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일의 법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일의 법칙은 온도와 질량이 일정할 때 기체의 압력과 부피가 반비례한다는 법칙이다. 17세기 로버트 보일이 실험을 통해 발견했으며, 프랑스의 에듬 마리오트도 독립적으로 같은 법칙을 발견하여 보일-마리오트의 법칙으로 불리기도 한다. 보일의 법칙은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를 설명하며, 수학적으로 PV = k (P: 압력, V: 부피, k: 상수)로 표현된다. 실제 기체는 높은 압력에서 보일의 법칙에서 벗어나지만, 낮은 압력에서는 근사적으로 성립한다. 보일의 법칙은 인간의 호흡과 같은 다양한 현상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피 - 톤수
톤수는 선박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양한 측정 단위로, 화물의 질량, 용적, 자산 가치 등을 기준으로 하며, 운송료, 세금 등 선박 관련 비용과 규제에 영향을 미친다. - 부피 - 몰부피
몰부피는 물질 1몰이 차지하는 부피로, 몰 질량을 밀도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며, 이상 기체의 경우 표준 온도 압력에서 약 22.4 L/mol의 값을 가진다. - 기체 법칙 - 샤를의 법칙
샤를의 법칙은 일정한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가 절대 온도에 비례한다는 법칙으로, 여러 과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재확인되었으며, 기체 온도계 개발, 절대 온도 정의, 기체 분자 운동론 이해에 기여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기체 법칙 - 기체 반응의 법칙
기체 반응의 법칙은 기체들이 반응하여 새로운 기체를 만들 때 반응하는 기체와 생성되는 기체의 부피 사이에 간단한 정수비가 성립한다는 법칙으로, 게이뤼삭에 의해 발견되었고 아보가드로의 분자설을 통해 설명될 수 있으며, 여러 하위 법칙을 포함하여 이상 기체 법칙으로 일반화된다. - 과학 법칙 - 만유인력의 법칙
만유인력의 법칙은 모든 질량을 가진 물체들이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에 대한 법칙으로, 뉴턴은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제시했으며,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설명하고 뉴턴 역학의 기초가 되었으나, 일반 상대성 이론이 등장하면서 저중력 한계로 여겨진다. - 과학 법칙 - 불확정성 원리
불확정성 원리는 1927년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발표한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로,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 등 짝을 이루는 물리량들을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두 물리량의 불확정성은 플랑크 상수에 의해 제한된다.
보일의 법칙 | |
---|---|
보일의 법칙 | |
![]() | |
개요 | |
유형 | 기체 법칙 |
설명 | 일정 온도에서 기체의 압력과 부피는 반비례한다. |
수식 | |
수식 | PV = k |
P | 압력 |
V | 부피 |
k | 상수 |
역사 | |
발견자 | 로버트 보일 |
발표년도 | 1662년 |
관련 법칙 | |
관련 법칙 | 이상 기체 법칙 샤를의 법칙 게이뤼삭의 법칙 아보가드로의 법칙 |
일본어 | |
일본어 명칭 | ボイルの法則 |
로마자 표기 | Boiru no hōsoku |
한국어 | |
한국어 명칭 | 보일의 법칙 |
2. 역사
압력과 부피 사이의 관계는 17세기 리처드 토우넬리와 헨리 파워가 처음으로 기록을 남겼다.[20][21] 로버트 보일은 실험을 통해 그들의 발견을 확증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이 때 보어의 실험기구를 제작해 준 사람으로 로버트 후크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보일의 법칙은 공기를 가지고 한 실험에 기반한다. 보어는 공기를 보이지 않는 작은 스프링들로 고정된 입자로 보았다. 당대에 공기는 여전히 4원소 중 하나로 간주되었으나, 보일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보일은 생명에 필수적 원소로서의 공기를 주로 연구했으며[22] 연구 활동의 일환으로 공기가 없을 때 식물의 생장에 대한 논문을 출판하였다.[23] 보일은 막힌 J 모양의 유리관에서 한쪽에 수은을 부은 후 다른 쪽에 공기를 눌러서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수은의 양도 바꾸어가고 통제변인을 적절히 설정하여 수 차례 실험한 결과, 보일은 기체의 압력은 그 기체가 차지한 부피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1662년에 논문으로 발표한다.[24] 1672년에는 프랑스의 물리학자 에듬 마리오트(1620-1684)는 보일과는 별개로 같은 법칙을 발견한다.[25] 보일의 법칙이 영미권에서 마리오트의 법칙 또는 보일-마리오트의 법칙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까닭이 바로 그것이다. 후에 아이작 뉴턴은 1687년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에서 탄성력이 있는 유체의 보이지 않는 입자가 서로 척력이 작용할 때 밀도가 압력에 정비례해야 한다고 논증했으나 실험 결과에 대한 물리적인 설명은 아니었다.[26] 유체에 대한 정적 모델 대신 19세기 말엽에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과 루트비히 볼츠만에 의해 기체분자운동론이 등장함으로써 기체의 부피와 압력의 관계가 더 정밀한 방정식으로 서술된다.
2. 1. 보일의 법칙 발견
압력과 부피 사이의 관계는 17세기 리처드 토우넬리와 헨리 파워가 처음으로 기록을 남겼다.[20][21] 로버트 보일은 실험을 통해 그들의 발견을 확증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보일의 실험기구를 제작해 준 사람은 로버트 후크였다고 전해진다. 보일의 법칙은 공기를 가지고 한 실험에 기반한다. 보어는 공기를 보이지 않는 작은 스프링들로 고정된 입자로 보았다. 보일은 생명에 필수적 원소로서의 공기를 주로 연구했으며[22] 연구 활동의 일환으로 공기가 없을 때 식물의 생장에 대한 논문을 출판하였다.[23] 보일은 막힌 J 모양의 유리관에서 한쪽에 수은을 부은 후 다른 쪽에 공기를 눌러서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수은의 양도 바꾸어가고 통제변인을 적절히 설정하여 수 차례 실험한 결과, 보일은 기체의 압력은 그 기체가 차지한 부피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1662년에 논문으로 발표한다.[24]
1679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에듬 마리오트(1620-1684)는 보일과는 별개로 같은 법칙을 발견했다.[25][11] 보일의 법칙이 영미권에서 마리오트의 법칙 또는 보일-마리오트의 법칙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까닭이 바로 그것이다.
후에 아이작 뉴턴은 1687년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에서 탄성력이 있는 유체의 보이지 않는 입자가 서로 척력이 작용할 때 밀도가 압력에 정비례해야 한다고 논증했으나 실험 결과에 대한 물리적인 설명은 아니었다.[26] 유체에 대한 정적 모델 대신 19세기 말엽에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과 루트비히 볼츠만에 의해 기체분자운동론이 등장함으로써 기체의 부피와 압력의 관계가 더 정밀한 방정식으로 서술된다.
2. 2. 기체분자운동론의 발전
17세기에는 기술적 한계로 인해 보일의 법칙 예외를 관찰하기 어려웠으나, 이후 기술 발전으로 실제 기체 연구가 필요해졌다.[29] 압축인자를 도입하여 실제 기체와 이상 기체의 차이를 해결했다.보일과 마리오트는 실험을 통해 법칙을 발견했지만, 분자 운동과 완전탄성충돌을 가정하여 이론적으로 유도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당시 실증주의 과학계는 이를 순전히 이론적인 논증으로만 여겼다.[30]
1737년경 다니엘 베르누이는 뉴턴 운동 법칙을 분자 수준에 적용하여 보일의 법칙을 유도했으나, 1845년 존 제임스 워터스톤이 기체분자운동론의 주요 수칙을 발표하기 전까지 무시되었다. 이후 제임스 프레스콧 줄, 루돌프 클라우지우스, 루트비히 볼츠만의 연구로 기체분자운동론이 확립되면서 베르누이와 워터스톤의 업적이 재조명받기 시작했다.[30][15]
원자론 지지자들과 열역학자들 간의 논쟁은 볼츠만이 1898년에 책을 쓰는 계기가 되었으나, 1906년 자살할 때까지 비판을 받았다.[31][15] 190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기체분자운동론이 브라운 운동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고, 장 바티스트 페랭이 이를 확증했다.[31][15]
3. 정의
질량과 온도가 일정할 때 이상기체의 압력과 기체의 부피는 반비례한다는 것이 보일의 법칙의 핵심이다.[27][28]
이 법칙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량의 이상 기체의 경우, 압력과 부피는 반비례한다.[2]
보일의 법칙은 기체 법칙의 하나로, 기체의 압력과 부피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부피가 증가하면 압력은 감소하고, 반대로 부피가 감소하면 압력은 증가한다.
따라서 부피가 절반으로 줄어들면 압력은 두 배가 되고, 부피가 두 배로 증가하면 압력은 절반으로 줄어든다.
온도 와 압력 의 평형 상태에 있는 이상기체의 부피 는
:
또는
:
으로 표현된다. 일정한 온도 하에서는 부피와 압력의 곱이 일정하다[17]. 즉, 온도가 같은 두 상태 1, 2에 대해
:
가 성립한다.
이상기체의 경우 모든 압력 영역에서 역비례 관계가 성립하지만, 실제 기체에서는 압력이 높은 영역에서는 이 관계에서 벗어난다. 하지만, 충분히 압력이 낮은 영역에서는 근사적으로 성립한다. 이것은 극한을 이용하여
:
으로 표현된다.
이상기체는 그 분자 자체의 크기와 분자간 힘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지만, 실제 기체에서는 그러한 영향을 완전히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보일의 법칙은 기체가 온도가 일정할 때 압력을 높이면 부피가 얼마든지 작아진다는 것을 보여주지만, 실제로는 그러한 일은 일어날 수 없다. 실제 기체는 어느 정도의 압력을 초과하면 기체가 액화 또는 승화하여 액체나 고체가 되어 더 이상 기체의 성질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
3. 1. 이상 기체와 실제 기체
이상 기체는 분자 자체의 크기와 분자 간 상호작용을 무시한 가상의 기체이다. 실제 기체는 이상 기체와 달리 분자 자체의 크기와 분자 간 상호작용이 존재한다.[14] 대부분의 기체는 중간 정도의 압력과 온도에서 이상 기체처럼 거동한다. 그러나 기술 발전으로 더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를 얻을 수 있게 되면서 이상 기체에서 벗어나는 현상이 나타났고, 압력과 부피의 관계는 실제 기체 이론을 이용해야만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게 되었다.[14]낮은 압력에서는 실제 기체도 이상 기체와 유사하게 행동하며, 보일의 법칙이 잘 성립한다. 하지만 높은 압력에서는 실제 기체는 이상 기체와 차이를 보이며, 보일의 법칙에서 벗어난다. 이는 실제 기체에서는 분자 자체의 크기와 분자 간 상호작용의 영향이 완전히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실제 기체는 어느 정도의 압력을 초과하면 기체가 액화 또는 승화하여 액체나 고체가 되어 더 이상 기체의 성질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17]
보일(그리고 마리오트)은 실험만으로 이 법칙을 유도했다. 이 법칙은 원자와 분자의 존재와 운동 및 완전 탄성 충돌에 대한 가정을 기반으로 이론적으로도 유도할 수 있다(기체 운동론 참조). 다니엘 베르누이는 (1737~1738년에) 분자 수준에서 뉴턴의 운동 법칙을 적용하여 보일의 법칙을 유도했다. 그러나 이는 1845년경 존 워터스턴이 기체 운동론의 주요 원리를 담은 논문을 발표할 때까지 무시되었다. 그 후 제임스 프레스콧 줄, 루돌프 클라우지우스, 특히 루트비히 볼츠만의 연구는 기체 운동론을 확고히 하였다.[15]
3. 2. 기체분자운동론
기체분자운동론은 기체의 성질을 분자 수준에서 설명하는 이론이다. 기체 분자들은 끊임없이 무작위 운동을 하며, 서로 완전 탄성 충돌을 한다고 가정한다.[29] 이 이론으로 보일의 법칙을 유도할 수 있다.[30]다니엘 베르누이는 1737년 즈음에 분자 수준에서 뉴턴 운동 법칙을 적용하여 보일의 법칙을 얻어냈지만, 1845년 존 제임스 워터스톤이 운동론의 주요 수칙들을 세운 논문을 출판하기 전까지 영국 왕립학회에서 철저하게 무시되었다.[30] 이후 제임스 프레스콧 줄, 루돌프 클라우지우스의 연구와 루트비히 볼츠만에 의해 기체분자운동론이 확립되면서 베르누이와 워터스톤의 업적들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30][15]
원자론 지지자들과 열역학자들 사이의 논쟁은 볼츠만이 1898년에 책을 쓰게 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으나, 1906년에 자살할 때까지 이 책에 대한 많은 비판을 견뎌야만 했다.[31][15]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1905년에 기체분자운동론이 유체들에 매달린 입자들의 브라운 운동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였고, 장 바티스트 페랭은 1908년에 이를 실험적으로 확증하면서 기체분자운동론이 더욱 널리 받아들여졌다.[15]
4. 방정식
보일의 법칙은 수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PV'' = ''k''
온도가 일정하다면 계가 작동할 때 보유하는 에너지의 양은 불변하고, ''k'' 역시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압력의 사전적 정의인 "수직 방향으로 적용되는 힘"과 충돌이론상의 정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엄밀하게 말하자면 ''k''가 일정한 값으로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처음 측정했을 때의 온도를 유지하고, 기체의 양을 유지하면서 기체의 부피만을 증가시킬 때 압력은 이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기체의 유출만 없다면 처음 상태와 최종 상태의 압력과 부피의 곱은 항상 동일하다. 이를 방정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P1V1 = P2V2
P1과 V1는 처음 상태의 압력과 부피를, P2과 V2는 최종 상태의 압력과 부피를 의미한다.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 게이뤼삭의 법칙을 모두 결합한 법칙이 결합 기체 법칙이다. 아보가드로의 법칙과 결합된 세 가지 기체 법칙은 이상 기체 법칙에 의해 일반화될 수 있다.
이상기체의 경우 모든 압력 영역에서 역비례 관계가 성립하지만, 실제 기체에서는 압력이 높은 영역에서는 이 관계에서 벗어난다. 하지만, 충분히 압력이 낮은 영역에서는 근사적으로 성립한다. [17] 실제 기체는 어느 정도의 압력을 초과하면 기체가 액화 또는 승화하여 액체나 고체가 되어 더 이상 기체의 성질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
5. 보일 온도
실제 기체에서 보일의 법칙과의 차이를 압력 ''p''의 멱급수로 나타낼 때, 1차 보정항이 0이 되는 온도를 '''보일 온도'''라고 한다.[19] 보일 온도에서는 압축 인자 ''Z''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압력이 0에 가까워질 때, 압축 인자는 다른 온도보다 빨리 1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보일 온도에서는 더 높은 압력 영역까지 보일의 법칙에 의한 근사가 적용될 수 있다.[19]
일반적인 온도에서는 압력을 0에 가깝게 해도 기체의 성질은 완전히 이상 기체의 것과 일치하지 않는다. 하지만 보일 온도에서는 압력이 0에 가까울 때의 1계 미분 계수가 이상 기체의 것과 같은 1이 되고, 실제 기체의 성질은 이상 기체와 완전히 일치한다.[19]
다음은 몇몇 기체의 보일 온도를 나타낸 표이다.
6. 응용
6. 1. 인간의 호흡
사람의 호흡계통이 작동하는 원리 역시 보일의 법칙을 따른다. 폐의 부피가 증가하고 감소할 때 폐 속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고 높아지는 것이 바로 이 법칙에 의한 현상이다.[32] 이처럼 폐 내부 공기의 압력과 외부 환경 사이에 압력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결국 공기가 높은 압력에서 낮은 압력으로 움직임에 따라 숨을 들이마시고 내뱉는 것이 가능해진다.[32][16]6. 2. 기타 응용
참조
[1]
서적
Physical Chemistry
McGraw-Hill
[2]
서적
Physical Chemistry
[3]
논문
Robert Boyle's landmark book of 1660 with the first experiments on rarified air
2005-01-01
[4]
서적
A Defence Of the Doctrine touching the Spring and Weight Of the Air
https://bvpb.mcu.es/[...]
[5]
간행물
The discovery of Boyle's law, and the concept of the elasticity of air in seventeenth century
[5]
간행물
Richard Towneley and Boyle's Law
[5]
서적
A Defence of the Doctrine Touching the Spring and Weight of the Air
http://bvpb.mcu.es/e[...]
[6]
서적
Physics, the Human Adventure: From Copernicus to Einstein and Beyond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7]
서적
A Defence of the Doctrine Touching the Spring and Weight of the Air
http://bvpb.mcu.es/e[...]
[8]
웹사이트
The Boyle Papers BP 9, fol. 75v–76r
http://www.bbk.ac.uk[...]
2009-11-22
[9]
웹사이트
The Boyle Papers, BP 10, fol. 138v–139r
http://www.bbk.ac.uk[...]
2009-11-22
[10]
서적
Scientists and Inventors of the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11]
간행물
Essais de Physique, ou mémoires pour servir à la science des choses naturelles
http://babel.hathitr[...]
[11]
간행물
Oeuvres de Mr. Mariotte, de l'Académie royale des sciences
http://babel.hathitr[...]
[11]
간행물
Sur la nature de l'air
https://archive.org/[...]
[11]
간행물
Essais de physique
https://books.google[...]
1679-11-20
[12]
잡지
The Re-Designed Solar System
https://archive.org/[...]
1966-06-01
[13]
서적
Principia
[14]
서적
Physical Chemistry
[15]
서적
Physical Chemistry
[16]
서적
Principles of Anatomy and Physiology
John Wiley & Sons, Inc.
[17]
웹사이트
アトキンス『物理化学』
[18]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19]
웹사이트
アトキンス『物理化学』第10版
[20]
간행물
The discovery of Boyle's law, and the concept of the elasticity of air in seventeenth century
[20]
간행물
Richard Towneley and Boyle's Law
[20]
서적
A Defence of the Doctrine Touching the Spring and Weight of the Air
http://bvpb.mcu.es/e[...]
[21]
서적
Physics, the Human Adventure: From Copernicus to Einstein and Beyond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The Boyle Papers BP 9, fol. 75v–76r
http://www.bbk.ac.uk[...]
2009-11-22
[23]
웹사이트
The Boyle Papers, BP 10, fol. 138v–139r
http://www.bbk.ac.uk[...]
2009-11-22
[24]
서적
Scientists and Inventors of the Renaissance
https://books.google[...]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5]
간행물
Essais de Physique, ou mémoires pour servir à la science des choses naturelles
http://babel.hathitr[...]
[25]
간행물
Oeuvres de Mr. Mariotte, de l'Académie royale des sciences
http://babel.hathitr[...]
[25]
간행물
Sur la nature de l'air
https://archive.org/[...]
[25]
간행물
Essais de physique
https://books.google[...]
1679-11-20
[26]
서적
Principia
[27]
서적
Physical Chemistry
McGraw-Hill
[28]
서적
Physical Chemistry
[29]
서적
Physical Chemistry
[30]
서적
Physical Chemistry
[31]
서적
Physical Chemistry
[32]
서적
Principles of Anatomy and Physiology
John Wiley & Sons,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