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0원 지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000원 지폐는 대한민국에서 통용되는 지폐로, 여러 차례 디자인 변경을 거쳐 발행되었다. 1973년 가권부터 2007년 바권까지 다양한 도안과 크기로 제작되었으며, 세종대왕 초상, 경복궁 근정전, 경회루, 혼천시계 등 한국을 대표하는 이미지들이 사용되었다. 지폐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 숨은 그림, 요판 인쇄, 부분 노출 은선, 홀로그램 패치 등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발행 시기별로 위조 방지 기술이 지속적으로 강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000 단위 지폐 - 10000엔 지폐
10000엔 지폐는 일본 최고액권 지폐로, 약 20년 주기로 디자인을 변경하며 역사적 인물, 건축물 등을 도안으로 사용하고 위조 방지 기술을 강화하며 유통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대한민국 원 지폐 - 1000원 지폐
1000원 지폐는 대한민국의 통화로, 다양한 위조 방지 기술이 적용되어 발행된다. - 대한민국 원 지폐 - 50000원 지폐
50000원 지폐는 대한민국의 고액권 지폐로, 신사임당 초상화와 다양한 위변조 방지 기술을 적용하여 2009년에 디자인이 공개되었으며, 고액 자기앞수표 대체 등의 장점과 암거래, 물가 상승 등의 단점을 가진다. - 조선 세종 - 김종서 (1383년)
김종서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 학자로, 육진을 개척하고 국경을 확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신으로서도 활약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되었다. - 조선 세종 -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찬불가이자 훈민정음 창제 후 초기 한글 활자본으로, 석가모니의 공덕과 교화를 담고 있으며 국보 제320호로 지정된 조선 전기 국어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10000원 지폐 | |
---|---|
지폐 정보 | |
액면 | 10000원 |
나라 | 대한민국 |
가치 | 10000 |
단위 | 대한민국 원 |
가로 | 148 |
세로 | 68 |
위조 방지 | 숨은그림(은화) 돌출은화 홀로그램 패치 앞뒤판맞춤 요판 인쇄 숨은막대 숨은은선(은선) 미세문자(요판 미세문자, 평판 미세문자) 요판 잠상 시변각잉크 형광인쇄 |
종이 종류 | 목화 섬유 |
인쇄 년도 | 2007년~현재 |
앞면 | |
![]() | |
앞면 디자인 | 세종대왕의 초상화, 《일월오봉도》, 《용비어천가》 |
앞면 디자인 날짜 | 2006년 5월 18일 |
뒷면 | |
![]() | |
뒷면 디자인 | 혼천시계, 천상열차분야지도, 보현산천문대 망원경 |
뒷면 디자인 날짜 | 2006년 5월 18일 |
2. 도안 변천사
10,000원권 지폐는 1973년 최초 발행된 이후 여러 차례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권종 | 최초 발행 | 발행 정지 | 색상 | 크기(mm) | 앞면 도안 | 뒷면 도안 |
---|---|---|---|---|---|---|
가권 | 1973.6.12 | 1981.11.10 | 갈색 | 171 × 81 | 세종대왕, 무궁화 | 경복궁 근정전 |
나권 | 1979.6.15 | 1993.5.12 | 초록색 | 가권하고 비슷 | 세종대왕, 자격루, 용 | 경복궁 경회루, 무궁화 |
다권 | 1983.10.8 | 2016.6.1 | 연두색 | 161 × 76 | 세종대왕, 용, 자격루 | 경복궁 경회루 |
라권 | 1994.1.20 | 2016.6.1 | 연두색 | 다권하고 동일 | 세종대왕, 용, 자격루 | 경복궁 경회루 |
마권 | 2000.6.19 | 2016.6.1 | 연두색 | 다권하고 동일 | 세종대왕, 용, 자격루 | 경복궁 경회루 |
바권 | 2007.1.22 | 초록색 | 148 × 68 | 세종대왕, 일월오봉도, 용비어천가 | 혼천시계, 천상열차분야지도, 보현산천문대 망원경 |
초기에는 세종대왕과 경복궁을 중심으로 도안이 구성되었으나, 이후 자격루, 혼천시계 등 과학적인 요소가 추가되었다. 2007년 발행된 바권은 전통과 과학의 조화를 꾀한 디자인으로 평가받는다.
2. 1. 가권 (1973년)
권종 | 최초 발행 | 발행 정지 | 색상 | 크기(mm) | 앞면 도안 | 뒷면 도안 |
---|---|---|---|---|---|---|
가권 | 1973.6.12 | 1981.11.10 | 갈색 | 171 × 81 | ![]() | ![]() |
가권은 최초로 발행된 10,000원권 지폐이다. 세종대왕 초상과 경복궁 근정전을 주요 도안으로 사용했으며, 갈색을 주조색으로 사용했다. 크기는 171 × 81mm였다.
2. 2. 나권 (1979년)
1979년 6월 15일에 최초로 발행되었으며, 1993년 5월 12일에 발행이 정지되었다. 초록색을 주조색으로 사용하였으며, 크기는 가권과 비슷하다. 앞면에는 세종대왕 초상과 함께 자격루, 용을 넣어 과학적인 면모를 강조하였다. 뒷면에는 경복궁 경회루와 무궁화가 그려져 있다.

2. 3. 다권 (1983년)
다권 지폐는 1983년 10월 8일에 최초로 발행되었으며, 2016년 6월 1일까지 발행되었다. 앞면 도안은 세종대왕, 용, 자격루를 유지하였고, 뒷면 도안은 경복궁 경회루를 채택하였다. 연두색을 사용하였으며, 크기는 161 × 76mm로 변경되었다.

2. 4. 라권 (1994년)
라권은 1994년 1월 20일에 최초로 발행되었으며, 2016년 6월 1일까지 발행되었다.[1] 다권과 동일한 도안과 크기를 유지하면서, 위변조 방지 요소를 강화하였다.[1]권종 | 최초 발행 | 발행 정지 | 색상 | 크기(mm) | 앞면 도안 | 뒷면 도안 |
---|---|---|---|---|---|---|
라권 | 1994.1.20 | 2016.6.1 | 연두색 | 다권하고 동일 | ![]() | ![]() |
2. 5. 마권 (2000년)
2000년 6월 19일에 발행을 시작하여 2016년 6월 1일까지 발행되었다. 라권과 동일한 도안과 크기를 유지하면서, 시변각 잉크 등 새로운 위변조 방지 기술을 도입하였다.권종 | 최초 발행 | 발행 정지 | 색상 | 크기(mm) | 앞면 도안 | 뒷면 도안 |
---|---|---|---|---|---|---|
마권 | 2000.6.19 | 2016.6.1 | 연두색 | 다권하고 동일 | ![]() | ![]() |
2. 6. 바권 (2007년)


2007년 1월 22일에 발행된 바권은 앞면에 세종대왕 초상, 일월오봉도, 용비어천가를 배치하고, 뒷면에는 혼천시계, 천상열차분야지도, 보현산천문대 망원경을 배치하여 과학과 전통의 조화를 꾀하였다. 주조색은 초록색이며, 크기는 148 × 68mm이다. 홀로그램 패치 등 첨단 위변조 방지 기술이 대거 도입되었다.
3. 위변조 방지 요소
10000원권 지폐는 여러 차례 위변조 방지 기술이 강화되어 왔다. 1973년 최초 발행 당시에는 숨은그림(은화), 요판인쇄 등의 기술이 적용되었고, 이후 기술 발전에 따라 새로운 위변조 방지 요소들이 추가되었다.
1994년판에는 숨은그림, 요판인쇄, 앞뒤판맞춤 외에도 광간섭무늬, 부분 노출 은선, 요판 잠상, 미세문자 등이 추가되었다. 이는 컬러 복사기, 스캐너, 프린터 등의 보급으로 인한 위조 시도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였다.[1]
2000년판에는 돌출은화, 시변각잉크 등이 추가되었고, 2007년판에는 홀로그램 패치, 숨은막대, 숨은은선, 형광인쇄 등 더욱 다양한 위변조 방지 기술이 적용되었다. 또한, 2007년 판은 지폐 크기가 달러 수준으로 축소되었다.
3. 1. 1973년, 1979년, 1983년판
1973년, 1979년, 1983년판 10000원 지폐에는 숨은그림(은화), 요판인쇄, 앞뒤판맞춤 등의 위변조 방지 기술이 적용되었다. 1973년판은 석굴암 보현보살상을 은화로 사용하였으나, 종교계의 반발로 세종대왕 초상화로 변경되었다.요소 | 특징 | |
---|---|---|
숨은그림(은화)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지폐에 숨겨진 석굴암 보현보살상(1973년판 한정) 또는 세종대왕의 초상화(1979년판, 1983년판 한정)가 나타난다. | |
요판인쇄 | 지폐에 쓰여져 있는 글자, 액면 숫자, 시각장애인용 점자(동그라미 3개, 1983년판 한정)가 볼록하다. | |
앞뒤판맞춤 (1983년판 한정)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앞면과 뒷면에 그려진 용 무늬가 일치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 |
디자인 | 1973년판 | |
1979년판 | ||
1983년판 |
3. 2. 1994년판
1994년에 발행된 10000원권 지폐에는 위조 및 변조를 막기 위한 여러 가지 새로운 기술이 추가되었다.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숨겨진 세종대왕의 초상화가 나타나는 숨은그림(은화)이 적용되었다. 또한, 글자, 액면 숫자, 시각장애인용 점자(동그라미 3개)는 볼록하게 인쇄하는 요판인쇄 방식으로 제작되었다.지폐 앞면과 뒷면에 그려진 용 무늬는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일치된 모습으로 나타나는 앞뒤판맞춤 기술이 적용되었다. 앞면 왼쪽 숨은그림 부분에는 동그란 나선형 무늬가 있는데, 복사하면 빛의 간섭 현상으로 날개 무늬가 나타나는 광간섭무늬가 적용되었다.
지폐 앞면에는 부분 노출 은선 8개(가로 1.0mm, 세로 3.0mm)가 인쇄되어 있으며, 복사하면 검은색으로 나타난다. 세종대왕 초상화 옆에는 지폐를 기울여 보면 숨겨져 있던 액면 숫자 "10000"이 나타나는 요판 잠상이 적용되었으며, 복사하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지폐 앞면 물시계 아래쪽에는 "한국은행"이라는 글자가 미세하게 쓰여 있는 미세문자가 적용되었으며, 복사물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위변조 방지 장치는 컬러 복사기, 스캐너, 프린터 보급에 대응하기 위하여 강화되었다.[1] 디자인은 자체 기술로 제작된 원판을 사용하였고, 크기는 다권(1983년 발행)의 도안과 크기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일련번호는 나권과 동일하다.
3. 3. 2000년판
요소 | 특징 |
---|---|
숨은그림(은화)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지폐에 숨겨진 세종대왕의 초상화가 나타난다. |
돌출은화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세종대왕 초상화 옷깃 부분에 숨겨진 태극 무늬가 나타난다. |
요판인쇄 | 지폐에 쓰여 있는 글자, 액면 숫자, 시각장애인용 점자(동그라미 3개)가 볼록하게 인쇄되어 있다. |
앞뒤판맞춤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앞면과 뒷면에 그려진 용 무늬가 일치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
부분노출은선 | 지폐 앞면에 부분 노출 은선 6개(가로 길이 1.5mm, 세로 길이 5mm)가 인쇄되어 있으며 복사 시에는 검은색으로 변한다. |
요판 잠상 | 지폐 앞면을 기울여 보면 세종대왕 초상화 옆에 숨겨져 있던 액면 숫자 "10000"이 나타나며 복사 시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
미세문자 | 지폐 앞면에 그려진 물시계 아래쪽에 "한국은행"이라는 글자가 미세하게 쓰여 있으며 복사 시에는 원래대로 재현되지 않는다. |
시변각잉크 | 보는 각도에 따라 시각장애인용 점자(동그라미 3개)의 색상이 금색이나 녹색으로 바뀐다. |
디자인 |
3. 4. 2007년판
요소 | 특징 |
---|---|
숨은그림(은화) 돌출은화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지폐에 숨겨진 세종대왕의 초상화와 액면 숫자 "10000"이 나타난다. |
홀로그램 패치 | 보는 각도에 따라 한반도 지도, 액면 숫자 "10000"과 태극 무늬, 4괘가 번갈아 나타난다. |
앞뒤판맞춤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앞면과 뒷면에 그려진 태극 무늬가 완성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
요판 인쇄 | 지폐에 쓰여져 있는 글자, 액면 숫자가 볼록하게 인쇄되어 있다. |
숨은막대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숨은 가로 막대 3개가 나타난다. |
숨은은선(은선) | 지폐를 밝은 빛에 비추면 "한국은행", "10000", "BANK OF KOREA BANK OF KOREA"라는 문자가 삽입된 얇은 플라스틱 필름 띠가 나타난다. |
미세문자 (요판 & 평판 미세문자) | 지폐를 확대해서 보면 "10000 WON", "BANK OF KOREA" 문자, 훈민정음 28글자가 미세하게 연속적으로 인쇄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
요판 잠상 | 지폐 앞면을 기울여 보면 숨겨져 있던 "WON"이라는 문자가 나타난다. |
시변각잉크 | 보는 각도에 따라 액면 숫자의 색상이 금색 & 녹색으로 바뀐다. |
형광인쇄 | 지폐를 자외선에 비추면 일월오봉도하고 용비어천가, 형광 색사가 나타난다. |
디자인 |
참조
[1]
문서
5만원권은 일부 은행 ATM기에 한하여 출금이 가능하다.
[2]
뉴스
6월1일부터 1만원券(권)을發行(발행)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2023-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