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사가 마르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코는 기독교의 복음사가이자, 마가복음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예루살렘 출신으로, 콥트 교회에서는 예수의 70인 제자 중 한 명으로 여긴다. 콥트 전통에 따르면, 마르코는 알렉산드리아에서 교회를 세우고 초대 주교가 되었으며, 68년에 순교했다. 마르코는 베드로의 통역으로 일했으며, 베드로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마가복음을 저술했다는 전승이 있다. 마르코는 베네치아의 수호성인이며, 그의 상징인 날개 달린 사자는 베네치아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둘러보기 상자 - 성금요일
성금요일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날로, 부활절 전 금요일에 해당하며, 금식과 회개,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날로 지켜진다. - 기독교 둘러보기 상자 - 삼위일체 대축일
삼위일체 대축일은 서방 기독교에서 삼위일체 교리를 기념하는 축일로, 오순절 다음 주일에 지켜지며 다양한 교파에서 예배와 전례에 차이가 있지만 아타나시우스 신경 낭송이나 특별 기도문 등으로 삼위일체 신앙을 고백하는 날이다.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412년부터 444년까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지낸 기독교 신학자이자 교부로, 네스토리우스와의 논쟁에서 테오토코스 칭호를 옹호하며 에페소스 공의회를 주도했으나 이교도와 유대인 탄압, 히파티아 피살 사건 연루 의혹 등 논란이 있었다.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테오도로스 2세
그리스 크레타 섬 출신인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테오도로스 2세(1954년~)는 2004년부터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맡아 아프리카 지역의 선교, 교육, 의료 지원에 힘쓰고 있으며, 2019년 우크라이나 정교회 자동 수장권 인정으로 러시아 정교회와 관계 변화를 겪었다.
복음사가 마르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인 |
이름 | 마르코 복음사가 |
출생일 | 기원후 약 12년 |
출생지 | 키레네, 크레타 키레나이카, 로마 제국 (콥트 전통에 따름) |
사망일 | 기원후 약 68년 (향년 약 56세) |
사망지 |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로마 제국 |
칭호 | 복음사가, 순교자 |
축일 | 4월 25일 (가톨릭, 성공회, 동방 정교회 율리우스력 날짜) 30 파르무티 또는 5월 8일 (콥트 정교회 및 동방 정교회 그레고리력 날짜) |
숭배 교파 | 성인을 숭배하는 모든 기독교 교회 |
주요 성지 | 산 마르코 대성당 (베네치아) 성 마르코 콥트 정교회 대성당 (알렉산드리아) |
수호 대상 | 법정 변호사 베네치아 이집트 콥트교인 마이나르 포드고리차 라구나 주 팡일 |
주요 저서 | 마르코 복음서 (저자 추정) |
언어별 이름 | |
라틴어 | Marcus |
그리스어 | Μᾶρκος (Mârkos) |
아람어 | ܡܪܩܘܣ (Marqōs) |
히브리어 | מַרְקוֹס (Marqōs) |
암하라어 | ማርቆስ (Marḳos) |
이탈리아어 | San Marco Evangelista |
영어 | Saint Mark the Evangelist |
히브리어 | מרקוס |
그리스어 | Μᾶρκος |
라틴어 | Mārcus |
참고 | |
다른 뜻 | 마가 |
2. 행적
마르코의 행적에 대한 기록은 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에서 시작된다.[38][39][40] 콥트 교회 전통에 따르면, 마르코는 키레네에서 태어나 북아프리카 펜타폴리스를 거쳐 알렉산드리아로 이동했다.[45][46][47]
사도행전[53]에는 베드로가 천사에 의해 감옥에서 풀려난 후 “요한이라고도 하는 마르코”의 집에 갔다는 기록이 처음 등장한다. 요한(마르코)은 바나바와 함께 바울의 첫 번째 선교 여행에 동행했지만, 팜필리아에서 예루살렘으로 돌아갔다. 이 때문에 바울은 두 번째 선교 여행에서 마르코의 동행을 거부했고, 마르코는 바나바와 함께 키프로스로 갔다.[53]
빌레몬서[54]에서 바울은 협력자 중 한 명으로 마르코를 언급하며, 골로새서[55]에서는 “바나바의 사촌” 마르코가 바울의 협력자로 언급되어 있다.[56]
전승에 따르면 마르코는 알렉산드리아 교회의 창립자이며, 정교회와 콥트 교회 양측에서 초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로 여겨진다. 최후의 만찬 장소(사도행전 1:15에서 사도들이 모여 있던 곳)의 집주인이 마르코의 부모라는 설과, 마가복음 14:51에 나오는 알몸으로 도망친 청년이 마르코라는 설도 있다.[57][58]
2. 1. 회심
마르코는 본래 리비아 근교 펜타폴리스의 시렌 출신의 이교도였으나, 나중에 사도들의 설교에 감화를 받아 기독교를 믿게 되었다고 한다.[60] 신약성서에는 마르코와 동일 인물일 것으로 추정되는 요한 마르코라는 인물이 열 번 나오는데(사도 12,12.25;15,37), 요한은 이스라엘 이름이고 마르코는 라틴어·그리스어 이름이다.[60] 바울로도 바울로라는 그리스어식 이름과 사울이라는 유대인식 이름을 모두 갖고 있는 것과 같은 예이다. 마르코는 어머니인 마리아와 함께 예루살렘에 살았는데, 일부 성서연구자들은 그리스도와 사도들이 최후의 만찬을 가진 장소가 마르코의 집이었다고 보기도 한다.[60]콥트 교회는 마가복음 저자를 요한 마가와 동일시하며, 그가 예수께서 보내신 70명의 제자 중 한 명이었다고 말한다(누가복음 10:1).[13] 콥트 전통은 또한 마가복음 저자가 예수의 죽음 후 제자들을 자신의 집에서 맞이했고, 부활하신 예수께서 마가의 집에 오셨으며(요한복음 20장), 성령이 오순절에 같은 집에서 제자들에게 내려왔다고 주장한다.[44] 더 나아가, 마가는 예수께서 물을 포도주로 변화시킨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 물을 따랐던 하인들 중 한 명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43][44]
2. 2. 선교 여행
바울로와 그의 삼촌인 바르나바를 따라 45년~49년경 제1차 전도 여행을 함께 했다. 키프로스까지 동행한 후 그 다음 목적지인 소아시아의 주요 지역 여행을 포기하고 예루살렘으로 돌아갔다. 일부 성서연구자들은 마르코 청년이 힘겨운 전도 여행에 적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추정한다.[60]바울로는 곧은 성격탓에 50년~52년경의 제2차 전도 여행 때 마르코와 동행하기를 거부했다. 그래서 마르코는 삼촌인 바르나바와 함께 키프로스로 가서 전도하였다.[60] 그러나 신약성서의 골로새서에 의하면, 53년~58년경의 제2차 전도 여행 때,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바울로가 에페소스 감옥에 갇혀 있을 때 마르코는 바울로의 곁에 있어서 위로가 되어 주었다.[61]

하지만 성서학자 르네 지라르가 쓴 《성경, 세계최고의 베스트셀러》에 의하면 골로새서는 바울로의 저작이 아닐 것으로 추정되므로, 골로새서를 근거로 마르코가 바울로와 같이 고난을 나누었다는 이야기는 무리한 해석이다.
콥트 전통에 따르면, 마가는 북아프리카의 펜타폴리스(북아프리카 펜타폴리스)(현재 리비아)의 도시인 키레네(키레네)에서 태어났다. 이 전통은 마가가 나중에 바울에 의해 골로새(골로새서 4:10[10] 빌레몬서 24)로 파송된 후 펜타폴리스로 돌아왔다고 덧붙인다.[45] 그러나 일부는 이것이 실제로 바나바의 사촌 마가를 가리킨다고 생각하며, 로마에서 그와 함께 섬겼다고 한다(디모데후서 4:11).[8] 펜타폴리스에서 그는 알렉산드리아로 향했다.[46][47] 마가가 알렉산드리아로 돌아왔을 때, 그 도시의 이교도들은 그가 알렉산드리아 사람들을 그들의 전통적인 신들의 숭배에서 멀어지게 하려는 노력에 분개했다.[48] 68년, 그들은 그의 목에 밧줄을 묶고 거리로 끌고 다니다가 죽였다.[48]
사도행전[53]에는 예루살렘 출신 마르코의 이름이 처음 등장하는데, 천사에 의해 감옥에서 풀려난 베드로가 “요한이라고도 하는 마르코”의 집에 갔다는 기록이 있다.
요한(마르코)은 바울의 첫 번째 선교 여행에 바나바와 동행했지만, 팜필리아 지방에서 혼자 예루살렘으로 돌아갔다. 그 때문에 두 번째 선교 여행에서 바울은 마르코의 동행을 거부하고 바나바와 별도로 행동하게 된다. 마르코는 결국 바나바와 함께 키프로스로 갔다. 이는 50년경으로 추정된다. 사도행전에서는 마르코에 대한 기록이 여기서 끝난다.
한편, 빌레몬서[54]에서는 협력자 중 한 명으로 바울이 마르코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다. 옥중 서신인 빌레몬서의 성립 시기는 일반적으로 위 사건 이후로 여겨지고 있으며, 어떤 설에서는 결별과 빌레몬서 사이에 바울과 마르코가 화해했다고 생각한다. 또한, 바울의 서신인지 여부에 대한 설이 분분한 골로새서[55]에서는 “바나바의 사촌” 마르코가 바울의 협력자로 언급되어 있다.[56]
2. 3. 베드로와의 만남
마르코는 베드로의 통역으로 일했으며, 베드로가 예수 그리스도의 언행과 행적에 관해 가르친 것을 기억나는 대로 충실히 기록했다고 한다.[6]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14]에 따르면, 헤롯 아그리파 1세는 유대 전역을 통치한 첫 해(서기 41년)에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를 죽이고 베드로를 체포하여 유월절 후에 죽일 계획을 세웠다. 베드로는 천사들에 의해 기적적으로 구출되어 헤롯의 영역에서 벗어났다(사도행전 12:1–19).[15] 베드로는 안티오크로 간 후 소아시아를 거쳐(폰투스, 갈라디아, 카파도키아, 아시아, 비티니아의 교회들을 방문했음은 베드로전서 1:1에 언급되어 있다)[16] 그리고 클라우디우스 황제 즉위 2년차(서기 42년)에 로마에 도착했다.[17] 어딘가에서 베드로는 마가를 만나 여행 동반자이자 통역관으로 삼았다. 마르코는 베드로의 설교를 기록하여 마가 복음을 저술했고,[18] 클라우디우스 3년차(서기 43년)에 알렉산드리아로 떠났다.[19]
사도행전[53]에는 천사에 의해 감옥에서 풀려난 베드로가 “요한이라고도 하는 마르코”의 집에 갔다는 기록이 처음 등장한다.
2. 4. 복음서 저술
마르코는 다른 복음사가인 루가처럼 사도에 속하지 않아, 예수를 개인적으로 알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어떤 학자들은 겟세마네에서 예수 체포에 관한 이야기 (마르코 복음서 14:51)[6]를 마르코 자신의 경험으로 보기도 한다.
윌리엄 레인(1974)은 "끊임없는 전통"이 마가 복음 저자를 마가 요한[6], 그리고 마가 요한을 바나바의 사촌으로 확인한다고 말한다.[7] 그러나 로마의 히폴리토스는 마가 복음 저자(디모데후서 4:11),[8] 마가 요한(사도행전 12:12, 25; 13:5, 13; 15:37),[9] 바나바의 사촌 마가(골로새서 4:10;[10] 빌레몬서 24)[11][12]를 구분하며, 모두 예수가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파송한 "칠십 제자"[13]에 속했다고 주장했다.
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14]에 따르면, 헤롯 아그리파 1세는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를 죽이고 베드로를 체포하여 유월절 후에 죽이려 했으나, 베드로는 천사에 의해 구출되어 헤롯의 영역을 벗어났다(사도행전 12:1–19).[15] 베드로는 안티오크를 거쳐 소아시아의 교회들을 방문하고(베드로전서 1:1)[16] 클라우디우스 황제 2년차(서기 42년)에 로마에 도착했다.[17] 베드로는 마가를 만나 여행 동반자이자 통역관으로 삼았고, 마가는 베드로의 설교를 기록하여 마가복음을 저술했다.[18] 마가는 클라우디우스 3년차(서기 43년)에 알렉산드리아로 떠났다.[19]
교회의 오래된 전승은 마가가 베드로의 통역관이었으며, 베드로로부터 들은 것을 정리하여 복음서를 기록했다고 전한다. 전승은 『베드로전서』 및 『디모데후서』 등을 근거로, 말년의 베드로와 바울이 마가와 함께 있었다고 전한다.
그러나 현대 성서 학자들은 마가복음이 마가가 아닌 익명의 저자에 의해 쓰여졌다고 본다.[28][29][30][31] 마가복음 저자는 팔레스타인 지리에 익숙하지 않았고,[32][33][36] 유대인 관습에 대한 잘못된 진술을 하는 등[36] "팔레스타인 외부에 살았던 헬레니즘 유대인"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34]
이 복음서가 누구에 의해 기록되었든 간에, 고대부터 『마가복음』은 『마태복음서』의 요약본으로 여겨지는 등 4복음서 중에서 가장 가볍게 여겨져 왔다. 이러한 인식이 급변한 것은 19세기 전반으로, 카를 라흐만(1835년), 크리스티안 바이세와 크리스티안 빌케(1838년), 하인리히 홀츠만(1863년) 등의 연구를 통해 『마가복음』이 가장 오래된 복음서임이 밝혀졌다. 예루살렘 성전 붕괴에 대한 명확한 언급이 없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기록 시기는 70년 이전인 60년대로 추정되지만, 그보다 더 이른 시기의 저술이라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2. 5. 이집트에서의 활동과 순교
전승에 의하면 마르코는 58년과 62년 사이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를 방문했을 때 이곳에 교회를 설립한 후 복음을 전했으며 그곳의 초대 주교를 역임하였다. 한편 그는 신발을 고치다가 상처를 입은 구두수선공을 치유하는 기적을 행하였다. 상처가 나은 수선공 아니아누스는 회심하고, 후에 마르코의 뒤를 이어 주교가 된다. 그러다가 결국 68년에 복음 전파를 막으려는 이교도들에게 끈에 의해 목이 묶여 도시 전체를 끌려다니며 돌팔매질을 당하는 고문 끝에 순교하였다고 전한다.[48]콥트 전통에 따르면, 마르코는 알렉산드리아로 돌아왔을 때, 그 도시의 이교도들은 그가 알렉산드리아 사람들을 그들의 전통적인 신들의 숭배에서 멀어지게 하려는 노력에 분개했다. 서기 68년, 그들은 그의 목에 밧줄을 묶고 거리로 끌고 다니다가 죽였다.[48]
9세기 알렉산드리아의 한 성당에서 그의 시신이 발견되었으며, 828년 베네치아 공화국의 상인들이 시신을 돼지고기 밑에 몰래 숨겨 들여와서 베네치아에 옮겼다. 그리고 산 마르코 대성당의 제단에 안치하여 마르코는 베네치아의 수호 성인이 되었다. 베네치아의 깃발은 마르코를 상징하는 앞발로 성서를 잡은 날개가 달린 사자가 그려져 있으며, 산 마르코 광장을 비롯하여 베네치아의 세력이 미친 곳에는 지금도 날개가 달린 사자상이 남아 있다.
3. 마르코 복음서
교회의 오래된 전승에 따르면 마르코는 베드로의 통역관이었으며, 베드로로부터 들은 것을 정리하여 복음서를 기록했다고 한다. 이러한 전승은 『베드로전서』 및 『디모데후서』 등을 근거로, 말년의 베드로와 바울이 마르코와 함께 있었다고 전한다.
이 복음서가 누구에 의해 기록되었든 간에, 고대부터 『마가복음서』는 『마태복음서』의 요약본으로 여겨지는 등 4복음서 중에서 가장 가볍게 여겨져 왔다. 이러한 인식이 급변한 것은 19세기 전반으로, 카를 라흐만(1835년), 크리스티안 바이세와 크리스티안 빌케(1838년), 하인리히 홀츠만(1863년) 등의 연구를 통해 『마가복음서』가 가장 오래된 복음서임이 밝혀졌다. 예루살렘 성전 붕괴에 대한 명확한 언급이 없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기록 시기는 70년 이전인 60년대로 추정되지만, 그보다 더 이른 시기의 저술이라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4. 유산 및 평가
828년, 베네치아 상인들은 알렉산드리아에 있던 마르코의 유물(그렇게 여겨졌던 것)을 베네치아 공화국(현 이탈리아의 베네치아)로 가져왔다. 이후 성 마르코는 베네치아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베네치아의 국기는 성경을 든 날개 달린 금빛 사자로 성 마르코를 나타내며, 산 마르코 대성당을 비롯하여 베네치아 공화국의 세력이 미쳤던 곳곳에는 지금도 날개 달린 사자상이 남아 있다.
4. 1. 문화적 유산
마르코 복음사가는 대개 복음서를 쓰거나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50] 기독교 전통에서 마르코 복음사가는 날개 달린 사자로 상징된다.[51]마르코 복음사가의 상징은 사막에 있는 사자이다. 그는 사자로 장식된 옥좌에 앉은 주교로, 또는 베네치아 선원들을 돕는 사람으로 묘사될 수 있다. 그는 종종 'pax tibi Marce'라고 쓰여진 책이나 야자수와 책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마르코를 묘사한 다른 그림들은 그를 책이나 두루마리를 들고 날개 달린 사자와 함께 있는 사람으로 보여준다. 사자는 예수의 부활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 사자는 눈을 뜬 채 잠을 자는 것으로 믿어졌기 때문에, 무덤에 있는 그리스도와 비교, 그리고 왕으로서의 그리스도와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마르코 복음사가는 목에 밧줄을 맨 사람으로, 또는 사라센으로부터 기독교 노예들을 구출하는 사람으로 묘사될 수 있다.



- 산 마르코 대성당 (베네치아, 이탈리아)
- 알렉산드리아 성 마르코 콥트 정교회 대성당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정교회 성 마르코 교회 (세르비아)
- 카이로 성 마르코 콥트 정교회 대성당 (카이로, 이집트)
- 보우어리 성 마르코 교회, 뉴욕시
- 성 마르코 복음 사도 교구 교회, 판길, 라구나, 필리핀
- 성 마르코 복음 사도 교구, 리나오, 오르모크시, 필리핀
828년, 베네치아 상인들은 알렉산드리아에 있던 마르코의 유물(그렇게 여겨졌던 것)을 베네치아 공화국(현 이탈리아의 베네치아)로 가져왔다. 그리고 성 마르코는 베네치아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베네치아의 국기는 성경을 든 날개 달린 금빛 사자로 성 마르코를 나타내며, 베네치아의 대성당은 산 마르코 대성당이라고 명명되었다. 그 앞의 산 마르코 광장을 비롯하여 베네치아 공화국의 세력이 미쳤던 곳곳에는 지금도 날개 달린 사자상이 남아 있다.
5. 상징
기독교 성화상에서 마르코의 상징은 복음서를 지니고 있는 날개가 달린 사자이다. 마르코 복음서는 세례자 요한이 황야에서 설교하는 장면으로 시작하는데, 사자의 모습은 세례자 요한을 ‘광야에서 외치는 소리’로 표현한 데서 유래하며 예술적 전승은 그 소리를 사자의 울음으로 비유하였다. 날개는 에제키엘서 1장 10절의 네 개 달린 생물체에 관한 환상을 네 복음사가들에게 적용시켜 이해한 데서 비롯한다.[59]
6. 기념
마르코 성인 축일은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에서 4월 25일에 지켜진다.[49] 율리우스력을 사용하는 교회에서는 2099년까지 율리우스력 4월 25일이 그레고리력 5월 8일에 해당한다. 콥트 정교회는 콥트력에 따른 파르무티 30일에 마르코 성인 축일을 지키는데, 이는 율리우스력 4월 25일 또는 그레고리력 5월 8일에 해당한다.
마가 요한과 마가 복음사가를 구분하는 경우, 마가 요한은 9월 27일에, 마가 복음사가는 4월 25일에 기념된다.
마가는 기념되며, 잉글랜드 교회와 많은 성공회 공동체에서 4월 25일 축일로 지킨다.
마가 복음사가는 대개 복음서를 쓰거나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50] 기독교 전통에서 마가 복음사가는 날개 달린 사자로 상징된다.[51]
마가 복음사가의 속성은 사막에 있는 사자이다. 그는 사자로 장식된 옥좌에 앉은 주교로, 또는 베네치아 선원들을 돕는 사람으로 묘사될 수 있다. 그는 종종 'pax tibi Marce'라고 쓰여진 책이나 야자수와 책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마가를 묘사한 다른 그림들은 그를 책이나 두루마리를 들고 날개 달린 사자와 함께 있는 사람으로 보여준다. 사자는 예수의 부활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 사자는 눈을 뜬 채 잠을 자는 것으로 믿어졌기 때문에, 무덤에 있는 그리스도와의 비교, 그리고 왕으로서의 그리스도와의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마가 복음사가는 목에 밧줄을 맨 사람으로, 또는 사라센으로부터 기독교 노예들을 구출하는 사람으로 묘사될 수 있다.
마르코는 정교회에서는 칠십인 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사도·복음 전파자”라고 불린다. 또한 최초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로 여겨진다.
마르코와 『마르코 복음서』는 종종 사자의 상징으로 표현된다. 이는 『에스겔서』[59]에 등장하는 네 생물에서 유래하며, 각각 네 명의 복음 사가와 복음서에 대응된다.
828년, 베네치아 상인들은 알렉산드리아에 있던 마르코의 유물(그렇게 여겨졌던 것)을 베네치아 공화국(현 이탈리아의 베네치아)로 가져왔다. 그리고 성 마르코는 베네치아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베네치아의 국기는 성경을 든 날개 달린 금빛 사자로 성 마르코를 나타내며, 베네치아의 대성당은 산 마르코 대성당이라고 명명되었다. 그 앞의 산 마르코 광장을 비롯하여 베네치아 공화국의 세력이 미쳤던 곳곳에는 지금도 날개 달린 사자상이 남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t. Mark The Apostle, Evangelist
http://www.copticchu[...]
Coptic Orthodox Church Network
2012-11-21
[2]
서적
Through Cypru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
서적
Through Cypru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4]
웹사이트
Markovdan: Slava Podgorice
https://borba.me/mar[...]
2023-05-08
[5]
논문
Encyclopedia of Early Christianity
Garland Publishing, Inc.
[6]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Eerdmans
[7]
서적
Mark: Images of an Apostolic Interpreter
[8]
성경
[9]
성경
[10]
성경
[11]
성경
[12]
서적
Ante-Nicene Fathers
[13]
성경
[14]
서적
The Ecclesiastical History
[15]
성경
[16]
성경
[17]
서적
The Ecclesiastical History
[18]
서적
The Ecclesiastical History
[19]
서적
Handbook of Biblical Chronology
Hendrickson
[20]
성경
[21]
웹사이트
Egypt
http://berkleycenter[...]
Berkley Center for Religion, Peace, and World Affairs
2011-12-14
[22]
웹사이트
The Christian Coptic Orthodox Church Of Egypt
http://www.coptic.ne[...]
2018-01-26
[23]
서적
Our Sunday Visitor's Encyclopedia of Saints
Our Sunday Visitor Publishing Division
[24]
서적
The Ecclesiastical History
[2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t. Mark
http://www.newadvent[...]
2013-03-01
[26]
성경
[27]
성경
[28]
서적
The New Testament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4
[29]
서적
Biblical Theology: Covenants and the Kingdom of God in Redemptive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 Stock
2023-08-13
[30]
서적
Lost Christianities: The Battles for Scripture and the Faiths We Never Kne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The Synoptic Gospel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1-01-01
[32]
서적
The Literary Guide to the Bible
Harva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Cutting Jesus Down to Size: What Higher Criticism Has Achieved and Where It Leaves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Open Court
2023-08-13
[34]
서적
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8-13
[35]
서적
T&T Clark Social Identity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3-08-13
[36]
서적
The Routledge Encyclopedia of the Historical Jesus
Taylor & Francis
2023-08-13
[3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Biblical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38]
웹사이트
From Stories to Canon
http://oyc.yale.edu/[...]
2023-08-20
[39]
서적
Ante-Nicene Christian Library, Volume I
T. & T. Clark in Edinburgh
[40]
서적
The New Jerome Biblical Commentary
Prentice Hall
[4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Apollos
[42]
서적
The Gospel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4-22
[43]
성경
[44]
서적
The Beholder of God Mark the Evangelist Saint and Martyr
http://tasbeha.org/c[...]
[45]
성경
[46]
웹사이트
About the Diocese
http://www.suscopts.[...]
Coptic Orthodox Diocese of the Southern United States
[47]
웹사이트
Saint Mark
http://www.suscopts.[...]
2009-05-14
[48]
서적
The Beholder of God Mark the Evangelist Saint and Martyr
http://tasbeha.org/c[...]
[49]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50]
서적
Christian Iconography: The Trinity. Angels. Devils. Death. The soul. The Christian scheme. Appendices
https://archive.org/[...]
G. Bell
1886-02-20
[51]
웹사이트
St. Mark in Art
http://www.christian[...]
[52]
웹사이트
https://www.catholic[...]
[53]
성경
[54]
성경
[55]
성경
[56]
논문
진정서간설을 채택하는 학자들 중에는 골로새서와 빌레몬서를 동시대의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57]
웹사이트
過ぎ越しの食事の準備
https://s3-ap-northe[...]
2018-12-01
[58]
웹사이트
裏切られ逮捕されるイエス
https://s3-ap-northe[...]
2018-12-01
[59]
성경
[60]
서적
《우리가 아는 것들, 성경에는 없다.》-완벽한 성인 바울은 없다
홍성사
[61]
성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