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훈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여훈해는 백제의 왕족으로, 형 아신왕 사후 섭정하며 일본에 볼모로 간 조카 부여 영을 기다렸다. 왕이 되고 싶었던 막내동생 부여설례에게 살해당했다. 훈해의 후손들은 일본으로 건너가 안고씨의 시조가 되었으며, 일본의 신찬성씨록과 속일본기에서 이를 언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제의 정치인 - 부여설례
아신왕의 서얼 아우인 부여설례는 405년 아신왕 사후 둘째 형 훈해를 시해하고 조카인 태자 영(전지왕)이 귀국하기 전 섭정과 보위를 참칭했으나, 전지왕의 즉위로 섭정은 종료되었다. - 405년 사망 - 아신왕
아신왕은 백제 제17대 국왕으로, 고구려의 침략에 맞서 왜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운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전쟁에서의 패배로 백제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삶과 결정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405년 사망 - 모용덕
모용덕은 전연의 모용황의 아들로, 후연을 거쳐 남연을 건국하고 연왕을 자칭했으며, 400년에 황제에 즉위하여 건평으로 개원했다. - 백제의 왕자 - 부여융
부여융은 백제 의자왕의 아들이자 당나라 장수로, 백제 멸망 후 당나라 웅진도독으로 임명되어 백제 유민을 다스렸으나 신라와의 관계 악화로 축출되어 낙양에서 사망했으며, 백제 마지막 태자 여부 논쟁과 엇갈린 행적으로 평가가 나뉜다. - 백제의 왕자 - 부여용
부여용은 백제 의자왕의 손자이자 부여융의 아들이며, 무왕에서 시작된 백제 왕족의 후손으로 부여충승, 부여충지, 선광왕을 아들로 두었다.
부여훈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부여훈해 |
한자 표기 | 扶餘訓解 |
로마자 표기 | Buyeo Hunhae |
한글 표기 | 부여훈해 |
직위 | 왕족 종실 |
국적 | 백제 |
왕가 | 부여씨 |
왕조 | 백제 |
생애 | |
출생 | 미상 |
출생지 | 백제 |
사망일 | 405년 |
사망지 | 백제 |
사망 원인 | 암살 |
거주지 | 백제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침류왕 |
작은아버지 | 진사왕 |
형 | 아신왕 |
이복 동생 | 부여 홍 |
동생 | 부여설례 |
조카 | 전지왕 |
조카 | 부여 신 |
2. 생애
형 아신왕이 죽자 형을 대신하여 섭정하며 일본에 볼모로 간 조카(왕태자 부여 영)를 기다렸다. 그러나 왕이 되고 싶었던 막내동생 부여설례(일명 부여접례)가 훈해를 죽이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3][4]
[1]
서적
Samguk Sagi
일본에 체류하고 있던 그의 후손들은 안고씨(雁高氏)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일본의 신찬성씨록과 속일본기에서는 일본 안고씨의 시조로 훈해를 지목하고 있다.
3. 가계
참조
[2]
서적
Shinsen Shōjiroku
[3]
뉴스
'[한·일 관계사 새로보기] 칠지도'
http://weekly.hankoo[...]
주간한국
[4]
웹인용
한국역사-백제왕 18대 전지왕(전支王)
https://web.archive.[...]
2008-07-01
[5]
웹사이트
http://baekje.chung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