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루스 스털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루스 스털링은 미국의 과학 소설 작가이자, 사이버펑크 운동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이다. 그는 1970년대부터 활동하며, 소설, 단편, 에세이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스털링은 윌리엄 깁슨, 루디 러커 등과 함께 사이버펑크를 개척했으며, 1980년대에는 셰이퍼/메카니스트 유니버스를 배경으로 한 작품들을 선보였다. 그는 또한 '죽은 미디어 프로젝트'와 '비리디언 디자인 운동'과 같은 독창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스파임'과 같은 신조어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스털링은 존 W. 캠벨 기념상, 휴고상, 아서 C. 클라크 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커스상 수상작가 - 아서 C. 클라크
    영국의 SF 작가이자 발명가, 해저 탐험가인 아서 C. 클라크는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리즈로 유명하며 SF계의 '빅3'로 불리고, 정지 궤도 통신 위성의 개념을 제안하여 '클라크 궤도'라는 용어를 탄생시킨 인물이다.
  • 로커스상 수상작가 - 아이작 아시모프
    아이작 아시모프는 20세기 미국의 소설가이자 생화학자, 과학 대중화 저술가로, 로봇 공학 3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통해 SF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오스틴 (텍사스주) 출신 - 린든 B. 존슨
    린든 B. 존슨은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후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위대한 사회"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 개혁을 추진하고 시민권법과 투표권법을 통과시켰으나, 베트남 전쟁 개입으로 비판을 받으며 정치적 유산에 영향을 받았다.
  • 오스틴 (텍사스주) 출신 - 라이언 리 (배우)
    라이언 리는 텍사스주 오스틴 출신의 배우로, 영화 《슈퍼 8》로 데뷔하여 《40살까지의 삶》, 《구스범스》 등 영화와 드라마 《프라이데이 나이트 라이트》 등에 출연했으며, 2011년 BAM 어워즈에서 조연 아역상을 수상했다.
  • 휴고상 수상작가 - 아서 C. 클라크
    영국의 SF 작가이자 발명가, 해저 탐험가인 아서 C. 클라크는 '스페이스 오디세이' 시리즈로 유명하며 SF계의 '빅3'로 불리고, 정지 궤도 통신 위성의 개념을 제안하여 '클라크 궤도'라는 용어를 탄생시킨 인물이다.
  • 휴고상 수상작가 - 아이작 아시모프
    아이작 아시모프는 20세기 미국의 소설가이자 생화학자, 과학 대중화 저술가로, 로봇 공학 3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통해 SF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브루스 스털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마이클 브루스 스털링
출생일1954년 4월 14일
출생지미국 텍사스주 브라운즈빌
국적미국
배우자야스미나 테사노비치
직업작가
강연가
미래학자
디자인 강사
활동 기간1970년대–현재
장르과학 소설
사조사이버펑크/포스트 사이버펑크
웹사이트Mirrorshades Postmodern Archive
브루스 스털링 서명
브루스 스털링 서명
작품
주요 작품스키즈매트릭스
디퍼런스 엔진
수상
수상 내역휴고상
로커스상
학력
학력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BA)
기타 정보
필명빈센트 옴니아베리타스 (팬진 Cheap Truth에서 사용)

2. 초기 생애 및 경력

1994년 로보페스트에서의 스털링


스털링은 어린 시절 아버지의 직장 때문에 인도 등 국외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1976년 텍사스 대학교에서 저널리즘 학위를 취득한 후, SF 작가 루디 러커, 존 셜리, 윌리엄 깁슨 등과의 교류를 통해 사이버펑크 운동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 1977년 첫 장편 『먼지 고래의 바다』(''Involution Ocean'')를 발표했다. 1982년 단편 「소굴」(''Swarm'')과 「스파이더 로즈」(''Spider Rose'')를 발표하여 각각 네뷸러상·휴고상 및 휴고상 후보에 오르며 주목받았고, 이는 "'''기계주의자/작업자'''"(''Mechanist/Shaper'') 시리즈가 되었다.

1985년, 시리즈 장편 『스키즈매트릭스』(''Schismatrix'')를 발표하며 인기 작가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사이버펑크의 범위를 더욱 글로벌하게 넓힌 작품들을 발표했다.

1992년, 1990년에 일어난 해커 일제 단속의 전말을 추적한 논픽션 『해커를 쫓아라!』를 발표하여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1997년 단편 「자전거 수리공」(''Bicycle Repairman'')으로 휴고상을 수상했고, 1999년 단편 「타클라마칸」(''Taklamakan'')으로 휴고상 및 로커스상을 수상했다.

2003년 유럽 대학원 교수로 임명되어 미디어와 디자인에 대한 여름 집중 과정을 가르치고 있다.[16] 2005년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에 있는 아트센터 디자인 칼리지의 "거주 비저너리"가 되었다. 야스미나 테샤노비치와 2005년에 결혼했으며, 베오그라드에서 수년간 살았다.[19] 2007년 9월 이탈리아 토리노로 이사했다.[19]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어린 시절 그는 가족이 인도로 이사하기 전까지 텍사스주 갈베스턴에서 살았다.[14] 스털링은 인도에서 여러 해를 보냈으며 볼리우드 영화를 좋아한다.[15] 1976년, 텍사스 대학교에서 저널리즘 학위를 받았다.[16] 1978년, ''던전 앤 드래곤'' 게임의 던전 마스터였으며, 이 게임의 플레이어 중에는 스털링의 게임을 ''Deus Ex''의 게임 디자인에 주요 영감으로 언급한 워렌 스펙터가 있었다.[17]

2. 2. 작가로서의 시작

브루스 스털링은 텍사스 대학교 재학 중, 오스틴의 SF 팬덤을 통해 창작 강좌 "터키 시티"에 참가했다. 여기서 할런 엘리슨에게 발탁되어 앤솔러지 『마지막 위험한 비전』(''The Last Dangerous Vision'')에 단편이 실리면서 프로 작가로 데뷔했다(미간행).

3. 문학 활동

윌리엄 깁슨, 루디 러커 등과 교류하며 사이버펑크 운동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 그는 이 하위 장르의 주요 이념가 중 한 명으로, "체어맨 브루스"라는 별명을 얻었다.[3] 터키 시티 작가 워크숍의 첫 번째 조직자 중 한 명이었으며, 시커모어 힐 작가 워크숍에도 자주 참석했다.

1980년대 초, 스털링은 셰이퍼/메카니스트 유니버스를 배경으로 한 일련의 이야기를 썼다.[4] 1982년에는 단편 「소굴」(Swarm)과 「스파이더 로즈」(Spider Rose)를 발표해 각각 네뷸러상·휴고상 및 휴고상 후보에 올라 주목을 받았고, 이는 "기계주의자/작업자"(Mechanist/Shaper) 시리즈가 되었다. 1985년에는 시리즈 장편 『스키즈매트릭스』(Schismatrix)를 발표하며 인기 작가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1980년대 후반에는 「우리들의 신경 체르노빌」, 「자비로운, 디지털」, 장편 넷 속의 섬들 등 사이버펑크의 범위를 더욱 넓힌 작품들을 발표했다.[2] 1990년대 이후에는 윌리엄 깁슨과 함께 디퍼런스 엔진(차분기관이 성공적으로 개발되었을 때의 대체역사를 그린 스팀펑크 계열 대표적인 소설)을 썼고, 혹독한 기후, 성스러운 불 등 다양한 장르의 소설을 발표했다.[2]

단편 〈자전거 수리공〉(1996)과 〈타클라마칸〉(1998)으로 휴고상을 수상했다.[2] 1992년에는 1990년에 실제로 일어난 해커 일제 단속의 전말을 추적한 논픽션 『해커를 쫓아라!』를 발표하여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3. 1. 사이버펑크 운동

윌리엄 깁슨, 루디 러커, 존 셜리, 루이스 샤이너, 팻 캐디건과 함께 사이버펑크 운동의 창시자 중 한 명이다.[2] 그는 이 하위 장르의 주요 이념가 중 한 명으로, "체어맨 브루스"라는 별명을 얻었다.[3] 터키 시티 작가 워크숍의 첫 번째 조직자 중 한 명이었으며, 시커모어 힐 작가 워크숍에도 자주 참석했다.

젊은 작가 루디 러커, 존 셜리, 윌리엄 깁슨 등과의 교류를 통해 사이버펑크 운동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 1980년대 후반에는 사이버펑크의 범위를 더욱 넓힌 작품들을 발표했다.

3. 2. 셰이퍼/메카니스트 시리즈

1980년대 초, 스털링은 셰이퍼/메카니스트 유니버스를 배경으로 한 일련의 이야기를 썼다.[4] 태양계는 우주 식민지화되었고, 두 개의 주요한 전쟁 세력이 존재하는데, 많은 컴퓨터 기반 기계 기술을 사용하는 메카니스트와 대규모로 유전자 조작을 수행하는 셰이퍼이다.[4] 이 상황은 결국 외계 생명체 문명과의 접촉으로 복잡해진다.[4] 인류는 결국 많은 아종으로 분열되며, 그 중 일부는 버너 빈지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기술적 특이점을 연상시키며 은하에서 사라진다.[4] 셰이퍼/메카니스트 이야기는 ''크리스탈 익스프레스''와 ''Schismatrix Plus'' 컬렉션에서 찾을 수 있으며, 여기에는 소설 ''Schismatrix''와 셰이퍼/메카니스트 유니버스에 설정된 모든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4] 알래스터 레이놀즈는 ''Schismatrix''와 다른 셰이퍼/메카니스트 이야기를 자신의 작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작품 중 하나로 꼽았다.[4]

1982년, 단편 「소굴」(Swarm)과 「스파이더 로즈」(Spider Rose)를 발표해 각각 네뷸러상·휴고상 및 휴고상 후보에 올라 주목을 받았고, 이는 "기계주의자/작업자"(Mechanist/Shaper) 시리즈가 되었다. 1985년, 시리즈 장편 『스키즈매트릭스』(Schismatrix)를 발표하며 인기 작가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다음은 셰이퍼/메카니스트 시리즈의 작품 목록이다.

제목출판 연도비고
소용돌이 (Swarm)1982네뷸러상 노벨렛 부문 후보, 휴고상, 로커스상 노벨렛 부문 후보
스파이더 로즈 (Spider Rose)1982휴고상 단편 부문 후보
매미 여왕 (Cicada Queen)1989
화성의 신들의 정원 (Sunken Gardens)
<기계주의자/작업자의 시대> 20개의 장면 (Twenty Evocations)
스키즈매트릭스 (Schismatrix)1985


3. 3. 기타 작품 활동

1980년대 후반, 브루스 스털링은 「우리들의 신경 체르노빌」, 「자비로운, 디지털」, 장편 넷 속의 섬들 등 사이버펑크의 범위를 더욱 넓힌 작품들을 발표했다.[2] 1990년대 이후에는 윌리엄 깁슨과 함께 디퍼런스 엔진(차분기관이 성공적으로 개발되었을 때의 대체역사를 그린 스팀펑크 계열 대표적인 소설)을 썼고, 혹독한 기후, 성스러운 불 등 다양한 장르의 소설을 발표했다.[2]

단편 〈자전거 수리공〉(1996)과 〈타클라마칸〉(1998)으로 휴고상을 수상했다.[2] 이 두 작품은 「딥 에디」와 함께 채터누가 3부작으로 불린다.

1992년에는 1990년에 실제로 일어난 해커 일제 단속의 전말을 추적한 논픽션 『해커를 쫓아라!』를 발표하여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4. 주요 프로젝트 및 사상

브루스 스털링은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다양한 신조어를 만들면서 자신의 사상을 표현했다.

1995년에 시작된 죽은 미디어 프로젝트는 잉카의 키푸, 빅토리아 시대의 환등기, 1980년대의 사라진 비디오 게임과 가정용 컴퓨터 등 역사 속에서 사라진 옛 미디어를 연구한다.[8] 이 프로젝트는 기술 발전의 덧없음과 문화적 유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1998년에 시작된 비리디언 디자인 운동은 하이테크, 스타일, 생태학적으로 건전한 디자인에 초점을 맞춘 "녹색" 디자인 운동이었다.[9] 이 운동은 인기 있는 "밝은 녹색" 환경 웹로그 월드체인징 탄생에 기여했다.

스털링은 미래에 흔해질 것이라고 믿는 것들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신조어를 만들었다.


  • 벅키정크(Buckyjunk): 2005년 12월 와이어드지에서 사용한 용어로, 탄소 나노튜브로 제작되어 재활용하기 어려운 소비재를 의미한다.
  • 디자인 픽션: 2005년 저서 '사물 디자인'에서 사용한 용어로, 월드 빌딩에 초점을 맞춘 추측성 디자인을 지칭한다.[12]
  • 슬립스트림 장르: 1989년 7월 ''SF Eye #5''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 과학 소설과 판타지, 주류 문학 사이의 추측성 소설 유형을 지칭한다.
  • 스파임(Spime): 2004년 8월에 만든 용어로, 무선 주파수 식별(RFID)이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어떤 물체의 사용과 환경과의 교감을 기록하고 이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공간과 시간을 합친 (Space + Time) 말이다.[13]
  • 웩셀블랏 재앙(Wexelblat disaster): 1999년 12월에 만든 용어로, 자연재해로 시작되었지만 2차적으로 발생하는 인간의 기술적 실패로 확대되는 인적 요인에 의한 재해를 의미한다.

4. 1. 죽은 미디어 프로젝트

1995년 시작된 프로젝트로, 잉카의 키푸, 빅토리아 시대의 환등기, 1980년대의 사라진 비디오 게임과 가정용 컴퓨터에 이르기까지 역사 속에서 사라져버린 옛 문화 속의 미디어를 연구한다.[8] 이 프로젝트는 기술 발전의 덧없음과 문화적 유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4. 2. 비리디언 디자인 운동

존 레브코스키가 비리디언 디자인 홈페이지를 관리하며, 이 홈페이지에서 스털링의 ''비리디언 선언문''과 모든 ''비리디언 노트''를 찾아볼 수 있다.[10] 1998년에 시작된 비리디언 디자인 운동은 하이테크, 스타일, 생태학적으로 건전한 디자인에 초점을 맞춘 "녹색" 디자인 운동을 만들려는 시도였다.[9] 비리디언 운동은 인기 있는 "밝은 녹색" 환경 웹로그 월드체인징 탄생에 기여했으며, 월드체인징 기고자 다수가 비리디언 "큐리아"의 원래 구성원이었다.

4. 3. 신조어 및 미래 예측

스털링은 미래에 흔해질 것이라고 믿는 것들, 특히 이미 제한된 수로 존재하는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신조어를 만들었다.

  • 2005년 12월 와이어드지에서 벅키정크(Buckyjunk)란 말을 썼다. 벅키정크란 미래에 탄소 나노튜브(일명 버키튜브, 풀러렌 또는 버키볼을 기반으로 함)로 제작된 재활용하기 어려운 소비재를 의미한다.
  • 2005년 저서 '사물 디자인'에서 월드 빌딩에 초점을 맞춘 일종의 추측성 디자인을 지칭하는 용어 디자인 픽션을 만들었다.[12]
  • 1989년 7월, ''SF Eye #5''에서 그는 전통적인 과학 소설과 판타지, 주류 문학 사이의 추측성 소설의 한 유형을 지칭하기 위해 "슬립스트림 장르"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
  • 2004년 8월에는 스파임(Spime)이란 말을 만들었다. 이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이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어떤 물체의 사용과 환경과인 교감을 기록하고 이를 이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공간과 시간을 합친 (Space + Time) 말이다.[13]
  • 1999년 12월 웩셀블랏 재앙(Wexelblat disaster)라는 말을 썼다. 이는 자연재해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2차적으로 발생하는 인간의 기술적 실패로 확대되는 인적 요인에 의한 재해를 의미한다.

5. 한국과의 관계

친일파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의 SF 잡지 《SF 매거진》을 구독했다. 1986년 일본을 배경으로 한 단편 〈에도의 꽃〉(Flowers of Edo영어)을 발표했고, 1997년에는 미래의 일본 사회를 다룬 SF 단편 〈마네키네코〉(Maneki Neko영어)를 발표하여 로커스상을 수상했다. 1996년 마쿠하리 신도심에서 열린 World PC EXPO에서 "사이버 월드의 빛과 그림자"라는 제목으로 강연했다. 샌디 & 더 선셋츠의 팬이기도 하다.[6]

6.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작품
1989년존 W. 캠벨 기념상 소설 부문네트워크 속의 섬들[26]
1997년휴고상 중편소설 부문자전거 수리공
1999년휴고상 중편소설 부문타클라마칸
1999년하야카와 SF 매거진 독자상 해외 단편 소설 부문타클라마칸
2000년아서 C. 클라크 상 소설 부문디스트랙션[27]


7. 작품 목록

브루스 스털링은 여러 소설과 단편집을 발표했으며, 단편 "자전거 수리공"(1996)과 "타클라마칸"(1998)으로 휴고상을 수상했다. 첫 소설 ''환원해양''(1977)은 모든 대기가 수 마일 깊이의 단일 크레이터에 담겨 있는 세상을 배경으로 한다. 1980년대 초에는 셰이퍼/메카니스트 유니버스를 배경으로 한 일련의 이야기를 썼으며, 이들은 ''크리스탈 익스프레스''와 ''Schismatrix Plus'' 컬렉션에 수록되어 있다.

7. 1. 장편 소설


  • 《인볼루션 오션(퇴화의 바다)》 (1977)
  • 《인공 아이(인공의 어린이)》 (1980)
  • 《분열 행렬(스키즈매트릭스)》 (1985)
  • 《네트 속의 섬》 (1988)
  • 《차분 기관(디퍼런스 엔진)》 (1990) - 윌리엄 깁슨과 공저
  • 《폭풍우(혹독한 기후)》 (1994)
  • 《성스러운 불꽃(성스러운 불)》 (1996)
  • 《Distraction》 (1998)
  • 《Zeitgeist》 (2000)
  • 《제니스 각도》 (2004)
  • 카리아티드》 (2009)
  • 《Love Is Strange》 (2012)

7. 2. 단편집

제목출판 연도비고
미러셰이드1986년
크리스털 익스프레스1989년일본어 번역 미출판. 수록 단편 중 5편은 일본 오리지널 단편집 《매미 여왕》에 수록됨.
매미 여왕1989년일본 오리지널 단편집 (하야카와 쇼보 출판). "기계주의자/작업자" 시리즈 단편들을 모음.
글로벌헤드1992년일본어 번역판 출판.
굿 올드패션 퓨처1999년
비저너리 인 레지던스2006년일본어 번역 미출판.
어센던시: 브루스 스털링 최고의 작품2007년단편 걸작선
고딕 하이테크2012년일본어 번역 미출판.


7. 3. 비소설

《The Hacker Crackdown: Law and Disorder on the Electronic Frontier영어》(1992)는 대한민국에서 《해커를 쫓아라!》로 번역되었다. 《Tomorrow Now: Envisioning the next fifty years영어》(2002)는 대한민국에서 《내일은 지금: 앞으로 50년을 내다보다》로 번역되었다. 《Shaping Things영어》(2005)는 대한민국에서 《사물의 형성》으로 번역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Bruce Sterling https://www.edge.org[...] 2019-10-25
[2] 간행물 A User's Guide to the Postmoderns 1986-08
[3] 웹사이트 'Books | "The Caryatids": four clones need a home | Seattle Times Newspaper' http://seattletimes.[...] Seattletimes.nwsource.com 2010-01-01
[4] 웹사이트 The World According to Bruce Sterling https://web.archive.[...] Impact Lab 2013-09-04
[5] 웹사이트 Cool Tools: New Editor, Same Deal http://www.kk.org/co[...] Kk.org 2010-01-01
[6] 웹사이트 'HELLO WORLD | Beyond The Beyond' https://www.wired.co[...] 2010-01-01
[7] 웹사이트 The Magazine of Fantasy & Science Fiction, May/June 2020 https://www.goodread[...] 2021-11-11
[8] 웹사이트 The Dead Media Project http://www.deadmedia[...] 2024-01-14
[9] 웹사이트 Big Picture Business https://web.archive.[...] Bigpicture.tv 2012-12-09
[10] 웹사이트 The Viridian Design Movement http://www.viridiand[...] 2024-01-14
[11] 문서 "DIGITAL GALLERY: Bruce Sterling: Embrace the Decay" http://www.moca.org/[...] moca.org
[12] 서적 Shaping Things https://mitpress.mit[...] MIT Press 2016-09-30
[13] 웹사이트 Viridian Note http://www.viridiand[...] Viridiandesign.org 2010-01-01
[14] 웹사이트 Bruce Sterling https://www.nndb.com[...] 2024-06-11
[15] 웹사이트 Shapeways interviews Bruce Sterling - Shapeways Blog on 3D Printing News & Innovation http://www.shapeways[...] Shapeways.com 2012-12-09
[16] 웹사이트 Bruce Sterling - The European Graduate School https://egs.edu/facu[...] 2019-10-25
[17] 웹사이트 The Designer of 'Deus Ex' Explains How It Was Born Out of ' Dungeons & Dragons' https://www.vice.com[...] 2017-04-22
[18] 웹사이트 'Life Doesn''t Lack for Variety | Beyond the Beyond from Wired.com' http://blog.wired.co[...] Blog.wired.com 2010-01-01
[19] 웹사이트 'Putting people first » Bruce Sterling moving to Torino, Italy' https://web.archive.[...] Experientia.com 2010-01-01
[20] 간행물 V. Vale's RE/Search newsletter #165 https://www.wired.co[...] Condé Nast 2017-10-14
[21] 간행물 Welcome to V. Vale's RE/SearchNewsletter #166 https://www.wired.co[...] Condé Nast 2017-10-14
[22] 간행물 V. Vale's RE/Search Newsletter #167, October 2017 Part 2 https://www.wired.co[...] Condé Nast 2017-10-20
[23] 간행물 V. Vale's RE/Search Newsletter #168 https://www.wired.co[...] Condé Nast 2017-11-13
[24] 간행물 V. Vale's RE/Search Newsletter #169, Part Two https://www.wired.co[...] Condé Nast 2018-01-06
[25] 간행물 WELCOME TO V. VALE's RE/SEARCH NEWSLETTER #170, December 2017 https://www.wired.co[...] Condé Nast 2018-01-06
[26] 웹사이트 1989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5-12
[27] 웹사이트 2000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