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니퍼 다우드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니퍼 다우드나는 1964년 워싱턴 D.C.에서 태어난 미국의 생화학자로, 2020년 유전자 편집 기술인 CRISPR-Cas9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하와이에서 성장하며 과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고, 포모나 칼리지에서 화학 학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교에서 생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콜로라도 대학교에서 박사후 과정을 거친 후 예일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리보자임 연구 및 CRISPR 기술 개발에 매진했다. CRISPR 기술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논의를 주도하고 있으며, 관련 기업을 설립하여 기술 상용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모나 칼리지 동문 - 제임스 터렐
    제임스 터렐은 빛과 공간을 재료로 독자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한 미국의 예술가로, 빛의 투영과 스카이스페이스 연작을 통해 빛과 지각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포모나 칼리지 동문 - 조엘 맥크리어
    조엘 맥크리어는 193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다양한 장르, 특히 서부 영화에서 활약한 미국의 배우로, 《해외 특파원》, 《설리반의 여행》, 《팜 비치 스토리》 등의 작품으로 인정받았으며, 이후 서부 영화에 집중하여 백만장자 목장주로서 야외 활동을 즐기며 영화와 라디오 부문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헌액되었다.
  • 21세기 화학자 - 네기시 에이이치
    네기시 에이이치는 유기 아연 화합물을 이용한 C-C 결합 생성 방법인 네기시 반응을 개발하여 201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일본의 화학자이다.
  • 21세기 화학자 - 스즈키 아키라 (화학자)
    스즈키 아키라는 홋카이도 대학 출신의 일본 화학자로, 팔라듐 촉매를 이용한 ‘스즈키-미야우라 반응’을 개발하여 유기합성 화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201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교수 - 엘리자베스 블랙번
    엘리자베스 블랙번은 텔로미어와 텔로머라아제의 기능, 노화 및 암과의 관계를 밝혀낸 분자생물학자로, 캐롤 W. 그라이더, 잭 쇼스택과 함께 텔로머라아제 발견 공로로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였으며, 텔로미어 연구를 통해 세포 노화와 암 연구 발전에 기여하고 생명윤리 문제에도 참여하고 있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교수 - 데이비드 줄리어스
    데이비드 줄리어스는 캡사이신 감지 수용체 TRPV1을 클로닝하고 TRP 채널 특성을 규명하여 온도 및 화학 물질 감지 연구에 기여했으며, 2021년 아르뎀 파타푸티안과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제니퍼 다우드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제니퍼 다우드나
출생 이름제니퍼 앤 다우드나
로마자 표기Jennifer Anne Doudna
출생일1964년 2월 19일
출생지워싱턴 D.C.
배우자제이미 케이트(2000년 결혼)
학력
교육포모나 칼리지 (BA)
하버드 대학교 (MA, PhD)
박사 학위 논문 제목RNA 복제효소 설계를 향하여
박사 학위 논문 URLhttp://id.lib.harvard.edu/aleph/002166929/catalog
박사 학위 논문 연도1989년
박사 지도 교수잭 쇼스택
학문 지도 교수토마스 체흐
박사 지도 학생레이첼 호로위츠
제니스 첸
레이 스탠리 치
연구 및 경력
알려진 업적최초의 X선 기반 촉매 RNA 구조
RNA 간섭
크리스퍼
연구 분야화학
크리스퍼
RNA 생물학
유전자 편집
근무 기관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예일 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글래드스톤 연구소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웹사이트Doudna 연구실 웹사이트
휴즈 연구소 웹사이트
수상 내역
수상앨런 T. 워터맨 상(2000년)
제이콥 헤스켈 가바이 상(2014년)
생명과학 분야의 획기적인 상(2015년)
프린세스 오브 아스투리아스 상(2015년)
탕 상 생명약학 분야 (2016년)
일본 상(2017년)
나노과학 분야의 카블리 상(2018년)
울프 의학상(2020년)
노벨 화학상(2020년)
전체 목록
명예 칭호영국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
일본어 정보
일본어 이름ジェニファー・ダウドナ
일본어 로마자 표기Jenifā Daudona
한국어 정보
주요 업적촉매 RNA의 x선 기반의 구조, RNA 간섭, 크리스퍼(CRISPR)
수상올버니 의료센터 상(2017년)
노벨 화학상(2020년)

2. 생애 및 학력

1964년 2월 19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태어났으며,[2][15] 하와이주 힐로에서 성장했다.[7][37] 1985년 포모나 칼리지에서 생화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고,[22][23] 1989년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잭 W. 쇼스타크의 지도로 생화학 및 분자 약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5][24][9] 이후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에서 토마스 체크 연구실의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109]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영어)는 1964년 2월 19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도로시 제인 (윌리엄스)(Dorothy Jane (Williams)영어)와 마틴 커크 다우드나(Martin Kirk Doudna영어)의 딸로 태어났다.[2][15] 아버지는 미시간 대학교에서 영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어머니는 교육학 석사 학위를 소지하고 있었다.[7][37] 다우드나가 일곱 살 때, 아버지가 하와이 대학교 힐로에서 미국 문학 강의직을 맡게 되면서 가족은 하와이주 힐로로 이주했다.[7][37] 다우드나의 어머니는 하와이 대학교에서 아시아 역사학 석사 학위를 추가로 취득했고 지역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역사를 가르쳤다.[7][37]

힐로에서 자란 다우드나는 섬의 자연 환경과 동식물에 매료되었고, 이는 생명의 근본적인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려는 호기심과 열망을 키웠다.[7][37] 부모님이 집에서 지적 탐구를 장려하는 분위기였고, 특히 아버지는 과학 책 읽기를 즐겨 집에는 과학 대중서가 많았다.[7][37] 초등학교 6학년 때 아버지에게 제임스 왓슨이 DNA 구조 발견에 관해 쓴 책인 『이중나선』을 선물 받고 큰 영감을 받았다.[16][108] 학교에서도 과학과 수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7][16] 당시 "여성은 과학 분야에 진출하지 않는다"는 사회적 편견에도 불구하고 과학자가 되겠다는 확고한 결심을 했다.[17]

힐로 고등학교 재학 중에는 10학년 때 화학 교사였던 장넷 웡(Jeanette Wong영어)의 영향을 받아 과학에 대한 관심이 더욱 깊어졌다.[16][18][19][20] 암세포에 대한 방문 강연 역시 과학자의 길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16] 고등학교 시절 여름방학에는 하와이 대학교 힐로의 진균학자 돈 헤메스(Don Hemmes영어) 연구실에서 연구 경험을 쌓았고, 1981년 힐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21]

캘리포니아주 클레어몬트에 있는 포모나 칼리지에 진학하여 생화학을 전공했다.[7][37] 대학 1학년 때 일반화학 수업을 들으면서 과학 분야에서의 자신의 능력에 회의를 느껴 2학년 때는 프랑스어로 전공을 바꾸는 것을 고려하기도 했다.[22][7][109] 그러나 프랑스어 교수의 권유로 다시 과학 분야에 매진하게 되었다.[7][22][109] 포모나 칼리지의 화학 교수 프레드 그라이먼(Fred Grieman영어)과 코윈 한슈(Corwin Hansch영어) 역시 그녀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22] 학부 시절 첫 과학 연구는 섀런 파나센코(Sharon Panasenko영어) 교수 연구실에서 시작했다.[22] 1985년 포모나 칼리지에서 생화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22][23]

박사 과정은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밟았으며, 1989년 생화학 및 분자 약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5][24][110][108] 박사 과정 동안 잭 W. 쇼스타크의 지도 아래 자기 복제 촉매 RNA의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에 대해 연구했다.[9]

2. 2. 대학교 및 대학원 시절

다우드나는 캘리포니아주 클레어몬트에 위치한 포모나 칼리지에서 생화학을 전공하며 학부 과정을 보냈다.[7][37] 1학년 때 일반 화학 수업을 들으며 과학 분야에서의 진로에 대해 고민했고, 2학년 때는 전공을 불어로 바꾸는 것을 고려하기도 했다.[22][7][109] 그러나 불어 선생님의 격려와[7][22] 포모나 칼리지의 화학 교수 프레드 그라이먼(Fred Grieman)과 코윈 한슈(Corwin Hansch)의 영향을 받아 과학 공부를 계속하기로 결심했다.[22] 섀런 파나센코(Sharon Panasenko) 교수의 실험실에서 첫 과학 연구를 시작했으며,[22] 1985년 생화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22][23]

이후 박사 과정을 위해 하버드 의과대학을 선택하여 잭 W. 쇼스타크(Jack W. Szostak)의 지도 아래[9][110][108] 1989년 생화학 및 분자 약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5][24] 그녀의 박사 논문은 자기 복제 촉매 RNA의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에 관한 연구였다.[9] 박사 학위 취득 후 매사추세츠 종합병원과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연구원을 거쳤다.[109]

1991년부터 1994년까지는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에서 토마스 체크(Thomas Cech) 연구실의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109] 이 기간 동안 그녀는 RNA 효소, 즉 리보자임의 구조와 생물학적 기능을 밝히는 연구에 집중했으며, 리보자임을 결정화하고 그 3차원 구조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109]

3. 경력 및 연구

워싱턴 D.C.에서 태어나 하와이주 히로에서 자랐다. 초등학교 시절 아버지에게 선물받은 제임스 왓슨의 책 『이중나선』을 읽고 생물학에 흥미를 가졌다.[108] 캘리포니아주포모나 칼리지에서 화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잭 W. 쇼스택의 지도로 생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10][108]

박사 학위 취득 후 매사추세츠 종합병원과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5] 1991년부터 1994년까지 콜로라도 볼더 대학교에서 토머스 체크와 함께 박사후 연구원으로 리보자임의 3차원 구조 결정 연구를 수행했다.[5][109] 1994년 예일 대학교에 조교수로 부임하여 리보자임 연구를 이어갔다.[109]

2002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교수로 자리를 옮긴 후,[9] 동료 교수 질리언 밴필드(Jillian Banfield)의 소개로 박테리아의 CRISPR 시스템 연구를 시작했다.[111][112] 2011년 푸에르토리코에서 에마뉘엘 샤르팡티에를 만나 공동 연구를 시작했고, 2012년 유전자 편집 기술인 CRISPR-Cas9 시스템을 발표하며 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114][115] 이 연구는 이후 유전자 편집 분야에 혁명을 가져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CRISPR-Cas9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 Caribou, Scribe Therapeutics, Mammoth Biosciences 설립에도 참여했다.

다우드나의 연구 영향력은 상당하여, 2022년 기준 구글 스칼라에 따른 h-지수는 141,[25] 스코퍼스 기준으로는 111이다.[26] 2016년에는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2021년 8월에는 교황 프란치스코에 의해 교황청 과학 아카데미 정회원으로 임명되었다.[116]

3. 1. 초기 경력 및 리보자임 연구

하버드 대학교에서 잭 W. 쇼스택의 지도하에 생화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110][108] 다우드나는 초기 과학 경력에서 RNA 효소, 즉 리보자임의 구조와 생물학적 기능을 밝히는 연구에 집중했다.[22] 쇼스택 연구실 재직 당시, 그녀는 자가 절단하는 ''Tetrahymena'' I형 촉매적 인트론을 RNA 주형을 복제할 수 있는 진정한 촉매 리보자임으로 재설계하는 성과를 거두었다.[22]

다우드나는 리보자임의 설계와 기본 메커니즘 이해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리보자임의 분자 메커니즘을 직접 관찰할 수 없다는 한계를 인식했다.[22] 이 문제를 해결하고 리보자임의 3차원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매사추세츠 종합병원과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원을 거쳐 1991년부터 1994년까지 콜로라도 볼더 대학교의 토머스 체크 연구실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109] 체크 연구실에서 그녀는 리보자임을 최초로 결정화하고 3차원 구조를 결정하는 연구를 시작했으며, 이를 통해 리보자임 구조를 촉매 단백질효소의 구조와 비교하고자 했다.[22][109]

크리스토퍼 미셸이 미국 국립 과학원을 위해 촬영한 제니퍼 다우드나의 초상화


1994년, 다우드나는 예일 대학교 분자생물물리학 및 생화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다.[5][109] 그녀는 예일 대학교에서도 리보자임 구조 연구를 이어가 1996년에 완료했으며,[9][109] 이후 리보자임 활성 부위의 X선 회절을 이용한 구조 연구를 수행했다.[109]

3. 2. 예일 대학교 시절

1994년 조교수로 예일 대학교에 부임한 다우드나는 콜로라도 대학교 토머스 체크 연구실에서 시작했던 리보자임의 3차원 구조 연구를 계속하여 1996년에 마무리했다.[109] 이후 리보자임 활성 부위의 X선 회절을 이용한 구조 연구를 수행했다.

두 개의 엑손(빨강과 파랑으로 표시)을 가진 자가 절단 인트론의 모양. DS Goodsell, 2005, PDB


예일 대학교에서 다우드나의 연구팀은 ''테트라히메나(Tetrahymena)'' 제1군 리보자임의 촉매 중심 부위의 3차원 구조를 결정화하고 해석하는 데 성공했다.[22] 이 연구를 통해 리보자임의 P4-P6 도메인 영역에 5개의 마그네슘 이온이 집중되어 있는 중심 부위를 발견했는데, 이는 마치 단백질이 소수성 아미노산을 중심으로 구조를 형성하는 것과 유사하게, 나머지 RNA 구조가 접힐 수 있는 소수성 중심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22] 다만 이는 화학적으로는 단백질과 다르다.[22] 다우드나 연구팀은 B형 간염 델타 바이러스 리보자임을 포함한 다른 리보자임들도 결정화했다.[9] 이렇게 대규모 RNA 구조를 해석한 초기 연구들은 이후 내부 리보솜 진입 부위(IRES)나 신호 인식 입자(SRP)와 같은 단백질-RNA 복합체의 구조 연구로 이어지는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22]

다우드나는 2000년에 예일 대학교의 헨리 포드 2세(Henry Ford II) 분자생물물리학 및 생화학 교수로 승진했다. 2000년부터 2001년까지는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에서 로버트 번스 우드워드(Robert Burns Woodward) 방문 화학 교수로 활동했다.[5]

3. 3.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시절: CRISPR-Cas9 발견

2002년, 다우드나는 남편 제이미 케이트(Jamie Cate)와 함께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로 옮겨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교수직을 맡았다.[9] 또한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의 고급광원(Advanced Light Source)을 이용해 고성능 X선 회절 실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9]

다우드나가 CRISPR 기술에 처음 관심을 갖게 된 것은 2006년, 같은 대학 동료 교수인 질리언 밴필드(Jillian Banfield)로부터 박테리아의 CRISPR 시스템에 대한 소개를 받으면서부터이다.[34][35][111][112] 밴필드는 구글 검색을 통해 다우드나를 알게 되었다고 한다.[34][35] 2009년에는 잠시 휴직하고 생명공학 기업 제넨테크(Genentech)에서 연구를 이끌었으나, 두 달 만에 버클리로 복귀하여 동료 마이클 마레타(Michael Marletta)의 도움으로 다른 연구 부담을 줄이고 CRISPR 연구에 집중하기로 결정했다.[27]

2011년, 푸에르토리코에서 열린 학회에서 프랑스 출신의 미생물학자 에마뉘엘 샤르팡티에를 만나 CRISPR에 대한 공동 연구를 시작했다.[114][115] 이 협력은 2012년 중요한 결실을 맺었다. 다우드나와 샤르팡티에는 유전자 편집 분야에 혁명을 가져온 CRISPR-Cas9 시스템을 개발하여 발표했다.[103][36][114][115] 그들의 연구는 ''스트렙토코쿠스''(Streptococcus) 박테리아의 면역 시스템에서 발견된 Cas9 단백질이 특정 가이드 RNA(guide RNA)와 결합하여 마치 가위처럼 목표 DNA 서열을 정확하게 잘라낼 수 있음을 증명했다.[37] 이 발견은 기존의 유전체 편집 기술에 비해 시간과 노력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킨 중요한 진전이었다.[103][36] 비록 CRISPR 시스템 자체는 1987년 이시노 요시즈미(Yoshizumi Ishino) 등에 의해 처음 발견되고[38] 프란시스코 모히카(Francisco Mojica) 등에 의해 그 기능이 밝혀졌지만,[39] 다우드나와 샤르팡티에는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DNA를 원하는 대로 절단하고 편집할 수 있음을 처음으로 보여주었다.[37]

CRISPR-Cas9 복합체


CRISPR-Cas9 기술은 기초 세포 생물학 연구는 물론, 겸상 적혈구 빈혈증, 낭포성 섬유증, 헌팅턴병, HIV와 같은 유전 질환 및 감염 질환 치료법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9][7][103] 기술의 파급력이 커지면서 다우드나는 유전자 편집 기술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이끄는 주요 인물로 부상했다.[40] 그녀는 다른 주요 생물학자들과 함께 CRISPR 기술의 임상 적용, 특히 인간 생식세포 편집에 대해서는 안전성과 윤리적 문제가 충분히 검토될 때까지 모라토리엄(일시적 중단)을 촉구했다.[41][42] 다우드나는 다음 세대로 유전되지 않는 체세포 유전자 편집은 질병 치료를 위해 지지하지만, 인간의 유전 형질 자체를 바꾸는 생식세포 편집에는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43]

이 획기적인 기술을 둘러싸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 버클리)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및 하버드 대학교와 제휴한 브로드 연구소(Broad Institute) 사이에 치열한 특허 분쟁이 벌어졌다.[7][44] 브로드 연구소의 장펑(Feng Zhang) 연구팀이 다우드나-샤르팡티에 팀의 발표 몇 달 후 CRISPR-Cas9 기술을 인간 세포에 적용하여 유전자를 편집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하며 먼저 특허를 확보했다.[103][44] 이에 UC 버클리 측은 브로드 연구소의 특허에 이의를 제기하며 소송을 제기했다.[44] 미국에서는 2017년 법원이 브로드 연구소 측의 손을 들어주었고, 2018년 항소 법원도 이 판결을 유지했다. 법원은 브로드 연구소가 인간 세포 편집을 먼저 증명했다는 점을 인정했다.[44][46] 그러나 UC 버클리 측은 자신들의 연구가 인간 세포 적용 가능성을 명확히 제시했다고 주장하며[45], 일반적인 CRISPR-Cas9 기술에 대한 별도의 특허를 확보했다.[47] 한편, 유럽에서는 브로드 연구소의 초기 연구 주장과 관련된 절차적 문제로 인해 특허가 기각되면서 UC 버클리 측에 유리한 국면이 조성되기도 했다.[48]

다우드나는 CRISPR 기술의 상업화를 위해 여러 기업 설립에도 참여했다. 2011년에는 카리부 바이오사이언시즈(Caribou Biosciences)를 공동 설립했고,[49] 2013년 9월에는 법적 분쟁에도 불구하고 장펑 등과 함께 에디타스 메디슨(Editas Medicine) 창립에 참여했으나 2014년 6월에 그만두었다. 이후 샤르팡티에는 그녀에게 CRISPR 테라퓨틱스(CRISPR Therapeutics) 합류를 제안했지만, 에디타스에서의 경험 이후 거절했다. 다우드나는 카리부의 자회사인 인텔리아 테라퓨틱스(Intellia Therapeutics)[50][51]와 DNA를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더욱 소형화된 차세대 Cas9인 CasX를 개척한 스크라이브 테라퓨틱스(Scribe Therapeutics)의 공동 설립자이기도 하다.[52]

2017년, 그녀는 공동 저자인 새뮤얼 스턴버그(Samuel Sternberg)와 함께 CRISPR 기술의 발견 과정과 그 의미, 윤리적 쟁점 등을 다룬 책 ''창조의 균열: 유전자 편집과 진화를 통제할 수 있는 상상할 수 없는 힘''(A Crack in Creation: Gene Editing and the Unthinkable Power to Control Evolution)을 출간하여 대중과의 소통에도 힘썼다.[7]

CRISPR 연구 외에도 다우드나는 C형 간염 바이러스가 특이한 방식으로 바이러스 단백질을 합성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인체 조직 손상 없이 감염을 막는 새로운 약물 개발의 단초를 제공하기도 했다.[54]

2023년 현재 다우드나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리카싱(Li Ka-shing) 총장 명예 교수직을 맡고 있으며,[5] 버클리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프란시스코(UCSF)가 협력하여 설립한 혁신 유전체학 연구소(Innovative Genomics Institute, IGI)를 이끌고 있다. IGI는 유전체 편집 기술을 발전시키고 이를 인간 건강, 농업, 기후 변화 등 사회적 난제 해결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8][29][30] 그녀의 연구실은 CRISPR-Cas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 새로운 편집 기술 개발, CRISPR 기반 치료제의 전달 메커니즘 연구, 그리고 마이크로바이옴 정밀 편집 기술 개발 등에 집중하고 있다.[31][32][33][28] 다우드나는 CRISPR 기술의 잠재력에 대해 낙관하면서도, "기술 개발 방식에 신중하지 않으면 이 기술의 혜택이 가장 필요한 사람들에게 돌아가지 못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표하며 책임감 있는 연구 개발을 강조한다.[17]

3. 4. CRISPR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사회적 기여



2012년 다우드나샤르팡티에 등이 발표한 CRISPR-Cas9 유전자 편집 기술은 유전체 DNA 편집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발견이었다.[103][36] 이 기술은 ''스트렙토코쿠스''(Streptococcus) 박테리아의 면역 시스템에서 발견된 Cas9 단백질과 가이드 RNA를 이용하여 마치 가위처럼 특정 DNA 염기서열을 잘라내는 원리이다.[37] 이 획기적인 발견은 기초 세포 생물학 연구는 물론, 식물 및 동물 연구, 나아가 겸상 적혈구 빈혈증, 낭포성 섬유증, 헌팅턴병, HIV와 같은 다양한 질병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9][7][103] 많은 연구 그룹들이 이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다양한 응용 분야를 개척하고 있으며, 다우드나 자신도 C형 간염 바이러스가 특이한 방식으로 단백질을 합성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인체 조직 손상 없이 감염을 막는 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는 등[54] 사회적 기여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CRISPR 기술이 발전하고 특히 다세포 유기체 편집에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유기체의 기능을 인위적으로 변경하는 것에 대한 심각한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었다.[40] 다우드나는 이러한 윤리적 논의에서 중요한 목소리를 내는 사상적 리더로 부상했다. 그녀는 CRISPR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편집의 임상 적용, 특히 인간 배아나 생식세포 편집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다른 주요 생물학자들과 함께 전 세계적인 모라토리엄 (일시적 중단)을 촉구했다.[41][42] 다우드나는 다음 세대로 유전되지 않는 체세포 유전자 편집은 질병 치료를 위해 찬성하지만, 유전적 변화가 후대에 영구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생식세포 유전자 편집에는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43]

또한 다우드나는 CRISPR 기술의 혜택이 사회 전체에 공평하게 돌아가지 못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그녀는 "CRISPR가 해결되지 않은 유전 질환을 치료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매우 낙관적이지만, 우리가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에 대해 신중하고 신중하지 않다면 이 기술의 이점이 가장 필요한 사람들에게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라고 말하며 기술의 책임감 있는 사용과 접근성 문제를 강조했다.[17]

이러한 고민과 성찰은 그녀가 공동 저술한 책 ''창조의 균열: 유전자 편집과 진화를 통제할 수 있는 상상할 수 없는 힘''(A Crack in Creation: Gene Editing and the Unthinkable Power to Control Evolutioneng, 2017)에도 잘 나타나 있다. 이 책은 중요한 과학적 발견을 연구자 본인이 직접 대중에게 설명하는 드문 사례로 평가받는다.[7]

3. 5. CRISPR 관련 기업 설립

2017년, 다우드나는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바이오엔지니어링 기술 스타트업인 매머드 바이오사이언시스(Mammoth Biosciences)[55]를 공동 설립했다.[56] 초기 투자 유치액은 2300만달러였으며,[56] 2020년 시리즈 B 투자 라운드에서 4500만달러를 추가로 유치했다.[57] 이 회사는 "의료, 농업, 환경 모니터링, 생물 방어 등 다양한 분야의 과제"를 해결하는 바이오 센싱 검사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55]

3. 6. 코로나19 팬데믹 대응

2020년 3월부터 다우드나는 데이브 세이비지(Dave Savage), 로버트 티젠(Robert Tjian) 그리고 혁신적 유전체 연구소(Innovative Genomics Institute, IGI)의 다른 동료들과 함께 CRISPR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코로나19 범유행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을 조직했으며, 그 과정에서 검사 센터를 설립했다. 이 센터는 UC 버클리 학생, 교직원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 주민과 샐리너스 지역의 농업 노동자들의 검체 50만 건 이상을 처리했다.[58][59] 매머드 바이오사이언시스(Mammoth Biosciences)는 신속하고 CRISPR 기반의 현장 진단법인 코로나19 진단법의 동료 검토를 통한 검증을 발표했는데, 이는 qRT-PCR 기반 검사보다 빠르고 저렴하다.[60]

4. 수상 및 영예

다우드나는 서얼 석학이었으며, 1996년 벡맨 영 인베스티게이터 상을 수상했다.[78][79][80] 2000년에는 리보자임의 구조를 밝힌 공로로 국립과학재단의 최고 영예이자 35세 미만 연구자에게 수여되는 앨런 T. 워터맨 상을 받았다.[8] 2001년에는 미국화학회의 엘리 릴리 생화학상을 수상했다.[5]

다우드나는 2002년 미국국립과학원[93][22], 2003년 미국예술과학아카데미[94], 2010년 미국국립의학원, 2014년 미국국립발명가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5] 2016년에는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ForMemRS)으로 선출되었고,[96] 2021년에는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돈나 스트릭랜드, 에마뉘엘 샤르팡티에와 함께 교황청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임명되었다.[101]

CRISPR/Cas9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에 대한 공헌으로 다우드나는 수많은 상을 받았다. 2014년에는 국제 폴 얀센 생의학 연구상과 가베이상을 수상했다. 2015년에는 에마뉘엘 샤르팡티에와 함께 돌파구상 생명과학상[81], 아스투리아스 여공상 학술·기술 연구 부문, 그루버 유전학상[83], 매슬리상, 톰슨 로이터 인용 영예상을 수상했으며, 샤르팡티에와 함께 미국미생물학회 회원이 되었다.[95] 같은 해 타임지는 다우드나와 샤르팡티에를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타임 100) 중 한 명으로 선정했다.[102]

2016년에는 샤르팡티에, 펑 장, 필립 호르바스, 로돌프 바랑구와 함께 캐나다 가드너 국제상을 수상했고,[12] 하이네켄 생화학 및 생물물리학상[82], 탕상[11],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상, 딕슨상 의학 부문, 워렌 알퍼트 재단상, 파울 에를리히&루트비히 다름슈테터 상, HFSP 나카소네상, 존 스콧상 등을 수상했다. 또한 다른 CRISPR 연구자들과 함께 타임지 '올해의 인물' 후보에 올랐다.[103]

이후에도 다우드나는 2017년 일본국제상[117], 올버니 의료센터상[84], 딕슨상 과학 부문, F.A. 코튼 메달을 수상했으며, 미국 업적 아카데미로부터 골든 플레이트 상을 받았다.[97][98] 2018년에는 미국국립과학원 화학과학상[85], 록펠러대학교의 펄 마이스터 그린가드 상[86], 미국암협회 명예훈장, 크루니언 메달을 수상했고, 샤르팡티에, 비르기니우스 시크슈니스와 함께 나노과학 분야 카블리상을 공동 수상했다.[88][89] 2019년에는 샤르팡티에, 펑 장과 함께 2018년 테크니온의 하비상을 수상했고,[90] 복지 증진 부문 류체우우상을 받았다.[91]

2020년에는 에마뉘엘 샤르팡티에와 함께 울프 의학상을 수상했으며,[92] 마침내 "유전자 편집 방법 개발"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샤르팡티에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4][3] 같은 해 구겐하임 펠로우십도 수상했다.[99] 2021년에는 분자병리학회로부터 분자 진단 우수상을 받았다.[100] 2023년에는 윌러드 기브스상을 수상했다.

다우드나는 2018년 USC[104]와 2023년 하버드[105]에서 각각 명예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5. 개인적인 삶

다우드나의 첫 번째 결혼은 1988년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동기였던 톰 그리핀(Tom Griffin)과였다. 하지만 그리핀은 다우드나보다 관심사가 넓었고 연구에 덜 집중했기 때문에 몇 년 후 이혼했다. 그리핀은 콜로라도주 볼더(Boulder)로 이주하기를 원했고, 다우드나 역시 토머스 체흐와 함께 연구하는 것에 관심이 있었다.

콜로라도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지내던 중, 다우드나는 당시 대학원생이었던 제이미 케이트(Jamie Cate)를 만났다. 두 사람은 테트라히메나 I군 인트론 P4-P6 촉매 영역의 결정 구조를 밝히는 프로젝트에서 함께 일했다. 다우드나는 케이트를 예일 대학교로 데려왔고, 2000년 하와이에서 결혼했다.

이후 케이트는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교수가 되었고, 다우드나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그를 따라 보스턴으로 갔다. 그러나 2002년, 두 사람은 버클리의 교수직 제안을 받아 함께 그곳으로 이주했다. 케이트는 이전에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크루즈와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어 서해안의 비교적 자유로운 분위기를 선호했고, 다우드나는 버클리가 주립대학교라는 점을 좋아했다.

케이트는 현재 버클리 교수로 재직하며, 바이오 연료 생산을 늘리기 위해 셀룰로스 발효를 증진시키는 유전자 편집 효모를 연구하고 있다. 다우드나와 케이트 사이에는 2002년에 태어난 아들이 있으며, 아들은 현재 UC 버클리에서 전기 공학 및 컴퓨터 과학을 전공하고 있다.[37] 부부는 현재 버클리에 거주하고 있다.[77]

참조

[1] 뉴스 Pondering 'what it means to be human' on the frontier of gene editing https://www.washingt[...] 2016-05-03
[2] 웹사이트 Jennifer Doudna – American biochemist https://www.britanni[...] 2015-11-13
[3] 뉴스 Nobel Prize in Chemistry Awarded to 2 Scientists for Work on Genome Editing https://www.nytimes.[...] 2020-10-07
[4] 웹사이트 Press release: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20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20-10-07
[5]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Jennifer A. Doudna) https://biosciences.[...]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6] 뉴스 Jennifer Doudna, a Pioneer Who Helped Simplify Genome Editing https://www.nytimes.[...] 2015-05-11
[7] 서적 A Crack in Creation: Gene Editing and the Unthinkable Power to Control Evolution Houghton Mifflin Harcourt
[8] 웹사이트 Alan T. Waterman Award Recipients, 1976 – present https://www.nsf.gov/[...] National Science Foundation
[9] 웹사이트 Laureates: Jennifer A. Doudna https://breakthrough[...]
[10] 웹사이트 2015 Genetics Prize: Jennifer Doudna http://gruber.yale.e[...] The Gruber Foundation
[11] 웹사이트 Laureates: Biopharmaceutical Science (2016) http://www.tang-priz[...] Tang Prize Foundation
[12] 웹사이트 Jennifer Doudna http://gairdner.org/[...] Canada Gairdner Foundation
[13] 웹사이트 Laureates of the Japan Prize: Jennifer A. Doudna, Ph.D. http://www.japanpriz[...] The Japan Prize Foundation
[14] 웹사이트 2023 Inductee Jennifer Doudna {{!}} National Inventors Hall of Fame® https://www.invent.o[...] 2023-12-28
[15] 서적 Who's who in the West https://books.google[...] Marquis-Who's Who.
[16] 웹사이트 On the same wavelength http://www.asbmb.org[...] American Society for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17] 웹사이트 Becoming a Scientific Leader https://www.wimlf.or[...] 2021-09-08
[18] 뉴스 Remembering The Hilo Teacher Who Inspired A Nobel Prize Winner https://www.civilbea[...] Honolulu Civil Beat 2020-10-11
[19] 웹사이트 Big Questions, Big Answers https://sbgrid.org/s[...] SBGrid Consortium
[20] 웹사이트 2018 Kavli Prize in Nanoscience: A Conversation with Jennifer Doudna, Emmanuelle Charpentier and Virginijus Šikšnys http://kavliprize.or[...] The Kavli Prize
[21] 웹사이트 Genome editing pioneer and Hilo High graduate Jennifer Doudna speaks at UH Hilo about her discovery: CRISPR technology https://hilo.hawaii.[...] UH Hilo Stories 2018-09-19
[22] Wikidata
[23] 뉴스 Pomona College alumna wins Nobel Prize in Chemistry https://tsl.news/pom[...] 2020-10-07
[24] 논문 Towards the Design of an RNA Replicase 1989
[25] 리다이렉트
[26] 웹사이트 Scopus preview – Doudna, Jennifer A. – Author details – Scopus https://www.scopus.c[...]
[27] 웹사이트 A DAY WITH JENNIFER DOUDNA: TRYING TO KEEP UP WITH ONE OF THE WORLD'S MOST SOUGHT-AFTER SCIENTISTS https://cen.acs.org/[...] 2020-03-08
[28] 웹사이트 CRISPR pioneer Doudna envisions ending asthma, aiding climate https://www.marketpl[...]
[29] 잡지 How Jennifer Doudna's Life Has Changed Since Discovering CRISPR 10 Years Ago https://time.com/619[...] 2022-07-01
[30] 웹사이트 About Us https://innovativege[...]
[31] 웹사이트 Structure and Mechanism https://doudnalab.or[...]
[32] 웹사이트 IGI's 'Audacious' New Frontier for CRISPR: Editing Microbiomes for Climate and Health https://innovativege[...]
[33] 웹사이트 Jennifer Doudna https://innovativege[...]
[34] 뉴스 Jill Banfield: How a curious Google search led me to Jennifer Doudna https://news.berkele[...] Berkeley News 2020-10-07
[35] Youtube Jennifer Doudna's First Reactions to 2020 Nobel Prize Win https://www.youtube.[...] UC Berkeley 2020-10-07
[36] Wikidata
[37] 웹사이트 Cracking the Code: Jennifer Doudna and Her Amazing Molecular Scissors https://alumni.berke[...] Cal Alumni Association 2014-12-08
[38] Wikidata
[39] Wikidata
[40] 웹사이트 CRISPR co-inventor Jennifer Doudna talks ethics and biological frontiers https://www.stanford[...] 2019-01-25
[41] 뉴스 Scientists Seek Ban on Method of Editing the Human Genome https://www.nytimes.[...] 2015-03-19
[42] Wikidata
[43] 웹사이트 CRISPR's co-developer on the revolutionary gene-editing technology's past — and its future https://www.vox.com/[...] 2020-02-28
[44] 웹사이트 UC Berkeley suffers big loss in CRISPR patent fight: What's next for the gene-editing technology? http://www.latimes.c[...] 2017-02-15
[45] 웹사이트 This court battle will decide who will make a fortune from gene-editing technique https://medium.com/b[...] 2018-04-28
[46] 간행물 The higher court's decision to uphold the ruling of the Patent Trial and Appeal Board essentially ends the intellectual property battle in theUS The Scientist 2018-09-10
[47] 웹사이트 CRISPR Therapeutics, Intellia Therapeutics, and Caribou Biosciences announce grant of US patent for CRISPR/Cas9 Genome Editing https://cariboubio.c[...] 2018-06-19
[48] 웹사이트 Broad Institute takes a hit in European CRISPR patent struggle https://www.science.[...] 2018-01-18
[49] 웹사이트 Caribou Biosciences, Inc https://www.bloomber[...]
[50] 웹사이트 Caribou Biosciences Announces Co-Founding of Intellia Therapeutics https://www.business[...] 2014-11-18
[51] 웹사이트 Intellia Therapeutics Congratulates Co-Founder Jennifer Doudna On Winning the 2020 Nobel Prize in Chemistry for Inventing the Revolutionary CRISPR/Cas9 Genome Editing Technology https://finance.yaho[...] 2020-10-07
[52] 웹사이트 A day with Jennifer Doudna: Trying to keep up with one of the world's most sought-after scientists https://cen.acs.org/[...]
[53] 웹사이트 A Crack in Creation review – Jennifer Doudna, CRISPR and a great scientific breakthrough https://www.theguard[...] 2017-06-17
[54] 웹사이트 Jennifer A. Doudna, Ph.D. http://www.hhmi.org/[...] HHMI
[55] 웹사이트 Mammoth Biosciences {{!}} About Us https://mammoth.bio/[...]
[56] 웹사이트 Mammoth Biosciences Closes on Series A Worth $23 Million https://www.biospace[...] 2019-08-01
[57] 웹사이트 Mammoth Biosciences Raises $45 Million to Build Next Generation CRISPR Products For Therapeutics and Diagnostics https://www.biospace[...] 2020-01-30
[58] 웹사이트 Half a Million COVID Tests Later, IGI Clinical Laboratory Looks to the Future https://innovativege[...]
[59] 웹사이트 CRISPR pioneer Doudna opens COVID-19 testing lab – BioNews https://www.bionews.[...] 2020-04-03
[60] 웹사이트 Mammoth Biosciences Announces Peer-Reviewed Validation Of Its Rapid, CRISPR-Based COVID-19 Diagnostic https://www.webwire.[...] 2020-04-21
[61] 웹사이트 Jennifer Doudna https://innovativege[...]
[62] 웹사이트 Interview with Jennifer Doudna (recorded in 2004)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8-09-05
[63] Wikidata
[64] Scopus
[65] 웹사이트 Jennifer Doudna's first East Bay CRISPR spinout files for IPO https://www.bizjourn[...] San Francisco Business Times 2021-07-01
[66] 뉴스 Crispr's Next Frontier Is In-Human Treatment, Co-Inventor Says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19-10-19
[67] 웹사이트 The 30-year-old female founder at the forefront of a billion-dollar bet on CRISPR gene editing https://www.cnbc.com[...] CNBC 2022-03-12
[68] 웹사이트 This Scientist Is Building Custom Gene-Editing Tools—And Stands To Make Billions https://www.forbes.c[...] 2023-07-25
[69] 웹사이트 Meet Altos Labs, Silicon Valley's latest wild bet on living forever https://www.technolo[...] 2021-09-04
[70] 웹사이트 Alphabet's Isomorphic stacks two new deals with Lilly, Novartis worth nearly $3B ahead of JPM https://www.fiercebi[...] 2024-01-07
[71] 뉴스 Jennifer Doudna, Crispr scientist, on the ethics of editing humans https://www.ft.com/c[...] 2020-01-31
[72] 잡지 US Biotech Firms Made China's Gene-Edited Babies Possible https://www.wired.co[...] 2018-11-30
[73] 뉴스 Tempus, Groupon Co-Founder's Medical Technically Startup, Is Exploring an IPO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21-11-02
[74] 웹사이트 The Welch Foundation supports basic research in chemistry in Texas https://cen.acs.org/[...] 2019-10-26
[75] 웹사이트 The scientist who co-created CRISPR isn't ruling out engineered babies someday https://www.technolo[...] 2022-04-26
[76] 웹사이트 CRISPR Pioneer Doudna Joins Global Investment Firm as CSO https://www.biospace[...] 2022-02-08
[77] 뉴스 Nobel Prize: UC Berkeley's Jennifer Doudna wins for pioneering gene-editing tool https://www.mercuryn[...] 2020-10-07
[78] 서적 Read "Enhancing Philanthropy's Support of Biomedical Scientists: Proceedings of a Workshop on Evaluation" at NAP.edu https://www.nap.edu/[...] 2006
[79] 웹사이트 Beckman Young Investigators Award Recipients http://www.beckman-f[...] Arnold and Mabel Beckman Foundation 2017-11-06
[80] 웹사이트 Jennifer A. Doudna http://www.beckman-f[...] 2018-08-01
[81] 웹사이트 Jennifer Doudna https://breakthrough[...] 2018-09-13
[82] 웹사이트 Jennifer Doudna https://www.knaw.nl/[...] The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7-11-06
[83] 웹사이트 2015 Genetics Prize: Jennifer Doudna http://gruber.yale.e[...] The Gruber Foundation 2017-10-24
[84] 웹사이트 Gene Editing Pioneers Selected to Receive America's Most Distinguished Prize in Medicine http://www.amc.edu/n[...] Albany Medical Center 2017-11-01
[85] 웹사이트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Awards http://www.nasonline[...] 2018-09-13
[86] 웹사이트 Jennifer Doudna To Receive 2018 Pearl Meister Greengard Prize https://www.rockefel[...] 2018-09-13
[87] 웹사이트 Doudna receives Medal of Honor from American Cancer Society https://news.berkele[...] 2019-03-16
[88] Wikidata
[89] 저널 With prestigious prize, an overshadowed CRISPR researcher wins the spotlight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2018-06-04
[90] 웹사이트 Harvey Prize 2018 https://www.technion[...] 2019-10-07
[91] 웹사이트 LUI Che Woo Prize Reveals 2019 Laureates – Furthering Its Mission to Enrich World Civilisation http://www.luiprize.[...]
[92] 웹사이트 Wolf Prize 2020 https://wolffund.org[...]
[93] 웹사이트 Jennifer A. Doudna https://www.nasonlin[...]
[94] 웹사이트 Jennifer A. Doudna https://www.amacad.o[...] 2023-10-31
[95] 웹사이트 Nobel Prize Awarded to ASM Members for Development of CRISPR-Cas9 https://asm.org/Arti[...]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96] 웹사이트 Professor Jennifer Doudna ForMemRS https://royalsociety[...] Royal Society
[97]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www.achievem[...]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98] 웹사이트 Jennifer A. Doudna, Ph.D. Biography and Interview https://www.achievem[...]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99] 웹사이트 John Simon Guggenheim Foundation | Jennifer Doudna https://www.gf.org/f[...]
[100] 웹사이트 Past Recipients – Honorary Degrees https://www.amp.org/[...]
[101] 웹사이트 Pope Francis appointed three women to the Pontifical Academy of Sciences this summer. What's their role at the Vatican? https://www.americam[...] America Magazine 2021-08-18
[102] 잡지 Time 100 Most Influential People: Emmanuelle Charpentier & Jennifer Doudna http://time.com/3822[...] 2015-04-16
[103] 잡지 The CRISPR Pioneers: Their Breakthrough Work Could Change the World. https://time.com/tim[...] 2016
[104] 웹사이트 Past Recipients – Honorary Degrees https://honorarydegr[...]
[105] 웹사이트 Harvard awards six honorary degrees https://news.harvard[...] 2023-05-25
[106] 논문 Jennifer A. Doudna Curriculum Vitae https://biosciences.[...]
[107] 웹사이트 2020年ノーベル化学賞受賞者発表のプレスリリース(和訳) https://bio-sta.jp/n[...] バイオステーション 2020-12-04
[108] 웹사이트 ノーベル化学賞のダウドナ氏、最大の強みは執着心 https://natgeo.nikke[...] 2020-12-14
[109] 논문 Biography of Jennifer A. Doudna https://www.ncbi.nlm[...] 2004-12-07
[110] 웹사이트 Towards the Design of an RNA Replicase https://search.proqu[...] ProQuest 2020-12-14
[111] 웹사이트 Jill Banfield: How a curious Google search led me to Jennifer Doudna https://news.berkele[...] 2020-12-14
[112] Youtube Jennifer Doudna's First Reactions to 2020 Nobel Prize Win https://www.youtube.[...] 2020-10-07
[113] 웹사이트 A day with Jennifer Doudna: Trying to keep up with one of the world’s most sought-after scientists https://cen.acs.org/[...] 2020-12-14
[114] 논문 A programmable dual-RNA-guided DNA endonuclease in adaptive bacterial immunity https://pubmed.ncbi.[...] 2012-08-17
[115] 웹사이트 今年のノーベル賞【後編】化学賞の欧米女性2氏 プエルトリコで運命的な出会い、共同研究へ https://scienceporta[...] Science Portal 2020-12-11
[116] 웹사이트 Pope names Nobel laureate Jennifer Doudna to Pontifical Academy https://www.vaticann[...] Vatican News 2021-08-11
[117] 뉴스 日本国際賞に海外3氏 ゲノム編集や暗号研究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7-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