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블레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레다는 434년부터 445년경까지 아틸라와 함께 훈족을 공동 통치했던 인물이다. 그는 훈족 왕족 문주크의 아들로, 동로마 제국을 침략하여 막대한 공납금을 요구했다. 블레다는 445년경 사망했으며, 일반적으로 아틸라에게 살해당한 것으로 여겨진다.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부다 지구는 그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헝가리 문학에서는 부다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90년 출생 - 아탈로스 (장군)
    아탈로스는 기원전 4세기 마케도니아의 장군으로 필리포스 2세의 측근이었으나, 알렉산더 대왕과의 갈등 끝에 처형되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기록과 여러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 445년 사망 - 범엽
    범엽은 동진 시대에 태어나 남조 송나라에서 관직을 지냈으며, 역사서 《후한서》를 저술했으나 유의강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었다.
  • 살해된 5세기 군주 - 율리우스 네포스
    율리우스 네포스는 474년부터 475년까지 서로마 제국 황제였으며, 오레스테스의 반란으로 달마티아로 망명한 후 480년 암살당할 때까지 황제 지위를 유지했다.
  • 살해된 5세기 군주 - 시아그리우스
    시아그리우스는 서로마 제국 말기 갈리아 지역의 지배자로 아버지 아에기디우스의 뒤를 이어 수아송 왕국을 건설했으나 프랑크 왕 클로비스 1세에게 패배하여 암살당했다.
블레다

2. 어원

그리스어 자료에는 'Βλήδας'(블레다스)와 'Βλέδας'(블레다스), 파스칼 연대기에는 'Βλίδας'(블리다스)가 있으며[3], 라틴어로는 'Bleda'(블레다)로 기록되어 있다.[3]

오토 매헨-헬펜은 이 이름이 게르만어 또는 게르만화된 기원이라고 생각했으며, 'Bladardus'(블라다르두스), 'Blatgildus'(블라트길두스), 'Blatgisus'(블라트기수스)의 약칭이라고 보았다.[3] 데니스 시노어는 이 이름이 자음군으로 시작하므로 알타이어족 기원이 될 수 없다고 보았다.[3]

오멜리안 프리차크는 그 뿌리인 'bli-'가 < '*bil-'에서 파생된 오고르-불가르어의 전형적인 모음 전위 현상을 보인다고 보았으며, 이는 고대 튀르크어로 "알다"라는 뜻이다.[3] 따라서 훈족어 '*bildä' > 'blidä'는 실제로는 고대 튀르크어 'bilgä'(현명한, 군주)였다.[3]

3. 생애

4세기볼가강 동쪽에서 나타난 훈족은 알란족, 고트족을 정복하고 동서 로마 제국 영토에 침입했다. 433년 서로마 제국의 장군 아에티우스와의 거래로 판노니아 영유를 인정받았다.

390년경 훈족 왕족 문주크의 아들로 태어난 블레다는 434년 숙부 루아 왕이 사망하자 동생 아틸라와 함께 훈족의 왕이 되었다.

즉위 초 블레다와 아틸라는 동로마 제국과 조약을 맺어 공납금을 배로 늘리고 훈족에서 도망한 자들을 송환받았다. 이후 몇 년 동안 동로마 제국과 평화가 유지되었으나, 439년 평화가 깨지고 훈족은 동로마 제국 영토로 침입하여 일리리아의 여러 도시를 파괴하고 약탈했다.

443년 훈족은 다시 동로마 제국 영토로 침공하여 동로마 제국군을 격파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쳐들어갔다. 맞설 방법이 없어진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막대한 공납금 지불을 인정하는 강화 조약을 맺을 수밖에 없었다.

블레다의 인물상을 전하는 기록은 부족하며[9], 체르코라는 무어인 소인 광대에 얽힌 일화만이 남아있다. 블레다는 체르코를 광대로 삼아 즐겼는데, 그가 도망가자 격노하여 그를 찾게 했다. 블레다는 체르코를 붙잡아 도망간 이유를 물었고, 그는 "아내를 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이에 블레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시녀를 보내주겠다고 맹세했다.[10]

445년경 블레다는 사망했다. 사냥 중 사고로 죽었다고도 하지만, 진상은 불명확하며 일반적으로 동생 아틸라에게 살해당했다고 여겨진다.[11][12] 블레다의 죽음으로 그에게 종속되어 있던 여러 부족은 아틸라의 지배하에 들어가 아틸라가 훈족의 유일한 왕이 되었다.

블레다 사후 프리스쿠스 등 동로마 제국의 사절이 블레다의 아내 중 한 명이 지배하는 마을에 들러 환대를 받았다는 기록이 남아있다.[13]

소인 체르코는 449년서로마 제국의 장군 아에티우스에게 선물로 보내졌고, 아에티우스는 그를 원래 주인에게 돌려보냈다.[14]

마자르인(헝가리인)은 스스로를 훈족의 후계자로 믿고 있으며, 헝가리 국가는 헝가리 국민을 "문주크(''Bendegúz'': 블레다와 아틸라의 아버지)의 혈통"(''Bendegúznak vére'')이라고 노래한다. 헝가리의 수도 부다페스트부다 지구는 블레다(헝가리어로 ''Buda'')의 이름에서 유래했다.[15]

3. 1. 초기 생애

블레다는 390년경에 훈족 왕족 문주크의 아들로 태어났다.[9] 434년 숙부 루아 왕이 사망하자 블레다는 동생 아틸라와 함께 훈족의 왕이 되었다.

3. 2. 아틸라와의 공동 통치 (434년 ~ 445년)

432년경, 훈족은 루길라 아래 통일되었다.[4] 434년 루길라가 사망하자 그의 조카 아틸라와 블레다(그의 형제 문주크의 아들)가 통일된 훈족 부족 전체를 통치하게 되었다.[4] 그들이 즉위했을 당시, 훈족은 로마 제국 내에서 피난처를 찾은 여러 반역 부족들의 반환에 대해 비잔틴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의 사절과 협상하고 있었다.[4]

다음 해, 아틸라와 블레다는 마르구스(현재의 포자레바츠)에서 황제의 사절단을 만났고, 훈족 방식대로 모두 말에 앉아 성공적인 조약을 협상했다.[4] 로마인들은 도망간 부족들(반달족에 대항하는 데 도움이 되었던)을 돌려보낼 뿐만 아니라, 이전의 공물 350 로마 파운드(약 114.5kg의 금)을 두 배로 늘리고, 훈족 상인에게 시장을 개방하며, 훈족에게 포로로 잡힌 각 로마인에게 8 솔리디의 몸값을 지불하기로 합의했다.[4] 훈족은 조약에 만족하여 제국에서 철수하여 고향으로 돌아갔다.[4] 테오도시우스 2세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성벽을 강화하고, 도시 최초의 해안 성벽을 건설했으며, 다뉴브강을 따라 국경 방어를 구축했다.[4]



그 후 5년 동안, 훈족은 페르시아 제국을 침략하려 하면서 로마의 눈에 띄지 않았다.[4] 아르메니아에서의 참패로 인해 그들은 이 시도를 포기하고 관심을 유럽으로 돌렸다.[4]

요르다네스에 따르면 (프리스쿠스를 따름), 훈족이 비잔티움에서 철수한 후 평화가 유지되는 동안(아마도 445년경), 블레다는 사망했고(고전 자료에 따르면 그의 형제에게 살해됨), 아틸라는 스스로 왕위를 차지했다.[4] 몇몇 자료에서는 블레다가 먼저 아틸라를 죽이려 했고, 아틸라가 보복했다는 것을 나타낸다.[4]

448년, 프리스쿠스는 아틸라 궁정에 사절로 갔을 때 이름 없는 마을의 총독이었던 블레다의 미망인을 만났다.[4]

3. 2. 1. 동로마 제국과의 관계

434년 숙부 루아 왕이 사망하자 블레다와 아틸라 형제가 훈족의 왕이 되었다.[9]

즉위 초 블레다와 아틸라는 동로마 제국과 조약을 맺어 공납금을 배로 늘리고 훈족에서 도망한 자들을 송환받았다.[9] 439년에 훈족은 동로마 제국 영토를 침입하여 일리리아의 여러 도시를 파괴하고 약탈했다.[9]

440년, 훈족은 로마 제국의 국경에 다시 나타나 다뉴브강 북쪽 강변의 시장에서 상인들을 공격했다. 아틸라와 블레다는 로마인들이 조약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고, 마르구스의 주교가 다뉴브 강을 건너 다뉴브 강 북쪽 강변에 있는 왕족 훈족 무덤을 약탈하고 훼손했다고 주장하며 추가적인 전쟁을 위협했다.

동로마 제국은 군대를 시칠리아에서 불러들여 대항했지만, 훈족은 443년에 다시 동로마 제국 영토로 침공하여 동로마 제국군을 격파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쳐들어갔다. 맞설 방법이 없어진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는 막대한 공납금 지불을 인정하는 강화 조약을 맺을 수밖에 없었다.[9]

3. 2. 2. 443년의 훈족 원정

443년, 훈족은 다뉴브강을 따라 공격하여 라티아리아의 군사 중심지를 점령하고 공성 망치와 다른 공성 무기를 동원하여 나이수스(현재의 니시)를 성공적으로 포위했다.[4] 이후 니샤바를 따라 세르디카(소피아), 필리포폴리스(플로브디프), 아르카디오폴리스(룰레부르가즈)를 점령했다.[4]

훈족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외곽에서 로마 군대를 격파했지만, 도시의 성벽을 뚫을 수 있는 공성 장비가 부족했기 때문에 물러났다.[4] 테오도시우스 2세는 패배를 인정하고 궁정 관리 아나톨리우스를 파견하여 평화 조건을 협상했다.[4] 황제는 침략 중에 조약 조건을 위반한 것에 대한 벌로 1963kg의 금을 넘겨주기로 합의했다.[4] 연간 공물은 세 배로 증가하여 687kg의 금으로 늘어났고, 각 로마인 포로에 대한 몸값은 12 솔리디로 증가했다.[4]

3. 3. 블레다의 죽음 (445년경)

445년경 블레다는 사망했다. 사냥 중 사고로 죽었다고도 하지만, 진상은 불명이며 일반적으로 동생 아틸라에게 살해당했다고 여겨진다.[11][12] 블레다의 죽음으로 그에게 종속되어 있던 여러 부족은 아틸라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아틸라는 훈족의 유일한 왕이 되었다.

3. 4. 블레다의 인물상

블레다에 관한 인물상은 기록이 부족하며[9], 체르코라는 무어인 소인 광대에 얽힌 일화만이 남아있다. 블레다는 체르코를 광대로 삼아 즐겼는데, 그가 도망가자 격노하여 그를 찾게 했다. 블레다는 체르코를 붙잡아 도망간 이유를 물었고, 그는 "아내를 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이에 블레다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시녀를 보내주겠다고 맹세했다.[10]

4. 유산

헝가리 문학에서 블레다는 부다(Buda)로 알려져 있다. 중세 자료에 따르면, 헝가리 왕국의 역사적인 수도 부다는 훈족 통치자 아틸라의 형제인 블레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헝가리수도, 부다페스트의 이름 또한 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15] 마자르인(헝가리인)은 스스로를 훈족의 후계자로 믿고 있으며, 헝가리 국가는 헝가리 국민을 "문주크(''Bendegúz'': 블레다와 아틸라의 아버지)의 혈통"이라고 노래한다.

5. 대중문화

에토레 마니가 연기한 블레다, 영화 ''아틸라''

  • 1954년 영화 ''아틸라''에서 에토레 마니가 블레다 역을 맡았다.
  • 같은 해 개봉한 영화 ''이교도의 표식''에서 레오 고든이 블레다 역을 맡았다.
  • 2001년 미니시리즈 ''아틸라''에서 스코틀랜드 배우 토미 플래너건이 블레다 역을 연기했다.

참조

[1]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2] 문서 The Origin and Deeds of the Goths https://www.ucalgary[...]
[3] 서적 Arianism: Roman Heresy and Barbarian Creed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014
[4] 서적 Attila the Hun Arch-Enemy of Rome https://books.google[...] Pen & Sword Books 2019
[5] 웹사이트 Mark of Kalt: Chronicon Pictum https://mek.oszk.hu/[...]
[6] 웹사이트 Anonymus, Notary of King Bél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https://discovery.uc[...]
[7] 문서 5世紀の歴史家プリスクスによる
[8] 문서 6世紀の歴史家プロコピオスによる
[9] 문서 「図説 蛮族の歴史」p55
[10] 문서 「フン族―謎の古代帝国の興亡史」p81
[11] 문서 「フン族―謎の古代帝国の興亡史」p95
[12] 문서 「アッチラ王とフン族の秘密―古代社会の終焉」p101
[13] 문서 「フン族―謎の古代帝国の興亡史」p119
[14] 문서 「フン族―謎の古代帝국의興亡史」p138
[15] 문서 複数由来があるのでブダペスト#呼称参照
[16]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17] 문서 The Origin and Deeds of the Goths https://www.ucalg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