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이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이듬은 대한민국의 시인, 소설가, 평론가이며, 현재 경상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1년 시 《욕조 a에서 달리는 욕조 A를 지나》를 발표하며 등단했고, 감각적인 상상력과 폭력성을 특징으로 하는 시를 썼다. 시집으로 『별 모양의 얼룩』, 『명랑하라 팜 파탈』, 『말할 수 없는 애인』, 『베를린, 달렘의 노래』, 『히스테리아』 등이 있으며, 소설 『블러드 시스터즈』, 에세이, 평론집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김이듬의 시는 그로테스크하고 도발적인 모티프를 사용하며, 소외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2017년에는 영문 번역 시집 『명랑하라 팜 파탈』이 최우수 번역 도서상과 루시엔 스트릭 아시아 번역상 후보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대학교 동문 - 김태우 (정치인)
대검찰청 검찰수사관 출신인 김태우는 대통령비서실 특별감찰반 근무 경력을 바탕으로 정치권에 진출, 서울 강서구청장에 당선되었으나 공무상 비밀누설 혐의로 구청장직을 상실, 이후 특별사면으로 피선거권을 회복하여 강서구청장 재보궐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한 정치인이다. - 경상대학교 동문 - 박홍수 (1955년)
박홍수는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 후 사망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김달진문학상 수상자 - 곽효환
곽효환은 1996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문학평론가, 편집자로, 대산문화재단 사장을 역임하며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했고, 자아와 타자의 관계, 사회적 공동체에 대한 성찰, 북방에 대한 관심을 시에 담아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다. - 김달진문학상 수상자 - 나희덕
나희덕은 1989년 등단하여 김수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모성과 자연의 생명력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부산대학교 동문 - 허형구
허형구는 김해 출신의 법조인으로, 검사,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검찰총장 재임 중 봉사하는 검찰상을 정립하고 선거법 위반 사범을 수사했으나 저질 연탄 사건 수사로 경질되었다. - 부산대학교 동문 - 박흥대
박흥대는 1954년생으로 부산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79년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판사, 법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법무법인 대표 변호사로 활동한다.
김이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로마자 표기 | Gim Ideum |
한글 | 김이듬 |
출생일 | 1969년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진주시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작가 |
학력 | |
학력 | 부산대학교 (학사) 경상대학교 (박사) |
경력 | |
등단 시기 | 2001년 |
등단 작품 | 《욕조 a에서 달리는 욕조 A를 지나》 |
2. 생애
김이듬은 대한민국 진주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성장했다. 부산대학교에서 독일 문학을 전공하고, 경상대학교에서 한국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1년 계간 《시(Poesie)》 가을호에 「욕조 a에서 달리는 욕조 A를 지나」 외 5편의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으며, 그녀의 시는 감각적인 상상력과 폭력성으로 주목받았다.[3]
KBS 라디오 진주에서 "김이듬의 월요시선"을 진행했다. 2012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후원으로 자유 베를린 대학교에서 레지던스 작가로 한 학기를 보냈고, 이때의 경험으로 2013년 네 번째 시집 《베를린, 달렘의 노래》를 썼다. 아이오와 대학교 국제 창작 프로그램에도 참여했다.[4]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김이듬은 대한민국 진주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자랐다. 부산대학교에서 독일 문학을 전공했으며, 경상대학교에서 한국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1년 가을호에 계간지 《시(Poesie)》에 「욕조 a에서 달리는 욕조 A를 지나」를 포함한 6편의 시를 발표하며 문단에 등단했다. 그녀의 시는 감각적인 상상력과 폭력성으로 주목을 받았다.[3]2. 2. 문단 등단 및 활동
김이듬은 대한민국 진주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자랐다. 부산대학교에서 독일 문학을 전공했으며, 경상대학교에서 한국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1년 가을호에 계간지 《시(Poesie)》에 「욕조 a에서 달리는 욕조 A를 지나」를 포함한 6편의 시를 발표하며 문단에 등단했다. 그녀의 시는 감각적인 상상력과 폭력성으로 주목을 받았다.[3]KBS 라디오 진주에서 방송된 "김이듬의 월요시선"의 라디오 진행자였다. 2012년에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후원으로 자유 베를린 대학교에서 레지던스 작가로 한 학기를 보냈다. 그곳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2013년 문학과지성사에서 출판한 네 번째 시집 《베를린, 달렘의 노래》(Bereulin, dalemui norae Song of Berlin, Dahlem)를 썼다. 아이오와 대학교의 국제 창작 프로그램에 참여했다.[4]
2. 3. 해외 활동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후원으로 자유 베를린 대학교에서 레지던스 작가로 한 학기를 보냈다.[4] 아이오와 대학교의 국제 창작 프로그램에도 참여했다.[4] 2013년에는 베를린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네 번째 시집 《베를린, 달렘의 노래》를 문학과지성사에서 출판했다.3. 작품 세계
김이듬은 시집으로 『별 모양의 얼룩』, 『명랑하라 팜 파탈』, 『말할 수 없는 애인』, 『베를린, 달렘의 노래』, 『히스테리아』를, 소설로는 『블러드 시스터즈』를 펴냈다.[5]
3. 1. 주요 특징
김이듬의 시는 그로테스크하고 도발적인 모티프로 유명하다.[10] 시의 화자는 종종 정신 분열증을 앓거나 다중 인격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세계 질서를 파괴한다.[11] 김이듬의 시에는 미혼모, 매춘부, 장애인, 이혼 여성, 퀴어, 정신 질환자, 거지, 노인 빈곤층, 기타 소수자들이 많이 등장한다. 김이듬은 그들의 소외된 세계를 지배하는 질서를 관찰하고 그것을 통해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을 모색한다. 히스테리적이고, 파괴적이며, 복수심에 불타며, 반항적이라고 묘사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여 불합리한 사회적 관습을 비판한다.[12] 이러한 주제 외에도 김이듬의 시에 나타나는 강한 에로티시즘은 한국 여성 시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13]3. 2. 페미니즘적 시각
김이듬의 시는 그로테스크하고 도발적인 모티프로 유명하다.[10] 김이듬 시의 화자는 종종 정신 분열증을 앓거나 다중 인격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세계 질서를 파괴한다.[11] 그녀의 시에는 미혼모, 매춘부, 장애인, 이혼 여성, 퀴어, 정신 질환자, 거지, 노인 빈곤층, 기타 소수자들이 많이 등장한다. 김이듬은 그들의 소외된 세계를 지배하는 질서를 관찰하고 그것을 통해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을 모색한다. 히스테리적이고, 파괴적이며, 복수심에 불타며, 반항적이라고 묘사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여 불합리한 사회적 관습을 비판한다.[12] 이러한 주제 외에도 그녀의 시에 나타나는 강한 에로티시즘은 한국 여성 시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13]3. 3. 문학적 평가
김이듬의 시는 그로테스크하고 도발적인 모티프로 유명하다.[10] 그녀의 화자는 종종 정신 분열증을 앓거나 다중 인격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세계 질서를 파괴한다.[11] 그녀의 시에는 미혼모, 매춘부, 장애인, 이혼 여성, 퀴어, 정신 질환자, 거지, 노인 빈곤층, 기타 소수자들이 많이 등장한다. 김이듬은 그들의 소외된 세계를 지배하는 질서를 관찰하고 그것을 통해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을 모색한다. 히스테리적이고, 파괴적이며, 복수심에 불타며, 반항적이라고 묘사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여 불합리한 사회적 관습을 비판한다.[12] 이러한 주제 외에도 그녀의 시에 나타나는 강한 에로티시즘은 한국 여성 시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13]김이듬의 번역 시는 영국 저널 『현대 번역 시』(MPT)의 2016년 겨울호 "푸른 정맥: 한국 시에 집중"에 게재되었다.[6] 2016년에는 그녀의 첫 영문 번역 시집 『명랑하라 팜 파탈』이 Action Books에서 출판되었다. 이지윤, 최돈미, 요하네스 괴란손이 한국어로 번역한 이 작품은 2017년 최우수 번역 도서상[7]과 2017년 루시엔 스트릭 아시아 번역상 후보로 선정되었다.[8] 2017년에는 그녀의 영문 번역 시가 Vagabond Press에서 『김이듬, 김행숙, 김민정의 시』의 일부로 출판되었다.[9]
4. 작품 목록
김이듬은 시집, 소설, 에세이,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발표했다.
4. 1. 시집
제목 | 출판사 | 출판년도 |
---|---|---|
별 모양의 얼룩 | 천년의시작 | 2005년 |
명랑하라 팜 파탈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
말할 수 없는 애인 | 문학과지성사 | 2011년 |
베를린, 달렘의 노래 | 서정시학 | 2013년 |
히스테리아 | 문학과지성사 | 2014년 |
4. 2. 소설
- Blood Sisters|블러드 시스터즈영어 (2011)
4. 3. 에세이집
- Friends of Every Nationality|모든 국적의 친구영어 (난다, 2016)
- Dear Slovenia|디어 슬로베니아영어 (로고폴리스, 2016)
4. 4. 평론집
- Study on Modern Korean Feminist Poetry|한국현대 페미니즘시 연구영어 (국학자료원, 2015)
4. 5. 번역 작품
5. 수상 경력
참조
[1]
웹사이트
김이듬 {{!}}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LTI Korea)
http://library.klti.[...]
2018-01-03
[2]
웹사이트
김이듬 {{!}}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LTI Korea)
http://library.klti.[...]
2017-08-30
[3]
웹사이트
김이듬 {{!}} 문학과지성사
http://moonji.com/bo[...]
2017-08-30
[4]
웹사이트
RIDIBOOKS
https://ridibooks.co[...]
2017-08-30
[5]
웹사이트
Poems of Kim Min-Jeong, Kim Yi-Deum & Kim Haeng Sook (Asia Pacific Series 10)
https://vagabondpres[...]
2017-08-30
[6]
뉴스
영국 문예지, 이상·고은·한강 등 詩 소개
http://www.yonhapnew[...]
2017-08-30
[7]
웹사이트
The 2017 BTBA Finalists for Fiction and Poetry
http://themillions.c[...]
2017-08-30
[8]
웹사이트
2017 Lucien Stryk Shortlist Announced!
https://literarytran[...]
2017-08-30
[9]
웹사이트
Poems of KIM YIDEUM, KIM HAENGSOOK & KIM MIN JEONG {{!}}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LTI Korea)
http://library.klti.[...]
2017-08-30
[10]
서적
Kim Yideum, Cheer Up, Femme Fatale
http://actionbooks.o[...]
[11]
뉴스
김이듬, "말해줄 수 없는 것에 대한 고백과 사랑"
http://daily.hankook[...]
2017-08-30
[12]
뉴스
김이듬, "말해줄 수 없는 것에 대한 고백과 사랑"
http://daily.hankook[...]
2017-08-30
[13]
웹사이트
RISS 모바일
http://m.riss.kr/sea[...]
2017-08-30
[14]
뉴스
통영문학상 정끝별, 김이듬 서숙희 윤고은 수상
http://m.hanryeotoda[...]
2017-08-30
[15]
웹인용
김이듬 {{!}} 문학과지성사
http://moonji.com/bo[...]
2017-08-30
[16]
웹인용
김이듬 {{!}}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LTI Korea)
http://library.klti.[...]
2018-01-03
[17]
웹인용
김이듬 {{!}}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LTI Korea)
http://library.klti.[...]
2018-01-03
[18]
뉴스
통영문학상 정끝별, 김이듬 서숙희 윤고은 수상
http://m.hanryeotoda[...]
2017-08-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