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침류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침류왕은 근구수왕의 장남으로, 384년 백제의 왕위에 올라 385년 사망한 백제의 왕이다. 그는 즉위 후 동진과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고구려에 대항했고, 동진에서 온 승려 마라난타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여 백제에 불교를 처음 전파했다. 침류왕은 385년 한산에 사찰을 건립하고 승려를 득도시키는 등 불교를 적극적으로 장려했으며, 재위 2년 만에 사망하여 동생 진사왕이 왕위를 계승했다. 침류왕은 백제 왕 중 최초로 불교를 공인한 왕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구수왕 - 평양 전투 (371년)
    평양 전투 (371년)는 백제 근초고왕의 공격으로 고구려 고국원왕이 전사한 사건이며, 소수림왕 대에 국가 체제를 정비하여 국력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 근구수왕 - 서울 석촌동 고분군
    석촌동 고분군은 서울 송파구 석촌동에 있는 백제 시대 고분군으로, 백제 적석총 구조가 확인되었으며 3호분은 백제 왕릉으로 추정된다.
  • 385년 사망 - 부견
    부견은 오호십육국시대 전진의 천왕으로, 왕맹을 등용해 전진의 전성기를 이끌었지만, 비수대전에서 패배 후 몰락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이상주의적인 인물이다.
  • 385년 사망 - 여암
    여암은 4세기 후반 후연의 장수로, 385년 반란을 일으켰다가 모용농에게 진압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백제군이 그의 반란에 연합하여 요서 지역을 점령했다는 기록이 있다.
  • 백제의 불교도 - 법왕
    법왕은 백제의 제29대 왕으로, 혜왕 또는 위덕왕의 아들이며, 재위 기간 동안 불교를 숭상하고 미륵사 건립을 추진했으며 백성들에게 고기잡이와 사냥을 금지하는 정책을 펼쳤다.
  • 백제의 불교도 - 아신왕
    아신왕은 백제 제17대 국왕으로, 고구려의 침략에 맞서 왜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운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전쟁에서의 패배로 백제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삶과 결정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침류왕
기본 정보
이름침류왕
로마자 표기Chimnyu-wang
한자 표기枕流王
다른 이름부여침류(扶餘枕流)
즉위명어라하
출생일미상
출생지위례성
사망일385년 11월
사망지위례성
재위 기간384년 4월 – 385년 11월
대관식384년 4월
묘호미상
시호미상
종교불교
가문부여씨
왕조백제
목록제15대 백제 국왕
가족 관계
부왕근구수왕
모후진씨 (아애부인)
왕비진씨
자녀아신왕
훈해
설례
통치 정보
전임자근구수왕
후임자진사왕
기타
한국어 위키백과침류왕
영어 위키백과Chimnyu of Baekje
네이버침류왕

2. 생애

침류왕은 백제 제14대 왕 근구수왕과 진씨 부인 사이의 장남으로, 384년에 왕위에 올랐다.[2][3] 동진과 동맹을 맺어 고구려에 적대적인 태도를 취했으며, 즉위년인 384년 7월에 동진에 조공을 바쳤다. 같은 해 9월에는 동진으로부터 호승인 마라난타를 맞이하여 불교가 백제에 전파되기 시작하였다. 385년 2월, 한산(경기도 광주시)에 절을 짓고 승려 10명을 득도시켰다.

385년 11월, 재위 2년 만에 사망하였고, 동생 진사왕이 왕위를 계승하였다.[8]

2. 1. 동진과의 관계

384년 침류왕은 왕위에 오르자 7월동진에 조공하였다. 같은 해 9월 동진(東晋)에서 호승(胡僧)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들어왔고 이를 계기로 백제에 불교가 처음 전파되었다.[7]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에 따르면, 마라난타는 수차례 백제를 드나들며 불교를 전파하였는데 이때가 침류왕 시대였다고 한다. 침류왕은 성 밖까지 나와 마라난타를 맞이하였으며, 마라난타와 이야기를 나누며 불교를 널리 보급하고 숭상하였다. 385년 음력 2월 한산(漢山)에 사찰을 창건하여 열 명의 백제 승려가 법사의 뜻을 따르게 하였다.[8]

삼국사기에는 384년 가을 7월에 진(晉)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을 바쳤고, 9월에 서역 승려 마라난타가 진나라에서 왔으며, 왕이 그를 맞이하여 궁궐에 머물게 하고 모든 예우를 다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백제에 불교가 처음 전래된 것으로 본다.

2. 2. 불교 수용과 전파

384년 침류왕은 왕위에 오르자 동진에 조공하였다. 이 해 음력 9월 동진(東晋)에서 호승(胡僧)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들어왔고 이를 계기로 백제에 불교가 처음 전파되었다.[7]

삼국시대에 활약했던 승려들의 열전을 모아 놓은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에 의하면, 소수림왕 때 승려 순도(順道)가 평양성에 찾아왔고, 이어 마라난타가 들어와 수차례 백제를 드나들며 불교를 전파하였는데 이때가 침류왕 시대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마라난타가 고행에서 돌아올 때면 침류왕은 성 밖까지 나와 그를 반가이 맞아들였으며, 또한 그를 정중히 대하여 공양(供養)하였다. 왕은 마라난타와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자신을 낮추기를 꺼려하지 않았으며 불교를 널리 보급하고 숭상하였다. 385년 봄 음력 2월 한산(漢山)에 사찰을 창건하여 열 명의 백제 승려가 법사의 뜻을 따르게 하였다.[8]

침류왕은 백제 왕 중 불교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최초의 왕이었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인 『삼국사기』과 『삼국유사』에 따르면, 불교는 4세기 삼국 시대에 한국에 공식적으로 전래되었다. 384년, 인도의 불교 승려 마라난타가 동진(東晉, 265~420)에서 백제로 왔다. 침류왕은 그를 궁궐로 맞이하였고, 그 후 곧 불교를 받아들였다.[4][5] 동진과 연합하여 고구려에 대항하려는 기본적인 외교 방침을 계승하여, 즉위년인 384년 7월에도 동진에 조공을 바쳤다. 같은 해 9월에는 동진으로부터 마라난타를 맞이하였다. 백제의 불교는 이때부터 시작되었다고 여겨진다. 385년 2월, 한산(경기도 광주시)에 불사를 짓고, 승려 10명을 득도시켰다.

2. 3. 죽음

침류왕은 재위 2년째인 385년 11월 붕어하였다. 동생 진사왕이 왕위를 계승하였다.[8] 마라난타를 맞이한 이듬해인 385년 2월, 한산(경기도 광주시)에 불사를 짓고, 승려 10명을 득도시켰다.

385년 11월, 재위 2년 만에 사망하였다.

3. 유산

침류왕은 불교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최초의 백제 왕이었다. 384년, 인도의 불교 승려 마라난타동진에서 백제로 와 침류왕은 그를 궁궐로 맞이하고 불교를 받아들였다.[4][5] 이듬해 한산에 불교 사찰을 건립하고 승려 10명을 두었다.

3. 1. 역사적 평가

침류왕은 백제 왕 중 불교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최초의 왕이었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인 삼국사기삼국유사에 따르면, 불교는 4세기 삼국 시대에 한국에 공식적으로 전래되었다.[4][5] 384년, 동진(265~420)에서 온 인도의 불교 승려 마라난타가 백제에 왔다. 침류왕은 그를 궁궐로 맞이하였고, 그 후 곧 불교를 받아들였다.[4][5]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불교적 모티브가 발견되었고, 4세기 연대의 연꽃 모양 기와가 발굴됨으로써 고고학적 발견들이 한국에 불교가 일찍 전래되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였다.[4] 385년, 침류왕은 백제의 수도 한산(북한산성으로 추정되나 확실하지 않음)에 불교 사찰을 건립할 것을 명령하였고, 10명이 승려가 되었다. 사후 그의 동생 진사가 즉위하였으나, 침류왕의 장남이 다음 왕인 아신왕이 되었다. 아신왕이 405년에 죽자 그의 세 아들이 왕위를 놓고 싸웠고, 결국 모두 죽고 아신왕의 아들이 즉위하였다.

4. 가계

침류왕은 근구수왕아이부인 사이의 장남이었다.[2] 아이부인은 근수왕의 측근인 진고도(眞高道)의 딸이다. 왕비는 진씨(眞氏)이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근구수왕백제 제14대 왕
어머니아이부인진고도(眞高道)의 딸
형제진사왕백제 제16대 왕, 부여휘(扶餘暉)
왕비진씨(眞氏)
장남아신왕백제 제17대 왕, 부여아방(扶餘阿芳)
차남부여훈해인질로 일본에 갔으며, 그의 자손들은 안고씨(雁高氏)를 세웠다. 동생 설례에게 왕위를 찬탈하려는 그를 죽였다.
삼남부여설례인질로 일본에 갔다. 왕위를 찬탈하려 동생 훈해를 죽였으나, 조카와 재상에게 살해당했다.
후궁미상
사남부여홍(扶餘洪)394년 2월 내신좌평(内臣佐平)에 임명되었다.[9]


참조

[1] 웹사이트 침류왕 https://terms.naver.[...] 2019-06-10
[2] 서적 백제의중앙과지방 Juryuseong
[3] 간행물 Samguk sagi
[4] 논문 An Early Gilt-bronze Seated Buddha from Seoul
[5] 서적 Samguk Yusa
[6] 서적인용 삼국사기
[7] 서적인용 삼국사기
[8] 서적인용 삼국사기
[9] 웹사이트 http://baekje.chung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