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라이언 코빌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라이언 코빌카는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의 구조와 활동에 대한 연구로 유명한 미국의 생화학자이다. 그는 미네소타 대학교 덜루스 캠퍼스에서 학사 학위를, 예일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코빌카는 특히 β₂-아드레날린 수용체의 분자 구조를 규명한 연구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 연구를 통해 GPCR이 약물 치료의 중요한 표적임을 밝혀냈다. 그는 이 업적으로 2012년 로버트 레프코위츠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1994년 미국 약리학 및 실험 치료학회의 존 J. 에이벨 약리학상, 2017년 미국 업적 아카데미의 골든 플레이트 상을 수상했다. 현재 중국 홍콩 중문대학교 선전캠퍼스에 코빌카 혁신 신약 개발 연구소를 설립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듀크 대학교 - 프레더릭 브룩스
    IBM 시스템/360 개발을 이끌고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의 고전 《맨먼스 미신》을 저술한 미국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이자 컴퓨터 과학자인 프레더릭 브룩스는 브룩스의 법칙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며 튜링상 수상 및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채플힐 컴퓨터 과학과 설립 등의 업적을 남겼다.
  • 듀크 대학교 - 월레 소잉카
    나이지리아 출신의 요루바족 작가 월레 소잉카는 극작가, 시인, 소설가, 에세이스트로서 아프리카의 정치, 문화, 사회 문제를 비판하며 저항했고, 198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최초의 아프리카인이다.
  • 결정학자 - 제니퍼 다우드나
    제니퍼 다우드나는 1964년생 미국의 생화학자로, CRISPR-Cas9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에 기여하여 202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윤리적 문제 논의와 기술 상용화에도 기여한다.
  • 결정학자 - 윌리엄 헨리 브래그
    윌리엄 헨리 브래그는 X선 분광기를 발명하고 X선 결정학을 창시하여 191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과학 발전과 교육에 기여한 영국의 물리학자이다.
  • 미국의 생리학자 - 찰스 브렌턴 허긴스
    찰스 브렌턴 허긴스는 캐나다 출신의 생화학자이자 외과의사로, 호르몬 요법을 통해 전립선암과 유방암 치료에 기여한 공로로 196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시카고 대학교에서 암 치료 분야에 획기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생리학자 - 허버트 스펜서 개서
    허버트 스펜서 개서는 인체 신경 세포 작용 연구로 194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생리학자로, 여러 대학에서 교수와 록펠러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쳤다.
브라이언 코빌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24년 스탠퍼드에서 브라이언 코빌카
2024년 스탠퍼드에서 브라이언 코빌카
출생 이름브라이언 켄트 코빌카
출생일1955년 5월 30일
출생지미네소타주리틀 폴스
국적미국
분야결정학
근무지스탠퍼드 대학교
듀크 대학교
모교미네소타 대학교 덜루스 (BS)
예일 대학교 (MD)
학문 지도교수로버트 레프코비츠
영향가토 히데아키
수상
수상노벨 화학상 (2012년)
노벨상 수상 이유G 단백질 연결 수용체 연구

2. 생애 초기

브라이언 코빌카는 미네소타주 리틀폴스에서 태어나 가톨릭계 세인트 메리스 초등학교를 다녔다.[2] 이후 리틀폴스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미네소타 대학교 덜루스 캠퍼스에서 생물학화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예일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우등(cum laude)으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3]

2. 1. 가족 배경

코빌카는 미네소타주 중부의 리틀폴스 출신이다. 그의 할아버지 펠릭스 J. 코빌카(Felix J. Kobilka, 1893~1991)와 아버지 프랭클린 A. 코빌카(Franklyn A. Kobilka, 1921~2004)는 모두 리틀폴스 출신의 제빵사였다.[20][21][22] 할머니 이자벨 수잔 코빌카(Isabelle Susan Kobilka, née Medved, 1891~1980)는 1888년부터 리틀폴스에서 역사적인 키웰 양조장을 소유했던 프로이센(Prussia) 이민자 출신 메드베드(Medved)와 키웰(Kiewel) 가문 출신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베티 L. 코빌카(Betty L. Kobilka, née Faust, 1930년생)이다.

3. 경력 및 연구

코빌카는 미네소타 대학교 덜루스 캠퍼스에서 생물학과 화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예일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cum laude)를 받았다.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반스-유대인 병원에서 내과 레지던트 과정을 마친 후, 듀크 대학교에서 로버트 레프코위츠 박사의 지도하에 박사후 연구원으로 β₂-아드레날린 수용체 복제 연구를 시작했다. 1987년부터 2003년까지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HHMI) 연구원이었다.[4] 1989년 스탠퍼드 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연구를 이어갔다.[3]

3. 1.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 연구

2012년 스톡홀름에서의 코빌카


코빌카는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의 구조와 활동에 대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 그의 연구실에서 β₂-아드레날린 수용체의 분자 구조를 규명하였다.[5][6][7][8] 이 연구는 GPCR이 약물 치료의 중요한 표적이지만 X선 결정학으로 연구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다른 과학자들에게 매우 많이 인용되었다.[9] 이전에는 로돕신만이 고해상도 구조가 밝혀진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였다. β₂-아드레날린 수용체 구조 규명 이후 다른 여러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의 분자 구조도 곧 밝혀졌다.[10]

코빌카는 유전자 조작을 통해 β₂-아드레날린 수용체와 다른 단백질의 키메라를 만들어 β₂-아드레날린 수용체를 결정화하여 상세한 구조를 조사하는 데 성공했다.[34]

3. 2. 주요 업적 및 수상

코빌카는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의 구조와 활동에 대한 연구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 그의 연구실에서 β₂-아드레날린 수용체의 분자 구조를 규명하였다.[5][6][7][8] 이 연구는 GPCR이 약물 치료의 중요한 표적이지만 X선 결정학으로 연구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다른 과학자들에게 매우 많이 인용되었다.[9]

연도내용
1994년미국 약리학 및 실험 치료학회 존 J. 에이벨 약리학상 수상[11]
2004년국립 신경 질환 뇌졸중 연구소 자비츠 신경과학 연구자상 수상[13][14]
2007년Science지 선정 "올해의 획기적인 연구" 준우승[12]
2012년로버트 레프코위츠와 함께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15][16]
2017년미국 업적 아카데미 골든 플레이트 상 수상[17]


3. 3. 코빌카 혁신 신약 개발 연구소

선전시의 제13차 5개년 계획의 신흥 기술 연구 자금 지원 및 "노벨상 수상자 연구소" 개설의 일환으로,[18] 코빌카는 2017년 중국 남부의 홍콩 중문대학교 선전캠퍼스에 코빌카 혁신 신약 개발 연구소를 설립하였다.[19]

4. 개인 생활

코빌카는 미네소타 대학교 덜루스 캠퍼스에서 만난 말레이시아계 중국인 아내 통 선 티안과의 사이에 두 자녀를 두고 있다.[23][20][24] 자녀들의 이름은 제이슨과 메건 코빌카이다.

5. 주요 논문


  • Bokoch, Michael P.; Zou, Yaozhong; Rasmussen, Søren G.F.; Kobilka, Brian K.; et.al. (2010). “리간드 특이적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의 세포외 표면 조절”. 《네이처》 463 (1): 108-112. doi:10.1038/nature08650.
  • Rasmussen, Søren G.F.; DeVree, Brian T.; Zou, Yaozhong; Kobilka, Tong Sun; Kobilka, Brian K.; et.al. (2011). “β2 아드레날린성 수용체-Gs 단백질 복합체의 결정 구조”. 《네이처》 477 (9): 549-555. doi:10.1038/nature10361.
  • Haga, Kazuko; Kruse, Andrew C.; Asada, Hidetsugu; Kobilka, Brian K.; et.al. (2012). “길항제와 결합된 인간 M2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구조”. 《네이처》 482 (2): 547-551. doi:10.1038/nature10753.
  • Manglik, Aashish; Kruse, Andrew C.; Kobilka, Tong Sun; Kobilka, Brian K.; et.al. (2012). “모르피난 길항제와 결합된 μ-오피오이드 수용체의 결정 구조”. 《네이처》 485 (7398): 321-326. doi:10.1038/nature10954.

참조

[1] 웹사이트 BRIAN K. KOBILKA, MD. https://archive.toda[...] Tsinghu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013-01-16
[2] 뉴스 Catholic scientist at Stanford shares Nobel Prize for work in chemistry https://archive.toda[...] Catholic News Service 2013-01-19
[3] 논문 The state of GPCR research in 2004 :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http://www.nature.co[...] Nature 2013-01-19
[4] 웹사이트 Brian K. Kobilka, M.D. https://web.archive.[...] HHMI 2013-01-19
[5] 웹사이트 Cell Insights Could Bring Better Drugs https://web.archive.[...] Forbes 2013-01-23
[6] 논문 Crystal structure of the human β2-adrenergic G-protein-coupled receptor
[7] 논문 High Resolution Crystal Structure of an Engineered Human β2-Adrenergic G protein-Coupled Receptor
[8] 논문 GPCR engineering yields high-resolution structural insights into β2-adrenergic receptor function
[9] 웹사이트 Interview with Brian Kobilka https://web.archive.[...] 2008-10-16
[10] 논문 Discovery of New GPCR Biology: One Receptor Structure at a Time
[11] 웹사이트 John J. Abel Award http://www.aspet.org[...] ASPET 2013-01-24
[12] 웹사이트 Kobilka's work recognized in magazine award http://news-service.[...] Stanford University 2013-01-24
[13] 웹사이트 Javits Neuroscience Investigator Award Recognizes Eight Exemplary Scientists https://web.archive.[...]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NINDS) 2013-01-24
[14] 웹사이트 The Structure of an Important Drug Target Made Crystal Clear https://web.archive.[...]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NINDS) 2013-01-24
[15] 뉴스 U.S. Scientists Win Chemistry Nobel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Online 2012-10-10
[16] 뉴스 Americans Robert Lefkowitz and Brian Kobilka win 2012 Nobel Prize in chemistry http://www.nydailyne[...] 2012-10-11
[17]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18] 웹사이트 Shenzhen Has 7 Nobel Prize Winners' Labs, 3 More Planned http://www.thatsmags[...] 2021-03-15
[19] 웹사이트 KOBILKA INSTITUTE OF INNOVATIVE DRUG DISCOVERY {{!}} CUHK-Shenzhen https://lhs.cuhk.edu[...] 2021-03-15
[20] 웹사이트 Franklyn A. Kobilka, 83 https://archive.toda[...] ECM Publishers, Inc 2013-01-16
[21] 웹사이트 Little Falls bakery helps deliver a sweet reward: Nobel Prize http://www.startribu[...] StarTribune 2013-01-16
[22] 웹사이트 Social Security Death Index https://web.archive.[...] 2012-10-10
[23] 웹사이트 zh:大馬華人女婿獲諾獎‧化學獎得主科比爾卡會煮豉油雞 https://web.archive.[...] 星洲日報 2013-01-16
[24] 논문 Cell signalling: It's all about the structure 2011-08-24
[25]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12 - Press Release http://www.nobelpriz[...] The Official Web Site of the Nobel Prize 2012-10-10
[26] 웹사이트 BRIAN K. KOBILKA, MD. http://www.med.tsing[...] 清華大学医学院 2013-01-16
[27] 뉴스 Catholic scientist at Stanford shares Nobel Prize for work in chemistry http://www.catholicn[...] Catholic News Service 2013-01-19
[28] 논문 The state of GPCR research in 2004 :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http://www.nature.co[...] Nature 2013-01-19
[29] 웹사이트 Brian K. Kobilka, M.D. http://www.hhmi.com/[...] Howard Hughes Medical Institute 2013-01-19
[30] 웹사이트 Cell Insights Could Bring Better Drugs http://abcnews.go.co[...] Forbes 2013-01-23
[31] 논문 Crystal structure of the human β2-adrenergic G-protein-coupled receptor
[32] 논문 High Resolution Crystal Structure of an Engineered Human β2-Adrenergic G protein-Coupled Receptor
[33] 논문 GPCR engineering yields high-resolution structural insights into β2-adrenergic receptor function
[34] 웹사이트 ノーベル化学賞 細胞センサーとなるタンパク質 機能と構造を解明 http://www.nikkei-sc[...] 日経サイエンス 2013-01-19
[35] 논문 Discovery of New GPCR Biology: One Receptor Structure at a Time
[36] 웹사이트 John J. Abel Award http://www.aspet.org[...] ASPET 2013-01-24
[37] 웹사이트 Kobilka's work recognized in magazine award http://news-service.[...] Stanford University 2013-01-24
[38] 웹사이트 The Structure of an Important Drug Target Made Crystal Clear http://www.ninds.nih[...]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NINDS) 2007-12-05
[39] 웹사이트 Javits Neuroscience Investigator Award Recognizes Eight Exemplary Scientists http://www.ninds.nih[...]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NINDS) 2004-11-10
[40] 웹사이트 U.S. Scientists Win Chemistry Nobel http://online.wsj.co[...] The Wall Street Journal Online 2012-10-10
[41] 뉴스 Americans Robert Lefkowitz and Brian Kobilka win 2012 Nobel Prize in chemistry http://www.nydailyne[...] 2012-10-10
[42] 웹사이트 Franklyn A. Kobilka, 83 http://archives.ecmp[...] ECM Publishers, Inc 2004-03-16
[43] 웹사이트 Little Falls bakery helps deliver a sweet reward: Nobel Prize http://www.startribu[...] StarTribune 2012-10-11
[44] 웹사이트 大馬華人女婿獲諾獎‧化學獎得主科比爾卡會煮豉油雞 http://www.sinchew.c[...] 星洲日報 2012-10-11
[45] 논문 Cell signalling: It's all about the structure 2011-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