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복음전도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음전도사는 1894년 작곡된 빌헬름 킨츨의 오페라이다. 1895년 베를린 신 왕립 오페라 하우스에서 초연되었으며, 형제 간의 갈등과 용서를 주제로 한다. 이 작품은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펠릭스 모틀, 구스타프 말러,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등 유명 지휘자들이 지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낭만 오페라 - 금계 (오페라)
    림스키코르사코프가 작곡하고 블라디미르 벨스키가 리브레토를 쓴 3막 오페라 금계는 푸시킨의 동명 우화시를 바탕으로 전제 정치와 제국주의를 풍자하며 제정 러시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고 있어 작곡가 생전에는 초연되지 못했으나 사후 모스크바에서 초연되어 꾸준히 공연되고 있다.
  • 낭만 오페라 - 탄호이저 (오페라)
    《탄호이저》는 리하르트 바그너가 작곡한 오페라로, 13세기 독일을 배경으로 음유시인 탄호이저가 관능적인 사랑과 속세에서의 갈등을 겪고 구원을 받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독일어 오페라 - 파르지팔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파르지팔》은 볼프람 폰 에센바흐의 서사시를 바탕으로 성배 전설 속 순수한 청년 파르지팔의 구원 여정을 그리며, 성배의 의미와 구원의 본질을 탐구하고 쇼펜하우어 철학, 바그너의 음악 스타일, 역사적 사실, 인종차별 논쟁 등으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을 낳고 있다.
  • 독일어 오페라 - 마술피리
    《마술피리》는 모차르트가 작곡하고 쉬카네더가 대본을 쓴 징슈필 형식의 오페라로, 타미노와 파미나의 사랑을 통해 지혜와 어둠의 대립을 그리며, 프리메이슨의 상징과 계몽주의 철학의 영향을 받아 밤의 여왕, 파파게노 등의 인물과 유명한 아리아를 특징으로 한다.
복음전도사
기본 정보
빌헬름 킨츨의 오페라 《복음사가》 피아노 발췌 악보의 표지, 1894년
빌헬름 킨츨의 오페라 《복음사가》 피아노 발췌 악보의 표지, 1894년
원어 제목Der Evangelimann
작곡가빌헬름 킨츨
대본가빌헬름 킨츨 (레오폴트 플로리안 마이스너의 "경찰 서장의 보고서에서")
초연1895년 5월 4일, 베를린
장르오페라
형식2막
원작레오폴트 플로리안 마이스너의 《경찰 서장의 보고서에서》
언어독일어
등장인물
마티아스 프라이, 복음사가테너
쿠젤, 그의 형바리톤
마르타소프라노
요하네스테너
안겔리카메조소프라노
프리드리히 엠머라인, 재단사베이스
폴트, 빈의 집사바리톤

2. 작곡 및 초연

킨츨은 1894년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그라츠와 오스트리아의 작은 도시인 푀클라브루크에서 이 오페라를 작곡했다.[2] 그가 지휘자 카를 무크와 볼코 폰 호흐베르크/Bolko von Hochbergde(당시 베를린 국립 오페라의 예술 감독)에게 악보 발췌본을 연주했을 때, 그들은 즉시 초연권을 확보했다.[2] 악보는 현재 부지 앤 호크스의 일부인 Bote & Bock Berlin에서 출판되었다.[1]

3. 등장인물

역할, 음역, 초연 배역
역할[1]음역1895년 5월 4일 초연 배역[3]
지휘: 카를 무크
프리드리히 엥겔, 성 오트마 수도원의 치안 판사베이스요제프 뫼들링거
마르타, 그의 조카이자 보호자드라마틱 소프라노베르타 피어슨
마그달레나, 그녀의 친구알토마리 괴체
요하네스 프로이도퍼, 성 오트마의 교사바리톤파울 불스
마티아스 프로이도퍼, 그의 남동생, 수도원 서기드라마틱 테너엘로이 실바
자버 지터바르트, 재단사부포 테너율리우스 리반
안톤 슈납파우프, 총포상부포 베이스루돌프 크라사
프리드리히 아이블러, 나이든 시민바리톤헤르만 바흐만
아이블러의 아내메조소프라노
후부르 부인리릭 소프라노
한스, 농부 소년리릭 테너
"볼링 소년"의 목소리리릭 소프라노
야경꾼의 목소리베이스
넝마 장수메조소프라노
소년소프라노


4. 줄거리

4. 1. 제1막

1820년 니더외스터라이히주 베네딕트회 성 오트마르 수도원.

이 수도원의 집사로 있는 마티아스 프로이드호퍼는 수도원의 감독관(재판관을 겸함)인 프리드리히 엥겔의 수양딸인 마르타를 사랑한다. 마티아스의 형인 요하네스도 마르타를 사랑한다. 그러나 요하네스는 마르타가 마티아스만을 생각하고 자기를 무시하자 질투심에 불타오른다. 요하네스는 마티아스와 마르타를 모함하기 시작한다. 요하네스는 수도원장인 프리드리히에게 마티아스와 마르타가 서로 좋아하고 있으며 수도원의 재산을 빼돌려 멀리 도망가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고발한다. 분노한 프리드리히는 당장 마티아스를 해임하고 수도원으로부터 추방한다. 마르타는 요하네스의 비열함을 알고 그를 증오한다. 그날 밤, 요하네스는 마르타와 마티아스가 은밀히 만나 서로 비록 떨어져 있더라도 사랑은 변치 말자고 약속하는 것을 목격한다. 요하네스의 질투심은 극에 달한다. 요하네스는 맹목적인 증오심으로 수도원에 불을 지른다. 하지만 방화범으로 체포된 것은 요하네스가 아니라 마티아스였다. 결국 마티아스는 경찰에게 끌려가고 마르타는 그자리에서 기절한다.

4. 2. 제2막

1850년, . 20년의 억울한 옥살이를 마친 마티아스는 순회 설교자가 된다. 사람들은 처음에 그가 수도원에 불을 지른 방화범이란 것을 알고 모두 외면하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그의 진실된 설교에 감동하여 그를 따르기 시작한다. 마티아스는 아이들에게 전도를 하며 '의를 위하여 박해받는 자는 복이 있나니(Selig sind, die Verfolgung leiden um der Gerechtigkeit willen)'라는 찬송가를 가르친다. 한편, 마르타는 요하네스의 악행을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요하네스는 부정한 방법으로 부를 축적했지만, 중병에 걸려 죽음을 앞두고 있다.

30년 만에 재회한 두 형제, 마티아스는 병상에 누워있는 요하네스를 보자 '많은 죄를 저질른 형이 결국 죽을 병으로 몸저 눕게 되었구나'라고 말한다. 요하네스는 자신이 동생과 주변에게 저질른 죄를 진심으로 반성하며 뉘우치고 있다고 말하며 마티아스에게 용서를 구한다. 마티아스는 요하네스를 용서하고, 요하네스는 평화롭게 죽음을 맞이한다.

5. 음악적 특징

킨츨은 낭만주의 오페라 전통에 충실하면서도, 민요풍의 선율과 극적인 요소를 적절히 조화시켰다. 마티아스의 아리아 '의를 위하여 박해받는 자는 복이 있나니'는 이 오페라의 백미로 꼽힌다.

오케스트라 편성은 플루트3 (3번은 피콜로 겸함), 오보에3 (3번은 잉글리시 호른 겸함), 클라리넷3, 바순3, 호른4, 트럼펫3, 트롬본3, 튜바, 팀파니, 트라이앵글, 심벌즈 (서스펜디드 심벌즈 별도 필요), 큰북, 작은북, 탐탐, 튜블러벨, 글로켄슈필, 첼레스타, 하프2, 오르간, 현5부 등 풍부하게 사용한다.

6. 한국에서의 수용

7. 평가 및 영향

'복음전도사'는 초연 당시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1][3][2] 킨츨은 1894년 오스트리아의 뵈클라브루크(Voecklabruck)라는 작은 마을에서 이 오페라를 작곡했으며, 베를린 오페라의 지휘자 카를 무크(Karl Muck)와 예술감독 호흐베르크(Hochberg) 백작에게 스코어의 일부를 들려주자 초연을 맡기로 결정했다.[1] 1895년 5월 4일 베를린 신 왕립 오페라 하우스/베를린 신 왕립 오페라하우스de에서 초연되었고,[1][3] 성공적인 공연으로 인해 불과 몇 년 만에 대부분의 독일과 오스트리아 오페라 하우스에서 이 작품을 레퍼토리로 올렸다.[2]

펠릭스 모틀, 구스타프 말러, 프란츠 샬크,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와 같은 유명 지휘자들이 이 작품을 지휘했으며,[1][2] 복음 전도자 마티아스 역은 저명한 테너들이 불렀다.[2] 베를린 초연에서는 테너 엘로이 질바(Eloi Sylva)가 마티아스 역을 맡았으며, 마티아스의 아리아 '의를 위해 박해받은 자는 복이 있나니(Selig sind, die Verfolgung leiden)'는 당시 테너라면 누구나 한번쯤 불러보고 싶은 노래가 되었다.[1] 1927년 1월 17일, 킨츨은 빈 국립 오페라 극장에서 로테 레만과 리하르트 타우버를 주역으로, 자신이 직접 지휘하며 70세 생일을 기념했다. 헤르만 비데만, 벨라 팔렌, 프란츠 마르코프가 참여했다.[4]

형제간의 갈등과 용서라는 주제는 시대를 초월하는 보편적인 공감대를 형성한다.

참조

[1] 웹사이트 Wilhelm Kienzl – ''Evangelimann'' – Opera http://www.boosey.co[...] Boosey & Hawkes 2010-08-15
[2] 간행물 Der Evangelimann EMI Classics 1981
[3] Almanacco Der Evangelimann 1895-05-04
[4] 뉴스 '', Vienna, 17 January 1927, page 10.' Neue Freie Presse 1927-01-17
[5] 웹사이트 Review – Kienzl – ''Der Evangelimann'' http://www.gramophon[...] 2010-08-15
[6] 웹사이트 Wilhelm Kienzl: ''Der Evangelimann'' (DVD) http://www.jpc.de/jp[...] JPC 2010-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