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바리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바리톤은 남성 성악가의 음역을 나타내는 용어로, 15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18세기 오페라에서 모차르트의 작품을 통해 중요한 역할을 얻었으며, 19세기 벨칸토 창법의 발전과 함께 베이스와 구분되는 독자적인 음역으로 자리 잡았다. 20세기에는 베리스모 오페라와 바그너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다양한 하위 유형으로 세분화된다. 한국에도 고성현, 김동규, 김주택, 서정학, 최현수, 한명원 등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바리톤 성악가들이 있다. 바리톤은 바버샵 음악, 블루그래스 음악 등 대중음악에서도 사용되며, 색소폰, 유포니엄과 같은 악기에도 명칭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악 음역 - 테너
    테너는 남성 성인 가수의 가장 높은 음역으로, 오페라에서는 B♭₂에서 D₅까지의 음역을 가지며 음색과 역할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고, 합창 음악에서는 주요 성부 중 하나이며 극적이고 강렬한 표현에 적합하여 주역을 맡는 경우가 많다.
  • 성악 음역 - 알토
    알토는 혼성 4부 합창에서 여성이 부르는 가장 낮은 음역으로, 오페라에서는 특정 음역의 가수를 지칭하며, 합창 음악에서는 중저음 성부를 담당하여 합창의 조화에 기여한다.
  • 음악에 관한 - 음악가
    음악가는 작곡, 편곡, 연주, 지휘 등 음악 관련 활동을 하는 사람을 통칭하며, 작곡가, 연주자, 가수, 지휘자,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분류된다.
  • 음악에 관한 - 합창
    합창은 여러 명이 함께 노래하는 음악 형식으로, 작곡가가 가사와 인간 목소리를 고려하여 작곡하며, 서양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지휘자의 지휘 아래 여러 성부로 구성되어 악기 반주 또는 아카펠라로 노래하며,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바리톤
발성 정보
성종남자 성악
음역테너와 베이스 사이
음역 범위대체로 가온 다(C4)에서 올림 바(F#4)를 중심으로 위아래 2옥타브 정도
성대 길이1.3~1.7cm
상세 정보
특징중간 음역의 풍부함과 안정감, 따뜻하고 부드러운 울림
역할극중에서 중심적인 역할, 영웅적, 남성적, 권위적인 캐릭터 표현
종류리릭 바리톤 (Lyric baritone)
드라마틱 바리톤 (Dramatic baritone)
코믹 바리톤 (Comic baritone)
카바리에 바리톤 (Kavalier baritone)
베르디 바리톤 (Verdi baritone)
주요 배역모차르트 《피가로의 결혼》 피가로
모차르트 《돈 조반니》 돈 조반니
베르디 《리골레토》 리골레토
베르디 《일 트로바토레》 백작 디 루나
베르디 《라 트라비아타》 제르몽
푸치니 《토스카》 스카르피아
비제 《카르멘》 에스카미요
바그너 《탄호이저》 볼프람
한국어 표기
표준어바리톤
문화어남성중음
어원
언어그리스어
어원중음을 뜻하는 "barytonos"
로마자 표기
독일어Bariton
영어baritone
프랑스어baryton
이탈리아어baritono

2. 역사

"바리톤"이라는 용어는 15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baritonans"라는 형태로 처음 등장했으며,[5] 주로 종교 음악의 다성 음악에서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저음(베이스 포함)을 의미하는 용어로 자주 사용되었지만, 17세기 이탈리아에서는 남성 합창의 평균 음역을 지칭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

18세기 초, 바리톤은 현재와 거의 같은 음역을 갖게 되었지만, 19세기까지도 베이스와 함께 묶여 사용되기도 했다. 18세기 오페라 작품 중에는 실제로는 저음 바리톤 역할(혹은 현대 용어로는 베이스 바리톤 파트)인데 베이스로 표기된 역할이 많다. 예를 들어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오페라와 오라토리오에서 이를 찾아볼 수 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18세기 오페라 음악에서 가장 위대하고 오랫동안 사랑받는 바리톤 파트를 작곡했다. 여기에는 《피가로의 결혼》의 알마비바 백작, 《코지 판 투테》의 구글리엘모, 《마술피리》와 《돈 조반니》의 파파게노가 포함된다.[6]

19세기와 20세기에는 바리톤이 다양한 오페라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으며 발전했다.

2. 1. 19세기

19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벨칸토 창법이 등장하면서 카스트라토가 주도하던 오페라 세리아를 대체했고, 바리톤은 베이스와는 별개의 음역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7] 전통적으로 오페라에서 베이스는 왕이나 대제사장과 같은 권위 있는 인물을 맡았지만, 바리톤의 등장으로 작곡가들은 남성 저음 가수에게 신뢰할 수 있는 동반자, 테너의 연적, 악당 등 다양한 역할을 부여했다.[7]

벨칸토 오페라의 주요 작곡가로는 조아키노 로시니(''세빌리아의 이발사'', ''윌리엄 텔''), 가에타노 도니체티(''돈 파스콸레'', ''사랑의 묘약'',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루크레치아 보르지아'', ''라 파보리타''), 빈첸초 벨리니(''청교도'', ''노르마''), 자코모 마이어베어(''위그노''), 젊은 주세페 베르디(''나부코'', ''에르나니'', ''맥베스'', ''리골레토'', ''라 트라비아타'', ''일 트로바토레'') 등이 있다.[7]

주세페 베르디의 초기 및 후기 작품(''가면무도회'', ''운명의 힘'', ''돈 카를로''/''돈 카를로'', 개정판 ''시몬 보카네그라'', ''아이다'', ''오텔로'', ''팔스타프'')은 바리톤에게 새롭고 풍부한 배역을 제공했다.[7]

19세기 전반의 주요 국제적인 바리톤은 이탈리아의 안토니오 탐부리니(1800~1876)였다. 그는 모차르트 오페라에서 돈 조반니 역으로 유명했으며, 벨리니와 도니체티 전문가였다. 평론가들은 그의 목소리를 아름다움, 유연성, 부드러운 음색으로 칭찬했는데, 이는 벨칸토 가수의 특징이다.[7] 그의 프랑스 대응자는 앙리-베르나르 다바디였는데, 그는 1819년부터 1836년까지 파리 오페라의 주축이었으며, 기욤 텔을 포함한 여러 주요 로시니 바리톤 역할을 창출했다.[7]

탐부리니의 이탈리아 후계자 중 가장 중요한 사람들은 모두 베르디의 작품에 참여했다.

  • 조르조 론코니: 베르디의 ''나부코''에서 주역을 맡았다.
  • 펠리체 바레시: ''맥베스''와 ''리골레토''에서 주역을 맡았고 ''라 트라비아타''에서 제르몽 역을 맡았다.
  • 안토니오 수페르키: ''에르나니''에서 돈 카를로 역을 처음 맡았다.
  • 프란체스코 그라치아니: ''운명의 힘''에서 돈 카를로 디 바르가스 역을 처음 맡았다.
  • 레오네 지랄도니: ''가면무도회''에서 레나토 역을 창작했고 최초의 시몬 보카네그라 역을 맡았다.
  • 엔리코 델레 세디: 런던에서 처음으로 레나토 역을 맡았다.
  • 안토니오 코토그니: 밀라노, 런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극찬을 받은 가수였으며, ''돈 카를로''에서 최초의 이탈리아 포사 역을 맡았고 나중에는 위대한 성악 교육자이기도 했다.
  • 필리포 콜레티: 베르디의 ''알지라''에서 구스마노 역, ''마스나디에리''에서 프란체스코 역, ''라 트라비아타'' 두 번째 버전에서 제르몽 역을 맡았으며 베르디는 그를 위해 (실현되지 않은) 오페라 ''리어''를 작곡하는 것을 고려했다.[8]
  • 주세페 델 푸엔테: 미국에서 베르디의 작품을 성공적으로 불렀다.

2. 2. 20세기

20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격렬하고 흥미로운 성악과 선정적인 "인생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오페라, 즉 베리스모 오페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바리톤 가수들에게 그 어느 때보다 많은 기회가 열렸다.[11] 이러한 경향은 이탈리아를 넘어 다른 곳으로도 퍼져나갔다. 가장 두드러진 베리스모 바리톤 가수들로는 유럽과 미국에서 활동한 저명한 가수들이 포함되는데, 주세페 드 루카(오페라 ''나비부인''에서 샤플리스 역을 처음으로 맡은 가수), 마리오 삼마르코(오페라 ''안드레아 셰니에''에서 제라르 역을 처음으로 맡은 가수), 우제니오 지랄도니(오페라 ''토스카''에서 스카피아 역을 처음으로 맡은 가수), 파스쿠알레 아마토(오페라 ''서부의 처녀''에서 랜스 역을 처음으로 맡은 가수), 풍부하고 매력적인 음색으로 유명했던 리카르도 스트라치아리, 사자와 같은 웅장한 목소리의 티타 루포 등이 대표적이다.[11] 티타 루포는 당대, 아니 어쩌면 그 어떤 시대보다도 가장 카리스마 넘치는 이탈리아 바리톤 가수였다.[11] 그는 1900년대 초부터 1920년대 초까지 전성기를 누렸고, 이탈리아, 영국, 미국(시카고와 후에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주요 베리스모 작곡가로는 자코모 푸치니, 루제로 레온카발로, 피에트로 마스카니, 알베르토 프랑케티, 움베르토 지오르다노, 프란체스코 칠레아가 있었다.

이탈리아 오페라 외에도, 1905년 오스트리아-독일 레퍼토리에 중요한 작품인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살로메''가 초연되면서 세례자 요한 역할이 바리톤에게 할당되었다.[11] 1907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이 오페라가 상연되었을 때 네덜란드 바리톤 안톤 판 루이가 요한 역을 맡았다.[11] 1925년에는 독일의 레오 슈츠엔도르프가 알반 베르크의 오페라 ''보체크''에서 바리톤 주역을 맡았다.[11] 프랑스 작곡가 클로드 드뷔시의 ''펠레아스와 멜리장드''(1902년 초연)는 두 명의 주역 바리톤을 등장시켰는데, 장 페리에와 엑토르 뒤프랑은 대조적인 목소리를 가지고 있었다.[11]

1920년대와 1930년대 가장 잘 알려진 이탈리아 베르디 바리톤 중 한 명인 마리아노 스타빌레는 라 스칼라에서 아르투로 토스카니니의 지휘 아래 이아고, 리골레토, 팔스타프 역을 불렀다. 스타빌레는 런던, 시카고, 잘츠부르크에도 출연했지만, 목소리보다는 연기력으로 더 유명했다. 티토 고비는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초 전성기 동안 생생한 희극과 비극 연기를 선보인 다재다능한 배우이자 가수였다.[12] 그는 평생 100개가 넘는 역할을 소화했으며, 베르디와 푸치니 오페라에서 주로 활동했고, 코벤트 가든에서 소프라노 마리아 칼라스와 함께 토스카로 출연하며 스카피아 역을 맡았다.

고비의 경쟁자로는 지노 베키, 주세페 발덴고, 파올로 실베리, 주세페 타데이, 에토레 바스티아니니, 체사레 바르델리, 장자코모 굴피가 있다. 고비와 동시대 인물인 웨일스 출신 제레인트 에번스는 글린드본에서 팔스타프 역으로 유명했고, 벤저민 브리튼의 작품에서 플린트 씨와 마운트조이 역을 창작했다.[12] 또 다른 웨일스 바리톤 브린 테르펠은 1990년 글린드본에서 데뷔하여 팔스타프 역과 모차르트, 바그너 오페라에서 국제적인 경력을 쌓았다.[12]

최초로 유명해진 미국 바리톤은 1900년대 파리에서 활동한 찰스 W. 클락으로,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작곡가의 작품을 불렀다. 1920년대에는 힘찬 목소리를 가진 뛰어난 미국 바리톤 그룹이 나타났는데, 이들은 1970년대 후반까지도 활동했다.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활동한 베르디 전문 가수들인 로렌스 티벳, 리처드 보넬리, 존 찰스 토머스, 로버트 위드, 레너드 워렌, 로버트 메릴이 대표적이다. 1920년대와 1930년대 파리에서 활동했던 미국 태생 바리톤 아서 엔드레제도 프랑스 오페라를 불렀다.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코벤트 가든, 비엔나 오페라에서 베르디 역을 불렀던 헝가리 바리톤 산도르(알렉산더) 스베드도 웅장한 목소리로 유명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를 대표하는 베르디 바리톤으로는 이탈리아의 레나토 브루손과 피에로 카푸칠리, 미국의 셰릴 밀네스, 스웨덴의 잉바르 윅셀, 루마니아의 니콜라에 헤를레아가 있다. 영국의 토마스 앨런 경은 모차르트부터 베르디, 가벼운 바그너 역할, 프랑스와 러시아 오페라, 현대 영국 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했다. 노먼 베일리는 보탄과 한스 삭스 역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미국의 토마스 스튜어트와 경쟁했다. 다른 주목할 만한 전후 바그너 바리톤으로는 캐나다의 조지 런던, 독일의 헤르만 우데, 미국의 제임스 모리스가 있다.

20세기 후반, 블라디미르 체르노프는 소련 출신으로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활동하며 베르디 공연으로 유명해졌다. 그는 이폴리트 프리아니쉬니코프, 요아힘 타르타코프, 오스카르 카미온스키, 바츠와프 브제진스키, 조르주 바클라노프, 파벨 리시치안 등 동유럽 바리톤들의 뒤를 이었다. 드미트리 호로스토프스키와 세르게이 레이페르쿠스는 서구에서 정기적으로 출연하는 현대 러시아 바리톤이다.

프랑스 가곡 분야에서는 베이스-바리톤 조제 반 담과 제라르 수자이가 주목할 만하다. 수자이의 스승인 피에르 베르낙은 프란시스 풀랑크의 노래를 해석했다. 이 스타일과 관련된 바리톤으로는 프랑스의 딘 질리와 샤를 팡제라, 호주의 존 브라운리가 있다. 피터 도슨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헨델 녹음을 남겼고, 해롤드 윌리엄스는 영국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1930년대와 1940년대 영국 태생 바리톤으로는 데니스 노블과 로이 헨더슨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독일의 하인리히 슐루스누스, 게르하르트 휘슈, 허버트 얀센이 리트 리사이틀과 오페라 공연으로 유명했다. 전쟁 후 헤르만 프레이와 디트리히 피셔-디스카우가 그 뒤를 이었다. 젊은 세대 독일과 오스트리아 리트 가수로는 올라프 베어, 마티아스 괴르네, 볼프강 홀츠마이어, 요하네스 슈테르켈, 토마스 콰스토프, 크리스티안 게르하어가 있다. 최근 잘 알려진 비독일계 바리톤으로는 이탈리아의 조르조 잔카나로와 레오 누치, 프랑스의 프랑수아 르 루, 캐나다의 제럴드 핀리와 제임스 웨스트먼, 미국의 토마스 햄프슨과 네이선 건, 영국의 사이먼 키닐사이드 등이 있다.

3. 하위 유형

바리톤은 음색, 음역, 역할에 따라 다양한 하위 유형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바리톤 음역에는 바리톤-마르탱(가벼운 바리톤), 리릭 바리톤, 카발리에 바리톤, 베르디 바리톤, 드라마틱 바리톤, 바리톤-노블, 베이스-바리톤의 일곱 가지 아류형이 있다. 음역에 따라 “하이 바리톤”, “베이스 바리톤”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오페라에서는 음색 등을 종합하여 “바리톤 레제르”, “리릭 바리톤”, “캐릭터 바리톤”, “헬덴 바리톤” 등으로 세분화하기도 한다.

3. 1. 바리톤-마르탱 (Baryton-Martin)

Baryton-Martin프랑스어은 가볍고 테너에 가까운 음색을 가진 바리톤으로, 프랑스어권에서 주로 나타난다.[13] 무거운 바리톤이 낼 수 있는 낮은 G₂–B₂ 음역이 부족하며, 일반적인 음역은 C₃에서 중앙 C 위의 B(C₃에서 B₄)이다.[14]

이 명칭은 프랑스 가수 장 블레즈 마르탱(Jean-Blaise Martin)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마르탱은 팔세토 창법을 즐겨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Baryton-Martin프랑스어'이라는 용어는 그의 목소리를 '베르디 바리톤'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6]

Baryton-Martin프랑스어은 드라마틱 테너 및 헬덴테너와 프림 파사지오(primo passaggio) 및 세콘도 파사지오(secondo passaggio)를 공유하므로, 테너로 훈련받을 수도 있다.
오페라의 Baryton-Martin프랑스어 역할:

  • 펠레아스 (드뷔시)[13]
  • 아이네아스 (퍼셀)
  • 단카이르 (비제)
  • 콩트와 시계 (라벨)
  • 오르페오 (몬테베르디)
  • 라미로 (라벨)

3. 2. 리릭 바리톤 (Lyric baritone)

Légère프랑스어는 프랑스어로 '가볍다'는 뜻으로, 리릭 바리톤은 부드럽고 서정적인 음색을 가진 바리톤을 의미한다. 이러한 음색은 희극적인 역할에 자주 기용된다.[13][14]

대표적인 리릭 바리톤 역할은 다음과 같다.

3. 3. 카발리에 바리톤 (Kavalierbariton)

카발리에 바리톤(Kavalierbariton프랑스어)은 금속성의 울림을 가진 바리톤으로, 리릭 역할과 드라마틱 역할 모두 소화 가능하다.[15] 대표적인 역할로는 모차르트의 오페라 "돈 조반니"의 돈 조반니 역과 베르디의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의 조르조 제르몽 역이 있다.

3. 4. 베르디 바리톤 (Verdi baritone)

베르디 오페라에 특화된 바리톤 유형이다. 강렬한 음색과 높은 음역을 소화하는 능력이 특징이며, 무대에서 강렬한 인상을 주어야 한다.[9]

베르디 바리톤의 대표적인 역할은 다음과 같다.

리카르도 스트라치아리가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 중 조르조 제르몽의 아리아 “디 프로벤차 일 마르 일 수올”을 부르는 모습

3. 5. 드라마틱 바리톤 (Dramatic baritone)

드라마틱 바리톤(Dramatique baritone프랑스어)은 풍부하고 어두운 음색을 가진 바리톤으로, 격정적인 역할을 주로 맡는다. 대표적인 역할로는 푸치니의 "토스카"에 나오는 스카르피아와 베르디의 "오텔로"에 나오는 이아고가 있다.[12]

3. 6. 바리톤-노블 (Baryton-noble)

프랑스 오페라에서 유래한 유형으로, 고귀한 음색과 표현력을 강조한다. 리하르트 바그너니벨룽겐의 반지에 나오는 보탄 역과, 앙브루아즈 토마의 햄릿이 대표적인 바리톤-노블 역할이다.[9]

3. 7. 베이스-바리톤 (Bass-baritone)

베이스-바리톤은 바리톤과 베이스의 중간 음역을 가지며, 두 음역의 역할을 모두 소화할 수 있는 가수를 가리킨다.[9] 대표적인 역할로는 모차르트의 "피가로의 결혼"의 피가로, 바그너의 "뉘른베르크의 명가수"의 한스 작스 등이 있다. 19세기 음악 문헌에서는 바그너 오페라에 등장하는 깊고 강력한 헬덴바리톤을 현대의 베이스-바리톤과 동일시하기도 한다.

바그너 시대의 뛰어난 헬덴바리톤(베이스-바리톤)으로는 아우구스트 킨더만, 프란츠 베츠, 테오도르 라이히만 등이 있다.[10] 베츠는 "뉘른베르크의 마이스터징거"에서 한스 작스 역을 창조했으며, 바이로이트에서 초연된 "니벨룽겐의 반지"에서 보탄 역을 맡았다. 라이히만은 바이로이트에서 "파르지팔"의 암포르타스 역을 창조했다.

20세기에는 한스 호터가 베이스-바리톤으로 명성을 얻었다.[11] 그는 1950년대에 세계 최고의 바그너 베이스-바리톤으로 칭송받았으며, 특히 보탄 역으로 음악성을 인정받았다. 호터 외에도 레오폴트 데무트, 안톤 판 루이, 헤르만 바일, 클라렌스 화이트힐, 프리드리히 쇼어, 루돌프 보켈만, 한스-헤르만 니센 등이 주요 바그너 베이스-바리톤으로 활동했다.

현대에는 브린 테르펠이 대표적인 베이스-바리톤으로 꼽힌다.[12] 그는 팔스타프 역과 모차르트, 바그너 오페라에서 국제적인 경력을 쌓았다.

4. 한국의 바리톤

고성현, 김동규, 김주택, 서정학, 최현수, 한명원 등 여러 한국 바리톤 성악가들이 국제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다.

4. 1. 주요 성악가 (가나다 순)


  • 고성현: 한국을 대표하는 바리톤 중 한 명으로, 깊이 있는 음색과 풍부한 성량을 자랑한다. 오페라, 가곡, 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김동규: 부드럽고 따뜻한 음색으로 대중에게 친숙한 바리톤이다. 클래식뿐만 아니라 크로스오버, 가요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폭넓은 사랑을 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로 알려져 있다.
  • 김주택: 섬세한 표현력과 뛰어난 연기력으로 주목받는 젊은 바리톤이다. 세계 유수의 오페라 극장에서 주역으로 활동하며 한국 성악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 서정학: 서정적인 음색과 깊이 있는 해석으로 유명하며, 오페라와 가곡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최현수: 한국 최초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주역 가수로, 파워풀한 성량과 카리스마 넘치는 무대 매너로 유명하다. 국민의힘 지지자로 알려져 있다.
  • 한명원: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에서 활동하는 바리톤으로, 깊이 있는 음색과 안정적인 가창력으로 호평받고 있다.

5. 대중음악에서의 바리톤

바버샵 음악에서 바리톤 파트는 리드(멜로디를 부르는 파트)와 비슷한 음역을 가지지만 일반적으로 리드보다 낮은 음역을 부른다. 바버샵 바리톤은 이 스타일을 특징짓는 4성부 화음 형성에서 특정하고 전문적인 역할을 한다.

바리톤 가수는 종종 베이스 사운드를 지원하거나 "채우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베이스 루트 위의 5도를 부름으로써) 그리고 코드를 완성한다. 반면에 바리톤은 때때로 멜로디 위에서 화성을 넣는 자신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는 테너와 같은 음색을 요구한다. 바리톤이 코드를 채우기 때문에 파트가 멜로디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다.

블루그래스 음악에서 멜로디 라인은 리드라고 한다. 테너는 리드보다 3도 위의 간격으로 노래한다. 바리톤은 리드를 토닉으로 하는 음계의 5도이며, 리드 아래 또는 심지어 리드(그리고 테너) 위에서 불릴 수도 있다. 이 경우 "하이 바리톤"이라고 한다. 반대로, 더 많은 "소울" 바리톤은 더 전통적인 음색을 가지고 있지만, 테너 음역에 더 가까운 음역에서 노래한다. 이러한 가수들 중 일부에는 데이비드 러핀[20], 윌슨 피켓, 오티스 레딩, 톰 존스[21], 마이클 맥도널드[22], 포탑스의 리바이 스터브스[23]가 있다.

6. 악기

바리톤은 색소폰류에서 바리톤 색소폰 등으로 불린다.

독립적인 관악기 이름인 바리톤은 유포니엄과 같은 종류의 금관악기이다. 고악기에는 비올류의 현악기이자 활로 연주하는 악기인 바리톤이 있지만, 영어 등에서는 baryton|바리톤영어으로 철자가 다르다(철자가 같은 언어도 있다).

참조

[1] 일반
[2] 위키내부링크
[3] 서적 Baritone https://books.google[...] Merriam-Webster 2000
[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American Musica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5] 웹사이트 Practica musicae, liber tertius http://www.music.ind[...] 1496
[6] 서적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Macmillan 2001
[7] 서적 Grand dictionnaire universel du XIXe siècle: Français, historique, géographique, mythologique, bibliographique, littéraire, artistique, scientifique, etc., etc. Larousse & Boyer 1865
[8] 서적 The Grove Book of Opera Singers
[9] 웹사이트 Music Dictionary Vm-Vz http://www.dolmetsch[...] 2006-05-28
[10] 웹사이트 Franz Peter Schubert: Master of Song http://www.carolinac[...] 2010-07-13
[1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taatsoper Unter den Linden http://www.staatsope[...] 2008-03-04
[12] 웹사이트 Bryn Terfel's Biographical Timeline http://www.deutscheg[...] Deutsche Grammophon 2006-05-28
[13] 웹사이트 Talk Like An Opera Geek: Breaking Down Baritones https://www.npr.org/[...] NPR 2011-12-14
[14]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Opera 1992
[15] 웹사이트 Understanding Voice Types: Baritone https://www.operafor[...] Opera For All 2021-07-14
[16] 웹사이트 The Tender Land http://www.aria-data[...] aria-database.com
[17] 논문 The origin of the Verdi baritone https://go.gale.com/[...] 2012-05-01
[18] 서적 The New York Times Guide to Essential Knowledge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7
[19] 서적 The Diagnosis and Correction of Vocal Faults Genovex Music Group 1994
[20] 웹사이트 David Ruffin | Classic Motown https://classic.moto[...] classic.motown.com
[21] 웹사이트 Tom Jones – Biography https://www.allmusic[...]
[22] 웹사이트 Michael McDonald – Biography https://www.allmusic[...]
[23] 뉴스 Stars mourn Four Tops star Stubbs http://news.bbc.co.u[...] BBC News 2008-10-28
[24] 서적 うたうこと 発声器官の肉体的特質 音楽之友社 2000
[25] 일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