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가핀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가핀족은 러시아의 볼가강과 카마강 유역에 거주했던 핀-우그리아어족 계통의 민족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여기에는 마리족, 메랴족, 메셰라족, 모르도바족, 무로마족 등이 포함된다. 각 민족은 고유의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러시아 역사 속에서 슬라브족과의 교류와 동화를 겪었다. 이들은 현재 러시아 내 다양한 공화국과 지역에 분포하며, 각 민족별로 독자적인 역사와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가핀족 - 마리인
마리인은 러시아의 마리 엘 공화국과 인근에 거주하며 '인간'을 뜻하는 이름에서 유래, 여러 하위 집단으로 나뉘고 러시아화 정책 속에서도 마리어와 샤머니즘적 신앙을 유지했으나 현재는 문화적 동화 과정에 있으며, Y염색체 하플로그룹 N 비율이 높고 시베리아 관련 혼혈 수준이 높은 우랄어족 민족이다. - 볼가핀족 - 에르자인
에르자인은 러시아의 소수 민족인 에르자족과 관련된 용어로, 신화 속 영웅 푸르가스, 시인 시레 볼레엔, 조각가 스테판 에르지아, 가수 나데즈다 카디셰바, 볼셰비키 사령관 바실리 차파예프 등 에르자 혈통 인물들을 포함하며 그들의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핀우그리아족 - 발트핀족
발트핀족은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등 발트 핀어군 언어를 사용하며 발트해 연안에 정착하여 핀란드인, 에스토니아인 등을 포함하는 민족 집단을 지칭하며, 칼레발라 운율을 공유하고 13세기 이후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다가 20세기에 독립 국가를 형성했다. - 핀우그리아족 - 추드인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볼가핀족 | |
---|---|
개요 | |
![]() | |
위치 | 러시아 볼가 지역 |
언어 계통 | 우랄어족 핀우그르어족 볼가핀어군 |
민족 구성 | 마리족 모르드바인 메랴인 (멸종) 무로마인 (멸종) 메셰라인 (멸종) |
역사 | |
기원 | 우랄어족 |
관련 민족 | 핀족, 사미족, 에스토니아인, 우드무르트인, 코미족, 마자르족 |
2. 마리족
'''마리족''' 또는 '''''체레미스'''(체레미시|체레미시rus, Çirmeş|치르메쉬tat)는 전통적으로 러시아의 볼가강과 카마강 유역에 거주해 온 민족이다. 오늘날 마리족의 대다수는 마리옐 공화국에 거주하며, 크게 초원 마리족, 산악 마리족, 동부 마리족의 세 집단으로 나뉜다.[11]
2. 1. 마리족의 분포와 인구
'''마리족''' 또는 '''''체레미스'''(체레미시ru, 치르메쉬tt)는 전통적으로 러시아의 볼가강과 카마강을 따라 거주해왔다. 오늘날 마리족의 대다수는 마리옐 공화국에 거주하며, 타타르스탄 및 바슈코르토스탄 공화국에도 상당한 인구가 거주한다.마리족은 세 가지 다른 집단으로 구성된다: 볼가강 좌안에 거주하는 초원 마리족, 볼가강 우안에 거주하는 산악 마리족, 바슈코르토스탄 공화국에 거주하는 동부 마리족이 있다.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 604,298명이 스스로를 "마리"라고 밝혔으며, 그중 18,515명이 산악 마리족, 56,119명이 동부 마리족이라고 특정했다. 마리족의 거의 60%가 농촌 지역에 거주했다.[11]
2. 2. 마리족의 분파
마리족(또는 '''체레미스'''(체레미시|체레미시rus; Çirmeş|치르메쉬tat))은 전통적으로 러시아의 볼가강과 카마강 유역에 거주해 온 민족이다. 오늘날 마리족 대다수는 마리옐 공화국에 살고 있으며, 타타르스탄과 바슈코르토스탄 공화국에도 상당수가 거주한다.마리족은 크게 세 분파로 나뉜다.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스스로를 "마리"라고 밝힌 사람은 604,298명이었다. 이 중 산악 마리족은 18,515명, 동부 마리족은 56,119명으로 집계되었다. 마리족 인구의 약 60%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3. 메랴족
'''메랴인'''(меря|메랴ru, ''merya''; 또는 ''Merä'')은 오늘날 황금 고리 또는 잘례세 지역, 즉 현재의 모스크바주, 야로슬라블주, 코스트로마주, 이바노보주, 블라디미르주 일대에 거주했던 핀우그리아계 민족이다.[12] 현대 웝스어에서 'meri'는 '바다'를 의미한다.[13] 10세기에 메랴족의 영토가 루스인에게 편입된 이후, 동슬라브족에 의해 점진적으로 동화된 것으로 여겨진다.[14]
메랴어는[16] 자료 부족으로 정확한 계통 파악이 어려우나, 전통적으로 볼가핀족의 일원으로 분류되어 왔다.[14][17] 그러나 발트핀족이나 사미족 등 핀-우그리아어족의 다른 분파와 더 가깝다는 주장도 제기된다.[18][19] 일부 학자들은 메랴족을 독립된 부족이 아닌 마리족의 서부 지파로 보기도 하는데, 이는 '메랴'라는 이름이 마리족의 자칭인 'Мäрӹ (Märӛ)'의 러시아어식 표기라는 점에 근거한다.[15]
현대 러시아의 일부 지역 주민 중 자신을 메랴인으로 정체화하는 사람들이 있으며, 21세기 들어 메랴인의 문화와 정체성을 되살리려는 민족미래주의 운동이 나타나기도 했다.[21][22][23]
3. 1. 메랴족의 역사
6세기 고트족 역사가 요르다네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메랴족을 Merens|메렌스la라는 이름으로 간략하게 언급하며 처음으로 역사 기록에 등장시켰다.[32] 이후 ''원초 연대기''는 메랴족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 소비에트 연방 시절의 고고학자들은 메랴족의 중심지가 로스토프 남쪽 네로 호수 근처의 사르스코예 고로디셰였을 것으로 추정한다.[12]''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메랴족은 다음과 같은 주요 역사적 사건들과 관련이 있다.[32]
- 859년: 바랑기아인에게 조공을 바쳤다.
- 862년: 바랑기아인을 몰아내는 데 참여했다.
- 882년: 올레크 베시를 따라 키예프로 이동하여 그가 키예프 루스의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했다.
- 907년: 올레크가 이끈 비잔티움 제국 원정에 군대를 파견했다.
10세기에 들어서면서 메랴족의 영토는 루스인에게 편입되었고, 이후 동슬라브족 문화에 점진적으로 동화된 것으로 여겨진다.[14]
13세기 중반의 기록에서도 메랴족으로 추정되는 집단이 언급된다. 1235년, 도미니코회 소속의 율리아누스 수도사는 마자르족의 원류를 찾아 동쪽으로 떠났는데, 그의 두 번째 여행 보고서에는 타타르족이 Merovia|메로비아la라는 나라를 정복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32] 또한 메랴족은 타타르족의 침입에 맞서 불가르족과 연합하여 싸웠다는 기록도 전해진다.[20]
3. 2. 메랴족의 언어
메랴어는[16] 언어적 증거가 거의 남아있지 않아 사멸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 때문에 핀-우그리아어족 내에서의 정확한 계통 분류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전통적으로 메랴어는 볼가핀족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14][17] 그러나 이러한 분류에 대해 이견도 제시되었다. 예브게니 헬림스키는 메랴어가 핀-우그리아어족의 "북서부" 그룹, 즉 발트-핀족이나 사미족에 더 가깝다고 보았다.[18] 가보르 베레치키는 더 나아가 메랴어가 발트-핀족에 직접 속한다고 주장했다.[19]
일부 연구자들은 메랴인이라는 명칭 자체가 마리족의 자칭인 'Мäрӹ (Märӛ)'의 러시아어 음역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메랴족을 마리족의 서부 지파로 보기도 한다.[15]
3. 3. 메랴 민족미래주의
21세기 초, 러시아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메랴인의 민족 정체성을 되살리려는 새로운 사회 운동인 이른바 '메랴 민족미래주의'가 등장했다. 이 운동은 모스크바, 페레슬라블잘레스키, 코스트로마주, 플료스 등 과거 메랴인이 거주했던 지역으로 퍼져나가고 있다.이러한 움직임의 일환으로, 현대 메랴인들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깃발, 문장, 국가 등을 담은 웹사이트를 운영하며[21][22][23], 핀-우그리아 관련 네트워크에서 활발히 논의에 참여하고 있다. 2010년에는 메랴인의 상상된 삶을 그린 영화 ''오브샨키''가 개봉되기도 했다.[24]
구체적인 활동으로는 2014년 5월 이바노보 시의 '새 갤러리'에서 "박물관의 밤" 행사의 일환으로 "볼가, 사크룸"이라는 예술 프로젝트가 열렸으며,[25] 같은 해 10월에는 노브고로드 대학교에서 열린 제3회 언어 축제에서 "메랴어" 발표회가 진행되었다.
4. 메셰라족
'''메셰라'''(мещера|메셰라ru 또는 мещёра|메쉬쵸라ru)는 오카강과 클랴지마강 사이, 현재의 메셰라 저지대라 불리는 지역에 거주했던 핀-우그리아계 민족이다. 이 지역은 숲과 늪, 호수가 많은 특징을 지닌다.
메셰라족은 10세기와 11세기에 동슬라브족에 동화된 것으로 보이는 메랴족이나 무로마족과는 달리, 16세기까지 비교적 독자성을 유지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기록에 따르면 메셰라족은 점차 모르드바족과 타타르족에 동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이 사용했던 메셰라어는 기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27] 그 계통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만 있을 뿐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28]
4. 1. 메셰라족에 대한 기록
'''메셰라'''(мещера|메셰라ru 또는 мещёра|메쉬쵸라ru)는 오카강과 클랴지마강 사이 지역에 거주했다. 이 지역은 숲, 늪, 호수가 많은 곳이었으며, 현재도 메셰라 저지대라고 불린다.메셰라족을 언급하는 최초의 러시아어 문헌은 13세기의 ''톨코바야 팔레야''이다. 이후 16세기 이전의 여러 후기 러시아 연대기에도 등장한다. 이는 10세기와 11세기에 이미 동슬라브족에 동화된 것으로 추정되는 메랴족이나 무로마족과는 다른 점이다.
1358년, 모스크바의 이반 2세는 자신의 유언장에서 원주민 메셰라족 추장 알렉산더 우코비치로부터 메셰르카 마을을 구입했다고 기록했다. 알렉산더 우코비치는 동방 정교회로 개종하고 모스크바 대공국의 봉신이 된 것으로 보인다.
약 1450년경 제작된 베네치아의 프라 마우로 지도에는 ''메시에라''(Meschiera|메시에라la)가 모르드바족, 시비르 칸국 등과 함께 "러시아의 주" 중 하나로 언급되어 있다.[26]
16세기 이반 뇌제의 카잔 원정에 관한 문서들에서도 메셰라족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이 기록들은 템니코프를 중심으로 한 메셰라족의 국가 형태인 템니코프 메셰라가 모르드바족과 타타르족에 동화되는 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A. M. 쿠르브스키 공은 메셰라족의 땅에서 모르드바어가 사용되었다고 기록했다.
메셰라어는 실제로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남아있지 않으며[27], 그 언어 계통에 대한 이론은 추측에 머물러 있다.[28] 일부 언어학자들은 메셰라어가 모르드바어파의 한 방언일 가능성을 제기하는 반면,[14] 파울리 라흐코넨(Pauli Rahkonen)은 지명 연구를 통해 페름어파 또는 그와 가까운 언어였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9] 그러나 라흐코넨의 주장은 러시아의 우랄어학자 블라디미르 나폴스키흐 등 다른 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30]
라흐코넨이 페름어 계통으로 추정한 지명 중에는 강의 이름에 사용된 Un-, Ič-, Ul-, Vil- 등이 있으며, 이는 각각 우드무르트어의 uno(크다), iči(작다), vi̮l(위쪽), ulo(아래쪽)와 비교될 수 있다. 또한 라흐코넨은 '메셰라'라는 이름 자체가 페름어 단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으며, 코미어의 mösör(지협)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31]
4. 2. 메셰라어
메셰라어는 현재 남아있는 기록이 없어 정확히 어떤 언어였는지 증명되지 않았으며[27], 그 계통에 대한 여러 이론들은 아직 추측 단계에 머물러 있다.[28]일부 언어학자들은 메셰라어가 모르드바어파의 한 방언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14] 반면, 파울리 라흐코넨(Pauli Rahkonen)은 지명 증거를 바탕으로 메셰라어가 페름어파에 속하거나 그와 매우 가까운 언어였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9] 라흐코넨은 메셰라 지역의 강 이름 등에 나타나는 Un-und, Ič-und, Ul-und, Vil-und과 같은 어근이 우드무르트어의 uno|udm('큰'), iči|udm('작은'), vi̮l|udm('위쪽'), ulo|udm('아래쪽') 등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메셰라'라는 이름 자체도 페름어 계통의 단어일 수 있으며, 코미어의 mösör|kv('지협')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31]
그러나 라흐코넨의 이러한 주장은 러시아의 우랄어학자 블라디미르 나폴스키흐 등 다른 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30]
5. 모르도바족
모르도바인(모르드바, 모르도바니안)은 러시아의 주요 원주민 중 하나이다. 인구의 약 3분의 1 미만이 볼가강 유역에 위치한 러시아 연방의 자치 공화국인 모르도비야 공화국에 거주한다. 모르도바족은 크게 '''에르자'''와 '''목샤'''라는 두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 이 외에도 19세기에서 20세기 사이에 러시아화되거나 튀르크화된 소규모 그룹으로 ''카라타이'', ''테류칸'', ''텡구셰보''(또는 ''쇼크샤'') 모르도바인이 있다.
5. 1. 모르도바족의 분파
모르도바인은 크게 두 개의 주요 그룹과 세 개의 소규모 그룹으로 나뉜다.주요 그룹은 다음과 같다.
19세기에서 20세기 사이에 완전히 러시아화되거나 튀르크화된 소규모 그룹도 존재한다.
- '''카라타이 모르도바인''': 타타르스탄의 카마 타마기 지구에 거주하며, 언어 전환을 통해 타타르어를 사용한다. 하지만 이들의 타타르어에는 모르도바 어휘가 상당 부분 남아있다(기층 언어). 스스로를 '무크샤'라고 부르기도 한다.
- '''테류칸 모르도바인''': 러시아의 니즈니노브고로드주에 거주했으며, 19세기에 러시아어로 언어를 전환했다. 이들은 스스로를 '모르드바'라고 칭한다.
- '''텡구셰보 모르도바인''' (또는 '''쇼크샤'''): 목샤와 에르자 사이의 과도기적 그룹으로 간주된다. 이들은 다수의 에르자족과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며, 사용하는 방언은 목샤 방언의 영향을 받았다.
6. 무로마족
'''무로마족'''(Мурома|무로마orv)은 오카강 유역에 살았던 핀-우그리아계 민족이다.[32] 이들은 고대 루스의 기록인 원초 연대기와 로고스크 연대기에 언급된다. 무로마족은 서기 7세기경 민족 집단으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고고학적 발굴 결과인 무로마 묘지의 연대와 일치한다.[32] 현재 러시아의 도시 무롬은 이들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로마족은 루스 공작에게 조공을 바쳤으며, 인접했던 메랴족과 마찬가지로 11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그들의 영토가 루스에 편입되면서 점차 문화 동화되었다.[33] 일부 무로마족은 헝가리인이나 불가르족과 함께 서쪽으로 이주하여 카르파티아 분지에 정착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데, 로고스크 연대기에는 897년경 카르파티아 분지에 거주했던 민족 중 하나로 무로마족이 기록되어 있다.[34]
무로마족의 역사, 문화, 고고학적 발견, 그리고 연대기 기록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6. 1. 무로마족의 역사와 문화

'''무로마족''' (Мурома|무로마orv)은 오카강 유역에 살았던 민족이다. 그들은 원초 연대기와 로고스크 연대기에 언급된다. 무로마족은 민족 집단으로서 서기 7세기경에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이는 무로마 묘지의 연대와 일치한다.[32] 옛 도시 무롬은 여전히 그들의 이름을 따르고 있다. 무로마족은 루스 공작에게 조공을 바쳤으며, 인접한 메랴 부족과 마찬가지로 11~12세기에 그들의 영토가 루스에 편입되면서 문화 동화되었다.[33] 그들 중 일부는 헝가리인, 또는 불가르족과 함께 카르파티아 분지로 이주했는데, 로고스크 연대기에는 897년에 카르파티아 분지에 거주했던 민족으로 기록되어 있다.[34]
무로마 묘지 발굴을 통해 고고학자들은 풍부한 고고학적 유산을 발견했다. 무기는 솜씨 면에서 주변 지역에서 최고 수준이었으며, 매장지에서 풍부하게 발견되는 보석은 독창적인 형태와 꼼꼼한 솜씨로 주목받는다. 무로마족은 말총과 가죽 끈으로 짜고 청동선으로 나선형으로 땋아 만든 아치형 머리 장식이 특징적이었는데, 이는 다른 볼가 핀족에게서는 관찰되지 않아 흥미로운 점이다.[35]
다른 중세 볼가 핀족과 마찬가지로, 매장지에서는 장례 음식으로 사용된 동물의 뼈가 발견되었다. 특히 말은 별도로 매장되었는데, 굴레를 씌우고 안장을 얹은 채 다리를 모으고 머리를 들어 배를 대고 누워있는, 마치 살아있는 동물과 같은 자세로 무덤의 계단에 놓였다.[36]
2023년에는 오카강 둑에서 13개의 무로마 묘지가 발굴되었으며, 여러 유물이 함께 발견되었다. 그중 하나는 헝가리 정복자의 벨트 버클과 가장 유사한 형태의 벨트 버클이었다.[37] 또한 창과 도끼 같은 무기, 동전(디르함), 5개의 납 추 등이 한 귀족으로 추정되는 남자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다.[38]
무로마족의 정착지는 범람원 초원 위의 고지대에 위치했다. 그들의 경제 기반은 가축 사육이었으며, 주로 돼지, 큰 뿔 달린 소를 키웠고 양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말은 특별한 역할을 했으며, 고기를 얻기 위해서도 사육되었다. 화전 농업은 경제에서 작은 비중을 차지했다. 상업적 사냥은 주로 모피 무역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35]
원초 연대기에는 무로마족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볼가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오카강을 따라 '''무로마'''족, 체레미스족, 그리고 모르드바족이 그들의 고유 언어를 보존하고 있다."[39]
로고스크 연대기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6405년(897)에는 슬라브족이 다뉴브강을 따라 살고 있었으며, 우그르족, '''무로마'''족, 그리고 다뉴브 불가르족도 있었다."[34]
6. 2. 무로마족에 대한 기록
무로마족은 오카강 유역에 살았던 민족으로, 고대 루스의 연대기에 그 기록이 남아 있다.원초 연대기에는 무로마족이 오카강 유역에 거주하며 자신들의 고유한 언어를 사용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볼가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오카강을 따라 '''무로마'''족, 체레미스족, 그리고 모르드바족이 그들의 고유 언어를 보존하고 있다."[39]
로고스크 연대기는 서기 897년의 기록에서 무로마족을 언급하며, 이들이 다른 민족들과 함께 특정 지역에 거주했음을 보여준다.
"6405년(897)에는 슬라브족이 다뉴브강을 따라 살고 있었으며, 우그르족, '''무로마'''족, 그리고 다뉴브 불가르족도 있었다."[34]
이 기록은 무로마족 중 일부가 헝가리인이나 불가르족과 함께 카르파티아 분지로 이주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34]
무로마족은 루스 공작에게 조공을 바쳤으며, 인접한 메랴족과 마찬가지로 11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그들의 영토가 루스에 편입되면서 점차 문화 동화되었다.[33] 현재의 도시 무롬은 무로마족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서적
Central Asia in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2]
서적
Finno-Ugrian Languages and Peoples
Deutsch
1975
[3]
서적
Pre- and Proto-historic Finns
https://archive.org/[...]
D. Nutt/Adamant Media Corporation
[4]
백과사전
Finno-Ugric religion: Geographic and cultural background » The Finno-Ugric peoples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08-06-10
[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Language Policy in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7]
서적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https://books.google[...]
[8]
서적
Classification and index of the world's languages
Elsevier
[9]
서적
A Guide to the World's Languages: Classification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Problems in the taxonomy of the Uralic languages in the light of modern comparative studies
http://www.helsinki.[...]
Helsinki.fi
[11]
웹사이트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02 года
http://www.perepis20[...]
Perepis2002.ru
[12]
웹사이트
Насон - История города Вологды - Озера
https://nason.ru/oze[...]
[13]
웹사이트
Насон - История города Вологды - Озера
https://nason.ru/oze[...]
[14]
서적
Language Death and Language Maintenance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5]
간행물
KUGARNYA, Marij kalykyn ertymgornyzho, #12 (850), 2006, March, the 24th.
[16]
웹사이트
Merya
http://multitree.org[...]
MultiTree
2009-06-22
[17]
서적
The Modern Encyclopedia of Russian and Soviet History
https://books.google[...]
Academic International Press
[18]
서적
The Slavicization of the Russian North (Slavica Helsingiensia 27)
http://www.helsinki.[...]
Department of Slavonic and Baltic Languages and Literatures
[19]
서적
Contacts de languages et de cultures dans l'aire baltique / Contacts of Languages and Cultures in the Baltic Area
[20]
웹사이트
DSpace
https://helda.helsin[...]
2024-07-27
[21]
웹사이트
"Meryan Mastor"
http://www.merjamaa.[...]
[22]
웹사이트
Меря - Меряния - Залесская Русь - НОВОСТИ
http://www.merjamaa.[...]
[23]
Youtube
National Anthem of Merya
https://www.youtube.[...]
[24]
웹사이트
Silent Souls (film)
http://themoscownews[...]
Themoscownews.com
2012-07-13
[25]
웹사이트
Этнофутуризм и сепаратизм
https://www.vrns.ru/[...]
2021-11-27
[26]
인용
Fra Mauro's World Map
Brepols
[27]
웹사이트
Meshcherian
http://multitree.org[...]
MultiTree
2009-06-22
[28]
학술지
An essay on Saami ethnolinguistic prehistory
http://www.sgr.fi/su[...]
Finno-Ugrian Society
2012
[29]
학술지
The Linguistic Background of the Ancient Meshchera Tribe and Principal Areas of Settlement
[30]
웹사이트
Вопросы Владимиру Напольских-2. Uralistica
http://forum.molgen.[...]
Forum.molgen.org
2012-07-13
[31]
문서
Pauli Rahkonen. South-Eastern contact area of Finnic languages in the light of onomastics: dissertation, Faculty of Arts, University of Helsinki. 2018
https://helda.helsin[...]
[32]
서적
A finnugor és szamojéd népek története
[33]
서적
Finnougrierna och deras språk
Studentlitteratur
[34]
서적
Magyarok eredete [The origin of Hungarians]
[35]
서적
Finno-Ugric Tribes in Ancient Russia
Publishing house of St. Petersburg State University
[36]
서적
К вопросу об особенностях ритуальных действий с животными в погребальных обрядах муромы (по археозоологическим материалам Подболотьевского могильника)
https://www.academia[...]
[37]
뉴스
ARCHAEOLOGISTS FIND MUROMIAN BURIAL GROUND IN MUROMA
https://www.heritage[...]
[38]
간행물
A magyarok ősi rokonainak nyomára bukkantak
https://ng.24.hu/kul[...]
2023-08-27
[39]
서적
The Russian Primary Chronic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