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다 더턴 스커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다 더턴 스커더는 1861년 인도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활동한 영문학 교수, 사회 운동가, 작가이다. 스미스 칼리지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웰즐리 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가르치며 사회 개혁 운동에 참여했다. 기독교 사회주의와 평화주의를 옹호했으며, 여성 노동 연맹, 대학 정착 협회 설립에 기여했다. 1954년 사망했으며, 저서로는 《프란체스코의 모험》, 자서전 《여행 중》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성소수자 작가 - 리투파르노 고쉬
    인도의 영화 감독, 각본가, 배우인 리투파르노 고쉬는 벵골 영화계에서 여성의 삶과 감정을 섬세하게 묘사한 작품들을 연출하고 인도 영화계에서 공개적으로 활동한 LGBT 인물이자 퀴어 커뮤니티의 아이콘으로 여겨진다.
  • 웰즐리 대학교 교수 - 애니 점프 캐넌
    애니 점프 캐넌은 미국의 천문학자로, 하버드 천문대에서 별의 스펙트럼을 분류하고 하버드 분류 체계 개발에 기여했으며, 헨리 드레이퍼 목록 완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수많은 변광성과 신성을 발견하여 천문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겼다.
  • 웰즐리 대학교 교수 - 호르헤 기옌
    스페인의 27세대 시인이자 문학 평론가인 호르헤 기옌은 순수시 경향의 대표적인 시집 《칸티코》를 통해 긍정적이고 환희에 찬 시 세계를 구축했으며, 스페인 내전 이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교수로서 활동하다 만년에 문학적 업적을 인정받았다.
  • 미국 사회당 - 미국 사회민주당
    미국 사회민주당은 유진 V. 데브스를 중심으로 1897년에 결성되어 정치 조직을 통해 사회주의를 실현하려 했으나, 식민지 건설 시도에 대한 반발로 분열되었다.
  • 미국 사회당 - 라인홀드 니버
    라인홀트 니버는 미국의 개신교 신학자이자 정치 철학자로, 사회복음주의 비판과 기독교 현실주의 운동을 통해 미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노동자 권익 옹호와 유니언 신학교 교수 활동, 그리고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평온을 비는 기도〉 등으로 알려져 있다.
비다 더턴 스커더
기본 정보
비다 더턴 스커더
비다 더턴 스커더
인물 정보
출생1861년 12월 15일
사망1954년 10월 9일 (92세)
사망 장소웰즐리, 매사추세츠주
국적
국적미국
직업
직업교육자
작가
사회 복지 운동가
학력
모교스미스 칼리지, 옥스퍼드 대학교
경력
경력웰즐리 대학교 교수
종교
종교성공회
사상과 활동
주요 관심사사회 정의, 기독교 사회주의, 여성 권리
영향 받은 인물존 러스킨, 프레데리크 데니스 모리스
주요 저서《사회주의와 개인주의》(Socialism and Character, 1912)
《프란체스코회 수도사의 사회적 이상》(The Franciscan Adventure, 1931)
《나의 방식으로 긴 여정》(On my own way; an autobiography, 1935)
사회 활동
참여 단체칼리지Settlement 협회
여성 무역 연맹
사회주의자 기독교 연맹
미국 사회당

2. 초기 생애

비다 더턴 스커더는 1861년 12월 15일, 인도 마두라이에서 회중교회 선교사였던 아버지 데이비드 코이트 스커더와 어머니 해리엇 루이즈 스커더 사이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는 그녀가 태어난 다음 해인 1862년 사고로 세상을 떠났고, 이후 어머니와 함께 미국 보스턴으로 돌아와 성장하였다.[1]

보스턴에서 교육을 받은 후 스미스 칼리지에 진학하여 1884년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1] 이듬해인 1885년, 그녀는 클라라 프렌치와 함께 옥스퍼드 대학원 과정에 입학한 최초의 미국 여성 중 한 명이 되었으며,[1][2] 1886년 학업을 마치고 보스턴으로 돌아왔다.[1][2]

2. 1. 가족 배경

비다 더턴 스커더는 1861년 12월 15일, 인도 마두라이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데이비드 코이트 스커더와 해리엇 루이즈 (더튼) 스커더의 외동딸이었다. 아버지는 회중교회 선교사였으며, 스커더 선교사 가문의 일원이었다.[1] 스커더 가문은 인도에서 활동한 선교사 집안으로 알려져 있다. 그녀의 아버지는 1862년에 사고로 익사하였고, 이후 스커더는 어머니와 함께 보스턴에 있는 가족의 집으로 돌아왔다.[1] 스커더의 집안은 보스턴의 명문가였다.

2. 2. 유년 시절

비다 더턴 스커더는 1861년 12월 15일, 인도 마두라이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회중교회 선교사였던 데이비드 코이트 스커더와 해리엇 루이즈(더튼) 스커더의 외동딸이었다. 1862년 아버지가 사고로 세상을 떠난 후, 스커더는 어머니와 함께 미국 보스턴에 있는 가족의 집으로 돌아왔다. 유럽 여행 기간을 제외하고 보스턴에서 성장하며 사립 중등학교를 다녔고, 1880년에는 보스턴 여자 라틴 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스미스 칼리지에 입학하여 1884년에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1]

1885년, 스커더는 클라라 프렌치와 함께 옥스퍼드 대학원 과정에 입학한 최초의 미국 여성 중 한 명이 되었다. 그곳에서 그녀는 요크 파월과 존 러스킨의 영향을 받았다. 또한 영국에 머무는 동안 레프 톨스토이조지 버나드 쇼, 페이비언 사회주의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스커더와 프렌치는 1886년에 보스턴으로 돌아왔다.[1][2]

2. 3. 교육 과정

아버지 데이비드 코이트 스커더가 1862년 사망한 후, 어머니와 함께 보스턴으로 돌아와 성장했다. 보스턴의 사립 중등학교를 다녔으며, 1880년에는 보스턴 여자 라틴 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스미스 칼리지에 입학하여 1884년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1]

1885년 그녀는 클라라 프렌치와 함께 옥스퍼드 대학원 과정에 입학한 최초의 미국 여성 중 한 명이 되었다. 옥스퍼드에서는 요크 파월과 존 러스킨의 영향을 받았다. 영국에 머무는 동안 레프 톨스토이조지 버나드 쇼, 페이비언 사회주의의 영향도 받았다. 스커더와 프렌치는 1886년 보스턴으로 돌아왔다.[1][2]

3. 학문 및 사회 활동

비다 더턴 스커더는 1887년부터 웰즐리 대학교에서 영문학 교수로 재직하며 학문 활동을 시작했다.[2][3] 그녀는 가르치는 동안 대학 복지관 활동 등을 통해 빈곤 문제와 사회 구조적 모순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이는 이후 그녀가 사회 운동에 참여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3]

스커더는 1887년 동료 교수들과 함께 대학 정착 협회를 공동 설립하고,[4] 보스턴의 데니슨 하우스 설립 및 운영에 참여하는 등[5] 초기 정착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 또한, 성공회 신자로서 기독교 사회주의 운동에도 참여하여 성십자가 동반자 협회, 기독교 사회주의자 협회 등에서 활동하며 신앙과 사회 개혁 의지를 결합하고자 했다.[1][2]

그녀는 노동 운동에도 깊이 관여하여 보스턴 중앙 노동 연합, 연방 노동 연합, 여성 노동 연맹 등의 조직 활동을 지원하며 노동자들의 권익 향상을 위해 노력했다.[3][1] 1911년에는 성공회 사회주의자 연맹을 공동 설립하고 사회당에 가입하며 더욱 적극적인 진보적 행보를 보였다.[1][2] 특히 1912년 매사추세츠주 로렌스에서 발생한 섬유 노동자들의 파업을 공개적으로 지지하고 연설하여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3][6][7] 이러한 활동은 보수적인 대학 당국과의 갈등을 유발하기도 했으나, 스커더는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3]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스커더는 유진 빅터 데브스 등 다른 사회주의 지도자들과는 달리 1917년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참전 결정을 지지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소비에트 연방의 폭력 사태를 접하면서 점차 평화주의 사상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녀는 인간 내면의 변화 없이는 진정한 사회 변화가 불가능하다고 보았으며, 이후 화해 협회 가입, 여성 국제 평화 자유 연맹 활동 등을 통해 평화 운동에 헌신했다. 스커더의 삶은 학문적 탐구와 사회적 실천을 통합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이었다고 평가된다.

3. 1. 웰즐리 대학교 교수

스커더는 1887년부터 웰즐리 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가르쳤으며, 1892년 부교수가 되었고 1910년 정교수로 임용되었다.[2][3] 그녀는 웰즐리 대학교 재직 중 대학 직영 복지관에서 민중들과 만나면서 빈곤 문제와 그 원인이 되는 사회 구조적 문제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되었다. 또한, 부당한 경영 방식과 노동자 착취로 얻은 기부금을 학교가 받아서는 안 된다는 운동을 동료 교수들과 함께 펼치기도 했다.

1887년, 스커더는 헬레나 더들리, 캐서린 코만, 캐서린 리 베이츠 등 동료들과 함께 대학 정착 협회(College Settlements Association)를 설립한 창립 회원 중 한 명이었다.[4] 그녀는 에밀리 그린 발치와 함께 협회의 세 번째 정착촌 사업인 보스턴의 데니슨 하우스 설립에도 참여했으며,[5] 1893년부터 1913년까지 이곳의 주요 운영을 맡았다.[1]

1894년부터 1896년까지는 웰즐리 대학교에서 안식년 휴가를 받아 이탈리아프랑스에서 현대 문학을 연구하는 시간을 가졌다.[2]

1911년, 스커더는 성공회 사회주의자 연맹 공동 설립에 참여하고 사회당에 가입하며 더욱 분명한 진보적 행보를 보였다. 그녀는 마르크스주의기독교 신념 사이의 조화를 모색하고자 노력했다. 1912년 매사추세츠주 로렌스에서 발생한 섬유 노동자들의 파업을 지지하고 파업 집회에서 연설하면서 큰 논란을 빚었다.[3] 당시 스커더는 다음과 같이 선언하며 자신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 나는 이 도시에서 의심의 여지 없이 존재했음을 알고 본 그런 비참함의 대가로 내 의복이 짜여졌다는 것을 알 바에야 다시는 양모 실 한 가닥도 입고 싶지 않습니다. ... 만약 임금이 인간과 여성을 품위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기준보다 낮다면, 양모 산업은 현재 매사추세츠에서 존재할 권리가 없습니다.[6][7]

이러한 그녀의 진보적인 사회 의식과 활동은 보수적인 교육계와의 갈등을 야기했고, 교수직 사임 압력을 받기도 했으나, 웰즐리 대학교는 스커더의 해고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3]

1913년, 스커더는 데니슨 하우스 운영에서 손을 떼고 어머니와 함께 매사추세츠주 웰즐리로 거처를 옮겼다.[1]

3. 2. 사회 운동 참여

웰즐리 대학교 직영 복지관에서 민중들과의 만남은 스커더가 빈곤 문제와 그 원인이 되는 사회 구조적 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녀는 동료 교수들과 함께, 부당한 경영 방식과 노동자 착취로 얻은 학교가 기부받아서는 안 된다는 운동을 펼치기도 했다.

1887년에는 헬레나 더들리, 캐서린 코만, 캐서린 리 베이츠 등과 함께 대학 정착 협회를 설립한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다.[4] 또한 에밀리 그린 발치와 함께 대학 정착 협회의 세 번째 정착촌 사업인 보스턴의 데니슨 하우스 설립에도 참여했으며,[5] 1893년부터 1913년까지 데니슨 하우스의 주요 행정관으로 활동했다.[1] 1903년에는 데니슨 하우스에서 이탈리아계 미국인 공동체 조직인 Circolo Italo-Americanoita의 이사를 맡았다.[1]

1888년, 스커더는 중재 기도와 사회적 화해에 헌신하는 성공회 여성 단체인 성십자가 동반자 협회에 가입했다. 같은 해, 윌리엄 드와이트 포터 블리스가 이끌던 기독교 사회주의자 협회에도 가입했는데, 이 단체는 보스턴에 목수 교회를 세우고 정기간행물 The Dawneng을 발행했다.[1][2]

노동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1893년에는 보스턴 중앙 노동 연합의 대표를 맡았다.[3] 이후 미국 노동 연맹에 가입한 전문직 종사자들의 그룹인 연방 노동 연합 조직을 도왔다.[1] 1903년에는 여성 노동 연맹 창설에도 기여했다.[1]

1911년 스커더는 더욱 적극적인 사회 참여를 위해 성공회 사회주의자 연맹을 공동 설립하고 사회당에 입당했다.[1][2] 그녀는 마르크스주의기독교 신념을 조화시키려 노력했다. 1912년 매사추세츠주 로렌스에서 벌어진 섬유 노동자들의 파업을 지지하며 파업 집회에서 연설하여 큰 논란을 일으켰다. 당시 그녀는 "그렇게 인간을 비참하게 만들면서 옷감이 만들어지는 한 나는 절대 모직 옷을 입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노동자들의 편에 섰다.[6][7] 이러한 그녀의 진보적인 사회 활동은 보수적인 교육계와의 갈등을 야기했고 교수직 사임 압력을 받기도 했으나, 웰즐리 대학교는 그녀의 해고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3]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스커더는 유진 빅터 데브스 등 다른 사회주의 지도자들과는 달리 1917년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참전 결정을 지지했다. 1919년에는 산업 민주주의를 위한 교회 연맹을 창설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소비에트 연방에서 벌어진 폭력 사태를 목격하면서 스커더는 점차 평화주의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녀는 인간의 마음이 변화하지 않는 한, 혁명만으로는 새로운 세상이 아닌 또 다른 지옥이 만들어질 뿐임을 깨달았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성찰은 그녀가 성 시에나의 카타리나와 성 프란체스코의 삶과 영성에 관심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1920년대에 들어 그녀는 본격적으로 평화주의 노선을 걷기 시작하여 1923년 화해 협회에 가입했으며, 같은 해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서 열린 여성 국제 평화 자유 연맹 회의에서 강연하기도 했다.

3. 3. 사회주의 및 평화주의

스커더는 1911년 미국 사회당에 입당하며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했다. 그녀는 웰리슬리 대학교 재직 시절부터 빈곤 문제와 구조적 에 대해 깊이 고민했으며, 옳지 않은 경영 방식과 노동자 착취로 얻은 학교가 기부받는 것에 반대하는 운동을 동료 교수들과 함께 펼쳤다. 1912년 매사추세츠에서 발생한 의류 노동자들의 파업 투쟁 당시에는 "그렇게 인간을 비참하게 만들면서 옷감이 만들어지는 한 나는 절대 모직 옷을 입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노동자들의 편에 섰다. 이러한 진보적인 사회의식은 보수적인 교육계와의 갈등을 야기하여 교수직 사임 압력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옛 소비에트 연방에서 나타난 폭력을 목격하면서 스커더는 폭력적인 방식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며 평화주의로 전향했다. 그녀는 혁명만으로는 진정한 변화를 이룰 수 없으며, 사람의 마음이 바뀌지 않으면 새로운 지옥이 만들어질 뿐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성찰을 통해 스커더는 성 시에나의 카타리나와 성 프란체스코의 삶과 영성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4. 후기 생애

1927년 웰즐리에서 명예 교수로 은퇴한 후에도[3][9] 스커더는 학문 연구와 저술 활동을 꾸준히 이어갔다. 1930년 웰즐리 여름 기독교 윤리 학교 초대 학장을 맡았고, 1931년에는 뉴스쿨에서 강연했다. 프란체스코 수도회 연구에 매진하여 『프란체스코의 모험』(1931)을 출판하며 해당 분야의 권위자로 인정받았으며,[12] 이후 자서전 『여행 중』(1937)과 에세이집 『노년의 특권』(1939)을 출간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스미스 칼리지(1922)와 나쇼타 하우스(1942)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9] 1954년 10월 9일 매사추세츠주 웰즐리 자택에서 사망했으며,[13] 뉴턴 묘지에 동료 플로렌스 컨버스 옆에 안장되었다.[14]

4. 1. 은퇴와 학문 연구

스커더는 1927년 웰즐리에서 은퇴하며 명예 교수 칭호를 받았다.[3][9] 은퇴 후에도 학문 활동을 이어가, 1930년에는 웰즐리에서 여름 기독교 윤리 학교의 초대 학장을 맡았고, 1931년에는 뉴욕의 뉴스쿨에서 매주 강연을 진행했다. 특히 프란체스코 수도회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에 몰두하여 1931년 『프란체스코의 모험』을 출판했으며, 이 책을 통해 당대 최고의 프란체스코 학자 중 한 명으로 인정받게 되었다.[12]

이후에도 저술 활동을 계속하여 1937년 런던에서 자서전 『여행 중』을, 1939년 뉴욕에서 에세이집 『노년의 특권』을 출판했다.

스커더는 학문적 공로를 인정받아 여러 명예 학위를 받았다. 1922년에는 스미스 칼리지에서 문학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42년에는 위스콘신주 나쇼타에 위치한 성공회 신학교인 나쇼타 하우스에서 법학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9]

4. 2. 저술 활동

웰즐리에서 은퇴한 후에도 스커더의 학문과 저술 활동은 계속되었다.[3][9] 특히 프란체스코 수도회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여 1931년 『프란체스코의 모험』을 출판했다. 이 저술을 통해 당대 최고의 프란체스코 학자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12] 이후 1937년에는 런던에서 자서전 『여행 중』을 출판했으며, 1939년 뉴욕에서 에세이집 『노년의 특권』을 출간하며 꾸준히 저작 활동을 이어갔다.

4. 3. 명예 학위

스커더는 1922년 스미스 칼리지에서 문학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42년에는 위스콘신주 나쇼타에 있는 성공회 신학교인 나쇼타 하우스에서 법학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9]

4. 4. 죽음과 유산

스커더는 1927년 웰즐리에서 은퇴하여 명예 교수의 칭호를 받았다.[3][9] 은퇴 후에도 활발히 활동하여, 1930년에는 웰즐리 여름 기독교 윤리 학교의 초대 학장을 맡았고, 1931년에는 뉴욕의 뉴스쿨에서 매주 강연을 했다. 특히 프란체스코 수도회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1931년 The Franciscan Adventure영어을 출판하며 당대 최고의 프란체스코 학자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다.[12] 이후 1937년 런던에서 자서전 On Journey영어을, 1939년 뉴욕에서 에세이집 The Privilege of Age영어을 출간했다.

그녀의 학문적 업적을 기려 스미스 칼리지는 1922년 문학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했으며, 위스콘신주 나쇼타에 있는 성공회 신학교인 나쇼타 하우스는 1942년 법학 명예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9]

비다 더턴 스커더는 1954년 10월 9일 매사추세츠주 웰즐리의 자택에서 9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며,[13] 매사추세츠주 뉴턴의 뉴턴 묘지에 동료이자 오랜 동반자였던 플로렌스 컨버스 옆에 안장되었다.[14] 미국 성공회는 그녀를 기리기 위해 매년 10월 10일을 전례력 상 스커더의 축일로 기념하고 있다.[15]

5. 사상과 신념

비다 더턴 스커더는 개인의 자선 행위를 넘어 사회 구조적인 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기독교양심을 강조했다. 그녀는 모든 개인이 각자의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한 만큼 보상받으며, 서로 사랑자비의 관계를 맺는 사회를 꿈꿨다. 이러한 신념은 하느님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인간의 삶과 사회 제도 속에 함께하신다는 성육신 사상과, 예수의 자기 비움과 낮아짐을 통해 하느님의 뜻이 드러난다는 십자가 신학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었다.[1][2] 그녀의 사상은 단순한 이론에 머물지 않고, 사회주의 운동 참여와 노동자 권익 옹호 등 구체적인 사회 활동으로 이어졌다.[3]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참전 결정을 지지하기도 했으나, 1920년대에는 평화주의를 받아들여 화해 협회에 가입하는 등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5. 1. 기독교 사회주의

스커더는 기독교양심이 단순한 자선 행위를 넘어 사회 구조적 문제까지 성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기독교양심이라는 게 고작 자선이나 베푸는 것일까? 그런 걸로 사회적 불평등이 해소될 수 있을까? 나 같은 교수가 있는 돈 갖고 하는 일 말고 그 돈이 어떻게 생기게 되는지 따지는 것도 신앙적 양심의 표현 아닐까?"라고 물으며,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임금을 받는 세상을 성육신 사상(하느님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인간의 삶과 제도, 일에 들어오셨다는 믿음)과 십자가 신학(하느님이 예수 그리스도의 자기 비움과 무력함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셨다는 믿음)에 근거하여 제시했다. 이는 주는 자와 받는 자 모두 인간적으로 성장하는 사랑자비의 관계를 맺는 사회를 지향하는 것이었다.

1888년, 스커더는 윌리엄 드와이트 포터 블리스가 이끌던 기독교 사회주의자 협회에 가입했다. 이 단체는 보스턴에 목수 교회를 세우고 The Dawn|더 던eng이라는 간행물을 발행했다.[1][2] 같은 해, 프렌치 신부의 사망 후에는 중재 기도와 사회적 화해에 헌신하는 성공회 여성 단체인 성십자가 동반자 협회에도 가입했다.[1]

1911년에는 더욱 진보적인 입장을 취하며 성공회 사회주의자 연맹을 공동 설립하고 사회당에 가입했다.[3] 스커더는 마르크스주의기독교의 교리를 조화시키고자 노력했다.[3]

1912년 매사추세츠주 로렌스에서 일어난 섬유 노동자 파업을 지지하며 파업 집회에서 연설하여 논란의 중심에 섰다. 당시 웰즐리 대학교는 스커더의 해임 요구를 거부했다.[3] 스커더는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나는 이 도시에서 의심의 여지 없이 존재했음을 알고 본 그런 비참함의 대가로 내 의복이 짜여졌다는 것을 알 바에야 다시는 양모 실 한 가닥도 입고 싶지 않습니다. ... 만약 임금이 인간과 여성을 품위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기준보다 낮다면, 양모 산업은 현재 매사추세츠에서 존재할 권리가 없습니다.[6][7]


1919년에는 산업 민주주의를 위한 교회 연맹을 창설했다.

6. 저작 목록


  • ''비가 요정의 해방''. 보스턴: D. 로스로프, 1883.
  • ''조지 맥도날드의 시'', 1887 (클라라 프렌치와 함께 편집).[1][2]
  • ''미쓰 유 닛시; 또는, 일본 결혼''. 시카고: T.S. 데니슨 1887.
  • ''마콜리의 로드 클라이브 에세이''. 보스턴: 시블리 앤 더커, 1889 (편집).
  • ''존 러스킨의 저작 소개''. 보스턴: 리치, 셰웰 앤 선본, 1890 (편집).
  • ''현대 영문학 연구를 위한 주제별 개요''. 보스턴: 프랭크 우드, 1892.
  • ''셸리의 프로메테우스 언바운드'', 1892 (편집).
  • ''부정의 증인''. 뉴욕: E.P. 더튼, 1895.
  • ''현대 영문 시인의 영적 삶''. 보스턴 및 뉴욕, 호튼 미플린 앤 컴퍼니, 1895.[16]
  • ''사회주의와 영적 진보: 추측''. 보스턴: 교회 사회 연합, 1896.
  • ''영문학의 사회적 이상.'' 보스턴 및 뉴욕: 호튼 미플린 앤 컴퍼니, 1898 (확대판, 1923).[17]
  • ''기독교의 단순성''. 보스턴: 기독교 사회 연합, 1898.
  • ''영문학 연구 입문'', 1901 [18]
  • ''바벨의 청취자: 지난 세기 말에 열린 일련의 가상 대화로 비다 D. 스커더가 기록함''. 보스턴: 호튼, 미플린 앤 컴퍼니, 1903.
  • ''그녀의 편지에서 본 성 카타리나 시에나''. 런던: J.M. 덴트, 1905; 뉴욕: E.P. 더튼, 1905 (편집 및 번역).
  • ''성도의 제자, 라니에로 디 란도키오 데이 팔리아레시의 가상 전기''. 뉴욕: E.P. 더튼, 1907 (1921년 및 1927년에 재발행).[19]
  • ''존 울먼의 작품'', 1910 (Everyman's Library를 위해 편집).
  • ''베데의 잉글랜드 역사'', 1911 (Everyman's Library를 위해 편집).
  • ''사회주의와 성격''. 보스턴: 호튼 미플린, 1912.[20]
  • ''영국 시집'', 1915 (Lake English Classics를 위해 편집).
  • ''교회와 시간: 사회주의 교회 여성의 성찰''. 뉴욕, E.P. 더튼, 1917.
  • ''서 토마스 말로리의 르 모르테 다튀르와 그 출처'', 1917 (편집 및 번역).
  • ''기독교의 해 사회적 가르침: 1918년 케임브리지 회의에서 행한 강의''. 뉴욕: E.P. 더튼, 1921.
  • ''존 형제: 첫 번째 프란체스코회의 이야기''. 보스턴: 리틀, 브라운, 앤 컴퍼니, 1927.
  • ''프란체스코회의 모험: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회 창립 100년 연구''. 런던 및 토론토: J.M. 덴트, 1931; 뉴욕: E.P. 더튼, 1931.
  • ''사유 재산에 대한 기독교적 태도''. 밀워키: 모어하우스, 1934.
  • ''여행 중''. 런던: J.M. 덴트 앤 선스, 1937.
  • ''나이의 특권: 세속적 및 영적 에세이''. 뉴욕: E.P. 더튼, 1939.
  • ''성 십자가 교단 창립자, 헌팅턴 신부''. 뉴욕: E.P. 더튼, 1940.
  • [http://anglicanhistory.org/women/adelynroodsketch.html 그녀의 동료들에게 보낸 편지], 에밀리 말본 모건 저. 비다 더턴 스커더 편집, 에밀리 소피 브라운의 전기적 스케치 포함. 1944년 개인 인쇄.
  • ''현실을 향한 나의 탐구''. 웰즐리: 저자가 출판, 1952.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American Biography Charles Scribner's Sons 1977
[2] 서적 The National Cyclopaedia of American Biography James T. White & Company 1902
[3] 서적 The Illustrated Columbia Encyclopedia Columbia University Press 1963
[4] 서적 Spearheads for Reform: The Social Settlements and the Progressive Movement 1890–1914 Rutgers University Press 1984
[5] 서적 American Settlement Houses and Progressive Reform: An Encyclopedia of the American Settlement House Movement https://archive.org/[...] The Oryx Press 1999
[6] 웹사이트 Lawrence Strike https://www.marxists[...]
[7] 간행물 A Woman and Her Raiment https://books.google[...] 1912
[8] 서적 Odd Girls and Twilight Lovers, A History of Lesbian Life in Twentieth-Century America Penguin Books Ltd 1991
[9] 서적 Who Was Who in America Marquis Who's Who, Inc. 1960
[10] 서적 Notable American Women, 1607–1950: A Biographical Dictionary, Volume 2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71
[11] 간행물 Helena S. Dudley https://archive.org/[...] 1932-11
[12] 뉴스 Scudder, Vida Dutton https://www.episcopa[...] 2012-05-22
[13] 서적 Virginia Dutton Scudder Twayne Publishers 1982
[14] 서적 Odd Girls and Twilight Lovers: A History of Lesbian Life in Twentieth-Century America Penguin Books Ltd 1991
[15]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Inc. 2019-12-17
[16] 서적 The Life of the Spirit in the Modern English Poets - Vida Dutton Scudder - Google Boeken https://books.google[...]
[17] 서적 Social Ideals in English Letters - Vida Dutton Scudder - Google Boeken https://books.google[...] 2000-01-01
[18] 서적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English Literature - Vida Dutton Scudder - Google Boeken https://books.google[...]
[19] 서적 The Disciple of a Saint: Being the Imaginary Biography of Raniero Di ... - Vida Dutton Scudder - Google Boeken https://books.google[...]
[20] 서적 Socialism and Character - Vida Dutton Scudder - Google Boeken https://books.google[...] 2008-0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