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부산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부산대학교는 1946년 개교한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 종합대학교로, 진리·자유·봉사를 교육 이념으로 한다. 부산고등수산학교를 기반으로 설립되었으며, 1953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다. 부산, 양산, 밀양에 캠퍼스를 운영하며, 인문, 사회, 자연과학, 공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대학 및 대학원을 갖추고 있다. 부마민주항쟁과 6월 항쟁 등 민주화 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국내외 대학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동남권 지역을 대표하는 거점국립대학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금정구의 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는 1981년에 설립된 외국어 특성화 대학교로, 5개의 단과대학과 4개의 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외국어 및 국제학, IT 분야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부산 금정구의 학교 - 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는 부산광역시 부곡동에 위치한 사립 대학으로, 1963년 메리놀수녀병원 부속간호학교에서 시작하여 1999년 부산가톨릭대학과 통합되었으며, 가톨릭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대학구조개혁평가 A등급을 획득하는 등 대학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 부산대학교 - 마이피누
    마이피누는 부산대학교 학생 자치 단체가 운영한 익명 기반 커뮤니티 사이트로,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학생들에게 큰 영향력을 가졌으나, 여러 사건과 논란을 겪었다.
  • 부산대학교 -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은 한의학의 과학화, 산업화, 세계화를 목표로 2006년에 설립이 결정되어 2008년 개원한 전문대학원이며, 석사, 석·박사 통합, 박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고 한의학과와 한의과학과를 운영한다.
  • 경상남도의 대학교 - 창신대학교
    창신대학교는 1990년 창신전문대학으로 설립되어 2011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간호대학 등을 운영하고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을 갖춘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이다.
  • 경상남도의 대학교 - 진주교육대학교
    진주교육대학교는 1923년 경상남도 공립사범학교로 설립되어 초등교원 양성에 힘쓰며 '성실, 창의, 봉사'를 교훈으로 하는 국립 교육대학교이다.
부산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부산대학교 로고
부산대학교 로고
대학 이름부산대학교
다른 이름Pusan National University
모토진리, 자유, 봉사
모토 (영어)Truth, Freedom, Service
설립일1946년
대학 종류국립 대학
위치부산광역시, 양산시, 밀양시
국가대한민국
학부생 수17,347명
대학원생 수9,138명
교수진 수839명 (전임)
캠퍼스도심 지역, 농촌 지역
마스코트산지니
총장차정인
웹사이트www.pusan.ac.kr
한국어 표기부산대학교
한자 표기釜山大學校
로마자 표기Busan Daehakgyo
평 가 명칭푸산 국립 대학교
대학 순위
중앙일보24위
QS16위
THE14-17위
ARWU9-12위
QS 아시아81위
THE 아시아93위
USNWR 아시아205위
QS 세계524위
THE 세계501-600위
USNWR 세계718위
ARWU 세계401-500위
캠퍼스 정보
캠퍼스부산 (부산광역시 금정구)
아미 (부산광역시 서구)
양산 (경상남도 양산시)
밀양 (경상남도 밀양시)
추가 정보
대학 약칭釜大
PNU
교색청색
녹색
건학 이념진리, 자유, 봉사
개교일1946년 5월 15일
총장최재원
부총장 (교육)이재우
부총장 (의무)이상엽
상징 동물독수리
웹사이트부산대학교 홈페이지

2. 역사

1946년 5월 15일 문교부가 대한민국 첫 국립 종합대로 인가하였다.[4] 1941년 개교한 지방 최초의 관립 전문학교인 부산고등수산학교의 인적, 물적 토대를 기반으로 수산학부(이후 수산과대학)로 개편하고 인문학부(인문과대학)를 신설하여 2개 학부(단과대학)로 시작한 종합대학교였다. 그러나 거센 반발을 보이던 수산과대학이 부산수산대학으로 분리해 나가면서 사실상 첫 국립 종합대는 와해되고 1953년 2차로 종합대학교로 승격하였다. 해방 후 문교당국이 부산대 설립을 인가하면서 기존의 부산고등수산학교를 물적 기반으로 삼고 부산대를 건설하고자 했으나 수산과대학의 이탈로 실패하고 만다. 그렇지만 부산대는 민립운동에서 시작한 대학 설립에 경상남도가 중심이 되어 국립대학 설립이란 개가를 이뤘다. 부산대의 설립은 물적 토대가 전혀 없었던 상태에서 국립대를 탄생시켰고 지방 최고의 대학이란 성과를 이뤘기 때문에 기적이라고 불린다.[4]

연표는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45년 10월부산대학교 설립기성회 조직.
1946년 5월부산대학교로 개교. 부산수산전문학교를 통합.
1947년 7월수산학부를 부경대학교로 분리.
1953년 9월구 교육법에 따라 문리과, 법과, 상과, 공과, 의과, 약학으로 구성된 대학과 통합.
1963년 3월초등교육과를 부산교육대학교로 분리.
1966년 4월중앙도서관 준공.
1977년 12월전자계산소(ITC) 개설.
1979년 3월교양학부 개설.
1979년 10월본교생의 반독재·민주화 운동. (부마민주항쟁)
1986년 9월부산대학교 부설고등학교 개설.
1993년 3월환경기술·산업개발 연구센터(RRC)로 지정.
2000년 5월일본연구소 개소.
2001년 9월국제연합(UN)의 완전 위탁 도서관으로 지정.
2002년 7월첨단조선연구센터 개설, 정부의 우수공학연구센터(ERC)로 선정. 산학협력 혁신사업(기계, 자동차, 조선) 선정.
2004년 9월과학기술부로부터 지역연구중심대학 사업단(차세대 IT 기술 사업)으로 선정.
2005년 3월밀양대학교 통합.
2009년 3월법학전문대학원 개원.
2009년 10월유럽연합(EU)-부산대학교 연구소 개설.
2021년 10월환태평양대학협회(APRU) 정회원교 가입.


2. 1. 설립 과정 (1945 ~ 1946)

1945년 8.15 광복 이후, 일제에 의해 억눌렸던 민립대학 설립 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났다. 경상남도는 이러한 움직임을 통합하여 국립대학 설립을 추진하였고, 도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설립 기금을 마련하였다. 경남 불교교무원은 고성 옥천사 소유 토지 13만 5천 평(당시 500만 원)을 기부하였고,[5] 지역민과 기업들은 십시일반으로 1,032만 9,000원을 모금하였다.[6] 이 중 1,000만 원은 미군정청 문교부에 국립대학 설립기금으로 납입되었고, 일부는 대학 도서관 장서 확보에 사용되었다.

1946년 5월 15일,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 종합대학인 '국립 부산대학'이 인가되었다.[4] 이는 부산고등수산학교를 수산학부로 개편하고 인문학부를 신설하여 2개 학부 체제로 시작되었다. 당시 '국립'의 개념조차 없는 상황에서 민간에서 뜻을 모아 '국립'의 길을 처음 열었으며, 경남 소속의 국립대 이름을 경남대가 아닌 부산대로 확정한 것은 탁월한 선택이었다.[9]

부산대학교의 설립은 해방 후 정부에 의해 최초로 설립된 국립대라는 의미가 있다. 서울대학교가 국립대학 체제로 전환되는 설치령이 제정된 것은 부산대 설립 인가일보다 3개월 뒤인 1946년 8월 22일이고,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이 종합대학으로 승격한 것은 1946년 8월 15일이기 때문이다. 당시 문교부도 부산대를 "해방 후 문교부가 창설한 유일한 국립대학이다"라고 밝히고 있다.[4]

2. 2. 초기 발전과 시련 (1946 ~ 1960)

1946년 9월 1일, 부산대학교가 개교하였다. 개교 당시에는 종합대학으로 운영되었으나, 1947년 7월 부산수산대학이 분리되면서 종합대학 체제가 와해되었다. 이후 부산대는 문리학부, 법학부, 상학부로 구성된 국립부산대학교 인문과대학으로 운영되었다.

1953년 9월 15일, 국립학교설치령 공포에 따라 부산대학교는 다시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문리과·법정·상과·의과·약학·공과대학 등 6개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갖추게 되었으며, 11월 26일 윤인구 박사가 초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1954년에는 캠퍼스를 장전동으로 이전하기로 확정하고, 1955년에 현재의 부산캠퍼스로 이전하였다.[10][11]

2. 3. 군사 정권 시기 (1961 ~ 1979)

1961년 5·16 쿠데타 직후, 문교부는 '국립대학 정비 절차'에 따라 부산대학교에 부산수산대학과 부산교육대학을 흡수하도록 했다.[12] 이 과정에서 문리과대학의 6개 학과와 법과대학이 폐지되는 등, 5.16 쿠데타 세력의 대학 정책으로 인해 큰 시련을 겪었다.

1963년 1월 16일, 법과대학이 2년 만에 부활했다.[13] 1964년 3월 1일에는 약학과가 대학으로 승격되었고, 폐과되었던 문리과대학의 사학과, 철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지리지질학과가 복과되었다. 정치학과는 법과대학이 법정대학으로 개칭되면서 복과 및 편입되었다. 부산교육대학은 1963년, 부산수산대학은 1964년에 다시 분리되었다.[14]

1979년에는 부마민주항쟁이 부산대학교에서 시작되었다.[18] 10월 15일 부산대학교에서 민주선언문이 배포되었고,[18] 다음 날인 10월 16일에는 부산대학교 학생 6천여 명이 민주화 시위를 시작했다. 시위는 10월 18일 마산으로 확산되었고, 정부는 부산에 계엄령을, 마산에는 위수령을 선포했다. 부마민주항쟁은 유신 체제 몰락의 계기가 되었다.[19][20]

부산대 부마민주항쟁탑

2. 4. 민주화 운동과 발전 (1980 ~ 1999)

1980년대 부산대학교는 학원 민주화 투쟁과 6월 항쟁을 주도하며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1991년에는 전국 국립대학 최초로 총장 직선제를 시행하여 대학 자율성 확립에 앞장섰다.[44] 1990년대 후반에는 캠퍼스 이전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는데, 부산에서 부지를 확보하지 못해 경상남도 양산에 제2캠퍼스 설치를 추진했으나, 부산광역시와 정치권의 반대로 갈등을 겪었다.[27][28][29]

2. 5. 2000년대 이후 (2000 ~ 현재)

2002년 양산캠퍼스 조성이 확정되어 의과대학, 치과대학 및 관련 시설 이전이 이루어졌다.[1] 2005년 3월 밀양대학교와 통합하였다.[2] 2009년 3월에는 법학전문대학원을 개원하였다.[3]

2021년 부산교육대학교와의 통합 논의를 시작, 2024년에 통합 합의서에 서명하여 2027년 통합 부산대학교 출범을 앞두고 있다.[4]

3. 교육

부산대학교는 교양교육과정, 전공교육과정, 일반선택교육과정으로 구성된 정규 학사 과정을 운영한다.[71] 교양교육과정은 교양필수(6학점)와 교양선택으로 나뉘며, 공학교육인증 관련 학과는 '공학작문 및 발표'를 필수로 이수한다. 교양선택은 핵심교양(6개 영역 중 5개 영역에서 각 1과목, 추가 1과목)과 일반교양으로 구성된다.[71]

전공교육과정은 최소전공(전공기초, 전공일반)과 심화전공으로 나뉜다. 복수전공, 부전공, 연합전공, 교직 이수자는 심화전공을 이수하지 않아도 된다.[72]

2003년 공학교육인증제도를 도입, 2005년 1월 7개 프로그램 인증을 받았으며, 2011년 기준 공과대학 4학부, 1전공, 4학과에서 운영 중이다.[73] 그러나 일부 학부는 운영상의 어려움과 실질적 혜택 부족을 이유로 운영 중단 또는 폐지를 추진하고 있다.

재학생 1인당 연간 300만의 장학금을 지급하며,[1] 국가, 성적 우수, 근로 봉사, 학업지원 장학금 외에 PREMIER, 유니웰, 형제자매 장학금 등도 운영한다.[1]

2021년 국내 6번째로 환태평양 대학협회(APRU)에 가입하는 등[1] 세계 61개 국가·지역, 612개 대학·기관과 교류하고 있다.[1] 다음은 일본 대학과의 교류 협정 목록이다.

일본 대학 목록


3. 1. 교육 이념 및 비전

부산대학교의 교육 이념은 진리·자유·봉사이다. 부산대학교는 진리·자유·봉사의 교육이념과 대한민국 교육의 근본 이념에 입각해 학술 이론과 응용 방법을 가르치고 연구하며,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 교육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 속의 명문대학"이라는 비전 아래 국내 상위 5개 대학 진입과 5개 이상의 학문 분야에서 세계 100위권에 진입하는 것을 대학의 발전목표로 삼고 있다.[70]

2012년 5월 10일 개교 66돌 기념식과 함께 진행된 "부산대 비전 2030" 선포식에서는 2030년까지 세계 100대 명문대학 진입 목표 달성을 위한 3단계 계획을 발표했다.[70]

3. 2. 교육 제도

부산대학교의 정규 학사 과정은 교양교육과정, 전공교육과정, 일반선택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71]

교양교육과정은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교양필수과목과 선택 가능한 교양선택과목으로 나뉜다. 교양 필수 과정은 6학점을 이수해야 하지만, 공학교육인증 관련 학과는 '공학작문 및 발표' 과목을 필수로 하고, '창의적사고와 글쓰기', '열린생각과 말하기' 과목은 이수하지 않는다. 교양선택과정은 핵심교양과목과 일반교양과목으로 나뉘며, 핵심교양과목은 6개 영역 중 5개 영역에서 각각 1개 이상, 추가로 1과목(3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한다.[71]

전공교육과정은 최소전공과 심화전공으로 구분되며, 최소전공은 다시 전공기초와 전공일반(전공필수, 전공선택)으로 나뉜다. 복수전공, 부전공, 연합전공, 교직 중 하나를 이수하지 않는 학생은 심화전공을 이수해야 한다.[72] 2001학년도부터 최소전공인정학점제가 시행되어 일부 단과대학은 최소전공인정학점이 36학점(사범대학 42학점)으로 통일되었으나, 시행하지 않는 단과대학도 있다.[72]

부산대학교는 2003년부터 공학교육인증제도를 도입하여 2005년 1월에 7개의 공학인증프로그램을 인증받았다. 2011년 기준으로 공과대학 내 4학부, 1전공, 4학과에서 인증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73]

공학교육인증제도를 시행하는 학부/학과/전공 학생은 인증프로그램에 따라 전공을 이수하는 전문과정과 일반과정 중 선택할 수 있다. 전문과정 이수자는 한국공학교육인증원과 해당 인증프로그램의 인증기준을 충족하는 커리큘럼에 따라 과목을 이수해야 공학인증을 받을 수 있으며,[73] 졸업 시 학적부와 증명서에 인증 사실이 기재되고 전공 명칭에 '전문'이 추가된다. 일반과정 이수자는 전공 명칭에 '일반'이 추가된다.

공학교육인증제도는 엔지니어에게 필요한 능력과 자질을 배우고 취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다.[74] 그러나 전자전기공학부는 제도 운영의 어려움과 실질적인 혜택 미비를 이유로 2012학년도 8월 졸업생을 끝으로 운영을 중단했고,[75] 건축공학과도 비슷한 이유로 폐지를 추진하고 있다.[76]

3. 3. 장학 제도

부산대학교는 재학생 1인당 연간 300만의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1]

  • 국가 장학금: 소득 수준과 연계하여 지급된다.
  • 성적 우수 장학금: 학과 내 성적 상위 20% 학생에게 주어진다.
  • 근로 봉사 장학금: 행정기관에서 근무한 학생에게 주어진다.
  • 학업지원 장학금: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에게 주어진다.


부산대학교만의 특별한 장학금은 다음과 같다.[1]

  • PREMIER(프리미어) 장학금: 입학 성적 우수 장학생에게 지급된다.
  • 유니웰 장학금: 아동복지시설 출신 학생에게 생활비를 지원한다.
  • 형제자매 장학금: 형제, 자매가 부산대학교에 재학 중인 경우 지급된다.

3. 4. 교류 제도

부산대학교는 세계 61개 국가·지역, 612개 대학·기관과 교류하고 있으며, 매년 많은 학생들을 해외로 배출하고 있다.[1] 2021년에는 국내 대학 중 6번째로 환태평양 대학협회(APRU)에 가입해 회원 대학 간 국제 공동연구와 학생 교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다.[1]

다음은 부산대학교와 교류 협정을 맺은 일본 대학 목록이다.

일본 대학 목록


4. 대학/대학원

부산대학교는 학부 과정과 대학원 과정을 모두 제공한다. 대학원은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으로 나뉜다.

일반대학원은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의학, 예·체능 계열 및 다양한 학과 간, 학·산·연 협동과정, 계약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4. 1. 대학·학부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사범대학

경제통상대학

경영대학

약학대학

생활과학대학

예술대학

나노과학기술대학

생명자원과학대학

정보의생명공학대학

간호대학

의과대학

스포츠과학부

4. 2. 일반대학원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은 인문사회, 자연과학, 공학, 의학, 예·체능 계열 및 다양한 학과 간, 학·산·연 협동과정, 계약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4. 3. 전문대학원


  • 국제전문대학원
  • 치의학전문대학원
  • 한의학전문대학원
  • 법학전문대학원
  • 데이터사이언스전문대학원

4. 4. 특수대학원


  • 경영대학원
  • 경제통상대학원
  • 행정대학원
  • 교육대학원
  • 산업대학원
  • 환경대학원
  • 기술창업대학원
  • 금융대학원
  • 융합의생명과학대학원

5. 캠퍼스

1946년 설립 당시 부산대학교는 경남의 국립대였으나, 1963년 부산이 경상남도에서 분리되면서 부산의 국립대가 되었다. 이후 양산캠퍼스와 밀양캠퍼스 확보를 통해 경남 지역에 다시 진출하게 되었다.[77]

부산대학교가 관리하는 여러 캠퍼스의 위치


현재 부산대학교는 부산캠퍼스, 아미캠퍼스, 양산캠퍼스, 밀양캠퍼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은 부산-양산-밀양을 잇는 캠퍼스 벨트로 불리기도 한다.[78] 각 캠퍼스는 분교가 아닌 학문 영역별 특성화를 추구하며, 부산캠퍼스는 종합 연구 중심, 양산캠퍼스는 의·생명과학 특성화, 밀양캠퍼스는 나노와 바이오 분야 특성화 캠퍼스로 운영되고 있다.[78]

부산대 전경 드론


부산캠퍼스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위치하며, 금정산 아래에 있어 금정캠퍼스라고도 불린다.[79] 초기 건물 중 김중업이 설계한 구 본관(현 인문관)은 그의 첫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80] 대학본부와 대부분의 학부, 대학원이 위치하며, 주변에 상권이 발달해 있다.[81][82]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대역이 인접해 있으며, 다양한 시내버스 노선이 운행된다. 금정구 마을버스 7번은 캠퍼스 순환버스 역할을 한다.

부산대 밀양 캠퍼스


밀양캠퍼스는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청학리에 위치하며, "밀양청학캠퍼스"라고도 불린다. 2005년 밀양대학교가 이전해왔다.[83] 나노과학기술대학, 생명자원과학대학이 설치되었고,[33] 2010년 기숙사 청학관이 준공되었다. 그러나 학생 수 부족과 교통 불편으로 대학촌 형성이 미흡하고, 나노과학기술대학 수업이 장전캠퍼스에서 진행되면서 공동화가 심화되었다.[84]

부산대 양산 캠퍼스


양산캠퍼스는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에 위치하며, 2002년 조성이 확정되었다. 2003년 착공하여[30] 2009년 개교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다지점 진동대 실험시설을 갖춘 분산공유형 지진실험센터가 완공되었다.[86] 한의학, 의학, 치의학전문대학원, 간호대학, 정보의생명공학대학이 설치되어 있다.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어린이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영남권역재활병원 등이 병원단지에 건립되었고, 양산부산대병원은 2015년 상급종합병원 및 부산경남권역 응급의료센터로 선정되었다. 2024년 개원 예정인 경남권 감염병전문병원은 국비 4070억 외 병원 자부담 3600억을 투입하여 지하 3층, 지상 8층 규모로 건설되며, 음압병실 36개, 일반병상 41실 113병상이 설치될 예정이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부산대양산캠퍼스역과 셔틀버스가 운영되고 있다.

부산대학교병원(본원)은 도심형 메디컬센터로, 대학병원, 부산권역응급의료센터, 임상시험센터, 부산지역암센터, 국가지정 외상센터, 국가지정 호흡기질환센터, 융합의학연구동을 보유하고 있다. 아미캠퍼스는 2017년까지 총사업비 2180억을 들여 시설을 확충할 계획이었다.[88]

6. 대학 시설

부산대 새벽벌도서관


부산대학교에는 새벽벌 도서관을 포함하여 총 6개의 도서관이 있다. 총 265만여 권의 책을 소장하고 있으며, 4600명의 학생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열람실을 갖추고 있다. 특히, 자유롭게 책을 읽을 수 있는 북 카페, 강연회와 영화 관람을 할 수 있는 오디토리움,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문창누리, 건설관 3층에 위치하여 건설관 도서관이라 불리는 미리내라운지도 갖추고 있다.

부산대 경제통상관 틈새학습공간


도서관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캠퍼스 건물 곳곳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틈새학습공간'을 마련해 두었다. 부산, 양산, 밀양캠퍼스 총 26개 건물의 틈새 공간을 리모델링하여, 1000억대의 건물을 지은 효과를 냈다. 학생들은 공강 같은 자투리 시간에 여기서 학습을 하며 캠퍼스 생활을 알차게 보내고 있다.

부산대학교 기숙사는 '대학생활원'이라 불리며, 전체 재학생의 14%인 3,852명을 수용할 수 있다. 대학생활원의 기본 구조는 2인 1실로 공동 샤워실과 화장실, 체력단련실 등을 부대시설로 갖추고 있으며, 2009년에 건립된 BTL 기숙사인 웅비관(부산)과 행림관(양산)은 방마다 개별 난방 시스템, 에어컨, 화장실, 샤워실이 마련되어 있어 공동생활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고 있다.

각 대학생활원에는 원생들의 보안과 안전을 위하여 입구에서부터 출입 관리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으며, 다기능 학생증 카드를 사용하여 원생 확인의 정확성과 원생 출입의 편리성을 강화하였다. 또한 원생들의 생활 편의와 학습 증진을 위하여 식당, 휴게실, 컴퓨터실, 독서실, 세탁실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부산대 박물관앞 새벽뜰


부산대학교 캠퍼스(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내에 위치한 국립부산대학교 부속 박물관이다. 1956년 3월 건물(현 별관)이 준공되고 1964년 5월에 개관하였다.

피난 국보문화재(1956년 9월 ~ 1962년 3월)를 보관하였고, 부산시 압수문화재 보관기관으로 선정(1971년 12월)되었다.

대학 설립 초창기 오래된 상징적 건물인 교내 박물관 앞 자연과학관을 허물고 그 자리에 훤히 뚫린 푸른 잔디 광장을 만들고 인근 장승터에 이르기까지 화단을 조성해 이 일대를 '''새벽뜰'''로 명명했다.[89]

7. 학생 활동

2007년 총학생회에서 내건 현수막


부산대학교 총학생회는 학교 축제 및 각종 학교 문제에 대한 대학 본부와의 협의를 주관한다. 부마항쟁과 6월항쟁의 자랑스러운 전통을 지닌 부산대 총학생회는 전국적인 학생운동의 한 축을 담당해왔다. 1985년 11월 16일, 군사독재의 잔재인 학도호국단을 완전히 폐지함과 동시에 민주주의적 총학생회칙이 제정됨으로써 부활됐다.

1987년 ‘6월항쟁’으로 전국 단위의 대학생 조직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전대협’이 만들어졌다. 부산대총학생회는 역대로 전대협 부회장교와 부산울산경남총학생회협의회 회장교를 맡아왔다. 1991년 6월 전대협 5기 출범식이 부산대에서 열렸다. 전대협은 1989년 ‘임수경 방북 사건’과 1991년 ‘강기훈 유서대필 사건’ 등을 겪으며 1993년 3월 대의원 총회를 통해 해체를 결정했고 1993년 5월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으로 재발족했다. 1994년 한총련 2기 의장이 김현준 부산대총학생회장이었다. 또 2001년에는 최승환이 부산대 총학생회장 및 9기 한총련 의장으로 선출됐다.[90] 한총련은 1996년 연세대 통일축전 폭력 사태, 1997년 이석 프락치 치사 사건 등을 거치면서 1997년 대법원으로부터 이적단체로 규정됐다. 이에 따라 조직이 약화되면서 각 대학이 한총련에서 탈퇴하고 조직이 와해됐다.

2005년 4월 30일에 출범한 대학생연합단체 ‘한대련’은 생활 이슈를 내세웠다. ‘등록금, 청년실업 문제, 대학생 주거문제’ 등 대학생 현실을 내세웠고, 시위 방식도 문화제, 1인 시위 등 과거보다 온건한 방식으로 바꿨다. 한국대학생연합2006년 1월 강정남 부산대 총학생회장을 2기 의장으로 선출했다. 2009년 2월 5기 한대련 의장으로 이원기 부산대 총학생회장이 당선됐다.[91]

부산대학교 내에서 발간되는 잡지들, 왼쪽부터 《문창대》, 《효원》


부산대학교 언론사는 교내 방송을 주관하는 '부산대학교 방송국'과 신문을 발행하는 《부대신문》, 영어 신문을 발행하는 ''The Hyowon Herald'' (효원헤럴드)가 '채널PNU'로 통합됐고, 부산대학교 홍보실에서 발행하는 잡지 《문창대》와 재학생들이 직접 발행하는 학교 교지 《효원》등이 있다.

'''채널PNU'''

2022년 3월 부산 최초로 부대신문, 부산대방송국, 영자신문을 통합한 매체 '''‘채널PNU’'''가 출범했다. 2021년 부산대 언론사 주간으로 부임한 황성욱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가 단행한 조직 개편의 결과였다.[92]

별도의 미디어로 활동하던 부대신문, 효원헤럴드, 부대방송국은 2022년 3월 2일 채널PNU라는 통합 미디어로 출범하여 학기 중 매주 뉴스레터와 부대신문, 효원헤럴드를 발행하고 유튜브 채널과 교내 DID 모니터·스피커로 방송하고 있다. 2022년 11~12월에는 제1회 부산 미디어 리터러시 대회에서 대상(부산시장상)을, 2022 세명 대학언론상 대회에서 최우수상(단독, 1등)을 받았다.[93]

'''부산대학교 방송국'''

부산대학교 방송국(PUBS)은 1963년 부산대학교 방송실로 개국하여 1972년 부산대학교 방송국으로 승격되었다. 캠퍼스 곳곳에 스피커가 설치되어 아침이나 점심시간에 채널PNU가 제작한 오디오 방송을 들을 수 있었다. 최근에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도 자체 제작 영상을 방영한다.

'''부대신문'''

《부대신문(釜大新聞)》은 1954년 공식적으로 창간했다. 1947년 발행된 타블로이드판 소식지를 전신으로 하며 1948년 발행된 부대신문 3호가 부산일보에 소장하고 있음이 확인되기도 했다. 예산 부족으로 발행 중단과 개간을 거듭하였다. 4.19 혁명 이전에는 주로 교양이나 역사에 대한 내용을 많이 담았으나, 1960년 '부대신문 독립선언' 이후로 편집자율권을 기반을 한 비평과 사회 비판이 실리기 시작했다. 1985년 신문배포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이에 1987년 학교의 일방적인 조치에 반발했던 부대신문의 모든 기자가 사퇴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또한 1996년 연세대학교에서 발생한 '한총련 사태'로 인해 부대신문사 암실에 보관돼 있던 6천컷 분량의 필름을 경찰 측에 의해 무작위로 압수당하는 등, 많은 고초를 겪어야 했다.[94]

최근에는 컬러지면이 많이 늘었으며, 부산대학교 내의 소식이나 사설 등이 담겨진다. 정문이나 캠퍼스 곳곳에 누구나 가져갈 수 있도록 비치해 둔다.

기자 10여 명이 활동하고 있으며, 취재 기자는 대학부, 사회부, 문화부로 속하며 편집 기자를 따로 두어 직접 지면을 꾸려 간다.

'''The Hyowon Herald (효원헤럴드)'''

1972년 The Budae Times (부대타임스)라는 이름의 잡지로 창간된 이후, 1984년 The Hyowon Herald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타블로이드판으로 발행된 것이 현재에 이른다.

8. 대학병원

부산대학교병원(본원)은 대학병원, 부산권역응급의료센터, 임상시험센터, 부산지역암센터, 국가지정 외상센터, 국가지정 호흡기질환센터, 융합의학연구동을 보유한 도심형 메디컬센터이다. 2017년까지 총사업비 2180억을 들여 아미캠퍼스에 외상전문센터, 호흡기전문질환센터, 보건의료연구센터, 지원시설동 등을 단계적으로 신축, 리모델링하고 병동을 대폭 확충할 예정이다.[88]

9. 위상

부산대학교는 대한민국 남동부 지역(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을 대표하는 거점국립대학교이다.[95] 경상도 지역에서는 경북대학교와 함께 명문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개교 이래로 "한강 이남 최고 대학" 자리를 두고 라이벌 관계로 인식되었다.[96]

최근 지역대학의 위기가 심화되는 상황에서도 부산대학교는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세계대학평가 기관들의 평가에서 순위가 가파르게 상승하며 국내외 명문대학으로 성장하고 있다.

평가 기관2023년/2024년 순위전년 대비 변화
QS 세계대학평가세계 611-620위, 국내 종합대학 13위8계단 상승
세계대학학술순위(ARWU)세계 401-500위, 국내 종합대학 7위크게 상승 (세계 501-600위, 국내 9-12위)
THE 세계대학평가세계 501-600위, 국내 종합대학 9위크게 상승 (세계 1,001-1,200위, 국내 15위)


  • THE 세계대학평가: 특히 THE의 5개 평가지표 영역(△교육여건(29.5%) △연구환경(29%) △연구의 질(30%) △산학협력(4%) △국제화(7.5%)) 모두에서 높은 상승을 보였다.


1970년대 이래로 부산대학교 졸업생들은 경제, 법률, 언론계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했다.[99] 2011년 시사저널의 조사에 따르면, 대기업 임원 중 부산대 졸업생 수는 전체 5위로, 대한민국 지역 국립대 중 가장 높은 순위였다. 시사저널은 영남 지역에 중공업 생산 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부산대 졸업생 다수가 기술직 임원으로 재직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99]

그러나 2000년대 이후 내부 갈등 심화, 정부와의 마찰[97], 수도권 집중 현상 심화 등으로 인해 예전만큼 위상이 높지 않은 실정이다.[98]

10. 동문

참조

[1] 웹사이트 Vison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ttp://english.pusan[...]
[2] 웹사이트 President's Message https://www.pusan.ac[...] Pusan National University 2021-06-28
[3] 뉴스 부산대 양산캠퍼스 유휴부지, 애물단지에서 '힐링 공간'으로 재탄생 https://www.asiae.co[...] 2021-06-06
[4] 일반
[5] 일반
[6] 일반
[7] 저널 부산대 건학스토리 http://www.pusan.ac.[...] 부산대 홈페이지
[8] 저널 박창희 대기자의 人香萬里(인향만리) <2-2> 지역 정신을 세운 사람들- 부산대 초대총장 윤인구(下)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16-03-20
[9] 일반
[10] 일반
[11] 저널 우리가 꼭 알아야 할 위트컴 장군] <3>세기의 빅딜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22-11-14
[12] 웹인용 네이버 백과사전 "부산대학교" http://100.naver.com[...]
[13] 법령 《국립학교설치령》각령 제1148호 http://law.go.kr/lsI[...] 1963-03-01
[14] 일반
[15] 저널 '재일교포 간첩단' 김오자씨 43년 만에 재심 무죄 http://yna.kr/AKR201[...] 연합뉴스 2019-08-22
[16] 일반
[17] 뉴스 부산·경북·전남·충남 4개 특성화 대학 선정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7-04-04
[18] 웹인용 네이버 백과사전 "부마민주항쟁" http://100.naver.com[...]
[19] 뉴스 송기인, "부마 항쟁, 유신 체제 무너뜨린 위대한 시민항쟁"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04-10-17
[20] 웹인용 네이버 백과사전 〈부마민주항쟁〉 http://100.naver.com[...] 두산백과사전
[21] 일반
[22] 웹인용 6월항쟁-넉넉한 터 http://archives.pusa[...] 부산대학교 대학사자료관 2009-09-13
[23] 뉴스 지방대학 우수 특성학과 지리적 이점 살려 취업률 100%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자료추출:네이버) 1996-11-30
[24] 뉴스 부산대 총장후보에 박재윤 전 장관 선출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자료추출:네이버) 1999-06-18
[25] 뉴스 부산대총장에 박재윤씨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자료추출:네이버) 1999-08-31
[26] 일반
[27] 뉴스 부산대 역외이전 논란 재연 조짐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1-01-22
[28] 뉴스 ‘불씨’ 남긴 부산대 제 2 캠퍼스 합의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2-02-05
[29] 뉴스 (교육)부산대 박재윤총장 단식농성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2-01-02
[30] 뉴스 부산대 양산 제2캠퍼스 착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3-08-27
[31] 일반
[32] 일반
[33] 뉴스 부산대 밀양캠퍼스 개교 기념식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03-02
[34] 뉴스 한의학대학원 부산대에 설치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11-17
[35] 웹사이트 한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 2008년 설치 https://news.naver.c[...] 국정브리핑 2006-11-15
[36] 뉴스 한의전문대학원 설치 부산대 "오는 2008년 3월 개교 예정"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6-11-15
[37] 뉴스 25개 대학에 법학전문대학원 최종 설치인가 https://news.naver.c[...] 정책브리핑 2008-09-01
[38] 뉴스인용 의료허브 꿈꾸는 부산대 양산캠퍼스 시대 열리다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9-02-12
[39] 뉴스인용 부산대, 경영대ㆍ경제통상대ㆍ경제통상대학원 신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4-20
[40] 저널 부산대- 부경대 통합 전격 합의 http://www.kookje.co[...] 교수신문 2011-08-11
[41] 저널 부산대, 인문관 · 무지개문 및 옛 수위실, 문화재 등록 https://www.kyosu.ne[...] 교수신문 2014-11-18
[42] 저널 “총장직선제 포기 참담”…부산대 교수 투신 사망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5-08-17
[43] 저널 부산대, 총장 간선제 추진 방침 철회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15-08-18
[44] 기타
[45] 저널 윤영석 "부산대 양산캠퍼스 정보의생명공대 2022년 준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9-05-27
[46] 기타
[47] 저널 부산대에 전국 장애학생 위한 예술 특수학교 설립 확정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20-03-25
[48] 저널 '장애학생 특화교육' 한다더니…국립대 특수학교 설립 지지부진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3-09-30
[49] 저널 융합보안대학원에 강원대·부산대·성균관대·순천향대·충남대 선정 https://news.naver.c[...] 전자신문 2020-04-12
[50] 저널 부산대학교, 블록체인 분야 융합보안대학원 유치 확정 https://news.naver.c[...] 뉴시스 2020-04-09
[51] 기타
[52] 저널 부산교대, 부산대와 통합 MOU 체결한다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21-03-30
[53] 저널 19일 부산교대·부산대 통합 MOU…갈등 최정점에 이를 듯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21-04-15
[54] 저널 거센 반발 속 부산교대-부산대 통합 MOU 체결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21-04-19
[55] 웹인용 부산대, 환태평양대학협회 가입 http://www.dhnews.co[...] 2023-10-21
[56] 저널 동남권 '창업중심대학'에 부산대 선정 https://channelpnu.p[...] channelpnu 2022-02-27
[57] 기타
[58] 저널 부산대,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사업' 5개 분야 선정 https://www.busan.co[...] 부산일보 2022-07-05
[59] 저널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사업 143개 대학 선정 http://www.dhnews.co[...] 대학저널 2022-07-21
[60] 기타
[61] 저널 부산대 수의과대학 설립 본격 추진 https://www.busan.co[...] 부산일보 2022-07-21
[62] 저널 `수의대 신설 포기하지 않았다` 부산대, 교육부에 설립요청서 제출 https://www.dailyvet[...] 데일리벳 2022-10-27
[63] 저널 반도체 공동연구소 부산대가 꿰찼다 http://www.kookje.co[...] 국제신문 2023-05-15
[64] 저널 부산대, 반도체 중심 대학 날개 달았다 https://www.busan.co[...] 부산일보 2023-06-13
[65] 저널 부산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 육성사업 선정 https://newsis.com/v[...] 뉴시스 2023-06-26
[66] 저널 '1천억 지원' 지방대 10곳 발표…통폐합 추진 4곳 모두 합격 https://newsis.com/v[...] 뉴시스 2023-11-13
[67] 저널 부산대·부산교대 통합추진위원회 출범…20일 첫 회의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3-11-16
[68] 기타
[69] 저널 부산대·부산교대 최종 합의… ‘통합 부산대’ 닻 올랐다 https://www.busan.co[...] 부산일보 2024-04-23
[70] 뉴스인용 부산대 “2030년까지 세계 100위권 진입” http://www.hani.co.k[...] 한겨레 2012-05-10
[71] 웹인용 부산대학교 학생지원시스템, 교육 과정 안내, 교과목 개요(교양과목) http://onestop.pusan[...] 2021-03-25
[72] 웹인용 부산대학교 학생지원시스템, 교육 과정 안내, 교과목 개요(전공과목) http://onestop.pusan[...] 2021-03-25
[73] 웹인용 부산대학교 공학교육인증 관련 학칙 http://www.abeek.or.[...]
[74] 웹인용 한국공학교육인증원 홈페이지, 인증소개, 인증혜택 http://www.abeek.or.[...]
[75] 웹인용 (매우 중요) 전자전기공학부 공학인증 프로그램 중단 관련 안내 http://uwcms.pusan.a[...] 2011-11-23
[76] 뉴스 일방적인 공학인증 종료에 ‘학생들 발만 동동’ http://weekly.pusan.[...] 부대신문 2011-12-08
[77] 일반
[78] 뉴스 부산대, 캠퍼스별 연구ㆍ의료ㆍ나노로 특화 https://news.naver.c[...] 매일경제 2006-07-27
[79] 뉴스 (부산/경남)부산대 명칭공모 결정 '금정-열림캠퍼스'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3-05-15
[80] 뉴스 근대건축물 대거 문화재로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06-12-08
[81] 뉴스 (상권 大해부-3부 지역상권) (8) 부산대 상권‥1020이 주고객…3040 여성도 가세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7-04-17
[82] 뉴스 부산대앞 상권이 변한다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04-12-25
[83] 뉴스 국립 밀양대 2006년까지 삼랑진으로 이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2-09-17
[84] 뉴스 나노대 밀양 수업, 대부분 부산으로 옮겨 http://weekly.pusan.[...] 부대신문 2012-03-08
[85] 뉴스 5년간 방치돼 있던 내이캠퍼스 결국 국고로 http://weekly.pusan.[...] 부대신문 2012-03-09
[86] 뉴스 부산대 지진실험센터 준공 http://www.hani.co.k[...] 한겨레 2009-06-03
[87] 저널 '경북권 감염병전문병원'에 칠곡경북대병원 선정 https://www.news1.kr[...] 뉴스1 2021-06-23
[88] 저널 부산대병원 아미동캠퍼스 새단장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0-09-08
[89] 웹사이트 https://www.fnnews.c[...]
[90] 저널 9기 한총련의장에 부산대 총학생회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1-04-06
[91] 저널 한대련 의장 당선 이원기 부산대 총학생회장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09-02-13
[92] 저널 [인터뷰] “대학 언론사 최초로 네이버 입점해 지역 대학생 이야기 전하고 싶어” https://www.busan.co[...] 부산일보 2022-07-03
[93] 저널 부산대언론 부활의 주역들 한자리에 https://channelpnu.p[...] 채널PNU 2023-01-11
[94] 뉴스 96년 경찰에 압수된 사진 6천컷 부산대 '돌려주오'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04-08-05
[95] 뉴스 국내 최고 지방 명문대는? 경북대ㆍ부산대 선두 쟁탈전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1-09-06
[96] 뉴스 <국감현장>경북대 경쟁상대는 부산대? https://news.naver.c[...] 뉴시스 2008-10-14
[97] 뉴스 부산대 잇따른 잡음 ‘삐걱’ http://news.unn.net/[...] 한국대학신문 2012-07-06
[98] 뉴스 "지방대 출신은 빠릿빠릿하지 못해...서울 없나?"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0-12-14
[99] 뉴스 대한민국 대기업 임원 그들은 누구인가 http://news.v.daum.n[...] 시사저널 2011-05-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