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부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부모는 자녀에게 유전자를 물려주거나 양육을 통해 부모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생물학적 부모, 어머니, 아버지, 조부모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법적 후견인, 양부모와 같은 역할도 존재한다. 부모는 양육, 후견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부모-자식 간의 갈등, 친자 확인 문제, 그리고 다양한 가족 형태와 관련된 논의가 이루어진다. 일본에서는 부모와 관련된 독특한 문화와 호칭이 존재하며, 부모를 주제로 한 다양한 작품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족의 구성원 - 사촌
    사촌은 부모의 형제자매의 자녀를 의미하며, 아버지의 형제 자녀는 종형제자매, 아버지 자매의 자녀는 고종사촌, 어머니의 형제 자녀는 외사촌, 어머니 자매의 자녀는 이종사촌으로 구분하고, 영미권에서는 차수와 제거 개념을 사용하며, 사촌 간의 결혼은 국가별로 허용 여부가 다르다.
  • 가족의 구성원 - 아들
    아들은 사회, 종교, 문화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단어이며, 과거에는 남아선호사상으로 인해 딸보다 더 높은 가치를 부여받았고,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지칭하며, 성씨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파생어, 속어, 대중문화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 가족 - 사촌
    사촌은 부모의 형제자매의 자녀를 의미하며, 아버지의 형제 자녀는 종형제자매, 아버지 자매의 자녀는 고종사촌, 어머니의 형제 자녀는 외사촌, 어머니 자매의 자녀는 이종사촌으로 구분하고, 영미권에서는 차수와 제거 개념을 사용하며, 사촌 간의 결혼은 국가별로 허용 여부가 다르다.
  • 가족 - 아들
    아들은 사회, 종교, 문화 등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단어이며, 과거에는 남아선호사상으로 인해 딸보다 더 높은 가치를 부여받았고, 기독교에서는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지칭하며, 성씨의 형태로 사용되거나 파생어, 속어, 대중문화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부모
지도
기본 정보
정의자기 종의 자손을 돌보는 양육자
관련 용어어버이
부모님
친부모
양부모
생물학적 관점
생물학적 부모자식을 낳은 생물학적 어머니나 아버지
유전적 연결유전자를 물려준 사람
생물학적 아버지와 어머니
사회적 관점
사회적 부모법적 또는 사회적 책임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사람
양육 역할자녀를 돌보고 양육하는 사람
법적 책임과 의무를 지닌 사람
사회적 관계입양 부모
계부모
위탁 부모
사회적 어머니나 아버지
법적 관점
법적 부모법적으로 자녀의 부모로 인정받는 사람
법적 권리와 의무자녀에 대한 권리와 책임
친권, 양육권 등 법적 권한을 행사
인공 수정정자나 난자 기증으로 태어난 자녀의 부모
법적으로 부모로 인정받는 사람
양육
양육 역할자녀를 보호하고 가르치는 역할
자녀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역할
심리적 영향자녀의 심리적 건강에 중요한 영향
애착 관계 형성과 사회성 발달에 기여
가족
가족 구성원자녀를 중심으로 가족 관계 형성
가족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
다양한 가족 형태핵가족, 대가족, 한부모 가족 등 다양한 가족 형태
시대와 사회에 따라 변화
문화적 관점
문화적 역할문화적 전통과 가치관에 따라 역할 정의
사회적 기대와 규범에 영향
다양한 문화다양한 문화권에서 부모 역할의 차이
특정 문화권의 양육 방식에 대한 이해 필요
추가 정보
참고 자료BBC 뉴스: 영국 정부, 세 사람 IVF 지지
옥스포드 사전: 어머니 정의
영문 위키백과: 부모

2. 유형

부모는 생물학적, 사회적, 법적인 측면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일본의 부모자식 관계는 "'''실친'''", "'''의리의 부모'''", "'''가친'''"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23] 실친은 친생 부모를, 의리의 부모는 배우자의 부모나 양부모를 의미한다. 가친은 혈연관계는 없지만, 출생, 성인, 결혼 등 특정한 계기를 통해 부모와 유사한 관계를 맺는 것으로, '''명명자''', '''줍는 부모''', '''관례 부모''', '''철장 부모''', '''중매 부모''', '''짚신 부모''', '''갓 부모''' 등이 있다.[23]

2. 1. 생물학적 부모

생물학적 부모는 자신에게 유전자를 물려준 사람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친부모라고도 한다. 이 용어는 개인의 부모와 친부모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버지가 재혼한 경우 아버지의 새 아내를 새어머니라고 부르지만, 친어머니와 거의 또는 전혀 접촉하지 않은 사람은 양부모를 어머니라고 부르고 친어머니를 이름으로 부를 수도 있다.

조부모는 부모의 부모를 말한다. 유전적 키메라가 아닌 모든 성생식 생물은 최대 4명의 유전적 조부모, 8명의 유전적 증조부모, 16명의 유전적 고조부모를 가질 수 있다. 형제 또는 이복형제 간 근친상간과 같이 드문 경우에는 이보다 더 적은 수의 조부모가 존재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배우자의 부모를 '의리의 부모'라고 하며, 양자 입양에 의한 양부·양모도 이에 해당한다. 또한, 혈연 관계는 아니지만 부모와 유사한 관계를 맺는 '''가친'''이라는 개념도 있는데, '''명명자''', '''줍는 부모''', '''관례 부모''', '''철장 부모''', '''중매 부모''', '''짚신 부모''', '''갓 부모''' 등이 이에 해당한다.[23] 가친과의 관계는 일시적일 수도, 평생 지속될 수도 있다.[23]

2. 1. 1. 어머니

어머니는 임신을 통해 잉태하거나, 출산을 통해 낳거나, 양육을 통해 부모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다른 개인과 모성적 유대감을 갖는 여성이다.[8] 한 개인과 그러한 유대감을 갖는 여성은 한 명 이상일 수 있다. 어머니의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 정의와 역할의 복잡성과 차이 때문에 보편적으로 수용되는 정의에 맞는 어머니를 정의하기는 어렵다. 대리모를 이용하면 생물학적 어머니가 두 명 존재할 수 있다.[9]

산후 아기

2. 1. 2. 아버지

아버지는 자녀의 남성 부모이다.[10] 자녀 양육에 참여하거나 자녀의 탄생에 필요한 생물학적 물질인 정자를 제공한 경우를 말한다.

오바마 가족 사진 (2011년)


아버지가 지켜보는 가운데 티모시 L. 페스토와 케이틀린 E. 페스토가 풋볼을 하는 모습 (앨라배마주 터스컬루사)

2. 2. 조부모

조부모는 부모의 부모를 가리킨다.[1] 성적으로 번식하는 생물은 키메라가 아닌 한 최대 네 명의 유전적 조부모, 여덟 명의 유전적 증조부모, 열여섯 명의 유전적 고조부모 등을 갖는다.[1] 형제 또는 이부형제 간의 근친상간과 같이 드문 경우에는 이러한 수치가 더 적다.[1]

2. 3. 법적 부모

법적 부모는 법적으로 자녀에 대한 권리와 책임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국가와 주에서는 미성년 자녀의 부모를 해당 자녀의 법적 후견인으로 보며, 부모가 사망할 경우 법원의 승인을 받아 자녀의 법적 후견인을 지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생물학적 부모는 자신에게 유전자를 물려준 사람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부모와 친부모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된다.

일본의 부모자식 관계는 "'''실친'''", "'''의리의 부모'''", "'''가친'''"의 세 가지로 나뉜다.[23] "실친"은 친생 부모, "의리의 부모"는 배우자의 부모나 양부모를 말한다. 가친은 부모자식 관계가 아니었던 사람과 새롭게 부모자식 관계와 유사한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다.[23]

2. 3. 1. 후견인

후견인은 다른 사람의 개인적, 재산적 이익을 돌볼 수 있는 법적 권한(및 그에 상응하는 의무)을 가진 사람이다.

대부분의 국가와 주에서는 미성년 자녀의 부모가 해당 자녀의 법적 후견인이며, 부모가 사망할 경우 법원의 승인을 받아 자녀의 법적 후견인이 될 사람을 지정할 수 있도록 규정하는 법률이 존재한다. 일부 관할권에서는 자녀의 부모가 법원의 정식 선임 없이 법적 후견인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해당 권한을 행사하는 부모를 해당 부모의 자녀에 대한 자연 후견인이라고 한다.[1]

법정 후견인은 다른 사람(피후견인)의 신상과 재산에 대한 관리 책임과 권한을 법적으로 가진 사람을 말한다. 후견인 제도는 주로 다음 세 가지 상황에서 활용된다.

  • 고령 또는 질병으로 인해 의사능력이 없는 노인에 대한 후견
  • 미성년자에 대한 후견
  • 발달장애 성인에 대한 후견[2]


대부분의 국가와 주에서는 미성년 자녀의 부모가 그 자녀의 법정 후견인이며, 법원의 승인을 조건으로 사망 시 자녀의 법정 후견인이 될 사람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을 가지고 있다.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부모가 법원의 공식적인 선임 없이 법정 후견인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경우, 그러한 역할을 하는 부모는 자녀의 자연 후견인이라고 불린다.[3]

2. 3. 2. 양부모

양부모는 양자 입양을 통해 법적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를 말한다. 친부모와 거의 또는 전혀 접촉하지 않은 사람은 양부모를 어머니라고 부르고 친어머니를 그대로 또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부를 수도 있다. 일본에서는 배우자의 아버지나 어머니인 장인·시어머니나 양자 입양에 의한 양부·양모를 '의리의 부모'라고 한다.[23]

3. 역할

양육은 아이를 어른으로 성장하도록 돌보면서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재정적, 지적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이는 생물학적 관계를 떠나 아이를 키우는 과정을 말한다.[11]

일본의 부모자식 관계는 "실친", "의리의 부모", "가친"의 세 가지로 나뉜다.[23] "실친"은 친생 부모이고, "의리의 부모"는 배우자의 부모나 양부모를 말한다. "가친"은 원래 부모자식 관계가 아니었던 사람과 새롭게 부모자식 관계와 유사한 관계를 맺는 것으로, 명명자, 줍는 부모, 관례 부모 등이 있다.[23] 가친과의 관계는 일시적일 수도, 평생 지속될 수도 있다. 이러한 허구적인 부모자식 관계의 중요성과 다양성은 일본 부모자식 관계의 특징으로 꼽힌다.[23]

3. 1. 양육

양육이란 유아기부터 성인기까지 아동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경제적, 지적 발달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과정이며, 생물학적 관계를 제외한 아동 양육의 측면을 가리킨다.[11]

3. 2. 후견

후견은 의사 능력이 없는 노인, 미성년자, 발달장애 성인 등을 법적으로 보호하고 대리하는 제도이다.[1]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미성년 자녀의 부모가 법정 후견인이며, 법원 승인을 받아 사망 시 자녀의 법정 후견인이 될 사람을 지정할 수 있다.[1] 일부 지역에서는 부모가 법원의 공식적인 선임 없이 법정 후견인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해당 부모를 자연 후견인이라고 한다.[1]

4. 부계 및 모계 문제

부계 및 모계 문제는 부모-자식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전적, 법적 문제들을 말한다. 부계 감별 검사는 아버지의 권리와 의무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모계 검사는 법적 분쟁, 오랜 시간 동안 자녀를 보지 못한 경우, 사망한 사람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 등에 사용된다.

과거에는 ABO 혈액형 분류, 다양한 단백질효소 분석, HLA 항원 사용 등이 부모 관계 확인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DNA 분석(유전자 지문 분석)으로 대체되었다.

한편, 부모와 자식 간에는 최적 적응도 차이로 인해 진화적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4. 1. 친자 확인

친자 확인은 DNA 검사 등을 통해 생물학적 부모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부계 감별 검사는 남성이 다른 개인의 생물학적 아버지인지 확인하는 검사이다. 이는 아버지의 권리와 의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모계 감별 검사는 여성이 다른 개인의 생물학적 어머니인지 확인하는 검사이다. 출산과 임신 중에는 어머니가 누구인지 명확하기 때문에 덜 일반적이지만, 법적 분쟁, 오랜 시간 동안 자녀를 보지 못한 경우, 사망한 사람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 등 여러 상황에서 사용된다.

붙은 귓불이나 미망인의 봉우리, 입술 갈라짐과 같은 선천적 형질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자를 통해 유전되므로 부모가 아님을 시사하는 잠정적인 지표로 사용될 수 있지만, 완벽하게 신뢰할 수 있는 증거는 아니다.

부모 관계를 확인하는 더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DNA 분석(유전자 지문 분석)이다. 이전에는 ABO 혈액형 분류, 다양한 다른 단백질효소 분석, HLA 항원 사용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현재 부계 감별 검사 기술은 중합효소 연쇄 반응과 제한효소 절편 길이 다형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유전자 지문 분석이 다른 모든 형태의 검사를 거의 대체했다.[1]

4. 2. 부모-자식 갈등

아버지를 미워하는 자식은 미소파터(misopater영어), 어머니를 미워하는 자식은 미소마터(misomater영어)라고 하며, 자식을 미워하는 부모는 미소페디스트(misopedist영어)라고 한다.[15][16] 부모-자식 갈등은 부모와 자식의 최적 적응도 차이에서 발생하는 진화적 갈등을 설명한다. 부모는 자식의 수를 극대화하려는 경향이 있는 반면, 자식은 종종 형제자매와 경쟁하여 더 많은 부모 투자를 받음으로써 자신의 적응도를 높일 수 있다. 이 이론은 1974년 로버트 트리버스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보다 일반적인 유전자 중심적 진화관을 확장한 것으로, 많은 관찰된 생물학적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17] 예를 들어, 일부 조류 종에서는 부모가 종종 두 개의 알을 낳고 두 마리 이상의 새끼를 기르려고 시도하지만, 가장 강한 새끼가 부모가 가져온 먹이의 더 큰 부분을 차지하고 종종 약한 형제자매를 죽이는데, 이는 형제 살해로 알려져 있다.

5. 다양한 가족 형태

모든 가족이 전통적인 핵가족 형태를 띠는 것은 아니다. 입양, 공동 양육, 재혼 가정, 동성 부모 등 다양한 형태의 가족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사회과학 문헌과 전문가들은 가족 구조 자체보다는 양육의 질과 가족 내 관계 같은 가족 과정이 아동의 행복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데 동의한다.[13]

5. 1. 한부모 가족

아이는 최소한 한 명의 생물학적 아버지와 최소한 한 명의 어머니를 가지고 있지만, 모든 가족이 전통적인 핵가족인 것은 아니다. 입양, 공동 양육, 재혼 가정, LGBT 부모 등 많은 변형이 있으며, 이를 두고 논란이 있어왔다.

사회과학 문헌에서는 부모의 성별 구성이 최적이라는 개념이나 동성 부모와 함께 자란 아동 및 청소년이 이성 부모를 둔 아동과 비교하여 발달상의 불이익을 겪는다는 개념을 배격한다.[12][13] 전문가와 주요 협회들은 현재 부모의 성별 조합에 최적의 구성이 없다는 점에 대해 학계에서 잘 확립되고 받아들여지는 합의가 있다는 데 동의한다.[14] 가족 연구 문헌은 부모의 수, 성별, 성적 취향, 동거 상태와 같은 가족 구조 자체가 아니라 가족 과정(예: 양육의 질과 가족 내 관계)이 아동의 행복과 "결과"를 결정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을 시사한다.[13]

5. 2. 재혼 가족

재혼 가정은 부모의 재혼으로 인해 형성된 가족을 의미하며, 의붓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가 형성된다.

사회과학 문헌에서는 부모의 성별 구성이 최적이라는 개념이나 동성 부모와 함께 자란 아동 및 청소년이 이성 부모를 둔 아동과 비교하여 발달상의 불이익을 겪는다는 개념을 배격한다.[12][13] 전문가와 주요 협회들은 부모의 성별 조합에 최적의 구성이 없다는 점에 대해 학계에서 잘 확립되고 받아들여지는 합의가 있다는 데 동의한다.[14] 가족 연구 문헌은 부모의 수, 성별, 성적 취향, 동거 상태와 같은 가족 구조 자체가 아니라 가족 과정(예: 양육의 질과 가족 내 관계)이 아동의 행복과 "결과"를 결정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을 시사한다.[13]

5. 3. LGBT 부모

아이는 최소한 한 명의 생물학적 아버지와 최소한 한 명의 생물학적 어머니를 가지고 있지만, 모든 가족이 전통적인 핵가족인 것은 아니다. 입양, 공동 양육, 재혼 가정, 동성 부모 등 많은 변형이 있으며, 이를 두고 논란이 있어왔다.

사회과학 문헌에서는 부모의 성별 구성이 최적이라는 개념이나 동성 부모와 함께 자란 아동 및 청소년이 이성 부모를 둔 아동과 비교하여 발달상의 불이익을 겪는다는 개념을 배격한다.[12][13] 전문가와 주요 협회들은 현재 부모의 성별 조합에 최적의 구성이 없다는 점에 대해 학계에서 잘 확립되고 받아들여지는 합의가 있다는 데 동의한다.[14] 가족 연구 문헌은 부모의 수, 성별, 성적 취향, 동거 상태와 같은 가족 구조 자체가 아니라 가족 과정(예: 양육의 질과 가족 내 관계)이 아동의 행복과 "결과"를 결정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을 시사한다.[13]

6. 일본의 부모

일본의 부모자식 관계는 내용과 형식이 다양하며, '''실친''', '''의리의 부모''', '''가친'''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23] 실친은 친부모를, 의리의 부모는 배우자의 부모(장인, 시어머니)나 양자 입양으로 맺어진 양부모를 뜻한다. 가친은 혈연관계가 아닌 사람이 특정한 시기에 새롭게 부모자식과 유사한 관계를 맺는 것을 말한다.[23] 가친과의 관계는 일시적일 수도, 평생 지속될 수도 있다. 일본의 부모자식 관계는 이처럼 허구적인 부모자식 관계가 중요하고 다양하다는 특징을 보인다.[23] 이러한 관계를 맺는 절차를 '부모자식이 되다(親子成り)'라고 부른다.[24]

6. 1. 일본어의 부모 호칭

만엽집에서는 '''모부'''(おもちち, 상대 동국 방언에서는 "あもしし")라고 불렀다.[21] 이것은 8세기의 부모를 부르는 남성적인 호칭이며, 여성적인 호칭에는 부모(かぞはは)가 있었다.[22] 이 중에서 "부모"가 더 일반적이 되었고, 훈독 "ちちはは"와 혼용되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2]

6. 2. 가친(仮親) 제도

일본의 부모자식 관계는 내용과 형식이 다양한데, 크게 '''실친''', '''의리의 부모''', '''가친'''의 세 가지로 나뉜다.[23] 실친은 친부모를, 의리의 부모는 배우자의 부모(장인, 시어머니)나 양자 입양으로 맺어진 양부모를 뜻한다. 가친은 혈연관계가 아닌 사람이 출생, 성인, 결혼 등 특정한 시기에 새롭게 부모자식과 유사한 관계를 맺는 것을 말하며, 명명자, 줍는 부모, 관례 부모, 철장 부모, 중매 부모, 짚신 부모, 갓 부모 등이 있다.[23] 가친과의 관계는 일시적일 수도, 평생 지속될 수도 있다. 일본의 부모자식 관계는 이처럼 허구적인 부모자식 관계가 중요하고 다양하다는 특징을 보인다.[23] 이러한 관계를 맺는 절차를 '부모자식이 되다(親子成り)'라고 부른다.[24]

7. 부모를 주제로 한 작품


  • 부모의 얼굴을 보고 싶어? (2002년 4월 1일부터 2003년 3월 10일까지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방송되었던 프로그램)
  • 부모의 얼굴 (다치카와 시노스케의 신작 라쿠고)
  • Bad Parents|배드 페어런츠영어 (코미디 작품)
  • Meet the Parents (1992 film)|미트 더 페어런츠영어 (1992년 코미디 영화)
  • Parents (1989 film)|페어런츠영어 (1989년 블랙 코미디 호러 영화)
  • Parents (2016 film)|페어런츠영어 (2016년 영화)
  • Les Parents terribles (1980 film)|끔찍한 부모프랑스어 (1980년 프랑스 영화)

참조

[1] 뉴스 UK government backs three-person IVF https://www.bbc.co.u[...] 2013-06-28
[2] 서적 The Law of Sex Discrimination
[3] 서적 Papa's Baby: Paternity and Artificial Insemination 2012
[4] 서적 Reproductive Technologies 2009
[5] 웹사이트 mother definition http://www.oxforddic[...] Oxford Dictionaries 2012-10-10
[6] 서적 Racial Disproportionality in Child Welfare 2014
[7] 서적 Evidence in the Psychological Therapies: A Critical Guidance for Practitioners 2005
[8] 웹사이트 Definition from http://www.allwords.[...] Allwords.com 2007-09-14
[9] 서적 Philosophical Ethics in Reproductive Medicine 1990
[10] 웹사이트 TheFreeDictionary http://www.thefreedi[...] 2014-10-07
[11] 서적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social work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00
[12] 웹사이트 Affidavit – United States District Court for the District of Massachusetts http://www.glad.org/[...] 2017-06-00
[13] 웹사이트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LGBT) Parented Families – A Literature Review prepared for The Australian Psychological Society http://www.psycholog[...] 2011-03-04
[14] 웹사이트 In The Supreme Court of Iowa No. 07–1499 http://data.lambdale[...] 2009-12-29
[15] 간행물 Iatrologs and Iatronyms 1971
[16] 간행물 Imagining intergenerationality: Representation and rhetoric in the pedophile movie 2007
[17] 논문 Parent–offspring conflict 1974
[18] 논문 Genetic conflicts in human pregnancy 1993
[19] 논문 Fertility in Advanced Societies: A Review of Research 2013
[20] 서적 広辞苑第五版
[21] Kotobank 2023-06-25
[22] 서적 女性の力 中央公論社 1987
[23] 백과사전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24] 백과사전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25] 서적 Philosophical Ethics in Reproductive Medicine 199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