키고, 국경 지역에서 크메르 루주를 비롯한 저항 세력과 계속 싸워야 했다. 이는 베트남의 재정 부담을 가중시켰다.[95][96]
- 소련에 대한 의존 심화: 국제적 고립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베트남은 소련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소련 역시 경제 개혁을 추진하면서 베트남에 대한 지원을 줄였다.[98]
- 개혁, 개방 정책 추진: 베트남은 국제적 고립과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도이모이로 알려진 개혁, 개방 정책을 추진했다.[99] 외교 정책에도 변화를 주어 ASEAN을 비롯한 주변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섰다.
- 캄보디아 철군: 1989년 9월, 베트남은 캄보디아에서 군대를 완전히 철수했다.
국제 관계에 대한 영향
- 냉전 구도의 반영: 베트남-캄보디아 전쟁은 냉전 시기 미국, 소련, 중국 등 강대국들의 대리전 양상을 보였다. 미국과 중국은 크메르 루주를 지원했고, 소련은 베트남을 지원했다.
- ASEAN의 역할 증대: ASEAN은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을 비난하고, 크메르 루주를 지지하는 등 캄보디아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 중국-베트남 관계 악화: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은 중국-베트남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 중국은 크메르 루주를 지원하고 베트남을 침공하는 등 군사적 압력을 가했다.
- 베트남의 외교 관계 다변화: 베트남은 국제적 고립에서 벗어나기 위해 중국, ASEAN, 미국 등과의 관계 개선에 나섰다.
10. 1. 베트남의 국제 관계 복귀
베트남은 1989년 9월 캄보디아에서 군대를 철수하면서 국제 사회와의 관계 회복에 힘썼다. 1991년 11월, 베트남 총리 보반켓은 베이징을 방문하여 중국 총리 리펑과 만나 10년간의 단절 끝에 양국 관계를 정상화하는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1990년 1월, 태국 총리 차티차이 추나반은 베트남과 다른 인도차이나 국가들의 ASEAN 가입을 공개적으로 지지했다.[128] 1991년 말부터 1992년 초까지 베트남은 ASEAN 여러 회원국과 관계를 회복했고, 1995년 7월 28일에는 ASEAN의 7번째 회원국이 되었다.[131]
1995년 8월,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이 베트남과의 외교 관계 정상화를 발표하면서 하노이에 있는 미국 연락 사무소가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이를 통해 베트남은 오랜 국제적 고립에서 벗어나 경제 발전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10. 2. 환경 문제
캄보디아와 베트남의 산림 피복은 크메르 루주 정권이 끝난 이후 크게 줄어들었다.[132] 크메르 루주가 몰락한 것은 베트남군이 이 정권을 무너뜨리고 1978년 캄푸치아 인민공화국(PRK)을 세웠기 때문이다.[133] 냉전이 끝날 무렵, 국제적인 지원이 부족해지면서 크메르 루주는 다시 일어서기 어려웠다. 이들은 수입을 늘리고 권력을 되찾기 위해 캄보디아 북서부 태국-캄보디아 국경 지역에 자리를 잡고 목재와 루비를 포함한 캄보디아의 천연자원을 착취하기 시작했다. 동남아시아는 전 세계 열대림의 15%를 차지하며 목재 생산의 중심지이다.[134] PRK도 크메르 루주의 자원 채취 방식을 따라 하면서 정치 세력 간의 경쟁이 벌어졌다.1969년부터 1995년까지 캄보디아의 산림 피복은 73%에서 30~35%로 감소했다. 베트남도 1976년부터 1995년까지 약 300만 헥타르의 산림을 잃었다.[135] 1992년 크메르 루주는 국제적으로 고립되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그해 11월 캄보디아 목재 수출을 금지했다.[136] 중립적인 선거 환경을 만들기 위해 유엔 캄보디아 잠정 통치기구(UNTAC)가 설립되었다.[137] 이 조치는 1993년 1월에 시행되었다.[138] 같은 해 베트남은 벌목 금지령을 내려 크메르 루주가 불법 벌목을 하도록 만들었다. 캄보디아에서 베트남으로의 불법 수출액은 매년 1.3억달러에 달했다.
태국은 UNTAC의 가장 큰 위반국이었다. 당시 태국 정부는 캄보디아산 수입 목재에 대해 프놈펜 정부의 승인을 받은 원산지 증명서를 요구했다. 이 증명서는 크메르 루주 활동 지역에서 나온 목재 1㎥당 35USD의 비용이 들었다. 크메르 루주는 가격을 인상하고 태국어를 배워 태국 목재업자들에게 불법적으로 목재를 판매하여 매달 1000만달러 이상을 벌었다.
런던에 본부를 둔 국제 인권 및 환경 비정부 기구(NGO)인 글로벌 위트니스(Global Witness)[139]는 대량의 캄보디아산 목재 수출을 확인하고 이들을 알렸다. 이들은 미국 외교 운영법 개정을 위한 로비를 벌였다. 이 법이 통과되면서 크메르 루주와 군사적으로 협력하는 국가에는 더 이상 미국의 지원이 제공되지 않게 되었다. 태국은 다음 날 캄보디아와의 국경을 폐쇄했다.
일본은 UNTAC 위반국 중 두 번째로 큰 규모였으며, 캄보디아에서 8,000㎥의 목재를 구매했다. 대한민국을 포함한 다른 46개의 위반국이 확인되었다. 싱가포르와 대만도 포함되었다. 캄보디아 또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생산된 목재는 이들 국가에서 재가공되어 북아메리카, 중동, 아프리카로 판매된다.
PRK는 결국 크메르 루주를 캄보디아 국군에 다시 통합하고 양측 간의 화해를 제안했다. 1996년 8월 크메르 루주의 지역 사령부는 프놈펜으로 돌아왔다. 민주 캄푸치아의 전 총리인 폴 포트[140]와 그의 부하들은 천연자원 채취로 수익을 얻기 위해 북부 지역에 남았다. 그러나 그 집단은 지원 부족으로 무의미해졌다. 1998년까지 크메르 루주는 완전히 해체되었다.
2010년 캄보디아 왕립정부는 장기적으로 캄보디아의 산림 산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국가산림계획(NFP)이라는 산림 관리 계획을 수립했다.[141] 여러 기증자들이 유엔 산림벌채 및 산림황폐화 감축 프로그램(UN-REDD)을 지원했다.[142] UN-REDD 자체는 300만달러 이상을 기부했다.[143] 이 프로젝트는 유엔개발계획(UNDP)의 핵심 자원 배정 목표(UNDP-TRAC)[144]를 통해 500000USD,[143]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UNDP-SFM)[145]를 통해 250000USD,[143] 경관 관리를 통한 보호 지역(UNDP-CALM)[146]을 통해 150000USD,[143] 그리고 식량농업기구(FAO)를 통해 300000USD의 자금을 지원받았다.[143]
산림 및 야생동물국과 캄보디아 나무 씨앗 프로젝트는 캄보디아 왕립정부의 NFP 개발을 공동으로 지원했다.[147] NFP의 목표는 특히 농촌 지역에서 이해 관계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와 보전을 통해 빈곤 완화와 거시경제 성장에 최적으로 기여하는 것이다.
10. 3. 정치적 영향
캄보디아 국민들은 이 전쟁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가지고 있다.[148][149] 일부는 베트남을 크메르 루주로부터의 해방자로 여기는 반면,[150] 다른 일부는 베트남을 침략자로 간주한다.[151] 이러한 인식 차이는 캄보디아 내 캄보디아 민족주의와 반베트남 감정의 고조로 이어지기도 했다.[152]17세기 이후 베트남의 침략과 점령으로 인한 역사적 트라우마는 강경 캄보디아 민족주의자들의 반베트남 감정을 부추기는 요인이 되었다.[152] 아이러니하게도 이전 크메르 루주를 지원했던 중국은 새로운 동맹국으로 떠올랐고, 이는 베트남의 개입 가능성에 대한 우려 속에서 캄보디아-중국 관계를 강화시켰다.[153]
베트남 내에서는 공산 정부와 반공주의자 모두 이 전쟁을 크메르 루주에 의한 집단 학살로부터 캄보디아를 해방시킨 정의로운 전쟁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크메르 루주와 베트콩의 이전 동맹 관계 때문에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었고, 캄보디아-중국 관계 강화에 대해 캄보디아인들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다.[154]
전 세계적으로 캄보디아 전쟁에 대한 반응은 다양했다. 1980년대 베트남 점령에 대한 강력한 반대는 베트남에 대한 제재로 이어졌지만, 2000년 이후 베트남의 주장에 동정적인 견해가 급증했다. 이는 서방 세계와의 베트남 관계 개선과 (중국과 일부 캄보디아 민족주의 단체를 제외한) 전 적대국을 포함한 해외에서의 좋은 평판, 그리고 베트남의 캄보디아인들에 대한 호의에 대한 인식 증가 때문으로 여겨지지만, 논란과 반대도 없지는 않다.[10]
대한민국은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을 줄곧 비판해왔다. 하지만 베트남의 개혁, 개방 이후 양국 관계는 빠르게 발전했으며, 현재 한국과 베트남은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뉴스
Vientiane accuses Thailand of trying to annex part of Laos
https://www.upi.com/[...]
UPI
1988-01-23
[4]
서적
[5]
간행물
SIPRI Yearbook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뉴스
Opinion | Thailand Bears Guilt for Khmer Roug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3-03-24
[10]
웹사이트
A Terrible Conflict – The Cambodian-Vietnamese War
https://www.warhisto[...]
2016-11-04
[11]
웹사이트
Cuộc chiến đấu bảo vệ Tổ quốc trên biên giới Tây Nam của nhân dân Việt Nam (từ ngày 30 -4 -1977 đến 7-1-1979)
https://vufo.org.vn/[...]
2019-01-02
[12]
웹사이트
UCLA demographer produces best estimate yet of Cambodia's death toll under Pol Pot
https://newsroom.ucl[...]
2024-05-20
[13]
논문
State Violence in Democratic Kampuchea (1975–1979) and Retribution (1979–2004)
http://www.tandfonli[...]
2005-03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The Macabresque: Human Violation and Hate in Genocide, Mass Atrocity and Enemy-making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Southeast Asia and ASEAN: National and Regional Approaches
https://books.google[...]
BRILL
2019-01-14
[18]
웹사이트
Kiên Giang soldiers recount a decade in Cambodia
https://vietnamnews.[...]
[19]
뉴스
2.25 Million Cambodians Are Said to Face Starvati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9-08-08
[20]
뉴스
CAMBODIA: Help for the Auschwitz of Asia
http://www.time.com/[...]
Time
1979-11-05
[21]
웹사이트
Butcher of Cambodia set to expose Thatcher's role
https://www.theguard[...]
2000-01-09
[22]
웹사이트
How Thatcher gave Pol Pot a hand
https://www.newstate[...]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Blood and Soil: Modern Genocide 1500–2000
https://books.google[...]
Melbourne University Publishing
[32]
서적
Blood and Soil: Modern Genocide 1500–2000
https://books.google[...]
Melbourne University Publishing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웹사이트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Relationship with the Khmer Rouge in the 1970s: An Ideological Victory and a Strategic Failure
https://www.wilsonce[...]
2024-10-30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웹사이트
Part 3: Collapse of the genocidal regime - A joint victory of Vietnam and Cambodia
https://en.qdnd.vn/m[...]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웹사이트
Bangladesh, Bolivia, Gabon, Jamaica, Kuwait, Nigeria and Zambia: draft resolution
https://digitallibra[...]
1979-01-15
[63]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Official Records: Thirty-Fourth Year — 2112th Meeting: January 15, 1979
https://documents.un[...]
1982-05-04
[64]
서적
[65]
서적
Romania: Politics, Economics and Society : Political Stagnation and Simulated Change
https://books.google[...]
Pinter
1985-02-21
[66]
서적
[67]
서적
The Dragon Roars Back Transformational Leaders and Dynamics of Chinese Foreign Policy.
https://www.worldcat[...]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3
[68]
서적
[69]
서적
Inside Cambodian Insurgency. A Sociological Perspective on Civil Wars and Conflict
Ashgate
2015
[70]
웹사이트
Odd couple: The royal and the Red
http://www.atimes.co[...]
2009-08-15
[71]
서적
An American in Hanoi: America's Reconciliation with Vietnam
https://books.google[...]
EastBridge
2002-02-21
[72]
서적
Europe in Turmoil: The Struggle for Pluralism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1991-09-23
[73]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74]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75]
뉴스
China Quitting Vietnam, Leaving a Trail of Debris
The New York Times
[76]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77]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78]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79]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2005
[80]
웹사이트
The Soviet Invasion of Afghanistan: The Consequences for Afghanistan and the Soviet Union
http://www.paulbogda[...]
Medecins sans Frontières
2017-01-28
[81]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82]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83]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84]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85]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86]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87]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88]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89]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90]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91]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92]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93]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94]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95]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96]
학술지
Soviet Strategy in Southeast Asia: The Vietnam Facto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03
[97]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98]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99]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100]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101]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102]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103]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104]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105]
서적
(페이지 정보만 제공)
[106]
서적
[107]
서적
[108]
서적
[109]
서적
[110]
서적
[111]
서적
[112]
서적
[113]
서적
[114]
서적
[115]
서적
[116]
서적
[117]
서적
[118]
서적
[119]
서적
[120]
서적
[121]
서적
[122]
서적
[123]
서적
[124]
서적
[125]
서적
[126]
서적
[127]
서적
[128]
서적
[129]
서적
[130]
서적
[131]
서적
[132]
서적
[133]
서적
[134]
서적
[135]
서적
[136]
서적
[137]
서적
[138]
서적
[139]
서적
[140]
서적
[141]
서적
Ra et al.
[142]
웹사이트
UN-REDD Annual Report 2012
http://www.kh.undp.o[...]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8-05-25
[143]
웹사이트
Cambodia UN-REDD National Programme
http://www.kh.undp.o[...]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18-05-25
[144]
서적
Mee
[145]
서적
Raison, Brown & Flinn
[146]
서적
Trisurat
[147]
서적
Luoma-Aho et al.
[148]
웹사이트
Why Did Vietnam Overthrow the Khmer Rouge in 1978?
https://www.khmertim[...]
2020-02-07
[149]
웹사이트
Mixed Opinions on Vietnam's Historical Role in Cambodia Spark Debate
https://www.voacambo[...]
2020-02-07
[150]
웹사이트
Cambodia's history honors Vietnamese volunteer soldiers
https://vietnamnet.v[...]
2020-02-07
[151]
웹사이트
The Truth About Anti-Vietnam Sentiment in Cambodia
https://thediplomat.[...]
[152]
웹사이트
Cambodia's Anti-Vietnam Obsession
https://thediplomat.[...]
[153]
논문
Cambodia–China Relations: A Positive-Sum Game?
https://journals.sub[...]
2012-11-07
[154]
웹사이트
The war in Cambodia was a 'war of justice': Vietnamese General
https://vietnamnews.[...]
[155]
논문
In the Shadow of Vietnam: A New Look at North Korea's Militant Strategy, 1962–1970
https://direct.mit.e[...]
2022-08-19
[156]
웹사이트
Thăng trầm trong quan hệ Việt Nam và Bắc Triều Tiên từ sau 1945
https://dongphuongho[...]
2022-08-19
[157]
웹사이트
Việt Nam voices concern about DPRK's missile test
https://vietnamnews.[...]
2022-08-19
[158]
웹사이트
THE MASTERMIND OF THE INDOCHINA FEDERATION STRATEGY OF VIETNAM
https://cambodiatoka[...]
[159]
서적
Swann
[160]
웹사이트
Outside Interference in Vietnamese Affairs Condemned
https://cambodiatoka[...]
1978-07-20
[161]
서적
Thayer
[162]
서적
Morris
[163]
기타
[164]
서적
Thayer
[165]
서적
Khoo
[166]
서적
[167]
서적
[168]
서적
[169]
서적
[170]
서적
[171]
서적
[172]
서적
[173]
서적
Morris
[174]
서적
[175]
서적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180]
서적
[181]
서적
[182]
서적
[183]
서적
[184]
서적
[185]
서적
[186]
서적
[187]
서적
[188]
서적
[189]
서적
[190]
서적
[191]
서적
[192]
서적
[193]
서적
[194]
서적
[195]
서적
[196]
뉴스
MEANWHILE: When the Khmer Rouge came to kill in Vietnam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197]
서적
[198]
서적
[199]
서적
[200]
서적
[201]
서적
[202]
뉴스
ソ連の手を借り侵略 ベトナムを非難
朝日新聞
1978-10-20
[203]
서적
[204]
서적
[205]
서적
[206]
서적
[207]
서적
[208]
서적
[209]
뉴스
北朝鮮のカンボジア支持表明 中国応援の表れか
朝日新聞
1978-07-18
[210]
서적
[211]
뉴스
Xi Jinping mourns 'China's great friend' Sihanouk
https://www.scmp.com[...]
2012-10-16
[212]
서적
null
[213]
서적
null
[214]
뉴스
U.S. to Support Pol Pot Regime For U.N. Seat
https://www.washingt[...]
1980-09-16
[215]
서적
null
[216]
서적
null
[217]
서적
null
[218]
서적
null
[219]
서적
null
[220]
서적
null
[221]
서적
null
[222]
서적
null
[223]
서적
null
[224]
서적
null
[225]
서적
null
[226]
서적
null
[227]
서적
null
[228]
서적
null
[229]
서적
null
[230]
서적
null
[231]
서적
null
[232]
서적
null
[233]
서적
null
[234]
서적
null
[235]
서적
null
[236]
서적
null
[237]
서적
null
[238]
서적
null
[239]
서적
null
[240]
서적
null
[241]
서적
null
[242]
서적
null
[243]
서적
null
[244]
서적
null
[245]
서적
null
[246]
서적
[247]
서적
[248]
서적
[249]
서적
[250]
서적
[251]
서적
[252]
뉴스
1991年11月14日柬埔乐西哈爾克克親水による北京返還金行
http://www.china.com[...]
2009-11-12
[253]
서적
[254]
서적
[255]
서적
[256]
서적
[257]
서적
[258]
서적
[259]
서적
[260]
서적
[261]
서적
[262]
서적
[263]
서적
[264]
서적
[265]
서적
[266]
서적
[267]
서적
[268]
서적
[269]
서적
[270]
서적
[271]
서적
[272]
서적
[273]
서적
[274]
서적
[275]
기타
[276]
서적
[277]
간행물
SIPRI Yearbook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78]
서적
[279]
서적
China's Bloody Century : Genocide and Mass Murder Since 1900 (1991); Lethal Politics : Soviet Genocide and Mass Murder Since 1917 (1990); Democide : Nazi Genocide and Mass Murder (1992); Death By Government (1994)
http://www2.hawaii.e[...]
[280]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 A Statistical Reference to Casualty and Other Figures, 1618-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