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청사자놀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청사자놀음은 함경남도 북청군에서 전승되던 민속극으로, 사자춤을 중심으로 다양한 춤과 재담, 음악이 어우러져 진행된다. 일제강점기부터 1930년대 사자놀음 대회가 열렸으며, 1960년 월남한 연희자들이 전승위원회를 조직하여 1967년 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되었다. 퉁소풍장 반주에 맞춰 사자, 양반, 꺽쇠 등의 가면을 쓰고, 춤사위와 함께 횃불싸움, 굿거리장단, 반야심경 등의 요소가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경남도 - 관남 지방
함경남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관남 지방은 마천령산맥의 남쪽에 위치하여 '함남'이라고도 불린다. - 함경남도 - 부전호국립공원
함경남도 북부 함경산맥에 위치한 부전호국립공원은 웅장한 산세와 깊은 호수, 울창한 산림을 자랑하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지로서 국제적인 보호를 받는 주요 조류 서식지이자 남북 협력을 통한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곳이다. - 조선의 무용 - 한량무
한량무는 조선 후기 남사당패에서 유래하여 진주 교방에서 전승되는 7인의 춤으로, 한량, 별감, 승려, 색시 등의 등장인물을 통해 당시 사회상을 풍자하며, 북, 장구 등 악기 반주에 맞춰 춤사위를 펼친다. - 조선의 무용 - 진주포구락무
진주포구락무는 진주 지역의 연회 및 행사에서 공연된 춤으로, 궁중 문화의 영향을 받아 상벌을 주는 방식, 개수장의 창사, 세령산 반주 등의 특징을 지니며 진주민속예술보존회를 중심으로 맥을 이어오고 있다.
북청사자놀음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국가무형문화재 |
지정 번호 | 15 |
지정일 | 1967년 3월 31일 |
전승지 | 서울특별시 |
보유자 | 북청사자놀음보존회 |
2. 역사
북청 지역에서는 모든 곳에서 사자놀음이 공연되었지만, 특히 북청읍, 가회면, 구탕천 세 읍에서 유명했다. 이 지역의 작은 마을 사람들은 각자 사자 탈을 만들어 지역 내 다른 사자 탈과 경쟁을 벌였다. 1930년부터 대회가 시작되었지만, 가난하거나 소규모 팀은 그 이후 사라졌다. 우승 팀에게는 장학금, 빈곤 구제, 노인 지원에 사용될 농작물이 상으로 주어졌다.
2. 1. 일제강점기와 북청사자놀음
북청 지역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사자놀음이 공연되었지만, 특히 북청읍, 가회면, 구탕천 세 읍에서 유명했다. 이 지역의 작은 마을 사람들은 각자 사자 탈을 만들어 지역 내 다른 사자 탈과 경쟁을 벌였다. 1930년부터 대회가 시작되었지만, 가난하거나 소규모 팀은 그 이후 사라졌다. 우승 팀에게는 장학금, 빈곤 구제, 노인 지원에 사용될 농작물이 상으로 주어졌다.2. 2. 한국전쟁과 월남 연희자들
북청 지역 모든 곳에서 공연되었지만, 특히 북청읍, 가회면, 구탕천 세 읍에서 유명했다. 이 지역의 작은 마을 사람들은 각자 사자 탈을 장식하여 지역 내 다른 사자 탈과 경쟁했다. 1930년부터 대회가 시작되었지만, 가난하거나 소규모 팀은 그 이후 사라졌다. 우승 팀에게는 장학금, 빈곤 구제, 노인 지원에 사용될 농작물이 상으로 주어졌다.3. 구성 및 진행
북청사자놀음은 사자춤 외에도 애원성춤, 사당춤, 거사춤, 승무춤, 꼽추춤, 무동춤, 넋두리춤, 칼춤 등 다양한 춤들이 함께 어우러져 진행된다. 놀이 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지만, 보통 애원성이 먼저 나오고 사자춤이 나중에 나오며, 그 사이에 여러 춤들이 들어간다.
놀이는 퉁소와 북 반주에 맞춰 애원성 춤을 추는 것으로 시작한다. 꺾쇠가 양반을 데리고 나오고 악사가 뒤따른다. 양반은 사당, 무동, 꼽새 등을 불러 모은 후 사자를 부른다. 사자춤에는 상좌중이 함께 춤을 추며, 사자는 여러 재주를 부리다 쓰러진다. 양반이 대사를 불러 반야심경을 외우게 하지만 사자는 움직이지 않고, 의원이 침을 놓아 사자를 일으킨다. 꺾쇠가 사자에게 토끼를 먹이면 사자는 기운을 차려 굿거리장단에 맞춰 춤을 춘다. 양반은 사자 한 마리를 더 불러 춤을 추게 하고, 사당춤과 상좌의 승무가 어우러진다. 사자가 퇴장한 후에는 마을 사람들이 신고산타령 등을 부르며 군무를 추어 놀이를 마무리한다.
북청사자놀음은 음력 정월 14일 밤(보통 밤 8~9시) 달이 뜬 뒤 시작하여 다음 날 새벽까지 이어진다. 놀이에 앞서 여러 마을에서 장정들이 횃불싸움을 벌이기도 한다. 15일 새벽까지 놀이를 한 후에는 서당, 도청 광장에서 주식을 갖춰 놓고 놀이를 끝내고 해산한다. 16일 이후에는 초청하는 유지(有志家) 집을 방문하여 놀이를 계속한다.
퉁소, 장고, 소고, 북, 꽹과리 반주에 맞춰 사자, 사령, 꺽쇠, 양반, 무동, 승무, 꼽새 등 여러 인물들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놀이를 한다. 마당에서 난무를 하고, 사자(2명이 들어감)는 안마당, 안방, 부엌을 돌아다니며 맹렬하게 춤을 추고 무엇을 잡아먹는 시늉을 한다. 주인의 청에 따라 부엌의 조왕과 시렁 앞에 엎드려 조령에게 절을 하기도 한다. 아이를 사자에게 태우면 장수한다는 속설이 있어 아이를 태우거나, 사자털(헝겊 조각)을 몰래 베어다 두면 장수한다는 믿음도 있었다.
토성리에서는 사자놀음과 관원(官員)놀음을 함께 진행하는데, 사자놀음이 먼저 진행되고 이후 관원놀음과 합쳐진다. 관원놀음은 정월 14일에 예습, 정월 15일에 본의(本義)를 진행한다. 남병사, 본관, 좌수, 형리, 공방, 순검, 헌병 등 신구 관속들이 세나발, 퉁소, 장고, 대고, 소고 등 구식 악기와 양악(洋樂) 관현악기가 연주하는 행진곡에 맞춰 '숙신고도사령(肅愼故都使令)'이라는 큰 깃발 아래 행진하여 옛 제단터에서 의식을 치른다.
북청사자놀음은 애원성, 마당돌이, 사자춤으로 구성되며, 사자춤이 중심이 되지만 가면극으로서는 다소 부족하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3. 1. 악기 및 반주
북청사자놀음은 퉁소, 장구, 소고, 북, 징 등의 악기를 사용하여 반주한다. 퉁소는 보통 2개를 사용하지만, 많을 때는 6개까지 사용하기도 한다. 해서(海西)나 경기 지방의 탈놀이가 삼현육각(三絃六角) 반주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북청사자놀음은 퉁소풍장 반주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반주 음악의 장단은 춤곡에 따라 3분박의 느린 4박자나 빠른 4박자를 사용하며, 서양 악보로는 8분의 12박자로 표기할 수 있고, 굿거리장단에 해당한다.3. 2. 등장인물 및 가면
북청사자놀음에 쓰이는 가면은 사자, 양반, 꺽쇠, 꼽추, 사령 등이 있다.

- 사자가면: 2개가 있으며, 피나무(지방에 따라 수컷은 종이로 만듦)로 만든다. 얼굴 윤곽은 둥그스름하고 분홍색, 검은색, 황색 등으로 채색한다. 수염은 흰색을 칠하거나 노란 종이를 붙이고 눈썹을 그렸다. 머리털은 삼에 흑색, 적색, 황색, 청색 등을 채색한다. 몸에는 그물을 씌우고 안에는 헝겊을 댔다. 몸은 붉은 바탕에 황색, 흑색, 백색, 청색, 홍색 등 5색 헝겊 조각을 매어 채색하고 꼬리는 소꼬리를 붙인다. 눈은 백색을 두르고 그 안에 금색을 칠했으며 눈동자는 검은색 바탕에 흰 점을 칠했다. 코는 구멍만 뚫었다. 사자 머리와 몸에 두 사람이 들어간다.
- 양반: 바가지로 만들었으며 분홍색 바탕에 검은색 눈썹과 수염을 달았다. 입술은 붉은색을 칠했고 코는 종이를 뭉쳐 붙였다. 눈과 입이 뚫려있다. 놀이 복색은 정자관을 쓰고 회색 도포를 입었으며 부채와 장죽을 든다.
- 꼭(꺽)쇠: 바가지로 만들었는데 분홍색 바탕에 수염과 눈썹을 검게 그렸고 코는 흰 종이를 뭉쳐 붙였다. 눈과 입은 뚫려있다. 방울과 술이 달린 종이로 만든 높은 모자를 쓰고 앞의 오른쪽과 등의 왼쪽이 붉은 빛깔인 큰 저고리를 입었고 어깨에 걸치는 붉은 헝겊을 둘렀다.
- 곱추: 바가지로 만들었으며 분홍색 바탕에 눈썹은 검은 칠을 하고 붉은 입술이며 눈과 입은 뚫렸다. 보통 여자 복색에 고깔을 쓰고 연희한다.
- 사령: 2개가 있으며 바가지로 만들었는데 분홍색 바탕에 입술은 붉은 칠을 하였고 눈과 입이 뚫렸다. 놀이 복색은 붉은 쾌자를 입고 술이 달리지 않은 모자를 쓰며 곤장을 든다.
가면 종류 | 높이(cm) | 너비(cm) | 코 높이(cm) | 기타 |
---|---|---|---|---|
사자가면 | 58 | 56 | 8 | 눈동자 너비 10.4cm, 눈동자 길이 9.8cm, 귀길이 10cm, 꼬리 길이 80cm, 몸 전체 길이 158cm |
양반탈 | 25 | 24 | - | |
꼭(꺽)쇠탈 | 26 | 25 | 4 | 코 길이 13cm |
곱추탈 | 21 | 20 | 3 | |
사령탈 | 21 | 20 | - |
3. 3. 절차
북청사자놀음의 절차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원래는 애원성, 마당놀이, 사자춤 순서로 진행되었으나, 최근에는 길놀이, 마당놀이, 애원성, 사자춤, 칼춤, 무동춤, 꼽새춤, 사자춤, 재담, 넋두리춤 등 다양한 순서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애원성이 먼저 나오고 사자춤이 뒤에 나오며 그 사이에 다양한 춤들이 들어가는 기본 구성은 유지되고 있다.놀이의 시작은 퉁소와 북 반주에 맞춘 애원성 춤이다. এরপর 꺾쇠가 양반을, 악사가 그 뒤를 따른다. 양반은 사당, 무동, 꼽새 등을 불러 모아 함께 논 다음 사자를 부른다. 사자춤에서는 상좌중이 함께 춤을 추는데, 사자는 여러 춤 재주를 부리다 쓰러진다. 양반이 대사를 불러 반야심경을 외우게 하지만 사자는 움직이지 않고, 의원이 침을 놓아 사자를 일으킨다. 꺾쇠가 사자에게 토끼를 먹이면 사자는 기운을 차리고 굿거리장단에 맞춰 춤을 춘다. 양반은 기뻐하며 사자 한 마리를 더 불러 춤을 추게 하고, 사당춤과 상좌의 승무가 어우러진다. 사자가 퇴장한 후에는 마을 사람들이 신고산타령 등을 부르며 군무를 추면서 놀이가 마무리된다.
북청사자놀음에는 사자춤 외에도 애원성춤, 사당춤, 거사춤, 승무춤, 꼽추춤, 무동춤, 넋두리춤, 칼춤 등 다양한 춤들이 등장한다. 반주 음악에는 퉁소, 장고, 소고, 북, 징 등의 악기가 사용된다. 퉁소는 2개를 기본으로 사용하며, 많을 때는 6개까지 사용한다. 해서(海西)나 경기지방의 탈놀이가 삼현육각 반주를, 영남지방 탈놀음이 농악 반주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북청사자놀음은 퉁소풍장 반주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반주 음악은 주로 굿거리장단에 맞춰 연주되며, 3분박의 느린 4박자 또는 빠른 4박자로, 서양 악보로는 8분의 12박자로 표기할 수 있다.
북청사자놀음에 사용되는 가면으로는 사자, 양반, 꺽쇠, 꼽추, 사령 등이 있다. 북청사자놀음의 사자춤은 다양한 춤사위와 여러 놀이꾼, 다양한 종류의 춤이 어우러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두현은 윤영춘, 마희수 등의 구술을 바탕으로 대사 채록본을 남겼다.
북청사자놀음은 음력 정월 14일 밤(보통 밤 8~9시) 달이 뜬 뒤 시작하여 다음 날 새벽까지 이어진다. 그전에 여러 마을에서 장정들이 횃불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15일 새벽까지 놀이를 한 후에는 서당, 도청 광장에서 주식을 갖춰 놓고 놀이를 마무리하고 해산한다. 16일 이후에는 초청하는 유지(有志家)를 방문하여 놀이를 계속한다.
퉁소, 장고, 소고, 북, 꽹과리 반주에 맞춰 사자, 사령, 꺽쇠, 양반, 무동, 승무, 꼽새 등 다양한 인물들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놀이를 펼친다. 이들은 마당에서 난무를 하고, 2명이 들어가는 사자는 안마당, 안방, 부엌을 돌아다니며 맹렬한 기세로 춤을 추고 무엇을 잡아먹는 시늉을 한다. 주인의 요청에 따라 부엌의 조왕과 시렁 앞에 엎드려 조령에게 절을 하기도 한다. 이때 아이를 사자에게 태우면 장수한다는 속설이 있어 아이를 태우거나, 사자털(헝겊 조각)을 몰래 베어다 두면 장수한다는 믿음도 있었다.
토성리의 사자놀음은 관원(官員)놀음과 함께 진행되는데, 사자놀음이 먼저 진행되고 이후 관원놀음과 합쳐진다. 관원놀음은 정월 14일에 예습, 정월 15일에 본의(本義)를 진행한다. 남병사, 본관, 좌수, 형리, 공방, 순검, 헌병 등 신구 관속들이 세나발, 퉁소, 장고, 대고, 소고 등 구식 악기와 양악(洋樂) 관현악기가 연주하는 행진곡에 맞춰 '숙신고도사령(肅愼故都使令)'이라는 큰 깃발 아래 행진하여 옛 제단터에서 의식을 치른다.
북청사자놀음은 애원성, 마당돌이, 사자춤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사자춤이 중심이 되지만 가면극으로서는 다소 부족하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본 행사 전에는 작은 마을의 젊은이들이 횃불을 들고 겨루는 횃불싸움을 했다. 사자춤은 음력 14일 밤에 시작하여 다음 날 새벽까지 이어진다. 무용수들은 지역의 부유한 집을 방문하는데, 사자 탈 팀이 초대되면 정원으로 가서 춤을 추고, 안방으로 들어가 춤과 식사를 한 다음 부엌으로 갔다가 다시 안뜰로 돌아간다. 이 과정을 반복하며, 아이들이 사자탈에 매달리거나 사자탈의 털을 만지면 장수한다는 믿음이 있었다.
4. 춤사위
이 춤의 특징은 요꼿뜀사위로 사자 형상처럼 뛰어나가 물어뜯고 잡아채는 동작이다. 이는 반드시 삼진삼퇴(三進三退)를 반복한다.
사자춤사위는 다음과 같다.
- 요꼿뜀사위
- 머리쳐들기
- 모대기치기
- 머리흔들기
- 모걸음치기(옆놀이)
- 돌아치기
- 뒷걸음치기(발질)
- 얼르기
- 꼿꼿이서기
5. 북청사자놀음의 기능보유자
함경남도 북청군 전 지역에서 전승되던 북청사자놀이는, 광복 이후 남한으로 내려온 연희자들에 의해 1967년 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되었다. 기능보유자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출생년도 | 역할 |
---|---|---|
윤영춘(尹迎春) | 1907년 | 사자 앞머리 |
동태선(董泰善) | 1903년 | 북 |
변영호(邊永鎬) | 1907년 | 사자 제작, 악사 |
이근화선(李根花善) | 1924년 | 사당춤 |
동성영(董誠榮) | 1909년 | 사자 앞채 |
여재성(呂在成) | 1919년 | 사자 뒷채 |
전중식(全仲植) | 1914년 | 악사(퉁소) |
김수석(金壽石) | 1907년 | 사자 앞채 |
전광석(田光石) | 1917년 | 칼춤 |
1960년 8월, 북청군 출신 귀순자들이 전승위원회를 조직했으며, 당시 윤영춘, 김수석, 변영호, 동성영, 여재성, 전중식 등이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6. 현대의 전승
북청사자놀음은 북청 지역 모든 곳에서 공연되었지만, 특히 북청읍, 가회면, 구탕천 세 읍에서 유명했다. 이 지역의 작은 마을 사람들은 각자 사자 탈을 장식하여 지역 내 다른 사자 탈과 경쟁했다. 1930년부터 대회가 시작되었지만, 가난하거나 소규모 팀은 그 이후 사라졌다. 우승 팀에게는 장학금, 빈곤 구제, 노인 지원에 사용될 농작물이 상으로 주어졌다.
1960년 8월, 북청군에서 대한민국으로 귀순한 사람들이 전승위원회를 조직했다. 당시 윤윤천, 김수석, 변영호, 동영석, 여제성, 전정식 등이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