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현산천문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현산천문대는 1996년 4월에 준공된 대한민국 천문대로, 1.8m 반사망원경을 비롯한 다양한 관측 장비를 갖추고 천체 관측 연구를 수행한다. 1985년부터 건설이 추진되었으며, 2000년 소행성 '보현산'을 발견하는 등 소행성 탐사, 외계 행성 탐색, 블랙홀 연구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천문학자들의 관측 시설 사용 신청을 받아 연구를 지원하며, 일반인을 위한 전시관 운영 및 주간 공개 행사를 진행한다. 1만원 지폐 뒷면에 1.8m 망원경이 대한민국 현대과학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천시 - 영천 전투
    영천 전투는 6.25 전쟁 중 조선인민군이 영천을 점령한 후 대한민국 국군과 벌인 치열한 전투로, 국군의 반격과 미군의 지원으로 북한군을 섬멸하며 전세를 역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영천시 - 영천시립도서관
    영천시립도서관은 1985년 개관하여 2014년 신축된 경상북도 영천시의 공공 도서관으로, 종합자료실, 어린이자료실, 디지털자료실, 열람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2017년 평화의 소녀상이 건립되었다.
  • 대한민국의 천문대 - 국립과천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은 2008년 경기도 과천시에 개관한 미래지향적 디자인의 과학관으로, 기초과학, 자연사, 전통과학, 첨단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천문우주관과 야외 전시관을 포함하고 전국 과학관 네트워크 구축 사업을 수행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에 있다.
  • 대한민국의 천문대 - 천안홍대용과학관
    천안홍대용과학관은 2014년에 개관한 과학관으로, 3D 천체투영관, 상설전시실, 별빛전망대 등을 갖추고 전시 관람, 천체 관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1996년 설립 -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학번역원은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위해 번역 및 출판 지원, 국제 교류, 번역 교육, 정보 서비스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기관이다.
  • 1996년 설립 - 코스닥
    코스닥은 대한민국의 중소·벤처기업 주식 시장으로, 기술 중심 기업의 자금 조달과 투자 기회 제공을 목표로 1996년 설립되어 성장과 침체를 거듭하며 제약, 바이오, IT 등 성장 산업군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보현산천문대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기관한국천문연구원
위치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정각리
좌표동경 128도 58분 35.68초, 위도 36도 9분 53.19초
고도해발 1,124미터
설립1996년 4월
홈페이지보현산천문대 홈페이지
연구 분야
연구 분야항성
성단
성운
은하 등의 생성과 진화 연구
망원경
망원경 1 이름1.8m 반사망원경
망원경 2 이름태양 플레어 망원경

2. 역사

1985년부터 보현산천문대 건설이 추진되었다. 1992년 보현산 도로 건설을 시작으로, 1996년 4월에 보현산천문대가 준공되었다. 1970년대에 건설된 소백산천문대에서 지름 61cm 망원경에 의존하여 관측 천문학 연구를 수행해오던 한국 천문학계는 대형 관측 장비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던 상황이었다. 보현산천문대는 1.8m 반사망원경 및 천문 연구용 측광, 분광 관측장비를 개발하여 천체 관측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14년 현재 '4k CCD 카메라'와 '적외선 이미징 카메라(KASINICS)', '고분해능 에셀분광기(BOES)'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간에는 태양 플레어 망원경으로 태양 관측도 수행하고 있다.

2000년에 발견한 소행성에 "보현산"이라고 이름지었다.[1] 그 이후 이 천문대에서 발견된 소행성은 "허준", "김정호", "이순지" 등 역사 속 학자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5년 1월부터 일본의 오카야마 천체물리 관측소와 협력하여 도플러 이동을 이용한 태양계 외 행성 탐색을 진행하고 있다. 이 첫 번째 성과로 2009년에는 G형 거성 HD 119445에서 갈색 왜성 질량의 동반 천체가 발견되었고[2], 2012년에는 G형 거성 HD 100655에서 행성이 발견되었다.[3]

3. 관측 장비

보현산천문대는 1.8m 반사망원경과 태양 플레어 망원경 등 다양한 관측 장비를 갖추고 있다. 관측 기기에는 4k CCD 카메라, BOES(Bohyunsan Optical Echelle Spectrograph), KASINICS (KASI Near-Infrared Camera System) 등이 있다.

3. 1. 망원경

보현산천문대에는 다음과 같은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다.

종류설명
1.8m 반사망원경리치-크레티앙 방식 반사망원경, 프랑스제
태양 플레어 망원경구경 20cm 2대, 구경 15cm 2대 (총 4대)



관측 기기는 다음과 같다.

종류설명
가시광 측광 관측기기4k CCD 카메라
가시광 분광 관측기기BOES(Bohyunsan Optical Echelle Spectrograph)
적외선 측광 관측기기KASINICS (KASI Near-Infrared Camera System)


3. 2. 관측 기기

보현산천문대에는 다음과 같은 관측 기기들이 있다.[1]

  • 1.8m 반사망원경: 리치-크레티앙 방식이며, 프랑스에서 제작되었다.
  • 가시광 관측 기기:
  • 4k CCD 카메라
  • BOES (Bohyunsan Optical Echelle Spectrograph)
  • 적외선 관측 기기: KASINICS (KASI Near-Infrared Camera System)
  • 태양 플레어 망원경: 구경 20cm 2대, 구경 15cm 2대 (총 4대)

4. 연구 활동

보현산천문대의 1.8m 망원경은 국내에서 가장 크지만, 국제적으로는 중형급이다. 한반도의 날씨 때문에 관측 가능한 날이 많지 않아, 날씨 영향을 덜 받는 분광 관측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2000년에 소행성을 발견하여 "보현산"(34666 Bohyunsan)이라고 명명했다.[1] 그 이후 이 천문대에서 발견된 소행성은 "허준", "김정호", "이순지" 등 역사 속 학자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5년 1월부터 일본의 오카야마 천체물리 관측소와 협력하여 도플러 이동을 이용한 태양계 외 행성 탐색을 진행하고 있다. 이 첫 번째 성과로 2009년에는 G형 거성 HD 119445에 갈색 왜성 질량의 동반 천체 발견이 보고되었으며[2], 2012년에는 G형 거성 HD 100655에 행성을 발견했다.[3]

4. 1. 주요 연구 실적

2011년 3월 28일 38억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평범한 은하의 중심부가 갑자기 밝아지는 현상이 발견된 이후 Swift J1644+57로 명명된 이 천체의 밝기가 시시각각 변하는 모양을 국제공동관측으로 분석하였다. 보현산천문대는 KASINICS를 이용하여 거대질량 블랙홀(super-massive black hole)이 별을 삼키는 장면을 포착하였다. 연구를 통해 이 현상은 그 은하 중심부에 위치한 거대질량 블랙홀의 강한 중력에 의해 산산조각난 별의 잔해가 블랙홀로 떨어질 때 블랙홀에서 강한 광선다발이 특정방향으로 뿜어져 나오고 있는 것임을 밝혀냈다. 이 연구결과는 2011년 8월 25일자 네이처지에 발표되었다.

2000년에 소행성을 발견하여 "보현산(34666 Bohyunsan)"이라고 명명했다.[1] 그 이후 이 천문대에서 발견된 소행성은 "허준", "김정호", "이순지" 등 역사 속 학자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5년 1월부터 일본의 오카야마 천체물리 관측소와 협력하여 도플러 이동을 이용한 태양계 외 행성 탐색을 진행하고 있다. 이 첫 번째 성과로 2009년에는 G형 거성 HD 119445에 갈색 왜성 질량의 동반 천체 발견이 보고되었으며[2], 2012년에는 G형 거성 HD 100655에 행성을 발견했다.[3]

5. 관측 신청

보현산천문대의 관측 시설은 천문학자들의 전문적인 천체 관측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매년 2회에 걸쳐 미리 천문학자들로부터 관측 시설 사용 신청을 받으며, 접수된 신청들은 한국천문연구원 내/외부 인사로 구성된 '관측시간 배정위원회(TAC)'의 심의를 거쳐, 선택된 연구과제에 한해 관측시설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6. 일반인 관람/견학

보현산천문대는 천문학자가 아닌 일반인들을 위해 보현산 정상에 전시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동절기를 제외한 기간에 매달 한 번씩 일반인을 위한 주간공개행사를 개최한다. 천체 관측연구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 해가 진 이후 야간에는 보현산 천문대로의 차량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므로, 관람/방문객들은 반드시 일몰 이전에 산을 내려가야 한다.[1]

7. 1만원권 지폐

2007년에 발행된 10000원 지폐 뒷면에는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을 대표하는 과거와 현대의 여러 연구 장비들이 들어 있다. 그중에는 국보급 유물들과 함께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이 대한민국의 현대 과학을 상징하며 자리하고 있다.[4]

2007년 1월에 발행된 한국의 신 1만 지폐 뒷면에는 혼천의와 천문도 「천상열차분야지도」와 함께, 보현산 천문대의 1.8m 망원경이 그려져 있다.[4]

참조

[1] 웹사이트 (34666) Bohyunsan = 2000 XA14 = 1998 MB5 https://minorplanetc[...] MPC 2021-09-08
[2] 문서 岡山天体物理観測所50周年記念誌 p.94 http://www.oao.nao.a[...]
[3] 웹사이트 論文紹介:中質量巨星HD100655を周回する惑星の発見 http://www.oao.nao.a[...] 岡山天体物理観測所 2012-01-01 # 날짜 정보가 년도만 있으므로 01-01로 설정
[4] 웹사이트 高句麗天文図が呼吸する新1万ウォン札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7-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