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코끼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코끼리는 코끼리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육상 포유류 중 두 번째로 크다. 칼 폰 린네에 의해 학명이 명명되었으며, 스리랑카코끼리, 인도코끼리, 수마트라코끼리, 보르네오코끼리 등 4종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아시아코끼리는 주로 숲에 서식하며 초식성으로 풀, 나뭇잎, 과일 등을 섭취한다. 인간과의 관계는 가축화되어 임업, 행사 등에 이용되었으나, 서식지 파괴, 밀렵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아시아코끼리는 태국, 라오스 등 여러 국가의 상징으로, 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라이오세 아시아의 포유류 - 호모 에렉투스
호모 에렉투스는 약 200만 년 전부터 10만 년 전까지 생존하며 직립 보행을 하고 아슐리안 석기를 제작했으며 불을 사용한 최초의 인류로 추정되는 종이다. - 플라이오세 아시아의 포유류 - 기간토피테쿠스
기간토피테쿠스는 거대한 어금니 화석을 토대로 명명된 멸종된 유인원 속으로, 큰 덩치와 초식 또는 잡식성 식습관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지만, 오랑우탄과 더 가까운 관계이며 기후 변화 등으로 멸종했을 가능성이 있고, 미확인 동물의 정체로도 거론된다. - 스리랑카의 상징 - 스리랑카의 국장
스리랑카의 국장은 역사적 변화에 따라 여러 차례 변경되었으며, 1972년 공화국 수립 후 사자, 연꽃, 벼 이삭 등 다양한 상징을 담은 현재의 국장이 제정되어 스리랑카의 역사, 문화, 정체성을 나타낸다. - 스리랑카의 상징 - 스리랑카코끼리
스리랑카코끼리는 아시아코끼리 아종 중 가장 크고 어두운 몸빛과 탈색 부분이 특징이며, 스리랑카 저지대에 주로 서식하고, 서식지 감소 후 보호구역을 중심으로 개체 수가 회복 중이며, 스리랑카 문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 라오스의 상징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 라오스의 상징 - 라오스의 국기
라오스의 국기는 붉은색과 파란색 수평띠, 흰색 원으로 구성되어 국민 통합과 메콩 강을 상징하며 독립 투쟁 희생을 기리는 1975년 채택된 깃발로, 마하 실라 비라봉이 디자인한 국기를 계승했다.
아시아코끼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포 지도 | |
![]() | |
기본 정보 | |
학명 | Elephas maximus |
명명자 | Linnaeus, 1758 |
속 | 아시아코끼리속 Elephas |
종 | 아시아코끼리 E. maximus |
멸종 위기 등급 | 멸종 위기 (EN) |
와싱턴 협약 | CITES 부록 I |
아종 | |
아종 목록 | E. m. maximus E. m. indicus E. m. sumatranus |
형태 | |
몸무게 | 4t |
몸무게 (미국톤) | 2.7 ST |
몸무게 (kg) | 150 kg |
한국어 이름 | |
한국어 이름 | 아시아코끼리 |
영어 이름 | Asian elephant |
학명 (로마자 표기) | Elephas maximus |
생물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장비목 |
과 | 코끼리과 |
기타 정보 | |
동의어 | Elephas asiaticus Blumenbach, 1797 Elephas indicus Cuvier, 1798 Elephas gigas Perry, 1811 Elephas sumatranus Temminck, 1847 |
2. 분류
칼 폰 린네는 1758년 아시아코끼리속을 정의하고 실론섬에서 확인된 아시아코끼리 표본을 묘사하여 '''엘레파스 막시무스'''(''Elephas maximus'')라는 학명을 부여했다.[175] 1798년 조르주 퀴비에는 인도에서 확인된 아시아코끼리에 엘레파스 인디쿠스(''Elephas indicus'')라는 학명을 붙였으며,[176] 1847년 콘라드 야콥 테민크는 수마트라섬의 아시아코끼리에게 엘레파스 수마트라누스(''Elephas sumatranus'')라는 학명을 붙였다.[177] 1940년 프레드릭 너터 체이슨은 이 세 종을 모두 아시아코끼리의 아종으로 분류했다.[178]
1950년 폴즈 에드워드 피에리스 데라니야갈라는 보르네오코끼리에 엘레파스 막시무스 보르네엔시스(''Elephas maximus borneensis'')라는 학명을 붙였다.[180] 베트남과 라오스에 살고 있는 개체들 역시 또다른 아종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아시아코끼리는 아시아코끼리속에 속하는 유일한 종이며, 현존하는 4아종과 멸종된 3아종으로 분류된다.
- '''아시아코끼리''' (''Elephas maximus'')
- * † 시리아코끼리 (''Elephas maximus asurus'')
- * † 중국코끼리 (''Elephas maximus rubridens'')
- * † 자바코끼리 (''Elephas maximus sondaicus'')
2. 1. 현생 아종
카를 린네는 1758년에 스리랑카(당시 실론)의 코끼리를 ''Elephas maximus''라는 학명으로 제안했다.[4] 이후, 여러 학자들이 인도 코끼리(''Elephas indicus'', 1798년),[5] 수마트라 코끼리(''Elephas sumatranus'', 1847년)[6]를 각각 명명했다. 1940년, 프레드릭 너터 체이슨은 이 세 종을 모두 아시아코끼리의 아종으로 분류했으며,[7] 현재 이 분류가 인정받고 있다.[1][8]현재 인정되는 아시아코끼리의 아종은 다음과 같다.
아종 | 학명 및 명명자 | 특징 | 분포 지역 | 이미지 |
---|---|---|---|---|
스리랑카 코끼리 | E. maximus maximus (카를 린네, 1758) | 가장 크고 피부색이 어둡다. 귀, 얼굴, 코, 배에 크고 뚜렷한 색소 탈락 부위가 있다.[10] 수컷의 약 90%는 상아가 없다.[146] 갈비뼈는 19쌍이다.[149] | 스리랑카[143] | ![]() |
인도 코끼리 | E. maximus indicus (조르주 퀴비에, 1798) | 피부색은 회색이며, 스리랑카 코끼리보다 밝지만 수마트라 코끼리보다는 어둡다.[8] 갈비뼈는 19쌍이다.[145][149] |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 | ![]() |
수마트라 코끼리 | E. maximus sumatranus (코엔라드 야곱 테민크, 1847) | 가장 작고 피부색이 밝다.[149] 갈비뼈는 20쌍이다.[145][149] | 수마트라섬[143] | ![]() |
보르네오 코끼리 | E. maximus borneensis (파울레스 데라니야갈라, 1950) | 다른 아종보다 작지만 귀가 크고 꼬리가 길며 상아가 곧다.[13] 유전자 분석 결과 약 30만 년 전에 본토 개체군에서 분리되었다.[14] | 보르네오섬 북동부 |
아시아코끼리는 주로 숲에 서식하며,[146][147] 먹이를 찾아 이동한다. 최근에는 서식지 파괴로 인해 계절 이동 거리가 30~40km로 제한된다.[146][147]
시리아 코끼리(''E. m. asurus''), 중국 코끼리(''E. m. rubridens''), 자바 코끼리(''E. m. sondaicus'')는 멸종된 아종으로 제안되었으나, 현재는 인도 코끼리의 동종이명으로 간주된다.[8]
3. 특징
아프리카코끼리에 비하여 몸집이 작지만, 여전히 육상 포유류 가운데에서는 두 번째로 크다. 정수리에서 체고가 가장 높으며 등은 볼록하거나 평평한 형태를 띠고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귀는 등에서 목을 따라 비스듬하게 붙어 있다. 갈비뼈는 20쌍이고, 꼬리뼈는 34개이다. 아프리카코끼리에 비해서는 발이 더 뾰족하고 윤곽이 뚜렷하게 보이는 편으로 앞발은 발가락이 5개이고 뒷발은 4개이다.[179]
평균적으로 수컷의 어깨 높이는 2.75m이고 몸무게는 4ton이며,[181] 암컷의 경우 어깨 높이 2.4m에 몸무게 2.7ton으로 대개 수컷이 더 크다.[182][183][184] 머리와 상아까지 합쳐 잰 몸길이는 5.5-6.5m에 달하며 꼬리 길이는 1.2-1.5m이다.[179] 지금까지 기록된 개체 중 가장 컸던 개체는 1924년 인도의 아삼 주에서 사냥된 것으로 몸무게 7ton에 어깨 높이는 3.43m에 달했으며 몸길이는 8.06m에 이르렀다.[182][185][186] 가장 몸집이 큰 아종은 인도코끼리이며, 반면에 가장 작은 아종은 보르네오코끼리이다.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코는 아프리카코끼리의 코처럼 코와 윗입술이 합쳐져서 길이가 늘어난 것이다. 끄트머리에는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된 근육 돌기와 콧구멍이 있다. 코 하나에만 6만 개가 넘는 근육이 움직이고 있는데, 크게 전·측·후방으로 얄팍하게 펼쳐진 세로근과 주축을 이루는 근섬유 여러 다발으로 이루어져 있다.
윗입술 맨 가를 뚫고 나와 있는 상아는 아시아코끼리가 지하수·염분을 얻기 위하여 구멍을 파거나, 나무뿌리를 뽑거나, 공격·방어하거나, 표식을 남기거나, 그 밖에도 여러 가지 쓰임새로 사용하는 유용한 도구이다. 인간에게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가 있듯 코끼리에게도 오른쪽 상아를 더 많이 쓰는 개체와 왼쪽 상아를 더 선호하는 개체가 나뉜다.[179]
수컷의 엄니가 최대 2.1m, 52kg의 기록이 있지만, 긴 엄니를 가진 개체는 전체의 약 10% 정도이다. 암컷은 간혹 아주 짧은 상아가 있는 것이 있으나 대부분은 없다.
몸은 엷은 회색을 띠고, 분홍색 또는 흰색 반점이 있다. 귀 바로 위 앞머리가 좌우로 혹처럼 불룩 솟았다. 귀는 아프리카코끼리의 절반 정도로 어깨를 덮지 못한다. 아시아코끼리도 대부분 수컷은 1-1.5m 되는 상아가 있지만 없는 종류도 있다.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코의 피부가 부드럽고, 코끝의 살덩어리는 한 개뿐이다.
일반적으로 아시아코끼리는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작으며, 머리가 가장 높은 지점이다. 등은 볼록하거나 평평하다. 귀는 작고 등쪽 가장자리가 옆으로 접혀 있다. 최대 20쌍의 갈비뼈와 34개의 꼬리뼈를 가지고 있다. 발에는 앞발에 각각 5개, 뒷발에 각각 4개의 손톱 모양 구조물이 있다.[8] 이마에는 아프리카코끼리의 평평한 앞면과 달리 두 개의 반구형 돌출부가 있다.[23] 코는 아프리카코끼리의 두 개와 달리 손가락 모양의 끝이 하나뿐이다.[8] 따라서 아시아코끼리는 끝으로 잡는 것보다 음식물을 감싸서 입으로 짜내는 데 더 의존한다. 아시아코끼리는 근육 조정이 더 잘되어 더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24]
암컷은 보통 상아가 없다. 만약 상아가 있다면—"작은 엄니"라고 부른다—거의 보이지 않으며 입을 벌렸을 때만 보인다.[25] 법랑질 판은 어금니에서 아시아코끼리가 더 많고 더 가깝게 위치해 있다.[26] 일부 수컷도 상아가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개체를 "막나(makhna)"라고 부르며 특히 스리랑카 코끼리 개체군에서 흔하다.[27] 빅터 브룩 경이 사살한 키 약 3.35m짜리 코끼리의 상아는 길이 약 2.44m, 둘레 거의 약 43.18cm, 무게 약 40.82kg였다. 그러나 이 상아의 무게는 길이 약 약 1.83m인 더 짧은 상아의 무게 약 45.36kg보다 덜하며, 무게가 약 68.04kg이 넘는 상아도 있다고 전해진다.[36]
피부색은 일반적으로 회색이며, 먼지 덮이고 뒹굴기 때문에 토양에 가려질 수 있다. 주름진 피부는 움직일 수 있으며 많은 신경 중추를 포함한다. 아프리카코끼리보다 매끄럽고 코, 귀 또는 목에 탈색될 수 있다. 몸의 표피와 진피는 평균 18mm 두께이며, 등의 피부는 30mm 두께로 물림, 충격 및 악천후로부터 보호한다. 주름은 열 발산을 위한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과도한 열보다 추위를 더 잘 견딘다. 피부 온도는 24°C 에서 32.9°C 범위이며, 체온은 평균 35.9°C이다.[8]
성체 수컷 코끼리는 어깨 높이가 평균 약 2.75m이며, 몸무게는 약 4ton이다. 암컷은 이보다 작아 어깨 높이가 약 2.4m이고 몸무게는 약 2.7ton이다.[28][29][30] 아시아코끼리의 경우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성적 이형성이 덜 두드러지는데, 수컷은 암컷보다 평균적으로 아시아코끼리는 15%, 아프리카코끼리는 23% 더 크다.[28]항목 내용 몸길이 5.5~6.5미터[145] 코 길이 1.5~2미터[148] 꼬리 길이 1.2~1.5미터[145][147] 키 2.5~3.2미터[147] 몸무게 최대 6,700킬로그램 (수컷 평균 5,400킬로그램, 암컷 평균 2,720킬로그램)[147] 등 둥글고 가장 높은 위치[146][147] 코 주름이 덜 돌출, 끝에 돌기가 위쪽에 하나만 있음[146][147] 귀 작음[147] 발굽 앞발 5개, 뒷발 4개[146][147] 뼈 갈비뼈 최대 20쌍, 꼬리뼈 최대 34개[145] 새끼 몸무게 출산 직후 50~150킬로그램[147] 암컷 상아 위턱의 상아가 입 밖으로 나오지 않음[146][147]
4. 생태
벵골호랑이, 표범, 승냥이 같은 포식자들이 있지만, 성체 수컷 아시아코끼리에게는 거의 접근하지 못한다.[1] 드물게 호랑이가 성체 코끼리를 사냥한 사례가 기록되기도 했다.[58][59]
암컷과 새끼는 무리를 지어 이동하고, 수컷은 사춘기에 어미로부터 떨어져 나가 혼자 지내거나 임시적인 "독신 무리"를 형성한다.[50] 암컷과 새끼 무리는 보통 세 마리의 성체(대부분 친척)와 그들의 새끼로 구성되지만,[51] 최대 15마리의 성체 암컷으로 이루어진 더 큰 무리가 관찰되기도 했다.[52]
초식성으로 하루에 최대 150kg의 식물을 섭취한다.[44] 최소 112종 이상의 식물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욱목 식물과 콩과 식물, 야자과, 사초과, 벼과 식물을 주로 먹는다.[46] 건조기에는 나무껍질을 주로 섭취한다.[47] 하루에 80~200리터의 물이 필요하며, 목욕에도 많은 물을 사용한다.[48][49]
아시아코끼리는 으르렁거림, 끽끽거림, 콧김 등 세 가지 소리를 내어 의사소통을 한다.[54]
4. 1. 번식
아시아코끼리의 번식은 페로몬이라는 신호 화합물의 생성과 인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호는 다양한 체액을 통해 전달되는데, 일반적으로 소변에서 방출되지만 수컷의 경우에는 측두샘에서 분비되는 특수 분비물에서도 발견된다.[61] 이러한 신호가 통합되고 인지되면, 수신자는 송신자의 생식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된다.[62]
수컷들은 발정기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 싸우는데, 암컷을 차지하기 위한 강력한 싸움은 매우 드물다. 수컷은 12~15세경에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10세에서 20세 사이의 수컷들은 "무스트"라고 알려진 연례 현상을 겪는데, 이 기간 동안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무스트가 아닌 기간보다 최대 100배 더 높아지고 공격적으로 변한다. 페로몬을 함유한 분비물은 눈의 외측 가장자리와 귀의 기저부 사이의 머리에 위치한 한 쌍의 측두샘에서 이 기간 동안 발생한다.[63]
암컷 코끼리의 호르몬 분비는 발정 주기에 의해 조절된다. 이 주기는 서로 3주 간격으로 관찰되는 황체형성호르몬의 급증에 의해 조절된다. 첫 번째 황체형성호르몬 급증은 난소에서 난자가 방출되는 것을 수반하지 않는다.[65] 암컷 코끼리는 성 페로몬을 이용하여 배란 신호를 보낸다. 그 주요 구성 요소인 (Z)-7-dodecen-1-yl acetate는 짝짓기 과정을 돕는 유인제로 사용된다.[66][67]
임신 기간은 18~22개월이며, 암컷은 한 마리의 새끼를 낳고, 드물게 쌍둥이를 낳는다. 새끼는 19개월이 되면 완전히 성숙하지만, 어미에게 젖을 먹일 수 있도록 성장하기 위해 자궁에 머문다. 출생 시 새끼의 무게는 약 100kg이며, 최대 3년 동안 젖을 먹는다. 암컷이 새끼를 낳으면 첫 번째 새끼가 이유될 때까지 보통 다시 번식하지 않으므로 4~5년의 출산 간격이 생긴다.[70][71] 암컷은 무리에 남지만, 성숙한 수컷은 쫓겨난다.[73]
암컷 아시아코끼리는 10~15세경에 성적으로 성숙하고 30세까지 성장하는 반면, 수컷은 25세 이상에 완전히 성숙하고 일생 동안 꾸준히 성장한다.[74][75] 아시아코끼리의 평균 수명은 약 60년이다.[8] 일부 개체는 80대 후반까지 생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6] 아시아코끼리의 세대 길이는 22년이다.[77]
전 세계적으로 인공 사육 환경에서의 출산율은 약 0.7% 정도라고 알려져 있다.[158] 그중 일본에서 번식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출생일 | 출생장소 | 성별 | 이름 | 부모 | 비고 |
---|---|---|---|---|---|
2004년 3월 2일 | 고베시 오지 동물원 | 암컷 | 모모 | 맥/즈제 | 2005년 4월 25일 사망 |
2007년 5월 3일 | 이치하라 코끼리의 나라 | 암컷 | 유메카 | 테리/풀리 | |
2007년 10월 21일 | 고베시 오지 동물원 | 수컷 | 오지 | 맥/즈제 | 2012년 4월 7일 사망 |
2011년 9월 17일 | 토요하시 종합 동식물공원 | 암컷 | 마라 | 다나/아샤 | 2017년 8월 13일 사망 |
2012년 10월 14일 | 후지 사파리파크 | 암컷 | 가무 | ||
2013년 1월 29일 | 도야마 동식물원 | 암컷 | 사쿠라 | 코사라/아누라 | |
2013년 5월 26일 | 규슈 자연 동물공원 아프리칸 사파리 | 수컷 | 초이 (사왓디 초이) | ||
2013년 9월 3일[159] | 이치하라 코끼리의 나라 | 암컷 | 리리카[160] | 테리/풀리 | |
2014년 6월 12일[161] | 이치하라 코끼리의 나라 | 수컷 | 유키 | 맥/즈제 | |
2015년 3월 4일 | 오키나와 어린이 나라 | 암컷 | 루비 | 류토/류카 | 2018년 1월 22일 사망 |
2016년 10월 27일[162] | 이치하라 코끼리의 나라 | 수컷 | 라쟈 겐키 | 다나/아샤 | 토요하시 종합 동식물공원 귀속. 2017년 12월 14일 사망 |
2018년 7월 31일[163] | 이치하라 코끼리의 나라 | 암컷 | 모모카[163] | 테리/풀리 | |
2019년 1월 15일[164] | 이치하라 코끼리의 나라 | 암컷 | 람[164] | 테리/마미 | |
2019년 10월 31일 | 우에노 동물원 | 수컷 | 아룬 | 아티/우타이 | |
2022년 6월 26일[165] | 도야마 동식물원 | 암컷 | 우라라[166] | 코사라/아누라 | |
2023년 8월 19일 | 삿포로시 마루야마 동물원 | 암컷 | 타오[167] | 시슈/펄 | 국내 최초 준간접 사육에서 출생 |
해외에서는 인공수정을 통한 번식에 성공한 사례가 있다. 1975년경부터 시도가 시작되어 1999년 11월 26일, 미국의 디커슨 파크 동물원에서 처음으로 출산에 성공했다. 신생아의 체중은 171kg으로, 그 당시까지의 신생아 중 가장 컸다.[158] 이후 미국, 오스트레일리아[168], 영국, 체코, 이스라엘, 독일, 태국[169]에서 성공 사례가 있으며, 현재 25건 이상의 실적이 있다.[158]
5. 인간과의 관계
아시아코끼리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널리 가축화되어 임업, 행사, 운송 등에 이용되어 왔다. 아프리카코끼리에 비해 사람에게 더 친근하며, 동물원이나 서커스뿐만 아니라 종교 의식에도 이용된다.[146] 일부 지역에서는 백색증 개체가 신성시되기도 한다.[147]
역사적으로 아시아코끼리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다. 약 4,000년 전부터 상아는 세공의 원료로 이용되었고,[147] 중국에서는 코끼리 뼈를 한약 재료로 사용했다.[147] 약 5,500년 전에는 인더스 문명에서 운송 수단으로 이용되었으며,[146] 약 3,000년 전부터는 전쟁 코끼리로도 활용되었다.[146][147]
그러나 야생 코끼리는 농지를 황폐화시키는 해충으로 여겨지기도 하며,[143] 인도, 스리랑카 등에서는 야생 코끼리의 공격으로 인한 사망 사고도 발생한다.[147] 특히 스리랑카에서는 2010년부터 2017년 사이에 매년 평균 240마리의 코끼리가 죽었고, 2019년에는 405마리가 죽었으며, 코끼리와의 충돌로 사망한 사람도 121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150]
오늘날 아시아코끼리는 서식지 감소, 훼손, 단편화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으며, 이는 인간과의 갈등을 심화시킨다. 또한, 상아, 고기, 가죽 등을 얻기 위한 밀렵도 심각한 문제이다.[1] 특히 동아시아에서 상아 수요가 급증하면서 밀렵이 성행하여 개체 수가 크게 감소했고,[103] 태국에서는 여전히 상아 암시장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103] 한약 재료 및 장식용 구슬 제작에 사용되는 코끼리 가죽[105] 역시 밀렵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일본에서는 코끼리과(象科) 단위로 특정 동물로 지정되어 있다.[151] 중국에서는 옛 갑골문자에 야생 코끼리를 사냥하거나 제례의 제물로 사용한 기록이 남아 있으며,[152][153][154] 「象」이라는 한자는 실제 코끼리의 모습을 본뜬 상형 문자이다.[155][156][157]
5. 1. 보전
아시아코끼리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 거래가 규제된다.[2] 아시아코끼리는 대표적인 깃대종으로서 서식지 보전, 환경 보호 인식 제고, 인도와 서구 모두에서 인기 있는 문화적 아이콘으로 활용되는 등 다양한 보전 목표 달성을 위한 촉매 역할을 한다.[110][111][90] 보전의 핵심 요소는 초목이 무성하고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을 통과하는 아시아코끼리의 이동 경로를 연결하는 것이다.[112]세계 코끼리의 날은 2012년부터 매년 8월 12일에 기념되고 있으며, 아시아코끼리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행사가 개최된다.[113] 미국 동물원과 보전 단체들은 8월을 아시아코끼리 인식 향상의 달로 지정했다.[114]
인도의 카르나타카주는 인도 전체 아시아코끼리 개체 수의 약 20%를 차지하는 등 가장 많은 아시아코끼리가 서식하는 곳이다. 카르나타카주의 코끼리 서식지는 약 38km2로 추정된다.[115] 2013년 연구에 따르면 약 1만 마리의 코끼리가 서부 가트 산맥에 서식하며, 주요 위협 요인은 밀렵과 서식지 파편화였다. 인간과의 갈등 증가도 중요한 문제로 언급되었다. 보전 계획은 야생 동물 통로를 조성하고, 수컷 코끼리 밀렵을 중단하며, 토지 지역을 보호하거나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16] 코끼리 프로젝트는 1992년 인도 정부의 환경·산림·기후변화부가 중앙 후원 계획(CSS)으로 시작되었으며, 인도코끼리와 서식지를 보호하고 코끼리 개체 수를 유지하기 위한 전용 코끼리 보호구역을 조성하기 위해 시작되었다.[117]
스리랑카의 코끼리 서식지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비해 5분의 2 수준으로 감소하여 인간과의 상호 작용이 훨씬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2003년 조사에서 현지 주민들은 농부들이 코끼리를 해충으로 여기는 등 아시아코끼리 보전에 대해 어느 정도 반대 의견을 표명했지만,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그러한 생각을 지지했다.[118]
중국에서는 아시아코끼리가 1급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운남성에는 11개의 국립 및 지역 자연 보호 구역이 있으며, 총 보호 면적은 약 510000ha이다. 2020년 운남성의 아시아코끼리 개체 수는 약 300마리로 추산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보호 지역 주변에서 인간과 야생 코끼리 간의 갈등이 발생함에 따라, 시쌍반나 자치주는 서식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먹이 공급 기지 조성과 바나나 및 대나무 식재 사업을 실시했다.[119]
태국에서는 2013년 기준으로 살라크프라 야생동물 보호구역과 탐탄롯 국립공원 등 보호 지역에 약 250~300마리의 코끼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0] 최근 몇 년 동안 이 국립공원은 침입과 과도한 개발로 인해 문제를 겪고 있다.[121] 2020년 4월 인도 국립야생동물위원회는 데힝 파트카이 국립공원에서 석탄 채굴을 허용할 것을 권고했다. 이 결정은 학생들과 환경 운동가들의 우려를 불러일으켰고, 이들은 프로젝트 중단을 위한 온라인 캠페인을 시작했다.[122]
5. 2. 문화 속 아시아코끼리
아시아코끼리는 태국과 라오스의 국가 동물이며,[129][130] 인도의 국가 유산 동물로 선포되었다.[131] 모헨조다로의 인더스 계곡에서 발굴된 아시아코끼리의 뼈는 인더스 문명 시대에 길들여져 일에 사용되었음을 나타낸다.[132]
아시아코끼리는 아대륙을 넘어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판차탄트라'' 우화와 불교 ''자타카'' 이야기에 두드러지게 등장한다. 힌두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신 가네샤의 머리는 코끼리 머리이며, 사찰 코끼리의 "축복"은 매우 귀하게 여겨진다. 코끼리는 축제 의상을 입히고 행렬에 자주 사용된다.[136]
아시아코끼리는 닐라칸타의 ''마탄가 릴라''(코끼리 스포츠)를 포함하여 여러 인도 원고와 논문에 묘사되어 있다.[136] ''하스티비드야르나바'' 원고는 인도 북동부 아삼 출신이다.[137] 미얀마, 태국, 스리랑카의 동물 및 행성 별자리에서 엄니가 있든 없든 아시아코끼리는 미얀마인의 네 번째와 다섯 번째 동물 별자리, 태국인의 네 번째 동물 별자리, 스리랑카인의 두 번째 동물 별자리이다.[138][139] 마찬가지로 코끼리는 중국 남부의 다이족의 다이 동물 별자리에서 열두 번째 동물 별자리이다.[140]
6. 사육
전 세계 동물원에서 아시아코끼리가 사육되고 있으며, 관광 산업에도 이용된다. 유럽 동물원에서 사육되는 코끼리의 평균 수명은 18.9년에 불과한데, 이는 서식 국가의 보호 개체군 수명(41.6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이다. 특히 아시아코끼리의 유아 사망률은 버마의 목재 야영지에서 관찰된 사망률의 2~3배가 넘으며, 동물원에서의 성체 생존율은 최근 몇 년 동안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123]
동물원 사육의 위험 요인 중 하나는 여러 기관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며, 어미로부터 일찍 분리되는 것은 추가적인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야생에서 수입되는 것이 아니라 동물원에서 태어나는 것도 위험 요인인데, 동물원에서 태어난 아시아코끼리의 낮은 성체 생존율은 태아기 또는 초기 유아기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생존율 저하의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및/또는 비만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123] 발 문제는 사육 코끼리에게서 흔히 관찰된다. 이는 운동 부족, 딱딱한 바닥에 오랫동안 서 있는 것, 그리고 배설물에 서 있는 것으로 인한 오염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문제 중 상당수는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학대는 심각한 장애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124]
북아메리카의 사육 아시아코끼리에 대한 인구 통계 분석에 따르면, 개체군이 자체적으로 유지되고 있지 않다. 첫해 사망률은 거의 30%이며, 주요 번식 연령 동안 번식력이 매우 낮다.[125] 1962년부터 2006년까지 북미 및 유럽 지역 스타드북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사육된 새끼 349마리 중 142마리가 조기에 사망했다. 이들은 출생 후 한 달 이내에 사망했으며, 주요 원인은 사산과 새끼의 어미 또는 전시 동료 중 한 마리에 의한 살아남기였다. 유럽에서의 사산 성비는 수컷이 과다한 경향을 보였다.[126]
어린 코끼리는 관광 산업에 이용하기 위해 미얀마에서 태국으로 불법적으로 반입되기도 한다. 새끼 코끼리는 주로 놀이공원에서 사용되며 관광객들을 위해 다양한 묘기를 선보이도록 훈련받는다.[103] 새끼 코끼리는 종종 '길들이기'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는 묶어두기, 감금, 굶주림, 구타, 고문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결과 3분의 2가 죽을 수 있다.[127] 조련사들은 훈련 크러시(training crush)라는 기술을 사용하는데, 이는 "수면 부족, 허기, 갈증을 이용하여 코끼리의 정신을 '꺾고' 주인에게 복종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게다가 조련사들은 코끼리의 귀와 발에 못을 박기도 한다.[128]
참조
[1]
IUCN
Elephas maximus
2022-01-15
[2]
웹사이트
Appendices
https://CITES.org/en[...]
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CITES)
2022-06-06
[3]
MSW3
Species Elephas maximus
[4]
서적
Caroli Linnæi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Impensis Direct. Laurentti Salvii
[5]
서적
Tableau elementaire de l'histoire naturelle des animaux
Baudouin
[6]
서적
Coup-d'oeil général sur les possessions néerlandaises dans l'Inde archipélagique
A. Arnz and Comp.
[7]
논문
A handlist of Malaysian mammals, a systematic list of the mammals of the Malay Peninsula, Sumatra, Borneo and Java, including the adjacent small islands
https://blsea.nus.ed[...]
[8]
논문
Elephas maximus
http://www.science.s[...]
[9]
논문
Phylogeography of the Asian elephant (Elephas maximus) based on mitochondrial DNA
[10]
서적
Biology, medicine, and surgery of elephants
Wiley-Blackwell
2020-06-04
[11]
웹사이트
Bornean Elephant: Species in World Land Trust reserves
https://www.worldlan[...]
2021-01-26
[12]
논문
Origin of the elephants Elephas maximus L. of Borneo
http://assets.panda.[...]
2011-03-13
[13]
논문
A preliminary study on the morphometrics of the Bornean Elephant
http://www.ums.edu.m[...]
[14]
논문
DNA Analysis Indicates That Asian Elephants Are Native to Borneo and Are Therefore a High Priority for Conservation
[15]
논문
DNA Analysis indicates that Asian Elephants are native to Borneo and are therefore a High Priority for conservation
[16]
논문
Genetic insight into an extinct population of Asian elephants (Elephas maximus) in the Near East
[17]
논문
Genomic DNA Sequences from Mastodon and Woolly Mammoth Reveal Deep Speciation of Forest and Savanna Elephants
2010-12-21
[18]
서적
Mammoths, Mastodonts, and Elephants: Biology, Behavior and the Fossil Recor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3-19
[19]
논문
A New Assemblage of Mid-Pliocene Proboscideans from the Woranso-Mille Area, Afar Region, Ethiopia: Taxonomic, Evolutionary, and Paleoecological Considerations
http://link.springer[...]
2023-08-12
[20]
논문
What Does the "Elephant-Equus" Event Mean Today? Reflections on Mammal Dispersal Events around the Pliocene-Pleistocene Boundary and the Flexible Ambiguity of Biochronology
2023-02-28
[21]
논문
New fossil remains of Elephas from the southern Levant: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Asian elephant
https://linkinghub.e[...]
2023-08-12
[22]
논문
'When elephants battle, the grass suffers.' Power, ivory and the Syrian elephant
2016-05-03
[23]
서적
A Natural History of Domesticated Mamm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Elephants: Majestic Creatures of the Wild
Checkmark Books
[25]
논문
The role of tusks, musth and body size in male–male competition among Asian elephants, Elephas maximus
https://www.scienced[...]
2024-03-17
[26]
논문
Qualitative Comparison of the Cranio-Dental Osteology of the Extant Elephants, Elephas Maximus (Asian Elephant) and Loxodonta africana (African Elephant)
https://anatomypubs.[...]
2024-05-21
[27]
웹사이트
Makhna
https://www.elephant[...]
2023-12-01
[28]
논문
Shoulder height, body mass and shape of proboscideans
[29]
논문
Growth in the Asian elephant
[30]
논문
Remarks on body growth and phenotypes in Asian elephant Elephas maximus
[31]
논문
On the height and age of an elephant
[32]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https://archive.org/[...]
Guinness Superlatives
[33]
논문
The wild elephants of the Royal Bardia National Park, Nepal
http://www.asesg.org[...]
[34]
웹사이트
Living Stegodont or Genetic Freak?
http://www.ncf.carle[...]
2024-12-04
[35]
웹사이트
World's Largest Asian Elephant May Be Dead
https://web.archive.[...]
[36]
서적
The Royal Natural History
https://archive.org/[...]
Frederick Warne and Co.
[37]
학술지
Status and conservation of the Asian elephant ''Elephas maximus'' in north-eastern India
[38]
서적
The Asian Elephant: Ecology and Managem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12-15
[39]
학술지
Analysing elephant habitat parameters using GIS, remote sensing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Peninsular Malaysia
http://www.pertanika[...]
2023-05-17
[40]
뉴스
India has 27,312 elephants, census shows
https://www.thehindu[...]
2017-08-16
[41]
학술지
Elephants on the Move: Implications for Human–Elephant Interaction
https://www.jstor.or[...]
2024-05-21
[42]
학술지
Current status of elephants in India
https://www.academia[...]
2024-03-29
[43]
학술지
Population status of Asian elephants ''Elephas maximus'' and key threats
[44]
학술지
Feeding Behaviour of Asian Elephants in the Northwestern Region of Sri Lanka
http://www.asesg.org[...]
2011-10-18
[45]
학술지
A brief review of the status, distribution and biology of wild Asian elephants Elephas maximus
https://zslpublicati[...]
2024-03-18
[46]
학술지
Ecology of the Asian Elephant in southern India. II. Feeding habits and crop raiding patterns
https://web.archive.[...]
[47]
학술지
Feeding ecology of two endangered sympatric megaherbivores: Asian elephant ''Elephas maximus'' and greater one-horned rhinoceros ''Rhinoceros unicornis'' in lowland Nepal
http://doc.rero.ch/r[...]
2023-01-03
[48]
학술지
Potential bio-indicators for assessment of mineral status in elephants
[49]
학술지
Conflicts between linear developments and Asian elephants in sub - Himalayan zone of Uttranchal
https://escholarship[...]
2024-03-18
[50]
학술지
Behavior and ecology of the Asiatic elephant in southeastern Ceylon
[51]
학술지
Molecular genetic and behavioral analysis of social organization in the Asian elephant (''Elephas maximus'')
[52]
학술지
A Comparison of Social Organization in Asian Elephants and African Savannah Elephants
[53]
학술지
The dynamics of social networks among female Asian elephants
[54]
서적
The Living Elephants: Evolutionary Ecology, Behavior, and Conserva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5]
학술지
Hearing in the elephant (''Elephas maximus'')
https://www.research[...]
2013-09-27
[56]
학술지
Estimation of tiger densities in India using photographic captures and recaptures
https://web.archive.[...]
2012-12-07
[57]
뉴스
Tiger kills mother, baby elephant
https://web.archive.[...]
[58]
웹사이트
Tiger kills elephant in Corbett Reserve
https://www.thehindu[...]
2011-01-29
[59]
웹사이트
Kaziranga elephant killed in tiger attack
https://timesofindia[...]
2014-10-22
[60]
학술지
Wild Asian elephants distinguish aggressive tiger and leopard growls according to perceived danger
https://web.archive.[...]
[61]
학술지
Evolution of chemical signals in the Asian elephant,Elephas maximus: behavioural and ecological influences
https://doi.org/10.1[...]
2022-11-27
[62]
학술지
Assessing chemical communication in elephants
https://link.springe[...]
Springer US
2022-11-27
[63]
학술지
Observation on musth in the domesticated Asiatic elephant (''Elephas maximus'')
[64]
학술지
Frontalin: a Chemical Message of Musth in Asian Elephants (elephas maximus)
https://academic.oup[...]
2022-11-27
[65]
학술지
Hormone Secretion in the Asian Elephant (Elephas maximus): Characterizationof Ovulatory and Anovulatory Luteinizing Hormone Surges
[66]
학술지
Purification, identification, concentration and bioactivity of (Z)-7-dodecen-1-yl acetate: sex pheromone of the female Asian elephant, ''Elephas maximus''
[67]
학술지
Insect pheromone in elephants
[68]
학술지
Insect Pheromones in Elephants
https://www.nature.c[...]
2022-11-27
[69]
학술지
The Chemical Ecology of Elephants: 21st Century Additions to Our Understanding and Future Outlooks
[70]
학술지
Is bigger better? The relationship between size and reproduction in female Asian elephants
http://dx.doi.org/10[...]
2024-05-21
[71]
서적
Megaherbivores: The Influence of Very Large Body Size on Ecolo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5-21
[72]
학술지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vomeronasal organ of the newborn Asian elephant (Elephas maximus)
2002-07-01
[73]
웹사이트
Elephant Social Organisation
http://www.ccrsl.org[...]
2015-08-29
[74]
학술지
Size-age class scale for Asian elephants
[75]
학술지
Distinguishing between determinate and indeterminate growth in a long-lived mammal
[76]
뉴스
'Oldest known elephant in captivity' dies at 88 in India
https://www.bbc.com/[...]
BBC News
2019-02-07
[77]
학술지
https://natureconser[...]
2020-11-20
[78]
학술지
Cognitive behaviour in Asian elephants: use and modification of branches for fly switching
https://www.scienced[...]
2024-03-18
[79]
학술지
Multiple assessments of personality and problem-solving performance in captive Asian elephants (Elephas maximus) and African savanna elephants (Loxodonta africana).
2021-08-01
[80]
학술지
Behavioral response of satellite-collared elephants to the tsunami in southern Sri Lanka
2008
[81]
학술지
Elephant Bill
http://dx.doi.org/10[...]
2024-05-15
[82]
웹사이트
Elephants see themselves in the mirror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17-08-24
[83]
서적
Elephants
https://archive.org/[...]
World Life Library
[84]
서적
Thirteen years among the wild beasts of India
W.H. Allen and Co.
[85]
학술지
Do Asian elephants apply causal reasoning to tool use tasks?
2006
[86]
학술지
Therapeutic uses of animal biles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 ethnopharmacological, biophysical chemical and medicinal review
2014-08-07
[87]
학술지
Ethnozoological assessment of animals used by Mon traditional medicine vendors at Kyaiktiyo, Myanmar
https://www.scienced[...]
2024-03-18
[88]
학술지
A Review of Human-Elephant Ecological Relations in the Malay Peninsula: Adaptations for Coexistence
2022
[89]
학술지
There will be conflict – agricultural landscapes are prime, rather than marginal, habitats for Asian elephants
https://zslpublicati[...]
2024-03-18
[90]
학술지
Whose issue? Representations of human-elephant conflict in Indian and international media
https://docs.google.[...]
2012-01-29
[91]
학술지
Human–Elephant Conflicts in Northeast India
http://www.indiaenvi[...]
2013-09-27
[92]
학술지
Elephants in Sri Lanka: past present and future
http://www.ccrsl.org[...]
2012-12-08
[93]
학술지
Impact of border fence along India – Bangladesh border on elephant movement
http://www.asesg.org[...]
2011-10-18
[94]
간행물
Gajah: Securing the future for elephants in India
http://www.moef.nic.[...]
Ministry of Environment and Forests, New Delhi.
[95]
학술지
Human–elephant conflicts in Northeast India
[96]
서적
The impact of human–wildlife conflict on natural system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5-19
[97]
학술지
Elephant conservation in India – an overview
http://www.asesg.org[...]
2012-01-30
[98]
학술지
Human–wildlife conflicts and management options in Bangladesh, with special reference to Asian elephants (Elephas maximus)
[99]
학술지
An assessment of the human-elephant conflict in Sri Lanka
2010-10-12
[100]
학술지
Determinants of human–elephant conflict in a land-use mosaic
[101]
학술지
Evolution of chemical signals in the Asian elephant, Elephas maximus: behavioural and ecological influences
[102]
간행물
Elephant raiders and rogues
[103]
간행물
The elephant and ivory trade in Thailand.
http://www.traffic.o[...]
TRAFFIC Southeast Asia, Petaling Jaya, Selangor, Malaysia.
[104]
학술지
The status of ivory trade in Thailand and Vietnam
http://www.traffic.o[...]
2012-12-08
[105]
보고서
Skinned; The growing appetite for Asian elephants
http://elephant-fami[...]
Elephant Family
2018-04-26
[106]
논문
Detection and evaluation of novel herpesviruses in routine and pathological samples from Asian and African elephants: Identification of two new probosciviruses (EEHV5 and EEHV6) and two new gammaherpesviruses (EGHV3B and EGHV5)
[107]
논문
Endotheliotropic elephant herpes virus (EEHV) infection. The first PCR-confirmed fatal case in Asia.
[108]
논문
Elephant Endotheliotropic Herpesvirus Hemorrhagic Disease in Asian Elephant Calves in Logging Camps, Myanmar
2020-01-00
[109]
논문
Sharing schistosomes: the elephant schistosome Bivitellobilharzia nairi also infects the greater one-horned rhinoceros (Rhinoceros unicornis) in Chitwan National Park, Nepal
https://www.research[...]
2018-01-06
[110]
논문
Identifying appropriate flagship species: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local contexts
[111]
논문
Mutiny or Clear Sailing? Examining the Role of the Asian Elephant as a Flagship Species
https://docs.google.[...]
2012-05-06
[112]
논문
Identifying important connectivity areas for the wide-ranging Asian elephant across conservation landscapes of Northeast India
2021-00-00
[113]
뉴스
World Elephant Day 2020
https://www.theatlan[...]
2020-09-06
[114]
뉴스
OKC Zoo to host 2nd annual Asian Elephant Awareness Month
https://city-sentine[...]
2020-09-06
[115]
논문
Distribution, relative abundance, and conservation status of Asian elephants in Karnataka, southern India
https://doi.org/10.1[...]
2024-05-20
[116]
논문
An overview of Asian Elephants in the Western Ghats, southern India: implications for the conservation of Western Ghats ecology
http://dx.doi.org/10[...]
2024-05-20
[117]
웹사이트
Project Elephant
https://moef.gov.in/[...]
Government of India
2024-04-01
[118]
논문
Comparison of rural and urban attitudes to the conservation of Asian elephants in Sri Lanka: empirical evidence
https://www.scienced[...]
2024-05-20
[119]
뉴스
Solving a dilemma caused by elephants
http://www.ecns.cn/n[...]
2020-09-06
[120]
뉴스
It's risky, but elephants are feeling frisky
https://www.bangkokp[...]
2020-09-06
[121]
보고서
Proposed Eastern Extension to Salakpra Wildlife Sanctuary
https://www.ecn-thai[...]
2020-09-06
[122]
뉴스
Assam students, environment activists launch online campaign to stop coal mining in elephant reserve
https://www.hindusta[...]
2020-09-06
[123]
논문
Compromised Survivorship in Zoo Elephants
https://dspace.stir.[...]
2012-12-09
[124]
서적
The Elephant's Foot
2024-05-19
[125]
논문
Asian elephants are not self-sustaining in North America
[126]
논문
Skewed birth sex ratio and premature mortality in elephants
http://www.elephants[...]
2012-12-09
[127]
뉴스
Tourism driving illegal elephant trade in Burma and Thailand – video
https://www.theguard[...]
2016-12-11
[128]
웹사이트
Activists Denounce Thailand's Elephant "Crushing" Ritual
https://web.archive.[...]
2014-10-01
[129]
논문
The Study of Thai Elephant Culture Based on the "Elephant Metaphors" in Thai Idioms
2019-07-03
[130]
웹사이트
Thailand and Laos elephant
https://southeastasi[...]
2023-12-01
[131]
논문
Iconic Fauna of Heritage Significance in India
http://insa.nic.in/w[...]
2024-05-21
[132]
서적
Giants on Our Hand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the Domesticated Asian Elephant, Bangkok, Thailand, 5 to 10 February 2001
https://www.fao.org/[...]
FAO Regional Office for Asia and the Pacific
2024-05-21
[133]
서적
India's Wildlife History
Permanent Black
2018-03-19
[134]
논문
Handler familiarity helps to improve working performance during novel situations in semi-captive Asian elephants
2021-07-29
[135]
뉴스
War elephants still exist. But only in one forbidding place
https://www.pri.org/[...]
2017-02-27
[136]
서적
The Elephant-lore of the Hindus: The Elephant-sport (Matanga-lila) of Nilakanth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cations
[137]
서적
Empire's Garden: Assam and the Making of India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2024-05-15
[138]
서적
The History and Doctrine of Budhism: Popularly Illustrated: with Notices of the Kappooism, Or Demon Worship, and of the Bali, Or Planetary Incantations, of Ceylon
https://archive.org/[...]
R. Ackermann
[139]
논문
Sinhalese buddhism in regent anthropological writing: Some implications
http://www.tandfonli[...]
2024-05-15
[140]
웹사이트
Chinese Zodiac
https://www.warriort[...]
2017-06-12
[141]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26 November 2019)
https://www.cites.or[...]
2020-04-10
[142]
웹사이트
Elephas maximus
https://www.speciesp[...]
UNEP-WCMC
2020-04-09
[143]
논문
Elephas maximus
https://doi.org/10.2[...]
IUCN
2008
[144]
서적
Order Proboscide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45]
논문
Elephas maximus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146]
서적
ゾウ
平凡社
[147]
서적
アジアゾウ(インドゾウ)
講談社
[148]
서적
動物園を100倍楽しむ!飼育員が教えるどうぶつのディープな話
緑書房
2023-07-10
[149]
서적
Taxonomy, Classification, and Evolution of Elephants
Blackwell Publishing
[150]
웹사이트
ゾウと人間の衝突減少、新型コロナの都市封鎖で スリランカ
https://www.afpbb.co[...]
AFPBB
2020-08-13
[151]
웹사이트
特定動物リスト (動物の愛護と適切な管理)
https://www.env.go.j[...]
2020-04-10
[152]
서적
甲骨学辞典
上海人民出版社
[153]
논문
殷墟甲骨語詞彙釈
河南大学
[154]
서적
甲骨文所見動物研究
上海古籍出版社
[155]
서적
説文新証
芸文印書館
[156]
서적
《文源》評注
中国社会科学出版社
[157]
서적
古漢字通解500例
中華書局
[158]
서적
ゾウ
CCRE
[159]
웹사이트
プーリーの赤ちゃん誕生しました☆
http://www.zounokuni[...]
市原ぞうの国
2019-02-01
[160]
웹사이트
お名前発表会
http://www.zounokuni[...]
市原ぞうの国
2019-02-01
[161]
웹사이트
出産☆
http://www.zounokuni[...]
市原ぞうの国
2019-02-01
[162]
웹사이트
アジアゾウ「アーシャー」が出産しました
https://www.nonhoi.j[...]
豊橋総合動植物公園
2019-02-01
[163]
웹사이트
もも夏
http://www.zounokuni[...]
[164]
웹사이트
ら夢
http://www.zounokuni[...]
[165]
웹사이트
元気なアジアゾウの赤ちゃんが生まれました
https://www.higashiy[...]
東山動植物園
2022-10-14
[166]
웹사이트
アジアゾウの赤ちゃんの命名式を開催しました
https://www.higashiy[...]
東山動植物園
2022-10-14
[167]
웹사이트
アジアゾウの仔の愛称が「タオ」に決まりました!
https://www.city.sap[...]
札幌市円山動物園
2023-10-21
[168]
뉴스
AFPBB News 国際ニュース:AFPBB News
https://www.afpbb.co[...]
2019-02-01
[169]
뉴스
人間と象が織りなす世界
http://www.peoplechi[...]
2019-02-01
[170]
논문
Elephas maximus
https://doi.org/10.2[...]
IUCN
[171]
웹사이트
Elephas maximus Linnaeus, 1758 아시아코끼리
[172]
서적
The Living Elephants: Evolutionary Ecology, Behavior, and Conserv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3]
서적
Mammoths, Mastodonts, and Elephants: Biology, Behavior and the Fossil Recor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4]
서적
The Asian Elephant: Ecology and Managem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5]
웹사이트
Elephas maximus
https://archive.org/[...]
[176]
서적
Tableau élémentaire de l'histoire naturelle des animaux
https://archive.org/[...]
Baudouin
[177]
서적
Coup-d'oeil général sur les possessions néerlandaises dans l'Inde archipélagique. Tome second
https://archive.org/[...]
A. Arnz and Comp.
[178]
간행물
A handlist of Malaysian mammals
http://rmbr.nus.edu.[...]
[179]
저널
Elephas maximus
http://www.science.s[...]
2018-08-14
[180]
저널
DNA Analysis Indicates That Asian Elephants Are Native to Borneo and Are Therefore a High Priority for Conservation
http://biology.plosj[...]
[181]
서적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The Johns Hopkins Univ. Press
[182]
저널
Shoulder height, body mass and shape of proboscideans
http://www.bioone.or[...]
[183]
저널
Growth in the Asian elephant
[184]
저널
Remarks on body growth and phenotypes in Asian elephant Elephas maximus
[185]
저널
On the height and age of an elephant
[186]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