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리터니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리터니그는 웨일스어와 로망스어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인공어로, 웨일스어 철자법과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문법적으로는 명사, 대명사, 동사의 특징을 가지며,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SVO)를 기본으로 한다. 어휘는 로망스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웨일스어와 유사한 단어도 존재한다. 브리터니그의 예문으로는 주기도문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체 역사 - 51번째 주
    51번째 주는 미국에 새로운 주가 추가되는 가상 개념으로, 미국의 자치령이나 영향력이 강한 국가들을 빗대어 표현하며, 워싱턴 D.C.와 푸에르토리코 등이 후보로 거론되고, 승인 시 미국 국기 디자인 변경 등 변화가 예상된다.
  • 대체 역사 - 붓치기레!
    2022년 방영된 일본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붓치기레!는 막부 말기 신센구미가 가면귀신 조직에 의해 전멸당한 후 사형수들이 신센구미 대원을 대신하여 스스로를 구원하려는 이야기로, 히라카와 테츠오가 감독과 각본을, Geno Studio가 제작을 맡았으며, 니시카와 타카노리와 Jizō Sonzai name-less가 각각 오프닝과 엔딩 테마를 담당했다.
  • 사고 실험 - 예술
    예술은 미적, 정서적 가치를 지닌 대상을 창조하거나 기술, 아이디어, 감정 등을 표현하는 인간 활동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사회적, 정치적 변화를 이끌거나 인식을 높이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 사고 실험 - 프로타고라스 (대화편)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는 소크라테스와 프로타고라스가 '덕을 가르칠 수 있는가'를 논쟁하며 지식과 덕의 관계, 용기의 본질, 쾌락과 선의 관계 등을 탐구하는 대화편으로, 소크라테스의 철학과 고대 아테네 사회의 지적 분위기를 보여주는 역사적, 철학적 가치를 지닌다.
  • 인공어 - 발리리아어
    발리리아어는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 등장하는 가상의 언어로, 고지 발리리아어와 여러 변종인 가짜 발리리아어로 나뉘며, 고지 발리리아어는 소설 세계관에서 라틴어와 유사한 지위를 가지는 학문 및 교육 언어이고, 드라마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방언이 등장하며, 듀오링고 등을 통해 학습할 수 있다.
  • 인공어 - 인공 문자
    인공 문자는 가상 세계, 문자 없는 언어, 종교적·기술적 목적 등을 위해 만들어진 문자 체계를 의미하며, 텡과르, 클링온 문자, 한글 등이 있으며, 유니코드에 등록되기도 한다.
브리터니그
개요
이름Brithenig 브리터니그, Comroig 콤로이그
발음IPA: [bɾɪθɛˈniːɡ]
종류인공어, 후천적 언어
어족인도유럽어족 - 이탈리아어족 - 로망스어군 - 서부 로망스어군 - 브리타노-로망스어
창시자앤드루 스미스
창작 시기1996년
사용 설정대체 역사 사고 실험, Ill Bethisad, 라틴어가 브리튼 제어를 대체한 경우
ISO 639-3bzt
Linglistbzt
Glottologbrit1244

2. 특징

브리터니그는 웨일스어와 비슷한 철자법을 사용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웨일스어와 달리 브리터니그는 경음과 연음 C와 G를 가진다. 즉, 모음 'e'와 'i' 앞에서 자음 'c'와 'g'는 이탈리아어와 유사하게 발음된다.[6] 브리터니그는 또한 문자 'c''와 'g''에서 이러한 음소를 사용하며, 경음 G는 이탈리아어와 같이 'gh'로 표시한다. 'e'와 'i' 앞에 올 때, 'sc'는 로 발음되고, 그렇지 않으면 로 발음된다.

웨일스어 단어는 일반적으로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오는 반면, 브리터니그 단어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온다. 예를 들어 브리터니그 ''ys'''col'''''은 웨일스어 '''''ys'''gol''과 동일하게 "학교"를 의미한다. 철자법에서 모음 길이를 예측하는 복잡한 규칙은 없지만, 강세를 받는 모음은 항상 길게 발음된다.

브리터니그에는 무음 문자가 많다. 두 음절 이상의 단어에서, 자음군 '-nt'에서 단어 끝 '-t'와 '-r' 또는 '-l'은 자음군의 두 번째 구성원으로서 소리가 나지 않는다. 단어 끝 '-f'는 일반적으로 무음이지만, 철자적으로 쌍자음인 '-ff'는 그렇지 않다. 부정사 어미 '-ar', '-er', '-ir'에서 '-r'은 일반적으로 발음되지 않는다. 일부 화자는 '-ae'와 '-oe'를 각각 와 로 발음하지만, 표준 변형에서는 두 모음 모두 와 로 발음된다. 자음군으로 끝나는 단음절 단어는 마지막 모음과 같은 삽입 모음을 사용하여 발음된다 (-r 또는 -l로 끝나는 자음군)(''llifr''는 ''llifir'' 로 발음).

브리터니그의 자음 및 모음 음소, 이중 모음은 다음과 같다.

자음 음소
조음 방법순음치음/치경음후치경음/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파열음무성음rowspan="2" |⟨k, c⟩rowspan="2" |
유성음⟨g⟩
파찰음무성음rowspan="2" |rowspan="2" |⟨c⟩rowspan="2" |rowspan="2" |
유성음⟨g⟩
마찰음무성음rowspan="2" |rowspan="2" |
유성음⟨s⟩
접근음중설음rowspan="2" |rowspan="2" |
설측음
전동음



모음 음소(단모음)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 y⟩⟨u⟩⟨w⟩
반고모음⟨i⟩⟨w⟩
중모음⟨a, e⟩
반저모음⟨e⟩⟨o⟩
저모음



이중 모음
이음자발음
ae[æ], [aː]
ai[aɪ]
au[aʊ]
ei[ɛɪ]
ew[ɛʊ]



브리터니그는 웨일스어 및 다른 켈트어와 마찬가지로 어두 자음 돌연변이가 중요한 특징이며, 연음, 기음화, 비음화의 세 가지 돌연변이가 존재한다.

기본형연음기음화비음화
p-b-ph-mh-
t-d-th-nh-
c-g-ch-ngh-
g-[6]
b-f-m-
d-dd-n-
g-∅- (무음)ng-
m-f-해당 없음
ll-l-해당 없음
rh-r-해당 없음



연음은 여성 명사, 형용사, 동사, 단어 순서 변경, 부사 뒤, 전치사 ''di'' "의, ~에서" 및 ''gwo'' "아래"에 사용된다. 기음화는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수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지만, 전치사 ''tra'' "통해" 및 ''a'' "~에, ~에서"와 접속사 ''mai'' "그러나" 뒤에도 사용된다. 비음화는 동사를 부정하는 데 사용되는 부정 부사 ''rhen'', 전치사 ''in'' "안에" 및 ''cun'' "함께" 뒤에 사용된다. 모음 앞에서는 전치사 ''a'' "~에, ~에서"와 ''e'' "그리고"가 불규칙적으로 ''a-dd''와 ''e-dd''가 된다.

돌연변이 유발 표기
연음-xdixi b'edd "발의"
기음화-xtraxra ph'edd "발을 통해"
비음화-xcunxun mh'edd "발과 함께"



브리터니그의 명사는 성(性)을 가지지만, 단수와 복수에 따른 형태 변화는 없다. 대신 정관사를 사용하여 단수와 복수를 구별한다. 정관사는 남성 단수 ''ill'', 여성 단수 ''lla'', 복수 ''llo''의 형태를 가진다. 예외적으로, "남자"를 뜻하는 ''(ill) of''는 복수형 ''(llo) h-on''을 가진다. 또한, 유기적 경음화를 사용하여 여성 단수 정관사를 붙여 복수형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ill bordd'', '''''lla''' fordd'').

정관사
단수복수
남성illllo
여성lla



이중수 형태는 팔, 다리와 같이 쌍을 이루는 신체 부위에 사용되며, 명사 앞에 ''dew-'' "둘"을 붙여 만든다. 축소형은 접미사 ''-ith''(일반적)/''-in''(애정/집단)을, 증대형은 ''-un''을 붙여 만든다.

브리터니그의 동사는 3가지 활용으로 나뉘며, 시제, 법, 인칭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 ''canhar''(노래하다), ''perdder''(잃다), ''dorfir''(자다) 동사의 활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Canhar'' (노래하다), ''Perdder'' (잃다), ''Dorfir'' (자다) 동사 활용표
colspan="3" |CanharPerdderDorfir
부정사anhar'erdder'orfir'
현재 분사anhan'erdden'orfin'
과거 분사anhad'erdded'orfid'
인칭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
colspan="2" |eotuys/sanugwys/saeotuys/sanugwys/saeotuys/sanugwys/sa
직설법현재gantgantcanthanhan'hanhath'hanhant'berddberddperddherdden'herddeth'herddent'ddorfddorfdorfdorfen'dorfith'dorfent'
과거 불완료anhaf'anhaf'anhaf'hanafan'hanafath'hanafant'erddef'erddef'erddef'herddefan'herddefath'herddefant'dorfif'dorfif'orfif'dorfifan'dorfifath'dorfifant'
과거 완료anhaf'anhast'anhaf'hanafan'hanast'hanarent'erddef'erddest'erddef'herddefan'herddest'herdderent'dorfif'dorfist'orfif'dorfifan'dorfist'dorfirent'
미래anarai'anara'anara'hanaran'hanarath'hanarant'erdderai'erddera'erddera'herdderan'herdderath'herdderant'dorfirai'dorfira'orfira'dorfiran'dorfirath'dorfirant'
가정법anarew'anarew'anarew'hanarewn'hanarewth'hanarewnt'erdderew'erdderew'erdderew'herdderewn'herdderewth'herdderewnt'dorfirew'dorfirew'orfirew'dorfirewn'dorfirewth'dorfirewnt'
colspan="2" |eotuys/sanugwys/saeotuys/sanugwys/saeotuys/sanugwys/sa
접속법현재gantgantcantheinhen'heinheth'heinhent'beirddbeirddpeirddheirddan'heirddath'heirddant'ddeirfddeirfdeirfdeirfan'deirfath'deirfant'
과거anhas'anhas'anhas'hanassen'hanasseth'hanassent'erddes'erddes'erddes'herddessen'herddesseth'herddessent'dorfis'dorfis'orfis'dorfissen'dorfisseth'dorfissent'
colspan="2" |eotuys/sanugwys/saeotuys/sanugwys/saeotuys/sanugwys/sa
명령법cant (친근한 표현), anhath' (존칭)perdd (친근한 표현), erddeth' (존칭)dorf (친근한 표현), orfith' (존칭)



브리터니그는 대부분 정규적인 활용을 따르지만, 일부 불규칙 동사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말하다"를 뜻하는 ''diger''는 과거 완료 시제에서 ''eo ddis''와 같이 불규칙적인 형태를 가진다. 과거 분사에서도 일부 동사는 라틴어의 영향을 받은 불규칙 형태를 가진다. 예를 들어, ''fager''(하다)는 ''faeth'', ''clodder''(닫다)는 ''clos'', ''gwidder''(보다)는 ''gwist''와 같은 형태가 된다. 일부 동사는 명령형에서 불규칙한 형태를 보이는데, 마지막 모음을 길게 늘리거나 마지막 자음을 삭제하는 경우가 있다(''diger'' → ''dî'', ''digeth''). 가정법 형태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다(''saber'' → ''seib'', ''seibeth''). "가다"를 뜻하는 동사 ''gweddir''는 현재 시제에서 불규칙성을 보인다: ''eo wa'', ''tu wa'', ''ys wa'', ''sa wa'', ''nu wan'', ''gw wath'', ''ys/sa want''.

''diger'' (말하다) 과거 완료
colspan="2" |단수복수
1인칭ddisdisen'
2인칭disist'disist'
3인칭남성disdisirent'
여성ddis



브리터니그의 기본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SVO)이다. 그러나 목적어가 대명사일 때는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으로 바뀐다. 의문문에서는 동사-주어-목적어(VSO) 어순이 된다. 예를 들어, "당신은 브리터니그를 말합니다"는 ''gw pharolath Brithenig''이고, "당신은 브리터니그를 말하고 있습니까?"는 ''parola'gw Frithenig?''이다.[7]

브리터니그의 어휘는 대부분 로망스어에서 유래했지만, 웨일스어의 영향을 받아 변형되었다. 웨일스어 단어의 약 4분의 1이 브리터니그 단어와 유사하다는 점은 인도유럽어족이라는 공통 기원에서 비롯되었지만, "ysgol"과 같은 몇몇 단어는 라틴어에서 웨일스어로 차용된 것이다.

로망스어 및 웨일스어와 비교한 브리터니그
영어브리터니그라틴어피카르어포르투갈어갈리시아어스페인어카탈루냐어오크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로만슈어프리울리아어루마니아어웨네딕웨일스어
브레이치brachiumbrobraçobrazobrazobraçbraçbrasbracciobratschbraçbraţbroczbraich
검은니르nĭger, nĭgrumnoérepreto, negronegronegronegrenegrenoirneronairnerinegruniegry(du)
도시, 마을치우다드cīvĭtās, cīvĭtātemvillecidadecidadeciudadciutatciutatcitécittàcitadcitâtoraş, [cetate]czytać(dinas)
죽음모르스mŏrs, mŏrtemmortmortemortemuertemortmòrtmortmortemortmuartmoartemroć(marwolaeth)
canisquiencão, cachorrocanperro, cangos, cagos, canchiencanechauncjancâinekań(ci)
오리글auris, aurĭcŭlaoreleorelhaorellaorejaorellaaurelhaoreilleorecchiouregliaoreleurecheurzykła(clust)
달걀에우ovumœuéovoovohuevoouuòuœufuovoovûfouówwy
오글ŏcŭlusoeulolhoolloojoulluèlhœilocchioeglvoliochiokieł(llygad)
아버지파드르pater, patremmonpérepaipaipadreparepairepèrepadrebabparitatăpoterz(tad)
포그ignis, fŏcusfufogolume, fogofuegofocfuòcfeufuocofieufûcfocfok(tân)
물고기피스크pĭscispichonpeixepeixepez, pescadopeixpeispoissonpescepeschpespeştepieszczpysgodyn
페드pĕs, pĕdempiedpiepeupiedpiedepepîtpicior, [piez]piedź(troed)
친구에피그amīcusanmiamigoamigoamigoamicamicamiamicoamiamìprieten, amicomik(cyfaill)
녹색귀르드vĭrĭdisvertverdeverdeverdeverdverdvertverdeverdvertverdewierdzigwyrdd
카팔ĕquus, cabăllusgvalcavalocabalocaballocavallcavalchevalcavallochavalcjavalcalkawałceffyl
에오ĕgoJ'/eujeueuyojoieujeiojaujoeujo(mi)
이슬īnsŭlaileilhaillaislaillaisclaîleisolainslaisuleinsulăizła(ynys)
언어, 혀린게디그, 링그lĭngualinguelíngualingualenguallengualengalanguelingualinguatg, lieungalenghelimbălęgwa(iaith)
귀드vītavievidavidavidavidavidavievitavitaviteviaţă, [vită]wita(bywyd)
우유라에스lac, lactisleiteleitelechelletlachlaitlattelatglatlaptełocllaeth
이름nōmennomnomenomenombrenomnomnomnomenumnonnumenumię(enw)
노에스nŏx, nŏctemnuitnoitenoitenochenitnuèchnuitnottenotggnotnoaptenoc(nos)
늙은그웨글vĕtus, vĕtŭlusviuvelhovelloviejovellvièlhvieuxvecchioveglvielivechiwiekły(hen)
학교이스콜schŏlaécoleescolaescolaescuelaescolaescòlaécolescuolascolascueleşcoalăszkołaysgol
하늘caelumciucéuceocielocelcèlcielcielotschielcîlcerczał(awyr)
이스투일stēllaétoéleestrelaestrelaestrellaestelestelaétoilestellastailastelesteaścioła(seren)
덴트dēns, dĕntemdintdentedentedientedentdentdentdentedentdintdintedzięćdant
목소리귀그vōx, vōcemvoévozvozvozveuvotzvoixvocevuschvôsvoce, [boace]wucz(llais)
아그aquaieuáguaaugaaguaaiguaaigaeauacquaauaagheapăjekwa(dŵr)
바람그웬트vĕntusvintventoventovientoventventventventoventvintvântwiętgwynt



브리터니그의 인칭대명사는 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굴절된다.

인칭대명사주격대격여격분리격소유격
단수1인칭eomimuimew
2인칭tytituitew
복수1인칭nunustr
2인칭gwgwstr
공통3인칭 남성ysllollesuisew
3인칭 여성salla



3인칭은 수의 구분이 없지만, 뒤따르는 명사나 동사에서 기식 연음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단수 앞에서는 변이가 사용되지 않음). 브리터니그어는 T–V 구별법을 가지고 있으며, 화자가 친숙한 사람이나 신에게 말할 때는 ''ty''를 사용하고, 낯선 사람이나 덜 친숙하거나 더 격식을 갖춘 지인에게 말할 때는 ''Gw''를 사용한다(대문자로 표시). 여성 명사 앞에서는 뒤따르는 명사가 연음 변이를 보이며, 복수 앞에서는 기식 변이를 보인다. 변형될 때, ''ty''와 ''ti''는 ''di'' "of"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불규칙적으로 ''dy''가 된다. 웨일스어와 달리, 브리터니그어는 굴절 전치사를 덜 사용하며, 이러한 전치사는 "with"인 단어 ''cun''에서만 발견된다.

단수복수
1인칭unmeg'unnusc'
2인칭unneg'ungwsc'
3인칭unseg'


2. 1. 문자 및 발음

웨일스어와 유사한 철자법을 사용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 웨일스어와 달리 브리터니그는 연음 C와 G를 가지고 있는데, 즉 모음 ''e''와 ''i'' 앞에서 자음 ''c''와 ''g''는 이탈리아어와 유사하게 , 로 발음된다.
  • 브리테니그는 또한 문자 ''c'''와 ''g'''에서 이러한 음소를 사용한다.
  • 브리테니그에서 경음 G는 이탈리아어와 같이 ''gh''로 표시한다.
  • 마찬가지로, ''e''와 ''i'' 앞에 올 때, ''sc''는 로 발음되고, 그렇지 않으면 로 발음된다.
  • 경음 에 사용되는 문자 ''k''는 웨일스어보다 브리테니그에서 훨씬 더 활발하게 사용된다.
  • 웨일스어 단어는 일반적으로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오는 반면, 브리테니그 단어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온다 (브리테니그 ''ys'''col''''' vs. 웨일스어 '''''ys'''gol'', 둘 다 "학교"를 의미한다).
  • 철자법에서 모음 길이를 예측하는 복잡한 규칙이 없다. 강세를 받는 모음은 항상 길게 발음된다.
  • 브리테니그에는 많은 무음 문자가 있다.
  • 두 음절 이상의 단어에서, 자음군 ''-nt''에서 단어 끝 ''-t''와 ''-r'' 또는 ''-l''은 자음군의 두 번째 구성원으로서 무음이 된다.
  • 단어 끝 ''-f''는 일반적으로 무음이지만, 철자적으로 쌍자음인 ''-ff''는 그렇지 않다.
  • 부정사 어미 ''-ar'', ''-er'', ''-ir''에서 ''-r''은 일반적으로 발음되지 않는다.
  • 일부 화자는 ''-ae''와 ''-oe''를 각각 와 로 발음한다. 표준 변형에서는 두 모음 모두 와 로 발음된다.
  • 자음군으로 끝나는 단음절 단어는 마지막 모음과 같은 삽입 모음을 사용하여 발음된다 (-r 또는 -l로 끝나는 자음군)(''llifr''는 ''llifir'' 로 발음).

자음 음소
조음 방법순음치음/치경음후치경음/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
파열음무성음rowspan="2" |⟨k, c⟩rowspan="2" |
유성음⟨g⟩
파찰음무성음rowspan="2" |rowspan="2" |⟨c⟩rowspan="2" |rowspan="2" |
유성음⟨g⟩
마찰음무성음rowspan="2" |rowspan="2" |
유성음⟨s⟩
접근음중설음rowspan="2" |rowspan="2" |
설측음
전동음



모음 음소(단모음)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 y⟩⟨u⟩⟨w⟩
반고모음⟨i⟩⟨w⟩
중모음⟨a, e⟩
반저모음⟨e⟩⟨o⟩
저모음



이중 모음
이음자발음
ae[æ], [aː]
ai[aɪ]
au[aʊ]
ei[ɛɪ]
ew[ɛʊ]



브리터니그는 웨일스어 및 다른 켈트어와 마찬가지로 어두 자음 돌연변이 (''cluinediwn'', 문자 그대로 "변화")가 중요한 특징이다. 연음(soft, ''moillad''), 기음화(spirant, ''solwed''), 비음화(nasal, ''naral'')의 세 가지 돌연변이가 존재한다.

기본형연음기음화비음화
p-
b-
ph-
mh-
t-
d-
th-
nh-
c-
g-
ch-
ngh-
g-
[6]
b-
f-
m-
d-
dd-
n-
g-
∅-
(무음)
ng-
m-
f-
해당 없음
ll-
l-
해당 없음
rh-
r-
해당 없음



연음은 여성 명사, 형용사, 동사, 단어 순서 변경, 부사 뒤, 전치사 ''di'' "의, ~에서" 및 ''gwo'' "아래"에 사용된다. 기음화는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수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지만, 전치사 ''tra'' "통해" 및 ''a'' "~에, ~에서"와 접속사 ''mai'' "그러나" 뒤에도 사용된다. 비음화는 동사를 부정하는 데 사용되는 부정 부사 ''rhen'', 전치사 ''in'' "안에" 및 ''cun'' "함께" 뒤에 사용된다.

모음 앞에서는 전치사 ''a'' "~에, ~에서"와 ''e'' "그리고"가 불규칙적으로 ''a-dd''와 ''e-dd''가 된다.

돌연변이 유발 표기
연음-xdixi b'edd "발의"
기음화-xtraxra ph'edd "발을 통해"
비음화-xcunxun mh'edd "발과 함께"


2. 2. 문법

브리터니그의 명사는 성(性)을 가지지만, 단수와 복수에 따른 형태 변화는 없다. 대신 정관사를 사용하여 단수와 복수를 구별한다. 정관사는 남성 단수 ''ill'', 여성 단수 ''lla'', 복수 ''llo''의 형태를 가진다.

정관사
단수복수
남성illllo
여성lla



예외적으로, "남자"를 뜻하는 ''(ill) of''는 복수형 ''(llo) h-on''을 가진다. 또한, 유기적 경음화를 사용하여 여성 단수 정관사를 붙여 복수형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ill bordd'', '''''lla''' fordd'').

이중수 형태는 팔, 다리와 같이 쌍을 이루는 신체 부위에 사용되며, 명사 앞에 ''dew-'' "둘"을 붙여 만든다. 축소형은 접미사 ''-ith''(일반적)/''-in''(애정/집단)을, 증대형은 ''-un''을 붙여 만든다.

브리터니그의 동사는 3가지 활용으로 나뉜다. 동사는 시제, 법, 인칭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 다음은 ''canhar''(노래하다), ''perdder''(잃다), ''dorfir''(자다) 동사의 활용 예시이다.

''Canhar'' (노래하다), ''Perdder'' (잃다), ''Dorfir'' (자다) 동사 활용표
colspan="3" |CanharPerdderDorfir
부정사anhar'erdder'orfir'
현재 분사anhan'erdden'orfin'
과거 분사anhad'erdded'orfid'
인칭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1인칭2인칭3인칭
colspan="2" |eotuys/sanugwys/saeotuys/sanugwys/saeotuys/sanugwys/sa
직설법현재gantgantcanthanhan'hanhath'hanhant'berddberddperddherdden'herddeth'herddent'ddorfddorfdorfdorfen'dorfith'dorfent'
과거 불완료anhaf'anhaf'anhaf'hanafan'hanafath'hanafant'erddef'erddef'erddef'herddefan'herddefath'herddefant'dorfif'dorfif'orfif'dorfifan'dorfifath'dorfifant'
과거 완료anhaf'anhast'anhaf'hanafan'hanast'hanarent'erddef'erddest'erddef'herddefan'herddest'herdderent'dorfif'dorfist'orfif'dorfifan'dorfist'dorfirent'
미래anarai'anara'anara'hanaran'hanarath'hanarant'erdderai'erddera'erddera'herdderan'herdderath'herdderant'dorfirai'dorfira'orfira'dorfiran'dorfirath'dorfirant'
가정법anarew'anarew'anarew'hanarewn'hanarewth'hanarewnt'erdderew'erdderew'erdderew'herdderewn'herdderewth'herdderewnt'dorfirew'dorfirew'orfirew'dorfirewn'dorfirewth'dorfirewnt'
colspan="2" |eotuys/sanugwys/saeotuys/sanugwys/saeotuys/sanugwys/sa
접속법현재gantgantcantheinhen'heinheth'heinhent'beirddbeirddpeirddheirddan'heirddath'heirddant'ddeirfddeirfdeirfdeirfan'deirfath'deirfant'
과거anhas'anhas'anhas'hanassen'hanasseth'hanassent'erddes'erddes'erddes'herddessen'herddesseth'herddessent'dorfis'dorfis'orfis'dorfissen'dorfisseth'dorfissent'
colspan="2" |eotuys/sanugwys/saeotuys/sanugwys/saeotuys/sanugwys/sa
명령법cant (친근한 표현), anhath' (존칭)perdd (친근한 표현), erddeth' (존칭)dorf (친근한 표현), orfith' (존칭)



브리터니그는 대부분 정규적인 활용을 따르지만, 일부 불규칙 동사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말하다"를 뜻하는 ''diger''는 과거 완료 시제에서 ''eo ddis''와 같이 불규칙적인 형태를 가진다.

''diger'' (말하다) 과거 완료
colspan="2" |단수복수
1인칭ddisdisen'
2인칭disist'disist'
3인칭남성disdisirent'
여성ddis



과거 분사에서도 일부 동사는 라틴어의 영향을 받은 불규칙 형태를 가진다. 예를 들어, ''fager''(하다)는 ''faeth'', ''clodder''(닫다)는 ''clos'', ''gwidder''(보다)는 ''gwist''와 같은 형태가 된다.

일부 동사는 명령형에서 불규칙한 형태를 보이는데, 마지막 모음을 길게 늘리거나 마지막 자음을 삭제하는 경우가 있다(''diger'' → ''dî'', ''digeth''). 가정법 형태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다(''saber'' → ''seib'', ''seibeth''). "가다"를 뜻하는 동사 ''gweddir''는 현재 시제에서 불규칙성을 보인다: ''eo wa'', ''tu wa'', ''ys wa'', ''sa wa'', ''nu wan'', ''gw wath'', ''ys/sa want''.

브리터니그의 기본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SVO)이다. 그러나 목적어가 대명사일 때는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으로 바뀐다. 의문문에서는 동사-주어-목적어(VSO) 어순이 된다. 예를 들어, "당신은 브리터니그를 말합니다"는 ''gw pharolath Brithenig''이고, "당신은 브리터니그를 말하고 있습니까?"는 ''parola'gw Frithenig?''이다.[7]

2. 3. 어휘

브리터니그의 어휘는 대부분 로망스어에서 유래했지만, 웨일스어의 영향을 받아 변형되었다. 다음 표는 브리터니그가 다른 9개의 로망스어 및 웨일스어와 비교했을 때 어떤 모습을 보이는지 보여준다.

로망스어 및 웨일스어와 비교한 브리터니그
영어브리터니그라틴어피카르어포르투갈어갈리시아어스페인어카탈루냐어오크어프랑스어이탈리아어로만슈어프리울리아어루마니아어웨네딕웨일스어
브레이치brachiumbrobraçobrazobrazobraçbraçbrasbracciobratschbraçbraţbroczbraich
검은니르nĭger, nĭgrumnoérepreto, negronegronegronegrenegrenoirneronairnerinegruniegry(du)
도시, 마을치우다드cīvĭtās, cīvĭtātemvillecidadecidadeciudadciutatciutatcitécittàcitadcitâtoraş, [cetate]czytać(dinas)
죽음모르스mŏrs, mŏrtemmortmortemortemuertemortmòrtmortmortemortmuartmoartemroć(marwolaeth)
canisquiencão, cachorrocanperro, cangos, cagos, canchiencanechauncjancâinekań(ci)
오리글auris, aurĭcŭlaoreleorelhaorellaorejaorellaaurelhaoreilleorecchiouregliaoreleurecheurzykła(clust)
달걀에우ovumœuéovoovohuevoouuòuœufuovoovûfouówwy
오글ŏcŭlusoeulolhoolloojoulluèlhœilocchioeglvoliochiokieł(llygad)
아버지파드르pater, patremmonpérepaipaipadreparepairepèrepadrebabparitatăpoterz(tad)
포그ignis, fŏcusfufogolume, fogofuegofocfuòcfeufuocofieufûcfocfok(tân)
물고기피스크pĭscispichonpeixepeixepez, pescadopeixpeispoissonpescepeschpespeştepieszczpysgodyn
페드pĕs, pĕdempiedpiepeupiedpiedepepîtpicior, [piez]piedź(troed)
친구에피그amīcusanmiamigoamigoamigoamicamicamiamicoamiamìprieten, amicomik(cyfaill)
녹색귀르드vĭrĭdisvertverdeverdeverdeverdverdvertverdeverdvertverdewierdzigwyrdd
카팔ĕquus, cabăllusgvalcavalocabalocaballocavallcavalchevalcavallochavalcjavalcalkawałceffyl
에오ĕgoJ'/eujeueuyojoieujeiojaujoeujo(mi)
이슬īnsŭlaileilhaillaislaillaisclaîleisolainslaisuleinsulăizła(ynys)
언어, 혀린게디그, 링그lĭngualinguelíngualingualenguallengualengalanguelingualinguatg, lieungalenghelimbălęgwa(iaith)
귀드vītavievidavidavidavidavidavievitavitaviteviaţă, [vită]wita(bywyd)
우유라에스lac, lactisleiteleitelechelletlachlaitlattelatglatlaptełocllaeth
이름nōmennomnomenomenombrenomnomnomnomenumnonnumenumię(enw)
노에스nŏx, nŏctemnuitnoitenoitenochenitnuèchnuitnottenotggnotnoaptenoc(nos)
늙은그웨글vĕtus, vĕtŭlusviuvelhovelloviejovellvièlhvieuxvecchioveglvielivechiwiekły(hen)
학교이스콜schŏlaécoleescolaescolaescuelaescolaescòlaécolescuolascolascueleşcoalăszkołaysgol
하늘caelumciucéuceocielocelcèlcielcielotschielcîlcerczał(awyr)
이스투일stēllaétoéleestrelaestrelaestrellaestelestelaétoilestellastailastelesteaścioła(seren)
덴트dēns, dĕntemdintdentedentedientedentdentdentdentedentdintdintedzięćdant
목소리귀그vōx, vōcemvoévozvozvozveuvotzvoixvocevuschvôsvoce, [boace]wucz(llais)
아그aquaieuáguaaugaaguaaiguaaigaeauacquaauaagheapăjekwa(dŵr)
바람그웬트vĕntusvintventoventovientoventventventventoventvintvântwiętgwynt



웨일스어 단어의 약 4분의 1이 브리터니그 단어와 유사하다는 점은 인도유럽어족이라는 공통 기원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ysgol"과 같은 몇몇 단어는 라틴어에서 웨일스어로 차용된 것이다.

브리터니그의 인칭대명사는 다음과 같이 격에 따라 굴절된다.

인칭대명사주격대격여격분리격소유격
단수1인칭eomimuimew
2인칭tytituitew
복수1인칭nunustr
2인칭gwgwstr
공통3인칭 남성ysllollesuisew
3인칭 여성salla



3인칭은 수의 구분이 없지만, 뒤따르는 명사나 동사에서 기식 연음을 통해 나타낼 수 있다(단수 앞에서는 변이가 사용되지 않음). 브리터니그어는 T–V 구별법을 가지고 있으며, 화자가 친숙한 사람이나 신에게 말할 때는 ''ty''를 사용하고, 낯선 사람이나 덜 친숙하거나 더 격식을 갖춘 지인에게 말할 때는 ''Gw''를 사용한다(대문자로 표시). 여성 명사 앞에서는 뒤따르는 명사가 연음 변이를 보이며, 복수 앞에서는 기식 변이를 보인다. 변형될 때, ''ty''와 ''ti''는 ''di'' "of"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불규칙적으로 ''dy''가 된다. 웨일스어와 달리, 브리터니그어는 굴절 전치사를 덜 사용하며, 이러한 전치사는 "with"인 단어 ''cun''에서만 발견된다.

단수복수
1인칭unmeg'unnusc'
2인칭unneg'ungwsc'
3인칭unseg'


3. 예문

브리터니그의 주기도문은 다음과 같다.[1]

3. 1. 주기도문

Nustr Padr, ke sia i llo gel:|우리 아버지, 하늘에 계신 이여:rom

sia senghid tew nôn:|당신의 이름이 거룩하게 되소서:rom

gwein tew rheon:|당신의 나라가 오소서:rom

sia ffaeth tew wolont,|당신의 뜻이 이루어지소서,rom

syrs lla der sig i llo gel.|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rom

Dun nustr pan diwrnal a nu h-eidd;|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소서.rom

e pharddun llo nustr phechad a nu,|그리고 우리에게 죄를 용서하소서,rom

si nu pharddunan llo nustr phechadur.|우리 죄지은 이를 용서함과 같이.rom

E ngheidd rhen di nu in ill temp di drial,|그리고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시고,rom

mai llifr nu di'll mal.|다만 악에서 구하소서.rom

Per ill rheon, ill cofaeth e lla leir es ill tew,|이는 왕국과 권세와 영광이 당신의 것이기 때문입니다,rom

per segl e segl. Amen.|영원히. 아멘.rom

4. 한국의 인공어

한국에서도 다양한 인공어 창작 시도가 있었다.

참조

[1] 논문 Audience, Uglossia, and CONLANG: Inventing Languages on the Internet http://journal.media[...] 2000-03
[2] 웹사이트 Kemr, land of Brithenig speakers http://hobbit.griffl[...] 2021-10-08
[3] 웹사이트 Brithenig - IBWiki http://ib.frath.net/[...]
[4] 웹사이트 Esperanto, Elvish, and Beyond https://www.flickr.c[...] 2008-05-09
[5] 웹사이트 Babel Text Introduction http://www.langmaker[...]
[6] 문서
[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