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장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장품은 매장된 시신과 함께 묻는 물건을 의미하며, 인류의 매장 풍습이 시작된 이래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왔다. 선사 시대부터 고대, 중세 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부장품은 사회 계층, 성별, 사후 세계에 대한 관념 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고고학에서는 부장품을 통해 당시의 문화와 사회상을 연구하며, 도굴과 같은 문제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세 - 파이돈
플라톤의 『파이돈』은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배경으로 영혼의 불멸을 주장하며 다양한 논증을 펼치는 내용과 철학자의 삶과 죽음에 대한 성찰을 담은 대화편으로, 서구 철학과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내세 - 시발바
시발바는 마야 신화에 등장하는 지하 세계이자 《포폴 부흐》에 묘사된 죽음의 궁정으로, 훈-카메와 부쿠브-카메를 비롯한 12명의 군주가 다스리며 질병, 기아, 공포 등 인간의 고통을 관장하는 악귀들이 거주하는 시련과 함정으로 가득한 곳이다. - 공희 - 봉선
봉선은 고대 중국 황제가 하늘과 땅에 제사를 지내는 의식으로, 태산에서 주로 거행되었으며, 진시황부터 건륭제까지 여러 황제에 의해 거행되었고, 현대에는 전통을 계승하는 축제가 열리고 있다. - 공희 - 자기부정
자기 부정은 자신의 욕망을 포기하고 타인을 위해 금욕적인 삶을 사는 행위로, 자기 희생 및 헌신의 한 형태이며 종교, 철학,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고 한국 사회에서도 특유의 태도로 나타난다. - 유물 - 투탕카멘의 가면
투탕카멘의 가면은 하워드 카터 발굴팀이 발견한, 금과 보석으로 장식된 투탕카멘 파라오의 미라 마스크로, 복원 과정에서의 논란이 있었으며 현재 카이로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고 이전이 계획 중이다. - 유물 -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빌렌도르프의 비너스는 구석기 시대 그라베트 문화의 여성 조각상으로, 다산과 출산을 상징하는 과장된 신체, 묘사되지 않은 얼굴, 띠로 덮인 머리가 특징이며, 2022년 연구에 따르면 이탈리아 북부에서 온 돌로 만들어졌다.
부장품 | |
---|---|
개요 | |
설명 | 매장과 함께 묻힌 물건 |
관련 개념 | 제물 매장 장례식 |
고대 이집트 | |
특징 | 미라와 함께 묻음 내세에서의 삶을 위한 준비 신분과 지위에 따라 다름 |
일반적인 부장품 | 음식과 음료 옷과 보석 가구와 도구 무기와 갑옷 화장품과 미용 용품 조각상과 부적 파피루스와 서적 우샤브티 |
특수한 부장품 | 사자의 서 카노푸스 단지 황금 마스크 |
고대 그리스 | |
특징 | 죽은 자를 기리고 애도하는 의미 개인적인 물건과 선호하는 물건 포함 |
일반적인 부장품 | 도자기와 항아리 무기와 갑옷 보석과 장신구 동전과 화폐 음식과 음료 |
고대 로마 | |
특징 | 사회적 지위와 부를 반영 종교적인 믿음을 표현 |
일반적인 부장품 | 램프와 등불 유리 제품 동전과 화폐 장신구와 보석 개인 물건 |
동아시아 | |
중국 | 명기 종이돈 (저승돈) |
일본 | 하니와 청동 거울 굽은 옥 |
한국 | 신라 금관 () 토기 장신구 |
기타 문화 | |
켈트족 | 금과 청동으로 만든 물건 무기와 갑옷 도구와 장식품 |
멕시코 | 설탕 두개골 마리골드 꽃 오프렌다 죽은 자의 날 관련 물품 |
기독교 | 성물 기도문 |
의미와 목적 | |
종교적 의미 | 내세에서의 삶을 위한 준비 사후 세계로의 여행을 돕기 위함 죽은 자의 영혼을 달래고 보호 |
사회적 의미 | 사회적 지위와 부를 과시 죽은 자의 가족과 공동체를 위한 의례 죽은 자에 대한 존경과 애도의 표현 |
개인적 의미 | 죽은 자의 개성과 삶을 반영 애정과 기억을 표현 심리적인 위로와 안정 제공 |
참고 문헌 | |
서적 | The Buried Soul: How Humans Invented Death () |
웹사이트 | 고대 이집트의 부장품 고대 이집트 부장품 모든 영혼의 날 죽은 자의 날 저승돈의 기원 고대 이집트의 인신 공양 링글미어 컵 |
2. 역사
부장품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 가장 원초적인 형태는 사람이 생활하는 데 필요한 식품, 도구, 꽃 등 사망자에게 친숙한 물품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날 고고학에서 발굴되는 분묘에서는 당시를 짐작케 하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
부장품의 분포는 사회 계층화의 지표가 될 수 있다. 초기 신석기 시대 무덤은 부장품 분포가 고른 경향이 있어 계급 없는 사회를 시사하는 반면, 구리 시대와 청동기 시대 매장에서는 부유한 부장품이 족장 고분에 집중되어 사회 계층화를 나타낸다.[14] 부장품은 사후 세계와 관련된 영성에 대한 관심과 의식 수준을 나타낼 수도 있다. 고대 이집트에서 파라오 매장 시에는 편안한 사후 세계를 위해 가구, 음식, 탈것 등을 함께 매장했다.[15]
화장할 경우 관에 넣어 시신과 함께 태우거나, 화장 후 묘에 유골과 함께 매장하기도 한다. 관이나 의복도 함께 매장되지만, 의식적으로 부장품으로 취급되지는 않는다.
실질적인 의미의 부장품은 시체와 관련이 없지만, 고인과 관련된 물품이나 종교적 가치관에서 사후 세계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이 제공된다. 일본 불교에서는 삼도천 나룻배 요금인 명전과 쌀, 소금 등 최소한의 식량을 곁들인다.
특정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람의 경우, 그 지위에 어울린다고 생각되는 물건이 부장품으로 준비되기도 한다. 가정부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순장 형태로 가정부 자신을 부장품으로 하기도 했지만, 인권 등 사회 통념의 발달과 더불어 인형으로 대체되었다.(→병마용, 하니와)
2. 1. 선사 시대
13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 매장 유적에서 부장품으로 추정되는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인류가 죽음에 대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해석될 수 있다. 10만 년 전 초기 호모 사피엔스 유적에서도 의도적인 매장 흔적이 발견되었다. 구석기 시대 후기 유적에서는 부장품과 함께 매장된 확실한 증거가 발견된다.이집트 선사 시대 초기 바다리 문화 유적에서는 항아리, 조개껍질, 빗, 돌그릇, 동물 조각상, 점판 등 다양한 부장품이 발견되었다.[11][12] 기원전 12,000년에서 11,000년 사이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무덤에서는 비석으로 만든 구슬이 발견되었다.[13]
2. 2. 고대 및 중세
청동기 시대 왕릉에서는 부유한 무덤의 사회적 지위 표현이 극에 달했다. 고대 이집트의 테베 묘지에 있는 피라미드와 왕가의 계곡의 왕릉은 인류 역사상 가장 정교한 매장 방식 중 하나였다. 이러한 경향은 철기 시대까지 이어졌다. 철기 시대의 매우 부유한 왕릉의 예로는 진시황의 병마용이 있다.[16]로마 제국의 경우, 초기 기독교 무덤에는 부장품이 없었으며, 5세기와 6세기에 걸쳐 그레코-로마 다신교의 쇠퇴와 함께 부장품이 사라지는 경향이 있었다. 유럽의 초기 중세에서 부장품의 존재는 종종 이교의 증거로 여겨졌지만, 앵글로색슨 영국과 프랑크 왕국(7세기)의 개종 기간 동안에는 상황이 더 복잡할 수 있다.[17] 기독교 중세 시대에는 고위층 무덤이 묘상이나 값비싼 묘비로 외부에 표시되었고, 액세서리와 직물과 같은 특정 부장품이 여전히 있었다.[18]
2. 3. 한국의 역사
삼국시대 고분에서는 금동관, 금제 귀걸이, 유리구슬 등 화려한 부장품이 다수 출토되어 당시 지배층의 권위와 국제 교류 양상을 보여준다. 통일신라 시대에는 화장이 유행하면서 뼈 항아리와 함께 소량의 부장품을 매장하는 풍습이 나타났다. 고려 시대에는 불교의 영향으로 화려한 부장품보다는 소박한 청자, 불상 등이 주로 매장되었다.3. 현대의 부장품
현대 장례 의식에서도 부장품은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현대 영국과 미국 문화에서는 안경, 보석류, 사진, 편지와 같은 물품을 시신과 함께 매장하는 경우가 있다.[24] 묘비 근처 또는 위에 물건을 놓아두는 경우도 있는데, 꽃이 일반적이지만 유대 문화에서는 방문석(visitation stones)을 선호한다.[25] 미국의 군인 묘소에는 고인의 동료들이 죽은 자를 위한 동전(coins for the dead)(도전 동전(challenge coins) 포함)을 두는 경우도 있다.[26] 한국에서도 고인의 유품이나 사진, 편지 등을 함께 매장하거나 태우는 경우가 있다.
4. 사회적 의미와 기능
부장품은 사망자를 위로하거나 사후에 필요하다고 여겨 함께 매장하는 물품이다. 이러한 문화 형태는 인간이 죽음을 단순한 현상이 아닌 특별한 의미를 지닌 것으로 인식하면서 발전했다고 생각되며, 선사 시대부터 이미 사망자와 함께 다양한 물품이 매장되는 등 그 양식이 다양하다. 화장의 경우, 시신과 함께 관에 넣어 태우거나, 화장 후 묘에 안치할 때 유골과 함께 매장하기도 한다.
가장 원초적인 형태는 사람이 생활하는 데 필요한 식품이나, 생전에 사용하던 도구,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꽃 등 사망자와 주변 사람들에게 친숙한 물품이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네안데르탈인 사회에도 이러한 매장 풍습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관이나 의복, 사망자에게 바치는 꽃도 함께 화장되거나 매장되지만, 의식적으로 부장품으로 취급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화석과 화분이 발견된 네안데르탈인 매장 유적의 경우, 매장 시 꽃을 바쳤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꽃은 부장품이 된다.
보다 실질적인 의미에서 부장품은 시신 자체와 관련이 없지만, 고인과 관련된 물품이거나, 종교적 가치관에서 사후 세계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물품이다. 예를 들어 일본 불교에서는 영혼이 삼도천까지 걸어가야 하므로, 화장 전 관 안에 삼도천의 뱃삯인 명전과, 도중에 필요한 쌀과 소금을 작은 천 주머니에 담아 시신에 곁들인다.
종교관에 근거하여 사후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물건이나 고인과 인연이 있는 물건뿐만 아니라, 권력자 등 특정 사회적 지위를 가진 사람의 경우, 그 지위에 어울리는 물건이 특별히 준비되어 함께 매장되기도 한다. 가정부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순장 형태로 가정부 자신을 부장품으로 하기도 했지만, 인권 등 사회 통념이 발달하면서 인형으로 대체되기도 하였다(→병마용과 하니와).
무덤 부장품은 성별에 관한 사회적 규범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 일반적인 이원적 사회에서는 여성이 어머니 역할, 가사 활동, 요리 등을 담당하고 남성이 사냥과 전투 등을 담당했다. 이러한 사회에서는 여성은 보석과 함께, 남성은 도끼와 함께 매장되었다. 불가리아 흑해 연안의 두랑쿨락 묘지에서 이러한 사회 구조와 일치하는 발견이 있었다.[22] 역할이 바뀐 사회도 있는데, 사우로마티아 사회의 여성은 매우 존경받는 전사였다. 그들의 무덤에는 무기와 말 장비가 가득했다.[23] 뼈가 부패하여 성별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무덤 부장품이 결정적인 요소가 되기도 한다.
4. 1. 고고학적 중요성
부장품은 고고학 연구에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세계 전역과 선사 시대 전반에 걸쳐 거의 널리 존재했기 때문에, 매장된 일상 용품은 특정 선사 시대 문화에서 이러한 유물의 주요 원천이 된다. 무덤 부장품은 당시의 문화 풍토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일종의 타임캡슐 역할을 한다.[21]무덤 부장품을 해당 문화에서 사용된 유물의 객관적인 표본으로 단순하게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의례적 맥락 때문에, 무덤 부장품은 특별한 종류의 유물을 나타낼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매장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것일 수 있다. 매장 자체를 위해 제작된 예술 작품은 장례 예술로 알려져 있으며, 좁은 의미에서 무덤 부장품은 실제 사용을 위해 제작된 물건을 무덤에 놓은 것이지만, 실제로는 두 범주가 겹친다.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묘지의 무덤 부장품은 상대적인 사회적 지위를 잘 나타내는 지표이다. 부유한 무덤에는 귀걸이, 목걸이, 호박과 같은 외국산 희귀 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무덤에서는 금과 같은 화려한 부장품이 발견되기도 했는데, 이는 부유하지 못한 무덤과는 대조적이다.[20]
2001년 이탈리아 폰테카냐노 파이아노의 철기 시대 묘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무덤 부장품의 질과 골격에 대한 법의학적 지표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유한 무덤의 골격은 성인기에 생물학적 스트레스(골절이나 중노동의 흔적)의 증거가 훨씬 적은 경향을 보였다.[21]
5. 부장품과 관련된 문제
부장품은 재산적 가치가 있어, 이를 노리는 도굴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고대부터 무덤 도굴꾼들은 고가의 부장품을 노리고 무덤을 파헤쳤다.[27] 매장 측에서는 도굴을 막기 위해 가짜 무덤을 만들거나, 무덤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거나, 주술적인 힘에 의존하기도 했다. 현대에도 영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사망자의 소지품을 노린 무덤 도굴이 발생하기도 한다.[27]
부장품은 다양한 사회에서 각기 다른 형태를 가지는데, 특히 권력자의 경우에는 후세에도 통용될 만한 귀중한 재보나 당시 문화와 기술의 정수를 담은 공예품 등이 함께 매장되기도 한다.
5. 1. 도굴
부장품은 재산적 가치가 있어, 이를 노리는 도굴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고대부터 무덤 도굴꾼들은 고가의 부장품을 노리고 무덤을 파헤쳤다.[27] 매장 측에서는 도굴을 막기 위해 가짜 무덤을 만들거나, 무덤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거나, 주술적인 힘에 의존하기도 했다.왕가의 계곡 인근에서는 도굴이 지역 산업화되어 마을까지 형성되었으며, 와케로와 관련하여 프레인카 무덤의 부장품인 토기가 액막이 부적으로 유통되기도 했다. 현대에도 영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사망자의 소지품을 노린 무덤 도굴이 발생하기도 한다.[27]
5. 2. 문화재 보호
부장품은 다양한 사회에서 각기 다른 형태를 갖지만, 특히 권력자의 경우에는 후세에도 통용될 만한 귀중한 물품인 재보 등이 함께 매장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당시 문화와 기술의 정수를 담은 공예품 등이 함께 매장되기도 한다.참조
[1]
서적
Death-Ritual and Social Structure in Classical Antiquity
Cambridge
[2]
웹사이트
Grave Goods in Ancient Egypt
https://www.worldhis[...]
2020-10-02
[3]
웹사이트
Ancient Egyptian Grave Goods
https://web.archive.[...]
2020-10-02
[4]
서적
The Buried Soul: How Humans Invented Death
https://books.google[...]
Beacon Press
2023-04-11
[5]
서적
The Etruscan Language: an Introduction
Univ. Manchester Press
[6]
웹사이트
All Souls' Day – Saints & Angels
https://www.catholic[...]
2020-10-14
[7]
웹사이트
Top 10 things to know about the Day of the Dead
https://web.archive.[...]
2020-10-14
[8]
웹사이트
What's the Origin of Hell Money?
https://www.scmp.com[...]
2020-10-14
[9]
웹사이트
Human Sacrifice
http://www.ancient-e[...]
2020-10-14
[10]
웹사이트
BBC – History – Ancient History in depth: Hidden Treasure Fact Files
https://www.bbc.co.u[...]
2020-10-14
[11]
웹사이트
Artifacts: Grave Goods, Mummification, Online Exhibits, Exhibits, Spurlock Museum, U of I
https://www.spurlock[...]
2020-11-12
[12]
서적
Man and His Gods
https://archive.org/[...]
Boston, Little, Brown
[13]
문서
The Earliest Beads
2011-10
[14]
서적
Anthropology: The Human Challenge
Cengage Learning
[15]
웹사이트
Mummy History
https://www.history.[...]
2020-11-12
[16]
웹사이트
Terra Cotta Soldiers on the March
https://www.smithson[...]
2020-10-14
[17]
서적
The use of grave-goods in conversion-period England, c. 600–c. 850
British Archaeological Reports
[18]
학술지
Religious Belief in Burial: Funerary Dress and Practice at the Late Antique and Early Islamic Cemeteries at Matmar and Mostagedda, Egypt (Late Fourth–Early Ninth Centuries CE)
[19]
서적
Anglo-Saxon Graves and Grave Goods of the 6th and 7th Centuries AD
http://dx.doi.org/10[...]
Routledge
[20]
웹사이트
BBC – History – Ancient History in depth: Hidden Treasure Fact Files
https://www.bbc.co.u[...]
2020-11-12
[21]
학술지
Social status and biological status: A comparison of grave goods and skeletal indicators from Pontecagnano
[22]
학술지
'Seek and you Shall Find.' How the Analysis of Gendered Patterns in Archaeology can Create False Binaries: a Case Study from Durankulak
[23]
학술지
Amazons in the Scythia: New finds at the Middle Don, Southern Russia
[24]
학술지
'I'm glad she has her glasses on. That really makes the difference': Grave goods in English and American death rituals
[25]
웹사이트
Grieving Outside the Box: Why People Leave Things on Graves
https://adventuresin[...]
2024-07-12
[26]
웹사이트
Coins on a soldier's headstone: What do they mean?
https://fox4kc.com/n[...]
2024-07-12
[27]
방송
奇妙なコトが起こるスペシャル 頭蓋骨は何を語る
ザ!世界仰天ニュース
2014-05-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