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여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여씨는 백제의 왕족 성씨를 지칭하며, 《삼국사기》에는 온조왕이 십제를 세우고 부여를 성씨로 삼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백제는 건국 초기 여러 지방 세력의 연맹이었으며, 근초고왕 시기에 왕권을 강화하고 국호를 백제로 변경했다. 성왕은 남부여로 국호를 바꾸어 부여의 후손임을 강조했으며, 당나라에서는 부여씨를 여씨로 기록했다. 현재 부여 서씨와 의령 여씨는 부여씨의 후예를 주장하지만, 학계에서는 족보 외에 다른 근거가 부족하고 역사적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여씨 - 기루왕
    기루왕은 백제의 제5대 국왕으로, 다루왕 사후 즉위하여 신라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신라와 평화 조약을 맺었으며 말갈의 침입 시 신라의 지원을 받았고 자연재해가 빈번했다.
  • 부여씨 - 아신왕
    아신왕은 백제 제17대 국왕으로, 고구려의 침략에 맞서 왜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운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전쟁에서의 패배로 백제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삶과 결정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부여씨 - [인물]에 관한 문서
왕가 정보
왕가명부여씨 (扶餘氏)
백제왕의 왕관
왕국명백제
작위백제 국왕
건립일기원전 18년
초대 통치자온조왕
최후 통치자의자왕
몰락일서기 660년
민족백제인
종교불교
본가고씨
분가부여 서씨(주장)
이천 서씨(주장)
의령 여씨(주장)
미마쓰씨(三松氏) 백제왕씨의 후예를 자칭하는 미마츠씨의 계보 『백제왕 미마츠씨 계도』 가 존재하지만, 그 사료가치에는 의문을 제기하는 의견이 있어 , 「국사대사전」 등 주요 한 사전류에서도 채용하지 않은 것이 많다. (주장)
구다라노코니키시씨

2. 시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백제 시조의 성씨에 대해 서로 다른 기록을 전한다. 《삼국사기》는 온조왕한성에 도읍하여 십제(十濟)를 세우고 자신의 성씨를 부여로 삼았다고 기록하고 있는 반면, 《삼국유사》는 온조의 성씨를 해씨로 기록하고 있어[9] 차이를 보인다. 백제의 초대 왕인 온조왕은 고구려 동명제(동명성왕)의 후손이며, 고구려의 국성(國姓)인 고씨(高氏)에서 부여씨(夫餘氏)를 칭했다[2]는 기록이 있다.

한국 언론에 따르면, 《삼국사기》와 중국 역사서 등의 기록을 종합해 볼 때, 현재의 부여 서씨의령 여씨는 부여씨(夫餘氏)의 후예로 추정된다고 한다.[3][4]

2. 1.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는 온조왕한성에 도읍하여 십제(十濟)를 세우고 자신의 성씨를 부여로 삼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한편, 《삼국유사》는 온조의 성씨를 해씨로 기록하고 있다.[9] 백제의 초대 왕인 온조왕은 북부여에 이어 졸본부여를 건국한 고구려 동명제(동명성왕)의 후손이며, 고구려의 국성(國姓)인 고씨(高氏)에서 부여씨(夫餘氏)를 칭했다.[2]

2. 2. 《삼국유사》 기록

《삼국유사》는 온조왕의 성씨를 해씨로 기록하고 있다.[9]

북부여의 고기에 따르면, 천제(天帝)가 흘승골성(訖升骨城)에 강림하여 도읍을 정하고, 북부여(北夫餘)를 건국하여 스스로 해모수라 칭하고 해(解)를 성(姓)으로 삼았다. 이후 도읍을 동부여(東夫餘)로 옮겼다. 그 후, 동명제(東明帝)가 북부여에 이어 졸본부여(卒本夫餘)를 건국하였으니, 곧 고구려의 시조가 되었다.[1][2]

3. 백제 시기

백제의 초대 왕인 온조왕북부여에 이어 졸본부여를 건국한 고구려 동명제(동명성왕)의 후손이며, 고구려의 국성(國姓)인 고씨(高氏)에서 부여씨(夫餘氏)를 칭했다[2]. 이후 고구려와의 싸움에서 한성을 잃고 남쪽으로 수도를 옮겼다. 당나라 측 기록에는 부여씨를 주로 여(餘)씨로 줄여서 기록했다.[11]

북부여의 고기에 따르면, 천제(天帝)가 흘승골성(訖升骨城)에 강림하여 도읍을 정하고, 북부여(北夫餘)를 건국하여 스스로 해모수라 칭하고 해(解)를 성(姓)으로 삼았다. 이후 도읍을 동부여(東夫餘)로 옮겼다. 그 후, 동명제(東明帝)가 북부여에 이어 졸본부여(卒本夫餘)를 건국하였으니, 곧 고구려의 시조가 되었다.

한국 언론에 따르면, 『삼국사기』와 중국 역사서 등의 기록을 종합해 볼 때, 현재의 부여 서씨의령 여씨는 부여씨(夫餘氏)의 후예로 추정된다[3][4]

3. 1. 건국 초기

백제는 여러 지방 세력들이 동맹을 맺은 연맹이었다. 십제라는 나라 이름 자체가 열 개의 지방이란 의미를 지닌다. 부여씨가 왕권을 강화하고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기 시작한 것은 근초고왕 무렵이라고 여겨진다. 나라 이름도 이때 백제로 바꾸어 국력이 커졌음을 보여준다. 이후 고구려와의 싸움에서 한성을 잃고 남쪽으로 수도를 옮겼고, 성왕은 나라 이름을 남부여로 바꾸어 자신들이 부여의 후손임을 강조하였다.[10]

3. 2. 근초고왕 시기

건국 초기 백제는 여러 지방 세력들이 동맹을 맺은 연맹이었다. 십제라는 나라 이름 자체가 열 개의 지방이란 의미를 지닌다. 부여씨가 왕권을 강화하고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기 시작한 것은 근초고왕 무렵이라고 여겨진다.[10] 나라 이름도 이때 백제로 바꾸어 국력이 커졌음을 보여준다.

3. 3. 성왕 시기

성왕은 나라 이름을 남부여로 바꾸어 자신들이 부여의 후손임을 강조하였다.[10]

3. 4. 중국 측 기록

당나라 측 기록에는 부여씨를 주로 여(餘)씨로 줄여서 기록했다.[11]

4. 후손 주장

부여 서씨의령 여씨는 자신들이 부여씨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부여 서씨는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을 시조로, 의령 여씨는 의자왕을 시조로 내세운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역사 학계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3][4]

삼국유사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북부여의 옛 기록에 따르면, 천제(天帝)가 흘승골성(訖升骨城)에 내려와 도읍을 정하고 북부여를 건국하여 스스로 해모수라 칭하고 해(解)를 성(姓)으로 삼았다. 이후 도읍을 동부여로 옮겼다. 그 후, 동명제가 북부여에 이어 졸본부여를 건국하였으니, 곧 고구려의 시조가 되었다는 것이다.[2] 백제의 초대 왕인 온조왕동명성왕의 후손이며, 고구려의 국성(國姓)인 고씨(高氏)에서 부여씨(夫餘氏)를 칭했다.[2]

4. 1. 부여 서씨

부여 서씨는 자신들의 시조로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을 내세운다. 당나라에 끌려간 의자왕의 일족은 모두 그곳에서 살다 죽었는데 당나라는 부여융에게 서씨 성을 하사하고 다시 백제로 돌려보냈다는 것이다.[1] 그러나 역사 학계는 이러한 주장이 서씨 족보에만 기록되어 있을 뿐 다른 뒷받침할만한 근거가 없고, 오히려 중국 산시성에서 발굴된 의자왕의 손녀 무덤에 부여태비(扶餘太妃)라는 명칭이 붙어 있기 때문에 그 아버지인 부여융 역시 그곳에서 살다 죽었을 것으로 본다.[1]

4. 2. 의령 여씨

의령 여씨는 자신들의 시조가 의자왕으로 백제 멸망 후 그 후손들이 중국에 살다가 송나라 시기에 고려에 왔다고 주장한다.[1]

4. 3. 학계의 비판

부여 서씨는 자신들의 시조로 의자왕의 아들 부여융을 내세운다. 이들은 당나라가 부여융에게 서씨 성을 하사하고 다시 백제로 돌려보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역사 학계는 이러한 주장이 서씨 족보에만 기록되어 있을 뿐, 다른 뒷받침할 만한 근거가 없다고 본다. 오히려 중국 산시성에서 발굴된 의자왕의 손녀 무덤에 부여태비(扶餘太妃)라는 명칭이 붙어 있기 때문에, 그 아버지인 부여융 역시 당나라에서 살다 죽었을 것으로 추정한다.[1]

의령 여씨는 자신들의 시조가 의자왕이며, 백제 멸망 후 그 후손들이 중국에 살다가 송나라 시기에 고려에 왔다고 주장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http://contents.nahf[...]
[2] 웹사이트 부여씨 https://terms.naver.[...] 2022-10-13
[3] 웹사이트 한성백제 왕족의 후손을 찾습니다 http://www.shinailbo[...] 2014-03-09
[4] 웹사이트 한성백제 왕족의 후손을 찾습니다 https://www.asiae.co[...] 2014-03-07
[5] 문서
[6] 뉴스 백제 유적 세계유산 등재가 지닌 의미 http://www.cha.go.kr[...] 문화재청 2016-03-03
[7] 웹사이트 《삼국사기》 백제 본기 온조왕 즉위 조 http://contents.hist[...]
[8] 웹사이트 백제시대 개관 http://mahan.wonkwan[...] 2019-09-10
[9] 웹사이트 온조왕 http://www.cultureco[...]
[10] 웹사이트 백제 https://encykorea.ak[...] 2020-06-21
[11] 서적 삼국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청년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