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 (건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록(건설)은 직육면체 형태의 건설 자재를 통칭하며, 일반적으로 '시멘트 블록' 또는 '콘크리트 블록'으로 불린다. 콘크리트 블록은 주조된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규격은 나라별로 차이가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KS F4002에 따라 속 빈 콘크리트 블록이 표준 규격이며, 미국, 영국, 뉴질랜드 등에서도 각기 다른 규격을 사용한다. 블록은 건물 벽, 옹벽, 담장 등 건축 자재로 사용되며, 토목 공사에서도 사면이나 호안을 덮는 재료로 활용된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에 처음 사용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시가지 부흥을 위해 널리 보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적조 - 콘크리트
콘크리트는 시멘트 등의 결합재로 골재를 결합한 인공 복합재료로, 높은 압축강도와 내구성을 지녀 건축, 토목 공사에 널리 사용되며, 특히 철근콘크리트 형태로 많이 쓰이고, 고대 로마 시대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포틀랜드 시멘트 발명 후 현대 건설의 필수 재료로 자리 잡았고, 용도와 시공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제조 과정과 환경 및 안전 문제가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 조적조 - 벽돌
벽돌은 흙을 구워 만든 건축 재료로, 오랜 역사를 거쳐 다양한 문화권과 한국에서 건축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제조 방식, 용도, 크기, 형태, 원산지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콘크리트 - 철근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와 철근의 인장 강도를 결합하여 구조적 효율성을 높인 건축 재료이며, 콘크리트의 알칼리성이 철근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확보한다. - 콘크리트 - 철근
철근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재로 사용되는 강철 막대로,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를 보완하여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 건축재료 - 철근 콘크리트
철근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와 철근의 인장 강도를 결합하여 구조적 효율성을 높인 건축 재료이며, 콘크리트의 알칼리성이 철근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확보한다. - 건축재료 - 스테인리스강
스테인리스강은 철에 크롬을 10.5% 이상 첨가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합금으로, 다양한 종류와 뛰어난 내식성, 강도를 가지며 여러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100% 재활용 가능한 지속 가능한 소재이다.
블록 (건설) | |
---|---|
개요 | |
![]() | |
종류 | 벽돌, 건축자재 |
재료 | 콘크리트 |
상세 정보 | |
정의 |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큰 직사각형 블록 |
용도 | |
주요 용도 | 벽 건설 |
특징 | |
장점 | 저렴함 간편함 내구성 내화성 |
단점 | 미관상 좋지 않음 (페인트칠 또는 덮개 필요) 단열 성능 낮음 |
기타 특징 | 속이 비어 무게를 줄이고 단열 효과를 높임 |
기타 정보 | |
다른 이름 | 콘크리트 블록 시멘트 블록 속빈 블록 블록 CMU (Concrete Masonry Unit, 콘크리트 조적 단위) |
크기 | 표준 크기는 390 mm × 190 mm × 100 mm이지만, 다양한 크기 존재 |
2. 용어
일반적으로 시멘트 콘크리트로 만든 직육면체 블록이라는 뜻으로 '''시멘트 블록''', '''콘크리트 블록'''으로 불린다.
콘크리트 블록은 포틀랜드 시멘트와 건설 골재인 모래, 미세한 자갈을 섞어 만든 콘크리트 주조물이다. 미국 서부에서는 다공성 용암 자갈을 사용하여 무게를 줄이기도 한다. 또한, 분할면 블록처럼 특정 유형에는 붉은색이나 검은색을 넣어 장식 효과를 더하기도 한다. 플라이 애시나 바닥재 같은 산업 폐기물을 골재로 사용하여 저밀도 블록을 만들 수도 있다.[6][7][8]
블록은 모듈형 크기로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두께에 따라 "4인치", "6인치", "8인치", "12인치" 등으로 불린다.
일본어 투 낱말로 '부로크', '보로꾸', '브로꾸' 등으로도 불렸는데, 이는 일본어인 '부롯쿠(ブロック일본어)', '콩쿠리토부로쿠(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일본어)'에서 들어온 말로 2005년 국립국어원이 출판한 일본어 투 용어 순화 자료집에 수록되어 있다.[2][3]
미국에서는 재(플라이 애시 또는 바닥재)를 골재로 사용하는 것을 "시멘트 블록"이라고 부른다. "브리즈 블록"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연소된 석탄에서 생성되는 작은 찌꺼기와 찌꺼기 먼지를 의미하는 "브리즈"에서 파생된 용어이다.[2][3] 하지만 미국에서는 브리즈 블록이 미드 센추리 모던 디자인의 중요한 특징이었으며, 에드워드 듀렐 스톤에 의해 대중화된, 통풍을 위해 외벽에 사용되는 장식 블록을 특별히 지칭하기도 한다.[4]
호주에서는 '''베서 블록'''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베서 컴퍼니가 콘크리트 블록을 만드는 기계의 주요 공급업체였기 때문이다. 또한 '''회색 블록''' 또는 콘크리트 조적 유닛(CMU)이라고도 한다.[5]
'''클링커 블록'''은 클링커 (석탄, 석회암 및 철광석과 같은 광물의 불순물에서 폐기물로 생성된 재)를 사용하며, 슬래그라고도 한다.[1]
3. 구성
폐유리, 슬래그 시멘트, 재활용 골재와 같은 재활용 재료도 블록 구성에 자주 사용된다.[9]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면 테라조 마감과 같이 다양한 외관을 만들 수 있고, LEED 인증을 획득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오토클레이브 처리된 기포 콘크리트를 사용하면 경량 블록을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은 재료 자체의 단열 특성 덕분에 핀란드, 스칸디나비아 국가, 중부 유럽에서 널리 사용된다. 팽창 점토 골재 블록도 마찬가지이다.
4. 규격
4. 1. 대한민국
대한민국 규격은 보강근을 삽입하는 속 빈 부분을 갖고, 블록 벽체로 외력을 부담하는 것을 말한다.[19]4. 2. 미국
미국의 일반적인 콘크리트 블록 규격은 410mm×200mm×200mm(16×8×8 in)이나, 실제 크기는 줄눈 몰탈을 넣기 때문에 약 9.5mm 정도 작다.[1]
4. 3. 영국, 아일랜드
영국과 아일랜드는 몰탈 줄눈 부분을 제외하고 보통 440×215×100 mm 규격을 쓴다.[1]
4. 4. 뉴질랜드
뉴질랜드는 몰탈 줄눈 부분을 제외하고 보통 390 × 190 × 190 mm 규격을 쓴다.
5. 구조
대부분의 콘크리트 블록은 두 개의 코어(속 빈 부분)를 가지고 있으며,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설계되어 표면(놓여진 상태)에 모르타르를 더 넓게 펼칠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하다. 코어는 철근을 삽입하여 층을 가로질러 인장 강도를 높일 수 있는데, 이는 철근이 들어있는 블록의 빈 공간에 콘크리트를 그라우트하여 달성된다. 이처럼 보강된 콘크리트 블록 벽은 풍하중 및 지진력과 같은 횡력에 더 잘 견딜 수 있어 내진 설계 등에 활용된다.[1] 코어는 발포 폴리스티렌 (EPS) 블록 폼 단열재로 채워져 벽의 R-값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1]
특수한 건설 기능을 허용하기 위해 다양한 특수 모양 블록이 존재한다.
- U자형 블록 (노크아웃 블록): 수평 보강재를 구멍에 그라우팅하여 본드 빔 또는 린텔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홈이 있다.
- 잼 블록: 끝 부분에 채널이 있어 문을 벽 조립체에 고정할 수 있다.
- 팽창 조인트 구성 블록: 홈이 있는 끝 부분이 있어 모르타르가 없는 블록 끝 부분 사이에 충전재를 고정할 수 있다.
- 불노즈 블록: 반경 처리된 모서리를 가지고 있다.
콘크리트 블록은 마감 용도로 특정 색상이나 질감을 생성하기 위해 특수 골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골이 있거나 솔리드한 2블록 유닛을 분할하여 특수 질감을 만들 수 있는데, 이러한 공장에서 생산된 유닛을 "분할 리브" 또는 "분할 면" 블록이라고 한다.[1] 블록은 모르타르 조인트 너비의 홈으로 점수를 매겨 다른 블록 모듈을 시뮬레이션할 수도 있다.[1] 예를 들어, 8by(x) 블록은 중간에 점수를 매겨 8by(x) 조적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며, 홈은 모르타르로 채워지고 실제 조인트와 일치하도록 칠해진다.[1]


6. 용도
블록은 건축물의 하중 지지 벽, 칸막이 벽, 블록 담 등 본격적인 건축 자재로 사용된다. 또한 홈 센터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원예 용품 등 간편한 자재로도 폭넓게 활용된다. 토목 공사에서는 도로 사면이나 하천의 호안을 덮는 재료로 사용되는데, 주로 겐치이시를 대체하는 '간치 블록'이 사용된다. 간치 블록은 사면 전면에 조합하여 쌓고, 뒤에 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한다.
건축용 콘크리트 블록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속 빈 콘크리트 블록
- 미장 콘크리트 블록
- 거푸집 콘크리트 블록
토목용 콘크리트 블록에는 인터로킹 블록 등이 있다. 하천 호안용 블록은 1997년 하천법 개정에 따라 물가 생물을 배려한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록은 전면의 공동에 주변 토사나 돌을 채워 넣어 강변 침식 방지 기능을 하면서도, 강변과 동일한 생태계 및 식생 보호를 돕는다.
7. 역사
메이지 시대 중기, 초대 아사노 소이치로가 아사노 시멘트 도쿄 공장 사무소를 콘크리트 블록으로 건축했는데, 이것이 일본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잿더미가 된 시가지를 부흥시키기 위해 간편하고 높은 불연성을 가진 소재가 필요해지면서 콘크리트 블록이 주목받았다. 미국에서 블록 제조기가 수입되어 공장에서 규격화된 블록의 대량 생산이 시작되자 순식간에 전국으로 보급되었다.
일본에서도 기술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특히 건축가 나카무라 시즈카가 개발한 나카무라식 철근 콘크리트 블록으로 지어진 건물은 1921년부터 그가 사망한 1933년까지 전국에서 119건이 건축되었다. 이 블록은 특징적인 L자형으로, 그의 이름에서 유래하여 "친 블록"이라고 불린다.
국산품의 등장으로 규격이 난립할 우려가 생기자, 1952년에 이미 JIS 규격화되었다. (JIS A 5406)
8. 기타
콘크리트 블록은 특정 건설 자재로 지정되어 있다. 콘크리트 블록 벽은 무충전, 부분 충전, 완전 충전될 수 있으며, 철근 보강을 통해 구조적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14] 콘크리트 블록 및 조적 벽의 압축 강도는 콘크리트 유형, 모르타르 유형, 쌓기 방향 등에 따라 달라진다.[15][16][17][18]
조적조의 재료로, 수평·수직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쌓아 사용한다. 다만, 수평 방향의 외력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콘크리트 블록의 단면을 보면,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구멍이 뚫려 있다. 이 구멍을 이용하여 철근을 통과시키거나 모르타르를 충전하는 등의 방법으로 구조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oncrete Masonry
https://ncma.org/bui[...]
2023-01-31
[2]
웹사이트
breeze-block
https://www.encyclop[...]
2023-07-26
[3]
서적
breeze
http://dictionary.o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11-30
[4]
웹사이트
All about breeze blocks
https://www.atomic-r[...]
2019-09-24
[5]
웹사이트
The Who, What, When & Why of Besser Blocks
https://www.apexmaso[...]
2019-08-15
[6]
웹사이트
A new invention by two female engineers could be the solution to Gaza's rebuilding problems - The Independent
http://www.independe[...]
2018-02-28
[7]
웹사이트
Rebuilding Gaza: 'Green Cake' could be the phoenix rising from Gaza's ashes - Middle East Eye
http://www.middleeas[...]
2017-04-17
[8]
웹사이트
Block Making Machine aggregate example
http://www.concrete-[...]
Web Editor
[9]
웹사이트
Masonry & LEED v4: Continuing Education from Echelon Masonry
https://www.echelonm[...]
2019-02-12
[10]
웹사이트
Concrete Block (CMU) Sizes, Shapes, and Finishes
https://www.archtool[...]
[11]
서적
Coursing Tables, Metric Shapes and Sizes
Canadian Concrete Masonry Producers Association
[12]
웹사이트
EPS Insulation {{!}} Geofoam, Styrofoam, EPS & Polystyrene {{!}} Universal Foam Products
https://universalcon[...]
2020-10-26
[13]
서적
A Visual Dictionary of Architecture
"[[John Wiley & Sons]], Inc."
[14]
웹사이트
TMS 402/602-16 Building Code Requirements and Specification for Masonry Structures
https://shop.iccsafe[...]
2024-06-04
[15]
웹사이트
ASTM Specifications for concrete masonry units
https://ncma.org/res[...]
[16]
웹사이트
Compressive Strength of Masonry
http://www.cement.or[...]
Portland Cement Organization
2016-06-05
[17]
웹사이트
Comprehensive Strength of Hollow Concrete Blockwork
http://www.nrc-cnrc.[...]
Government of Canada
1986-06-04
[18]
웹사이트
Properties of Concrete Blocks — Strength
http://chestofbooks.[...]
[19]
간행물
http://www.fkcic.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