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홀쭉이로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붉은홀쭉이로리스는 로리스속에 속하는 영장류로, 스리랑카 남서부의 열대 우림에 서식한다. 건조지대홀쭉이로리스와 호턴평원홀쭉이로리스 두 아종으로 분류되며, 작고 홀쭉한 몸, 큰 눈, 길고 홀쭉한 손발, 털이 없는 둥근 귀가 특징이다. 주로 곤충을 먹지만, 새의 알, 열매 등도 섭취하며, 야행성이며 작은 사회적 무리를 형성한다.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서식지 파괴, 사냥, 전기줄 감전 등이 위협 요인으로 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리랑카의 고유종 동물 - 스리랑카표범
스리랑카표범은 스리랑카 섬에 서식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한 표범의 아종으로, 섬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이자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한 종이다. - 로리스과 - 순다로리스
순다로리스는 순다 열도에 서식하는 영장류로, 눈 주위의 어두운 고리와 흰색 줄무늬를 가지며, 수액, 꽃꿀, 과일 등을 먹고 야행성이며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로리스과 - 늘보로리스
늘보로리스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사는 로리스과의 야행성 영장류로, 둥근 머리와 뭉툭한 꼬리를 가지며 몸에 독성이 있고, 삼림 벌채와 야생동물 거래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7종이 알려져 있다. - 서식지 상실로 인한 절멸위기종 - 아시아코끼리
아시아코끼리는 코끼리과에 속하는 종으로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작고 귀가 작으며 코 끝에 돌기가 있고, 인도아대륙과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서식지 상실로 인한 절멸위기종 - 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은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양에 서식하며, 어린 개체는 육식, 성체는 초식으로 잘피밭 등 얕은 연안 해역을 주요 서식지로 삼지만, 남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불법 포획, 혼획,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의 위협이 여전히 존재한다.
붉은홀쭉이로리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Loris tardigradus |
명명자 | Linnaeus, 1758 |
이명 | Lemur tardigradus Linnaeus, 1758 |
멸종위기등급 | EN (멸종 위기) |
IUCN3.1 | author: Gamage, S.N. author2: Nekaris, K.A.I. author3: Rudran, R. date: 2020 title: Loris tardigradus volume: 2020 page: e.T12375A17970163 doi: 10.2305/IUCN.UK.2020-3.RLTS.T12375A17970163.en access-date: 2021년 11월 19일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아목 | 곡비원아목 |
하목 | 로리스하목 |
과 | 로리스과 |
아과 | 로리스아과 |
속 | 홀쭉이로리스속 |
종 | 붉은홀쭉이로리스 |
아종 | |
분포 | |
![]() |
2. 분류
붉은홀쭉이로리스(Loris tardigradus|lat)는 로리스(Loris)에 속하는 영장류이다. 같은 속에 속하는 회색홀쭉이로리스(Loris lydekkerianus|lat)와 가까운 관계에 있다. 붉은홀쭉이로리스는 다음 두 아종으로 나뉜다.
- 호턴평원홀쭉이로리스 또는 산악로리스 (Loris tardigradus nycticeboides|lat)
- 건조지대홀쭉이로리스 또는 저지대로리스 (Loris tardigradus tardigradus|lat)
건조지대홀쭉이로리스(L. t. tardigradus|lat)는 회색홀쭉이로리스(L. lydekkerianus|lat)에 비해 귀가 덜 두드러지는 특징이 있다. 호턴평원홀쭉이로리스(L. t. nycticeboides|lat)는 귀가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다.
3. 신체적 특징
이 작고 홀쭉한 영장류는 정확한 깊이 지각을 위해 사용되는 크고 앞으로 향한 눈, 길고 가느다란 팔다리, 잘 발달된 집게손가락, 꼬리가 없는 점, 그리고 가장자리에 털이 없고 얇고 둥근 모양의 크고 두드러진 귀가 특징적이다. 털은 부드럽고 촘촘하며, 등 쪽은 붉은 갈색을 띠고 아래쪽은 은색 털이 드문드문 섞인 희끄무레한 회색이다. 몸길이는 평균 18cm 에서 25cm 정도이고, 몸무게는 평균적으로 85g 에서 370g 정도이다.
이 로리스는 네 발 모두 쥘 수 있는 능력이 있다. 큰 발가락은 나머지 네 개의 발가락과 마주보게 움직여 나뭇가지와 먹이를 쥘 때 집게처럼 사용한다. 얼굴 색은 어둡고, 중앙에 희미한 줄무늬가 있으며, 늘보로리스와 많이 닮았다.
아종에 따라 털 색깔에 차이가 있다. Loris tardigradus tardigradus|로리스 타르디그라두스 타르디그라두스lat는 등 부분이 적갈색이고 아래쪽은 크림색 노란색이며, Loris tardigradus nycticeboides|로리스 타르디그라두스 닉티케보이데스lat는 등 부분이 짙은 갈색이고 윗부분은 매우 밝은 갈색이다.
4. 생태
붉은홀쭉이로리스는 근연종인 회색홀쭉이로리스와 달리 빠른 수목성 이동을 자주 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들은 성별에 관계없이 성체와 어린 개체를 포함하는 작은 사회적 무리를 형성하며 생활하는데, 이는 야행성 영장류 중에서 가장 사회적인 모습 중 하나로 꼽힌다.
낮 동안에는 나뭇가지가 얽힌 곳에 무리를 지어 잠을 자며, 이때 다리 사이에 머리를 파묻고 나뭇가지에 몸을 웅크리는 자세를 취한다.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서로의 털을 손질해주거나 레슬링과 같은 놀이를 하기도 한다. 성체들은 주로 밤에 각자 흩어져 사냥에 나선다.[6] 붉은홀쭉이로리스는 잎으로 둥지를 만들거나 나무의 빈 공간 또는 비슷한 안전한 장소를 찾아 거처로 삼는다.
4. 1. 서식지

붉은홀쭉이로리스는 스리랑카 남서부의 저지대 우림(해발 700m까지), 열대 우림, 그리고 몬순 숲을 선호한다. 마스물라 제안 산림 보호구역(Masimbula proposed forest reserve)은 남아있는 붉은홀쭉이로리스 개체군에 중요한 피난처를 제공하며, 생물다양성 핫스팟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들의 서식지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식물 종은 ''Humboldtia laurifolia''로, 헥타르 당 676그루가 분포하며 전체 나무 밀도는 헥타르 당 1077그루에 달한다. ''Humboldtia laurifolia''는 취약종으로 분류되며, 개미와 공생 관계를 맺고 있어 로리스에게 풍부한 먹이를 제공한다.[16][5]
1960년대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에는 해안 지역에서도 발견되었으나, 현재 이 지역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보인다.[5]
4. 2. 먹이
붉은홀쭉이로리스는 주로 곤충을 먹지만 새의 알, 열매, 잎, 싹을 먹기도 하며, 드물게 무척추동물과 도마뱀붙이, 도마뱀도 먹는다.[6] 먹이를 찾아다니는 과정에서 개미가 손등에 붙으면 이를 먹기도 한다.[6] 단백질과 영양소 섭취를 극대화하기 위해 먹이의 비늘이나 뼈를 포함한 모든 부분을 섭취한다.[6]가장 흔하게 먹는 식물 종은 ''Humboldtia laurifolia''이다.[5][16] 이 식물은 취약종으로 분류되며, 개미와 공생 관계를 맺고 있어 붉은홀쭉이로리스에게 풍부한 먹이를 제공한다.[5][16]
5. 행동
붉은홀쭉이로리스는 빠른 수목성 이동을 자주 한다는 점에서 근연종인 회색홀쭉이로리스와 다르다. 성별에 관계없이 성체와 어린 개체를 포함하는 작은 사회적 무리를 형성하며, 야행성 영장류 중에서 가장 사회적인 동물 중 하나이다. 낮 동안에는 나뭇가지 얽힘 속에서 무리를 지어 자거나, 다리 사이에 머리를 넣고 나뭇가지에 몸을 웅크리고 잠을 잔다. 또한 이 무리는 서로 털을 손질해주고 레슬링 놀이를 하기도 한다.
성체는 보통 밤에 따로 사냥을 한다. 이들은 주로 곤충을 먹지만 새의 알, 열매, 잎, 싹을 먹기도 하며, 드물게 무척추동물과 도마뱀붙이와 도마뱀도 먹는다. 먹이를 찾아다니며, 그 과정에서 개미가 손등에 붙기도 한다.[6] 이렇게 개미가 붙으면 붉은홀쭉이로리스는 이 개미를 먹을 수 있다. 단백질과 영양소 섭취를 극대화하기 위해 비늘과 뼈를 포함하여 먹이의 모든 부분을 섭취한다. 이들은 잎으로 둥지를 만들거나 나무의 빈 곳 또는 비슷한 안전한 곳을 찾아 거처를 삼는다.
6. 번식
암컷이 우세한 종이다. 암컷은 태어난 지 10개월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하며, 1년에 두 번 수컷을 받아들인다. 이 종은 나뭇가지에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짝짓기를 한다. 동물원 등 사육 상태에서는 적당한 나뭇가지가 없을 경우 번식하지 않을 수 있다. 임신 기간은 166일에서 169일 사이이며, 한 번에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생후 6~7개월이 지나면 젖을 뗀다. 야생에서의 수명은 약 15년에서 18년 정도로 추정된다.
7. 멸종 위협
붉은홀쭉이로리스는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 가장 큰 위협 요인은 서식지 파괴이다.[7][17] 또한, 눈 질환 치료제로 사용하기 위해 널리 포획되어 살해된다.[17][7] 그 외에도 전선 감전사, 교통사고,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포획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18][8] 자연 상태에서는 뱀, 개, 일부 물고기에게 잡아먹히기도 한다.[7]
8. 보존
붉은홀쭉이로리스는 2007년에 진화적으로 특이하고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EDGE) 프로젝트에서 10종의 최우선 보호종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19][9]
특히 아종 중 하나인 호턴 평원 홀쭉이로리스(''Loris tardigradus nycticeboides'')는 보존 노력의 중요한 대상이다. 이 아종은 1937년에 처음 기록되었으나, 이후 72년 동안 단 4번만 목격되었고,[10] 60년 이상 발견되지 않아 2002년까지는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다.[11][12] 그러나 2002년, 안나 네카리스(Anna Nekaris)가 이끄는 연구팀이 호턴 평원 국립공원에서 이 아종을 재발견하는 데 성공했다.[8] 이후 2009년 말, 런던 동물원 협회(Zoological Society of London)의 EDGE 프로그램 팀이 호턴 평원 홀쭉이로리스를 포획하여 처음으로 상세한 신체 검사를 진행하고 사진을 촬영할 수 있었다.[11] 제한적인 정보에 따르면, 현재 약 100마리 정도만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전 세계 영장류 중 가장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5종 안에 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12]
참조
[1]
Groves
[2]
iucn
"''Loris tardigradus''"
2020
[3]
서적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2012-11-21
[4]
웹사이트
Slender loris
http://www.edgeofexi[...]
2007-08-13
[5]
학술
Influence of forest structure and composition on population density of the red slender loris ''Loris tardigradus tardigradus'' in Masmullah proposed forest reserve, Sri Lanka
2005-07
[6]
학술
A Novel Foraging Technique Observed in Slender Loris (Loris lydekkerianus malabaricus) Feeding on Red Ants in the Western Ghats, India
https://www.karger.c[...]
2020-10-13
[7]
웹사이트
Slender Loris
http://www.blueplane[...]
2007-07-24
[8]
학술
Survey of the slender loris (Primates, Lorisidae Gray, 1821: ''Loris tardigradus'' Linnaeus, 1758 and ''Loris lydekkerianus'' Cabrera, 1908) in Sri Lanka
[9]
뉴스
Protection for 'weirdest' species
http://news.bbc.co.u[...]
BBC
2007-01-16
[10]
뉴스
Der Spiegel (German) article about the rediscovery
http://www.spiegel.d[...]
Der Spiegel
[11]
뉴스
Rare Sri Lankan primate gets 1st wide-eyed closeup
http://www.oregonliv[...]
The Oregonian
2010-07-19
[12]
뉴스
Found: Sri Lankan primate thought to be extinct for 60 years
https://www.theguard[...]
2010-07-19
[13]
Groves
[14]
IUCN2008
[15]
웹인용
Slender loris
http://www.edgeofexi[...]
2007-08-13
[16]
저널인용
[17]
웹인용
http://www.blueplane[...]
2007-07-24
[18]
저널인용
[19]
웹인용
Protection for 'weirdest' species
http://news.bbc.co.u[...]
BBC
2007-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