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광역시청은 부산광역시의 행정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으로, 연제구 중앙대로에 위치해 있다. 1998년 연제구로 청사를 이전하기 전에는 중구 중앙동에 위치했다. 시장을 중심으로, 행정부시장과 경제부시장이 있으며, 다양한 실·국 및 사업소를 통해 시정을 운영한다. 2022년 예산은 14조 2690억여 원 규모로, 일반 공공 행정, 사회 복지, 교육, 문화 및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예산이 편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연제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지방검찰청
부산지방검찰청은 1948년 개청하여 부산광역시 12개 구를 관할하는 검찰청으로, 동부지청과 서부지청을 소속기관으로 두고 연제구 거제동에 위치한다. - 부산 연제구 소재의 관공서 - 부산지방법원
부산지방법원은 1896년 부산재판소를 전신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방법원으로, 일제강점기 일본인 거류민 재판을 위해 설치되었으나 해방 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으며, 부산광역시의 일부 구와 군을 관할하는 본원, 동부지원, 서부지원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재판부와 사무국을 두고 있다. - 부산광역시청 - 부산은행
부산은행은 1967년 설립되어 1972년 주식 시장에 상장된 대한민국의 지방 은행으로, 2011년 BS금융지주(현 BNK금융지주) 출범 이후 본점을 문현동으로 이전했으며, 롯데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ATM 수수료 혜택을 제공하고 부산, 서울 등에서 영업하며 해외 지점도 운영한다. - 부산광역시청 - 부산문화회관
부산문화회관은 대극장, 중극장, 소극장, 전시실, 국제회의장, 야외무대 등의 시설을 갖춘 복합 문화 공간으로, 부산 시립 예술 단체들이 상주하며 다양한 공연과 전시를 통해 지역 예술 발전과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 확대에 기여한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부산광역시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모토 | Dynamic Busan |
설립일 | 1995년 1월 1일 |
전신 | 부산직할시청 |
소재지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 |
직원 | 2,894명 |
예산 | 14조 2690억 2450만 9000원 |
웹사이트 | 부산광역시청 |
주요 인물 | |
시장 | 박형준 |
행정부시장 | 이병진 |
경제부시장 | 이성권 |
조직 |
2. 청사
부산광역시청은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에 위치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중앙에 자리잡고 있으며, 근처에는 시의회, 지방경찰청, 고등법원, 지방법원 등이 있어 사법 및 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도시철도 1호선이 지나가며, 구 시가지인 남포동, 중앙동에서 20분, 동래나 서면에서 5분 거리에 있다.
원래 부산광역시청은 중구 중앙동에 있었다. 1997년 12월 새 청사가 완공되었고, 1998년 1월 20일에 이전하였다. 구 청사는 일제시대의 잔재라는 이유로 1998년 10월경 철거되었으며, 신청사 바로 앞에 있는 도시철도 1호선 연제역은 시청(연제)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2. 1. 청사 위치 및 이전 역사
부산광역시청은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에 위치하고 있다. 부산광역시의 중앙에 자리잡고 있으며, 근처에는 시의회, 지방경찰청, 고등법원, 지방법원 등이 있어 사법 및 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도시철도 1호선이 지나가며, 구 시가지인 남포동, 중앙동에서 20분, 동래나 서면에서 5분 거리에 있다.원래 부산광역시청은 중구 중앙동에 있었다. 1997년 12월 새 청사가 완공되었고, 1998년 1월 20일에 이전하였다. 구 청사는 일제시대의 잔재라는 이유로 1998년 10월경 철거되었으며, 신청사 바로 앞에 있는 도시철도 1호선 연제역은 시청(연제)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3. 조직
실·국 | 관·단 | 담당관실·과 |
---|---|---|
colspan=3 | | ||
시장 산하 하부조직 | ||
대변인실 | 홍보담당관실ㆍ공보담당관실ㆍ뉴미디어담당관실[4] | |
소방재난본부 | 소방행정과ㆍ방호조사과ㆍ구조구급과ㆍ종합상황실ㆍ재난예방담당관실ㆍ소방감사담당관실ㆍ특수구조단ㆍ119안전체험관 | |
부산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 | 사무국 | 자치경찰행정과ㆍ자치경찰관리과 |
부산광역시 감사위원회[4] | 감사담당관ㆍ청렴담당관 | |
행정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 ||
colspan=2 | | 성비위근절추진단 | |
기획조정실 | 기획관실 | 기획담당관실ㆍ조직담당관실ㆍ규제혁신추진단ㆍ법무담당관실ㆍ정보화담당관실 |
재정관실 | 재정혁신담당관실ㆍ예산담당관실ㆍ세정정책담당관실ㆍ세정운영담당관실ㆍ회계재산담당관실 | |
시민안전실 | 안전정책과ㆍ사회재난과ㆍ자연재난과ㆍ원자력안전과ㆍ특별사법경찰과 | |
시민건강국 | 건강정책과ㆍ보건위생과ㆍ감염병관리과 | |
도시균형발전실 | 도시균형개발과ㆍ15분도시기획단ㆍ북항재개발추진과ㆍ도시정비과ㆍ건설행정과ㆍ걷기좋은부산추진단 | |
도시계획국 | 도시계획과ㆍ시설계획과ㆍ도로계획과ㆍ기술심사과ㆍ공원정책과ㆍ토지정보과 | |
건축주택국 | 총괄건축과ㆍ창조도시과ㆍ주택정책과ㆍ공공도시디자인과[4] | |
교통국 | 공공교통정책과ㆍ물류정책과ㆍ도시철도과ㆍ버스운영과ㆍ택시운수과 | |
문화체육국 | 문화예술과ㆍ문화유산과ㆍ문화시설개관준비과ㆍ영상콘텐츠산업과ㆍ체육진흥과 | |
관광마이스국 | 관광진흥과ㆍ마이스산업과ㆍ해양레저관광과 | |
사회복지국 | 복지정책과ㆍ장애인복지과ㆍ노인복지과 | |
여성가족국 | 여성가족과ㆍ출산보육과ㆍ아동청소년과 | |
행정자치국 | 자치분권과ㆍ총무과ㆍ인사과ㆍ민생노동정책과ㆍ통합민원과 | |
부울경특별지방자치단체합동추진단 사무국[5] | 광역행정과ㆍ광역사업과 | |
경제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 ||
금융창업정책관실[4] | 창업벤처담당관실ㆍ금융블록체인담당관실 | |
디지털경제혁신실 | 경제정책과ㆍ소상공인지원과ㆍ투자유치과ㆍ산업입지과ㆍ인공지능소프트웨어과ㆍ빅데이터통계과[4] | |
미래산업국 | 제조혁신과ㆍ미래기술혁신과ㆍ미래에너지산업과ㆍ첨단의료산업과 | |
청년산학국 | 청년희망정책과ㆍ지산학협력과[4]ㆍ창조교육과 | |
2030엑스포추진본부[6] | 유치기획과ㆍ대외협력과ㆍ유치홍보과ㆍ외교통상과 | |
신공항추진본부 | 공항기획과ㆍ신공항도시과 | |
환경물정책실 | 환경정책과ㆍ맑은물정책과ㆍ탄소중립정책과ㆍ자원순환과ㆍ하천관리과ㆍ산림녹지과ㆍ공공하수인프라과 | |
해양농수산국 | 해양수도정책과ㆍ해운항만과ㆍ수산정책과ㆍ수산진흥과ㆍ농축산유통과 |
3. 1. 시장
부산광역시청 시장 산하에는 대변인실, 소방재난본부, 부산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 부산광역시 감사위원회가 있다.[4] 대변인실은 홍보담당관실, 공보담당관실, 뉴미디어담당관실로 구성된다.[4]3. 2. 행정부시장 및 경제부시장
부산광역시장은 산하에 행정부시장과 경제부시장을 두고 있다.[4]행정부시장 산하에는 기획조정실, 시민안전실, 시민건강국, 도시균형발전실, 도시계획국, 건축주택국, 교통국, 문화체육국, 관광마이스국, 사회복지국, 여성가족국, 행정자치국, 부울경특별지방자치단체합동추진단 사무국이 있다.[4][5]
경제부시장 산하에는 금융창업정책관실, 디지털경제혁신실, 미래산업국, 청년산학국, 2030엑스포추진본부, 신공항추진본부, 환경물정책실, 해양농수산국이 있다.[4][6]
각 실, 국, 본부, 관, 단에는 담당관실 및 과가 소속되어 사무를 처리한다.
3. 3. 실·국
wikitext실·국 | 관·단 | 담당관실·과 |
---|---|---|
colspan=3 | | ||
시장 산하 하부조직 | ||
대변인실 | 홍보담당관실ㆍ공보담당관실ㆍ뉴미디어담당관실[4] | |
소방재난본부 | 소방행정과ㆍ방호조사과ㆍ구조구급과ㆍ종합상황실ㆍ재난예방담당관실ㆍ소방감사담당관실ㆍ특수구조단ㆍ119안전체험관 | |
부산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 | 사무국 | 자치경찰행정과ㆍ자치경찰관리과 |
부산광역시 감사위원회[4] | 감사담당관ㆍ청렴담당관 | |
행정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 ||
colspan=2 | | 성비위근절추진단 | |
기획조정실 | 기획관실 | 기획담당관실ㆍ조직담당관실ㆍ규제혁신추진단ㆍ법무담당관실ㆍ정보화담당관실 |
재정관실 | 재정혁신담당관실ㆍ예산담당관실ㆍ세정정책담당관실ㆍ세정운영담당관실ㆍ회계재산담당관실 | |
시민안전실 | 안전정책과ㆍ사회재난과ㆍ자연재난과ㆍ원자력안전과ㆍ특별사법경찰과 | |
시민건강국 | 건강정책과ㆍ보건위생과ㆍ감염병관리과 | |
도시균형발전실 | 도시균형개발과ㆍ15분도시기획단ㆍ북항재개발추진과ㆍ도시정비과ㆍ건설행정과ㆍ걷기좋은부산추진단 | |
도시계획국 | 도시계획과ㆍ시설계획과ㆍ도로계획과ㆍ기술심사과ㆍ공원정책과ㆍ토지정보과 | |
건축주택국 | 총괄건축과ㆍ창조도시과ㆍ주택정책과ㆍ공공도시디자인과[4] | |
교통국 | 공공교통정책과ㆍ물류정책과ㆍ도시철도과ㆍ버스운영과ㆍ택시운수과 | |
문화체육국 | 문화예술과ㆍ문화유산과ㆍ문화시설개관준비과ㆍ영상콘텐츠산업과ㆍ체육진흥과 | |
관광마이스국 | 관광진흥과ㆍ마이스산업과ㆍ해양레저관광과 | |
사회복지국 | 복지정책과ㆍ장애인복지과ㆍ노인복지과 | |
여성가족국 | 여성가족과ㆍ출산보육과ㆍ아동청소년과 | |
행정자치국 | 자치분권과ㆍ총무과ㆍ인사과ㆍ민생노동정책과ㆍ통합민원과 | |
부울경특별지방자치단체합동추진단 사무국[5] | 광역행정과ㆍ광역사업과 | |
경제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 ||
금융창업정책관실[4] | 창업벤처담당관실ㆍ금융블록체인담당관실 | |
디지털경제혁신실 | 경제정책과ㆍ소상공인지원과ㆍ투자유치과ㆍ산업입지과ㆍ인공지능소프트웨어과ㆍ빅데이터통계과[4] | |
미래산업국 | 제조혁신과ㆍ미래기술혁신과ㆍ미래에너지산업과ㆍ첨단의료산업과 | |
청년산학국 | 청년희망정책과ㆍ지산학협력과[4]ㆍ창조교육과 | |
2030엑스포추진본부[6] | 유치기획과ㆍ대외협력과ㆍ유치홍보과ㆍ외교통상과 | |
신공항추진본부 | 공항기획과ㆍ신공항도시과 | |
환경물정책실 | 환경정책과ㆍ맑은물정책과ㆍ탄소중립정책과ㆍ자원순환과ㆍ하천관리과ㆍ산림녹지과ㆍ공공하수인프라과 | |
해양농수산국 | 해양수도정책과ㆍ해운항만과ㆍ수산정책과ㆍ수산진흥과ㆍ농축산유통과 |
3. 3. 1. 기획조정실
기획조정실은 기획관실과 재정관실로 나뉜다. 기획관실은 기획담당관실, 조직담당관실, 규제혁신추진단, 법무담당관실, 정보화담당관실을, 재정관실은 재정혁신담당관실, 예산담당관실, 세정정책담당관실, 세정운영담당관실, 회계재산담당관실을 산하에 두고 있다.[4]3. 3. 2. 시민안전실
부산광역시청의 시민안전실은 안전정책과, 사회재난과, 자연재난과, 원자력안전과, 특별사법경찰과로 구성되어 있다.[4]3. 3. 3. 시민건강국
wikitext건강정책과ㆍ보건위생과ㆍ감염병관리과 |
3. 3. 4. 도시균형발전실
도시균형개발과ㆍ15분도시기획단ㆍ북항재개발추진과ㆍ도시정비과ㆍ건설행정과ㆍ걷기좋은부산추진단이 있다.3. 3. 5. 도시계획국
wikitext실·국 | 관·단 | 담당관실·과 |
---|---|---|
도시계획국 | 도시계획과ㆍ시설계획과ㆍ도로계획과ㆍ기술심사과ㆍ공원정책과ㆍ토지정보과 |
3. 3. 6. 건축주택국
총괄건축과, 창조도시과, 주택정책과, 공공도시디자인과[4]가 있다.3. 3. 7. 교통국
교통국에는 공공교통정책과, 물류정책과, 도시철도과, 버스운영과, 택시운수과가 있다.3. 3. 8. 문화체육국
문화예술과ㆍ문화유산과ㆍ문화시설개관준비과ㆍ영상콘텐츠산업과ㆍ체육진흥과[4]3. 3. 9. 관광마이스국
관광진흥과, 마이스산업과, 해양레저관광과가 있다.[4]3. 3. 10. 사회복지국
복지정책과ㆍ장애인복지과ㆍ노인복지과3. 3. 11. 여성가족국
wikitext과 |
---|
여성가족과 |
출산보육과 |
아동청소년과 |
3. 3. 12. 행정자치국
wikitext과 |
---|
자치분권과 |
총무과 |
인사과 |
민생노동정책과 |
통합민원과 |
3. 3. 13. 부울경특별지방자치단체합동추진단
wikitext부산광역시청 산하 부울경특별지방자치단체합동추진단 사무국에는 광역행정과와 광역사업과가 있다.[5]
3. 3. 14. 금융창업정책관실
wikitext부산광역시청 경제부시장 산하 하부조직이다.[4]
- 창업벤처담당관실
- 금융블록체인담당관실
3. 3. 15. 디지털경제혁신실
경제정책과, 소상공인지원과, 투자유치과, 산업입지과, 인공지능소프트웨어과, 빅데이터통계과[4]가 있다.3. 3. 16. 미래산업국
제조혁신과ㆍ미래기술혁신과ㆍ미래에너지산업과ㆍ첨단의료산업과3. 3. 17. 청년산학국
부산광역시청의 경제부시장 산하 하부조직이다.
3. 3. 18. 2030엑스포추진본부
2030엑스포추진본부[6]는 유치기획과, 대외협력과, 유치홍보과, 외교통상과로 구성되어 있다.3. 3. 19. 신공항추진본부

- 신공항추진본부
- * 공항기획과
- * 신공항도시과
3. 3. 20. 환경물정책실
- 환경정책과
- 맑은물정책과
- 탄소중립정책과
- 자원순환과
- 하천관리과
- 산림녹지과
- 공공하수인프라과
3. 3. 21. 해양농수산국
- 해양수도정책과
- 해운항만과
- 수산정책과
- 수산진흥과
- 농축산유통과
3. 4. 직속기관
부산광역시소방학교부산광역시인재개발원
부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부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
3. 4. 1. 부산광역시 소방재난본부
3. 4. 2. 부산광역시 인재개발원
wikitext부산광역시인재개발원
3. 4. 3. 부산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부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3. 4. 4. 부산광역시 농업기술센터
부산광역시농업기술센터3. 5. 사업소
부산광역시청의 사업소는 다음과 같다.- 부산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 부산광역시건설본부
- 부산광역시낙동강관리본부
- 부산광역시서울본부
- 부산광역시여성회관
- 부산광역시여성문화회관
- 부산광역시아동보호종합센터
- 부산광역시차량등록사업소
-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립미술관
- 부산광역시현대미술관
- 부산근현대역사관
- 부산도서관
- 부산광역시충렬사관리사무소
- 부산광역시체육시설관리사업소
- 부산광역시금련산청소년수련원
- 부산광역시푸른도시가꾸기사업소
- 부산광역시건설안전시험사업소
- 부산광역시남항관리사업소
- 부산광역시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 * 부산광역시엄궁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 * 부산광역시반여농산물도매시장관리사업소
- 부산광역시국제수산물유통시설관리사업소
- 부산광역시수산자원연구소
-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
- 부산광역시교통정보서비스센터
3. 6. 산하 자치단체
부산광역시청 산하에는 16개의 자치단체가 있다. 중구청, 서구청, 동구청, 영도구청, 부산진구청, 동래구청, 남구청, 북구청, 해운대구청, 사하구청, 금정구청, 강서구청, 연제구청, 수영구청, 사상구청, 기장군청이 있다.4. 정원
부산광역시청에 두는 지방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2]
총계 | 2,894명 | |
---|---|---|
정무직 계 | 3명 | |
1명 | ||
1명 | ||
1명 | ||
colspan=3 | | ||
일반직 계 | 2,495명 | |
4명 | ||
568명 | ||
1,918명 | ||
5명 | ||
colspan=3 | | ||
별정직 계 | 16명 | |
1명 | ||
8명 | ||
7명 | ||
colspan=3 | | ||
연구직 계 | 5명 | |
1명 | ||
4명 | ||
colspan=3 | | ||
소방직 계 | 375명 | |
3명 | ||
5명 | ||
367명 |
5. 재정
wikitext
2022년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7.28% 증가한 14조 2690억 2450만 9000원이다.[3] 총수입·총지출 기준 구체적인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3]
구분 | 세입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지방세수입 | 4조 8423억 9200만 원 | +13.05% |
세외수입 | 9999억 925만 6000원 | -5.94% |
지방교부세 | 1조 2451억 7874만 원 | +8.28% |
보조금 | 5조 1495억 2201만 1000원 | +8.91% |
지방채 | 3900억 원 | -39.95% |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 1조 6420억 2250만 2000원 | +15.1% |
구분 | 세출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분야 | 부문 | ||
일반공공행정 | 1조 4928억 441만 7000원 | +19.03% | |
입법및선거관리 | 78억 9503만 6000원 | +30.89% | |
지방행정·재정지원 | 9603억 9425만 원 | +14.23% | |
재정·금융 | 2억 2620만 7000원 | ||
일반행정 | 5242억 8892만 4000원 | +28.77% | |
공공질서및안전 | 6037억 1665만 2000원 | +6.69% | |
경찰 | 104억 1157만 6000원 | 순증 | |
재난방재·민방위 | 1591억 5704만 4000원 | +8.79% | |
소방 | 4341억 4803만 2000원 | +3.47% | |
교육 | 7800억 5747만 5000원 | +8.49% | |
유아및초중등교육 | 7681억 3228만 원 | +8.26% | |
평생·직업교육 | 119억 2519만 5000원 | +24.97% | |
문화및관광 | 5024억 3301만 3000원 | +18.41% | |
문화예술 | 2727억 6555만 8000원 | +7.21% | |
관광 | 526억 1427만 7000원 | +31% | |
체육 | 1380억 9784만 1000원 | +23.03% | |
문화재 | 216억 2826만 2000원 | +31.58% | |
문화및관광일반 | 173억 2707만 5000원 | +1521.89% | |
환경 | 9921억 8984만 9000원 | +4.32% | |
상하수도·수질 | 7344억 9120만 8000원 | +2.31% | |
폐기물 | 663억 1116만 2000원 | -25.46% | |
대기 | 1644억 8905만 4000원 | +20.11% | |
자연 | 148억 4648만 2000원 | +262.96% | |
환경보호일반 | 120억 5194만 3000원 | +280.29% | |
사회복지 | 5조 9964억 4679만 7000원 | +10.05% | |
기초생활보장 | 2조 0833억 5989만 1000원 | +12.88% | |
취약계층지원 | 1조 726억 4344만 7000원 | +15.19% | |
보육·가족및여성 | 7396억 4138만 8000원 | +4.63% | |
노인·청소년 | 2조 369억 2834만 6000원 | +7.15% | |
노동 | 464억 170만 3000원 | +0.94% | |
보훈 | 174억 7202만 2000원 | -2.58% | |
보건 | 2412억 3114만 5000원 | +30.69% | |
보건의료 | 2332억 4745만 3000원 | +31.71% | |
식품의약안전 | 79억 8369만 2000원 | +6.53% | |
농림해양수산 | 1770억 2831만 6000원 | +15.4% | |
농업·농촌 | 334억 4081만 7000원 | -16.13% | |
임업·산촌 | 431억 299만 4000원 | +23.98% | |
해양수산·어촌 | 1004억 8450만 5000원 | +27.57% | |
산업·중소기업및에너지 | 4469억 9407만 3000원 | +5.42% | |
산업기술지원 | 646억 5738만 2000원 | +15.65% | |
무역및투자유치 | 258억 9823만 4000원 | -33.63% | |
산업진흥·고도화 | 3225억 2733만 2000원 | +8.41% | |
에너지및자원개발 | 339억 1112만 5000원 | +7.47% | |
교통및물류 | 1조 5760억 1440만 4000원 | -15.06% | |
도로 | 3090억 3731만 3000원 | -24.74% | |
도시철도 | 6606억 3169만 원 | -16.13% | |
항공·공항 | 13억 3570만 원 | +20.26% | |
대중교통·물류등기타 | 6025억 998만 1000원 | -7.88% | |
국토및지역개발 | 5402억 46만 2000원 | +23.36% | |
수자원 | 210억 4268만 6000원 | +16.48% | |
지역및도시 | 5104억 2893만 7000원 | +26.35% | |
산업단지 | 87억 2883만 9000원 | -44.97% | |
과학기술 | 38억 2737만 원 | -48.02% | |
과학기술연구지원 | |||
예비비 | 572억 7806만 6000원 | +7.99% | |
예비비 | |||
기타 | 8588억 247만 원 | +4.46% | |
기타 |
5. 1. 세입 예산
2022년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7.28% 증가한 14조 2690억 2450만 9000원이다.[3] 총수입·총지출 기준 구체적인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3]구분 | 세입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지방세수입 | 4조 8423억 9200만 원 | +13.05% |
세외수입 | 9999억 925만 6000원 | -5.94% |
지방교부세 | 1조 2451억 7874만 원 | +8.28% |
보조금 | 5조 1495억 2201만 1000원 | +8.91% |
지방채 | 3900억 원 | -39.95% |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 1조 6420억 2250만 2000원 | +15.1% |
구분 | 세출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분야 | 부문 | ||
일반공공행정 | 1조 4928억 441만 7000원 | +19.03% | |
style="border-top:hidden" | | 입법및선거관리 | 78억 9503만 6000원 | +30.89% |
style="border-top:hidden" | | 지방행정·재정지원 | 9603억 9425만 원 | +14.23% |
style="border-top:hidden" | | 재정·금융 | 2억 2620만 7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일반행정 | 5242억 8892만 4000원 | +28.77% |
공공질서및안전 | 6037억 1665만 2000원 | +6.69% | |
style="border-top:hidden" | | 경찰 | 104억 1157만 6000원 | 순증 |
style="border-top:hidden" | | 재난방재·민방위 | 1591억 5704만 4000원 | +8.79% |
style="border-top:hidden" | | 소방 | 4341억 4803만 2000원 | +3.47% |
교육 | 7800억 5747만 5000원 | +8.49% | |
style="border-top:hidden" | | 유아및초중등교육 | 7681억 3228만 원 | +8.26% |
style="border-top:hidden" | | 평생·직업교육 | 119억 2519만 5000원 | +24.97% |
문화및관광 | 5024억 3301만 3000원 | +18.41% | |
style="border-top:hidden" | | 문화예술 | 2727억 6555만 8000원 | +7.21% |
style="border-top:hidden" | | 관광 | 526억 1427만 7000원 | +31% |
style="border-top:hidden" | | 체육 | 1380억 9784만 1000원 | +23.03% |
style="border-top:hidden" | | 문화재 | 216억 2826만 2000원 | +31.58% |
style="border-top:hidden" | | 문화및관광일반 | 173억 2707만 5000원 | +1521.89% |
환경 | 9921억 8984만 9000원 | +4.32% | |
style="border-top:hidden" | | 상하수도·수질 | 7344억 9120만 8000원 | +2.31% |
style="border-top:hidden" | | 폐기물 | 663억 1116만 2000원 | -25.46% |
style="border-top:hidden" | | 대기 | 1644억 8905만 4000원 | +20.11% |
style="border-top:hidden" | | 자연 | 148억 4648만 2000원 | +262.96% |
style="border-top:hidden" | | 환경보호일반 | 120억 5194만 3000원 | +280.29% |
사회복지 | 5조 9964억 4679만 7000원 | +10.05% | |
style="border-top:hidden" | | 기초생활보장 | 2조 0833억 5989만 1000원 | +12.88% |
style="border-top:hidden" | | 취약계층지원 | 1조 726억 4344만 7000원 | +15.19% |
style="border-top:hidden" | | 보육·가족및여성 | 7396억 4138만 8000원 | +4.63% |
style="border-top:hidden" | | 노인·청소년 | 2조 369억 2834만 6000원 | +7.15% |
style="border-top:hidden" | | 노동 | 464억 170만 3000원 | +0.94% |
style="border-top:hidden" | | 보훈 | 174억 7202만 2000원 | -2.58% |
보건 | 2412억 3114만 5000원 | +30.69% | |
style="border-top:hidden" | | 보건의료 | 2332억 4745만 3000원 | +31.71% |
style="border-top:hidden" | | 식품의약안전 | 79억 8369만 2000원 | +6.53% |
농림해양수산 | 1770억 2831만 6000원 | +15.4% | |
style="border-top:hidden" | | 농업·농촌 | 334억 4081만 7000원 | -16.13% |
style="border-top:hidden" | | 임업·산촌 | 431억 299만 4000원 | +23.98% |
style="border-top:hidden" | | 해양수산·어촌 | 1004억 8450만 5000원 | +27.57% |
산업·중소기업및에너지 | 4469억 9407만 3000원 | +5.42% |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기술지원 | 646억 5738만 2000원 | +15.65% |
style="border-top:hidden" | | 무역및투자유치 | 258억 9823만 4000원 | -33.63%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진흥·고도화 | 3225억 2733만 2000원 | +8.41% |
style="border-top:hidden" | | 에너지및자원개발 | 339억 1112만 5000원 | +7.47% |
교통및물류 | 1조 5760억 1440만 4000원 | -15.06% | |
style="border-top:hidden" | | 도로 | 3090억 3731만 3000원 | -24.74% |
style="border-top:hidden" | | 도시철도 | 6606억 3169만 원 | -16.13% |
style="border-top:hidden" | | 항공·공항 | 13억 3570만 원 | +20.26% |
style="border-top:hidden" | | 대중교통·물류등기타 | 6025억 998만 1000원 | -7.88% |
국토및지역개발 | 5402억 46만 2000원 | +23.36% | |
style="border-top:hidden" | | 수자원 | 210억 4268만 6000원 | +16.48% |
style="border-top:hidden" | | 지역및도시 | 5104억 2893만 7000원 | +26.35%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단지 | 87억 2883만 9000원 | -44.97% |
과학기술 | 38억 2737만 원 | -48.02% | |
style="border-top:hidden" | | 과학기술연구지원 | ||
예비비 | 572억 7806만 6000원 | +7.99% | |
style="border-top:hidden" | | 예비비 | ||
기타 | 8588억 247만 원 | +4.46% | |
style="border-top:hidden" | | 기타 |
5. 2. 세출 예산
2022년 부산광역시의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7.28% 증가한 14조 2690억 2450만 9000원이다.[3] 세입 예산은 지방세 수입 4조 8423억 9200만 원(13.05% 증가), 세외 수입 9999억 925만 6000원(5.94% 감소), 지방교부세 1조 2451억 7874만 원(8.28% 증가), 보조금 5조 1495억 2201만 1000원(8.91% 증가), 지방채 3900억 원(39.95% 감소), 보전 수입 등 및 내부 거래 1조 6420억 2250만 2000원(15.1% 증가)으로 구성된다.[3]세출 예산은 일반공공행정 분야 1조 4928억 441만 7000원(19.03% 증가), 공공질서 및 안전 분야 6037억 1665만 2000원(6.69% 증가), 교육 분야 7800억 5747만 5000원(8.49% 증가), 문화 및 관광 분야 5024억 3301만 3000원(18.41% 증가), 환경 분야 9921억 8984만 9000원(4.32% 증가), 사회복지 분야 5조 9964억 4679만 7000원(10.05% 증가), 보건 분야 2412억 3114만 5000원(30.69% 증가), 농림해양수산 분야 1770억 2831만 6000원(15.4% 증가), 산업·중소기업 및 에너지 분야 4469억 9407만 3000원(5.42% 증가), 교통 및 물류 분야 1조 5760억 1440만 4000원(15.06% 감소), 국토 및 지역 개발 분야 5402억 46만 2000원(23.36% 증가), 과학기술 분야 38억 2737만 원(48.02% 감소), 예비비 572억 7806만 6000원(7.99% 증가), 기타 8588억 247만 원(4.46% 증가)이다.[3]
구분 | 세입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지방세수입 | 4조 8423억 9200만 원 | +13.05% |
세외수입 | 9999억 925만 6000원 | -5.94% |
지방교부세 | 1조 2451억 7874만 원 | +8.28% |
보조금 | 5조 1495억 2201만 1000원 | +8.91% |
지방채 | 3900억 원 | -39.95% |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 1조 6420억 2250만 2000원 | +15.1% |
구분 | 세출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분야 | 부문 | ||
일반공공행정 | 1조 4928억 441만 7000원 | +19.03% | |
style="border-top:hidden" | | 입법및선거관리 | 78억 9503만 6000원 | +30.89% |
style="border-top:hidden" | | 지방행정·재정지원 | 9603억 9425만 원 | +14.23% |
style="border-top:hidden" | | 재정·금융 | 2억 2620만 7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일반행정 | 5242억 8892만 4000원 | +28.77% |
공공질서및안전 | 6037억 1665만 2000원 | +6.69% | |
style="border-top:hidden" | | 경찰 | 104억 1157만 6000원 | 순증 |
style="border-top:hidden" | | 재난방재·민방위 | 1591억 5704만 4000원 | +8.79% |
style="border-top:hidden" | | 소방 | 4341억 4803만 2000원 | +3.47% |
교육 | 7800억 5747만 5000원 | +8.49% | |
style="border-top:hidden" | | 유아및초중등교육 | 7681억 3228만 원 | +8.26% |
style="border-top:hidden" | | 평생·직업교육 | 119억 2519만 5000원 | +24.97% |
문화및관광 | 5024억 3301만 3000원 | +18.41% | |
style="border-top:hidden" | | 문화예술 | 2727억 6555만 8000원 | +7.21% |
style="border-top:hidden" | | 관광 | 526억 1427만 7000원 | +31% |
style="border-top:hidden" | | 체육 | 1380억 9784만 1000원 | +23.03% |
style="border-top:hidden" | | 문화재 | 216억 2826만 2000원 | +31.58% |
style="border-top:hidden" | | 문화및관광일반 | 173억 2707만 5000원 | +1521.89% |
환경 | 9921억 8984만 9000원 | +4.32% | |
style="border-top:hidden" | | 상하수도·수질 | 7344억 9120만 8000원 | +2.31% |
style="border-top:hidden" | | 폐기물 | 663억 1116만 2000원 | -25.46% |
style="border-top:hidden" | | 대기 | 1644억 8905만 4000원 | +20.11% |
style="border-top:hidden" | | 자연 | 148억 4648만 2000원 | +262.96% |
style="border-top:hidden" | | 환경보호일반 | 120억 5194만 3000원 | +280.29% |
사회복지 | 5조 9964억 4679만 7000원 | +10.05% | |
style="border-top:hidden" | | 기초생활보장 | 2조 0833억 5989만 1000원 | +12.88% |
style="border-top:hidden" | | 취약계층지원 | 1조 726억 4344만 7000원 | +15.19% |
style="border-top:hidden" | | 보육·가족및여성 | 7396억 4138만 8000원 | +4.63% |
style="border-top:hidden" | | 노인·청소년 | 2조 369억 2834만 6000원 | +7.15% |
style="border-top:hidden" | | 노동 | 464억 170만 3000원 | +0.94% |
style="border-top:hidden" | | 보훈 | 174억 7202만 2000원 | -2.58% |
보건 | 2412억 3114만 5000원 | +30.69% | |
style="border-top:hidden" | | 보건의료 | 2332억 4745만 3000원 | +31.71% |
style="border-top:hidden" | | 식품의약안전 | 79억 8369만 2000원 | +6.53% |
농림해양수산 | 1770억 2831만 6000원 | +15.4% | |
style="border-top:hidden" | | 농업·농촌 | 334억 4081만 7000원 | -16.13% |
style="border-top:hidden" | | 임업·산촌 | 431억 299만 4000원 | +23.98% |
style="border-top:hidden" | | 해양수산·어촌 | 1004억 8450만 5000원 | +27.57% |
산업·중소기업및에너지 | 4469억 9407만 3000원 | +5.42% |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기술지원 | 646억 5738만 2000원 | +15.65% |
style="border-top:hidden" | | 무역및투자유치 | 258억 9823만 4000원 | -33.63%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진흥·고도화 | 3225억 2733만 2000원 | +8.41% |
style="border-top:hidden" | | 에너지및자원개발 | 339억 1112만 5000원 | +7.47% |
교통및물류 | 1조 5760억 1440만 4000원 | -15.06% | |
style="border-top:hidden" | | 도로 | 3090억 3731만 3000원 | -24.74% |
style="border-top:hidden" | | 도시철도 | 6606억 3169만 원 | -16.13% |
style="border-top:hidden" | | 항공·공항 | 13억 3570만 원 | +20.26% |
style="border-top:hidden" | | 대중교통·물류등기타 | 6025억 998만 1000원 | -7.88% |
국토및지역개발 | 5402억 46만 2000원 | +23.36% | |
style="border-top:hidden" | | 수자원 | 210억 4268만 6000원 | +16.48% |
style="border-top:hidden" | | 지역및도시 | 5104억 2893만 7000원 | +26.35%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단지 | 87억 2883만 9000원 | -44.97% |
과학기술 | 38억 2737만 원 | -48.02% | |
style="border-top:hidden" | | 과학기술연구지원 | ||
예비비 | 572억 7806만 6000원 | +7.99% | |
style="border-top:hidden" | | 예비비 | ||
기타 | 8588억 247만 원 | +4.46% | |
style="border-top:hidden" | | 기타 |
참조
[1]
문서
국가직 제외
[2]
문서
「부산광역시 공무원 정원 규칙」 별표 1
[3]
웹인용
2022년도 세입세출예산서
https://news.seoul.g[...]
2022-12-04
[4]
문서
개방형 직위
[5]
문서
2023년 7월 6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6]
문서
2023년 12월 31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