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자금은 원래 해상 용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공공기관, 기업, 단체 등에서 회계 조작을 통해 조성되는 은밀한 자금을 의미한다. 비자금 조성은 불법 정치 자금, 로비 자금, 횡령, 배임, 사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법률상으로는 정치자금 규제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비자금은 정치, 기업, 공공기관 등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발각 시 사회적 비판과 법적 제재를 받는다. 비자금 근절을 위해 법과 제도를 개선하고, 사회적 감시를 강화하며, 국제 공조를 강화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비자금"은 원래 해상 용어로, 선원들이 요리 냄비에서 긁어낸 지방(슬러시)을 탈지 제조업자에게 판매하여 마련한 현금을 의미했다. 이 현금은 선박의 회계와 별도로 관리되었으며, 선원들을 위한 소액 구매에 사용되었다.[10][11]
공공 기관, 기업, 각종 단체 등 모든 곳에서 일상적으로 비자금 조성이 행해지고 있다고 생각되지만, 당사자의 증언이 없는 한 실태를 밝히는 것은 어려운 경우가 많다.
2. 비자금의 정의 및 유형
'''비자금 조성'''은 공공 기관, 기업, 각종 단체 등 모든 곳에서 일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다고 생각되지만, 당사자의 증언이 없는 한 실태를 밝히는 것은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풀 자금이라고 불리는, 경리상의 부당 조작을 통한 적립은 끊이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유동적인 자금의 적립이라는 명목으로 관례화되어 조직 내에서 용인되는 경우도 있어, 내부 사람조차 사실상의 횡령·배임 행위 또는 사기 행위임을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중앙 관청이나 지방 공공 단체와 같은 공공 기관은, 식비, 출장비, 소모품비 등 다른 항목 명의의 예산을 경리의 부당 조작을 통해 비자금화하여, 운영상 필요한 항목에 충당하거나, 상위 조직에 상납, 언론 등의 매수·입막음, 관관 접대(감사 시 감사위원 위로 접대 등), 사적인 물품 구매, 유흥비(술자리 비용 등) 등에 사용해 왔다.
불상사로 발각되어 세간의 비판을 받을 때마다, 이러한 비자금 마련의 온상으로 지목된 비용 집행에는 영수증이나 보고서, 집행 상황의 사진 첨부 등 엄격화되고 있다.
2. 1. 회계상의 비자금
기업 회계에서 비자금은 경리상의 부당 조작을 통해 조성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풀 자금'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비자금 조성은 공공 기관, 기업, 각종 단체 등에서 일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다고 생각되지만, 당사자의 증언 없이는 실태 파악이 어렵다. 실질적으로 유동적인 자금 적립이라는 명목으로 관례화되어 조직 내에서 용인되는 경우도 있으며, 내부에서조차 횡령, 배임, 사기 행위임을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공공 기관의 경우, 식비, 출장비, 소모품비 등 다른 항목 명의의 예산을 경리 부당 조작을 통해 비자금화하여 운영상 필요한 항목에 충당하거나 상위 조직에 상납, 언론 매수 및 입막음, 관관 접대, 사적인 물품 구매, 유흥비 등에 사용해 왔다. 불상사로 발각되어 비판을 받을 때마다 비자금 마련의 온상으로 지목된 비용 집행은 영수증, 보고서, 집행 상황 사진 첨부 등으로 엄격화되고 있다.
2. 2. 법률상의 비자금
정치 자금 규제법에서는 "보고서 또는 이에 덧붙여 제출해야 할 서면에 기재해야 할 사항을 기재하지 않은 자"를 "5년 이하의 금고 또는 100만 엔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18] 즉, 합법적으로 획득한 돈이라도, 기재해야 할 서류에 기재되지 않은 돈은 비자금으로 간주된다.[18]
2. 3. 비자금의 유형
3. 비자금 조성 방법
특히, 풀 자금이라고 불리는, 경리상의 부당 조작을 통한 적립은 끊이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유동적인 자금의 적립이라는 명목으로 관례화되어 조직 내에서 용인되는 경우도 있어, 내부 사람조차 사실상의 횡령·배임 행위 또는 사기 행위임을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중앙 관청이나 지방 공공 단체와 같은 공공 기관은, 식비, 출장비, 소모품비 등 다른 항목 명의의 예산을 경리의 부당 조작을 통해 비자금화하여, 운영상 필요한 항목에 충당하거나, 상위 조직에 상납, 언론 등의 매수·입막음, 관관 접대(감사 시 감사위원 위로 접대 등), 사적인 물품 구매, 유흥비(술자리 비용 등) 등에 사용해 왔다.
불상사로 발각되어 세간의 비판을 받을 때마다, 이러한 비자금 마련의 온상으로 지목된 비용 집행에는 영수증이나 보고서, 집행 상황의 사진 첨부 등 엄격화되고 있다.
3. 1. 기업 비자금 조성
기업에서 비자금 조성은 분식회계, 허위 거래, 해외 페이퍼컴퍼니 활용 등 다양한 수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비자금 조성은 당사자의 증언이 없는 한 실태를 밝히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15][17][19][20][21][22]
경리상의 부당 조작을 통한 적립, 이른바 풀 자금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유동적인 자금 적립이라는 명목으로 조직 내에서 용인되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 내부에서조차 횡령, 배임, 사기 행위임을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19]
동일본 대지진 부흥 특별세 등을 원천으로 한 국비가 부흥 사업에 참여한 제너럴 컨트랙터(종합 건설 회사) (시미즈 건설(清水建設), 안도 하마(安藤・間), 다이세이 건설(大成建設) 등)의 지점 간부들에게 제공할 목적으로, 각사의 여러 하청 회사에 의해 비자금으로 조성된 사실이 2020년 7월 27일 아사히 신문 보도로 밝혀졌다.[17]
2007년부터 2008년에 걸쳐, 아오모리현 무츠시 내에 건설 중인 사용 후 핵연료 중간 시설을 둘러싸고, 용지 매수 교섭 비용이 제네콘·니시마츠 건설로부터 도쿄 전력의 당시 시미즈 마사타카·쓰즈미 노리오 두 전 부사장(시미즈는 그 후 사장이 됨)에게 송금된 뒷돈 약 2억 엔으로 충당된 사실이 밝혀졌다.[23] 모테기 도시미쓰 경제 재정 담당 대신은 도쿄 전력에 조사를 명령하겠다고 밝혔지만,[24] 스가 요시히데 관방 장관은 "사적인 계약에는 언급할 수 없다"고 밝혔다.[25]
또한, 니시마츠 건설은 후쿠시마현 나라하정의 구사노 다카시 전 정장의 친족 기업인 "구사노 건설"에 대해, 2003년부터 2004년에 걸쳐 총 2억 3000만 엔을 무담보 융자한 사실이 밝혀졌다. 도쿄 전력이 영향력을 행사했을 의혹이 있다.[26]
대학 보조금 부정 사용의 한 형태인 예치금은 구매하지 않은 물품을 구매한 것처럼 위장하여 업자에게 돈을 건네주고 맡아두는 것이다. 2011년 8월 문부과학성 조사에 따르면 예치금이 확인된 대학 금액 랭킹 1위는 도쿄 농업대학의 1318만 엔, 2위는 게이오기주쿠 대학의 895만 엔이었다.[15]
신인 선수 획득과 관련하여 계약금의 최고 표준액(1억 엔 + 성과급 5000만 엔)이 합의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드래프트 상위 선수에게는 최고 표준액 이상의 뒷돈이 오가고 있다고 한다. 드래프트 대상이 되는 선수(특히 대학생)에게 소속팀 감독이나 부모의 의향이 절대적인 경우가 많아, 스카우트가 소속팀 감독이나 부모에게 금전을 건네 선수 설득을 시도한다. 유력 선수일수록 거액의 금전이 오간다고 하며, 2004년 이치바 사건에서 이러한 뒷돈 거래가 드러났다. 2007년에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가 2004년에 자유 획득 틀로 입단한 나스노 타쿠미 투수에게 계약금 최고 표준액이나 1년 차 연봉 합의액을 초과한 금액을 지급한 사례가 발각되었다.[19] 2012년 10월 11일 텔레비전 도쿄 「해금! 폭로 나이트」에서, 전 프로 야구 선수 아이코 타케시는, 구단이 고등학생에게 용돈으로 10만 엔을 건네거나, 미성년자인 고등학생을 풍속업소에 가게 하는 등, 뒷돈 거래가 만연했음을 폭로했다.[20]
2007년 3월, 프로 야구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가 도쿄 가스의 키무라 유타나 와세다 대학의 시미즈 카츠히토에게 「영양비」 명목으로 약 1300만 엔의 돈을 건넨 것이 문제가 되었다.[21] 세이부 조사 위원회는 1994년부터 2005년까지 계약금 최고 표준액을 넘어 12억 엔 가까이 지불되었고, 아마추어 팀 관계자 등 연인원 170명에게 사례금이 건네졌다고 발표했다.[22]
J리그에서도 선수의 영입 시 계약금 외의 물품을 제공하는 것은 J리그 규약에 의해 금지되어 있다. J리그에서 뒷돈 등의 부정이 발각될 경우, 제재금, 리그전 승점 감점, 하위 디비전 강등, 컵 대회 출전권 박탈, J리그 제명 등 엄벌이 부과된다. 1993년 개막 이후 J리그에서 뒷돈에 관한 보도는 전무하며, 지금까지 뒷돈으로 처벌받은 사례는 없다.
3. 2. 정치자금 조성
정치 자금 규제법에서는 "보고서 또는 이에 덧붙여 제출해야 할 서면에 기재해야 할 사항을 기재하지 않은 자"를 "5년 이하의 금고 또는 100만 엔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합법적으로 획득한 돈이라도 기재해야 할 서류에 기재되지 않은 돈은 비자금으로 간주된다.[18]
3. 3. 공공기관 비자금 조성
1984년 내각조사실 주관 마츠하시 타다미츠가 저서에서 경찰의 조직적인 부정 경리 실태를 고발했지만, 당시 경찰청은 이를 무시했다.[13] 1987년에도 전 효고현경 순사 마츠모토 히토시가 효고현경의 뒷돈 마련 및 초과 근무 수당 미지급 등의 부정행위를 고발했다.
2004년 홋카이도 경찰에서 부정 경리에 관여한 하라다 코지 전 경시청장이 실태를 고발하면서, 미야기현 경찰, 후쿠오카현 경찰 등 여러 현 경찰 전 직원들의 고발이 이어져 부정 지출금 문제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13] 전국 시민 옴부즈만 연락 회의는 2004년부터 "경찰 뒷돈 추적" 캠페인을 통해 7개 도도현 경찰에서 12억 2223만 4259엔을 반환시켰다(2007년 12월 21일 현재).[13]
경찰의 부정 경리 문제가 불거진 후, 전국 경찰에서 대량의 회계 문서가 "오류로 폐기"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청 집계에 따르면 604명이 "처분"되었지만, 이는 "조직적인 은폐"라는 비판을 받았다. 폐기된 문서는 뒷돈 마련과 관련된 증거 문서들로, 경찰청의 문서 보존 기간 연장에도 불구하고 파기되었다.
미야기현에서는 아사노 시로 지사가 현경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며 수사 보상비 예산 요구를 대폭 삭감했지만, 무라이 요시히로 지사는 당선 후 수사 보상비를 만액 집행하여 부정 경리 문제를 종결시켰다. 에히메현 경찰에서는 고발자 센바 토시로가 부당한 인사 조치를 당하고 소송에서 승소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지바현 경찰, 이와테현 경찰 등 여러 현 경찰에서 부정 경리가 발각되었지만 은폐되었다. 외무성의 외교 기밀비(보상비)에 의한 비자금 조성(외무성 기밀비 유용 사건)과 관저 상납금 문제도 제기되었다. 히로시마 노동국 부정 지출금(1억 3000만 엔)도 표면화되었다.
사회보험청 직원의 국민연금 보험료 횡령, 90개 시구정촌의 101건의 횡령 사건, 검찰청의 조사 활동비 비자금 사용, 최고재판소 비자금 문제도 지적되었다. 2009년 말에는 아소 내각의 관방 기밀비 유용 의혹이 제기되어 소송으로 이어졌다.
1995-96년에 전국 시민 옴부즈만 연락 회의는 25개 도도부현에서 303억 8722만 엔을 반환받았고(1998년 7월 조사), 2006-2008년 10월 17일까지 발각되어 반환된 지방 자치 단체의 비자금은 29억 154만 6119엔에 달한다.
오사카시 교육위원회는 학교 유지 운영비 예산으로 비자금을 조성, 총액 12억 2500만 엔을 풀링했다. 기후현청 비자금 문제는 1992년부터 2003년까지 12년간 약 16억 9700만 엔의 비자금이 있었고, 반환 대상 총액은 이자를 포함하여 약 19억 2000만 엔에 달한다. 오사카시는 2008년 중간 보고에서 건설국과 8개 구청에서 총액 약 1940만 엔의 비자금을 발견했고, 최종 보고에서는 총 4987만 엔, 총액 2억 8119만 엔으로 늘어났지만, 동화 대책 사업 관련 풀링 자금을 제외하여 총액을 축소했다. 고베시청은 컴퓨터 등 총액 약 2억 1000만 엔의 물품을 부정 구입, 관련 직원 789명이 전후 최대 규모의 징계 처분을 받았다.
2010년 야마구치 대학의 부정 경리 사건으로 26명이 징계 처분을 받았다. 2011년 아사히 신문은 간토 지역 여러 대학의 부정 경리 의혹을 보도했다. 2013년 문부과학성은 연구비 부정 사용에 엄벌을 내릴 방침을 결정했다.[14] 예치금은 대학의 보조금 부정 사용 형태로, 도쿄 농업대학과 게이오기주쿠 대학에서 확인되었다.[15]
2004년 방위청은 육상자위대 헌병대원의 가라 출장을 인정했다. 오키노에라부 섬 분둔 기지에서는 공비 사물 구입, 보급품 사유화 등 부정 행위가 상시화되었다. 2020년 동일본 대지진 부흥 특별세 등을 원천으로 한 국비가 제너럴 컨트랙터(시미즈 건설(清水建設), 안도 하마(安藤・間), 다이세이 건설(大成建設) 등) 지점 간부들에게 제공할 목적으로 비자금으로 조성된 사실이 아사히 신문 보도로 밝혀졌다.[17]
4. 비자금 사용처
4. 1. 정치권에서의 사용
정치권에서 비자금은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불법 정치자금, 로비 자금, 선거 자금, 사조직 운영 등이 그 예시이다. 정치 자금 규제법에서는 합법적으로 획득한 돈이라도 기재해야 할 서류에 기재되지 않은 돈을 "비자금"으로 규정하고, 이를 어길 시 처벌 조항을 두고 있다.[18]4. 2. 기업에서의 사용
4. 3. 공공기관에서의 사용
1984년에는 전 내각조사실 주관 마츠하시 타다미츠가 저서 『나의 죄는 항상 내 앞에 있느니라』에서 경찰의 조직적인 부정 경리의 실태를 고발했으나, 당시 경찰청은 무시했다.[13] 1987년에도 전 효고현경 순사 마츠모토 히토시가 저서 『파출소 뒤는 어둠』등에서 효고현경의 뒷돈 마련, 초과 근무 수당 미지급 등의 부정행위를 고발했다.경찰 비위가 계속되는 가운데, 부정 경리 문제가 내부 고발이나 자진 신고 형태로 공표되었다. 2004년 홋카이도 경찰에서 부정 경리에 직접 관여했다고 하는 하라다 코지 전 경시청장이 실태를 고발하자, 미야기현 경찰・후쿠오카현 경찰・시즈오카현 경찰・아이치현 경찰・시마네현 경찰・구마모토현 경찰의 전 직원들에 의한 고발이 잇따르면서 부정 지출금 문제가 전국 규모로 표면화되었다.[13]
전국 시민 옴부즈만 연락 회의는 2004년부터 "경찰 뒷돈 추적" 캠페인을 진행하여, 2007년 12월 21일 현재 7개 도도현 경찰에서 12억 2223만 4259엔을 반환시켰다.[13] 1995-96년에는 25개 도도부현에서 303억 8722만 엔을 반환받았다. 또한, 2006-2008년 10월 17일까지 지방 자치 단체의 비자금 29억 154만 6119엔이 반환되었다.
경찰의 부정 경리 문제가 표면화된 후, 대량의 회계 문서가 "오류로 폐기"되는 사건이 전국 경찰에서 잇따라 발생했다. 경찰청의 집계에 따르면 총 604명이 "처분"되었지만, "파기는 조직적으로 이루어졌다", "처분이라고 해도 너무 가볍다", "의혹을 덮으려는 수작이다"라는 강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미야기현에서는 아사노 시로 지사가 현경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며 수사 보상비 예산 요구를 대폭 삭감했으나, 무라이 요시히로는 당선 후 수사 보상비를 요구액 만액 집행을 인정하여 부정 경리 문제를 흐지부지하게 종결시켰다.
에히메현 경찰에서는 고발자 센바 토시로가 권총을 압수당하고 좌천성 인사를 당했으며, 결국 승진까지 거부당했다. 현 인사위원회가 부당한 인사로 인정하고 원직 복귀를 명령했으며, 2007년 9월 현을 상대로 한 손해 배상 청구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2008년부터 2010년에 걸쳐 지바현 경찰・이와테현 경찰・시가현 경찰・히로시마현 경찰・야마가타현 경찰에서, 2011년에는 이시카와현 경찰에서 부정 경리가 발각되었지만, 모두 은폐되었다.
외무성의 외교 기밀비(보상비)에 의한 비자금 조성도 유명하며(외무성 기밀비 유용 사건), 관저에 대한 상납금이 주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 히로시마 노동국 부정 지출금(1억 3000만 엔)이 표면화되었다.
사회보험청 직원에 의한 국민연금 보험료 횡령이 밝혀졌고, 90개 시구정촌에서 101건의 횡령 사건이 판명되었다. 총무성은 형사 고발을 포함한 대응을 취하도록 요청했다.
전 검사 미이 환에 의해, 검찰청의 조사 활동비 비자금 사용이 내부 고발되었고, 2001년 1월에 『소문의 진상』에 관련 기사가 게재되었다. (미이 환 사건)
전 오사카 고등재판소 재판관 이쿠타 테루오는 최고재판소에도 비자금이 존재한다고 지적하며, 경찰 비자금보다 많다고 추산했다.
2009년 말에는 퇴진 직전의 아소 내각에 의한 관방 기밀비(역시 보상비) 유용 의혹이 발각되었다. 시민 단체가 2010년 1월, 지출 이유 공개를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오사카시 교육위원회는 업체와 공모하여 학교 유지 운영비 예산으로 12억 2500만 엔의 비자금을 만들었다. 오사카시 감사위원은 철저한 조사와 해명, 적절한 사무 집행을 요망했다. 시민 단체는 전 오사카시 교육위원회 교육장과 학교 사무 기기 센터 , 야마하, 카키모토 덴키, 닛토 덴키 등 4개사를 상대로 손해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지만, 피고 측이 일부를 시에 반환하는 조건으로 오사카 지방 법원에서 화해가 성립되었다.
기후현청 비자금 문제는 2006년에 발각되었으며, 1992년도부터 2003년도까지 12년간 약 16억 9700만 엔의 비자금이 있었다고 인정되었다. 시민 단체 등은 1986년도 이후 20년간의 비자금과 지연 손해금 총액 약 81억 엔의 반환을 카지와라 전 지사 등 전현 간부 약 70명에게 청구하는 소송을 기후 지방 법원에 제기했다.
오사카시는 비자금 조성에 관한 전청 조사를 실시, 2008년 2월 13일 중간 보고에서 건설국과 8개 구청에서 총액 약 1940만 엔의 비자금을 발견했다. 2008년 3월 10일 결과 보고서에서는 잔금 총액 4987만 엔, 총액 2억 8119만 엔으로 늘어났지만, 환경국의 풀링 자금 9426만 엔을 제외하여 총액을 1억 8605만 엔으로 축소 공표했다. 2008년 8월에는 나니와구 구청 등 7개 구청에서 새롭게 비자금이 발각되었고, 같은 해 10월 98명이 처분을 받았다. 히라마츠 구니오 시장은 조사를 종결했지만, 사적 유용으로 보이는 항목, 유흥업소 출입 등에 대한 추궁 및 처분을 단념하는 등 동화 문제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대처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고베시청에서는 업체로부터 입수한 백지 전표를 악용하는 등의 수법으로 컴퓨터 등 총액 약 2억 1000만 엔의 물품을 부정 구입, 2010년 12월 21일 관련 직원 789명에게 전후 최대 규모의 징계 처분을 했다.
2010년 9월, 야마구치 대학의 부정한 경리 사건으로 26명이 징계 처분을 받았다.
2011년 여름, 아사히 신문은 간토를 중심으로 복수의 대학에서 부정 경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2013년, 연구비 부정 사용에 엄벌이 내려질 방침이 문부과학성에 의해 결정되었다.[14]
2004년 말, 방위청은 육상자위대 헌병대원의 가라 출장을 인정했다. 가스미가우라 주둔지 헌병대 가스미가우라 파견대 소속 육조장이 출장을 간 것처럼 꾸며 약 5만 9000엔을 수령했다. 2003년 5월, 이이즈카 주둔지에서 대규모 가라 출장이 있었다는 내부 고발이 있었고, 국회에서 문제가 되었다.
방위성 사무관의 내부 고발로, 오키노에라부 섬 분둔 기지에서도 공비로 사물을 구입하고, 보급품을 사유화하며, 불분명한 회계 처리를 하는 등의 부정 행위가 상시화되어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5. 한국의 비자금 사건
5. 1. 주요 기업 비자금 사건
5. 2. 주요 정치권 비자금 사건
정치 자금 규제법에서는 "보고서 또는 이에 덧붙여 제출해야 할 서면에 기재해야 할 사항을 기재하지 않은 자"를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즉, 합법적으로 획득한 돈이라도, 기재해야 할 서류에 기재되지 않은 돈은 "비자금"에 해당한다.[18]5. 3. 공공기관 비자금 사건
1984년 전 내각조사실 주관 마츠하시 타다미츠가 경찰의 조직적인 부정 경리 실태를 고발했으나, 당시 경찰청은 이를 무시했다. 1987년에도 전 효고현경 순사 마츠모토 히토시가 효고현경의 뒷돈 마련 및 초과 근무 수당 미지급 등의 부정행위를 고발했다.경찰 비위가 계속되는 가운데, 2004년 홋카이도 경찰에서 부정 경리에 직접 관여한 하라다 코지 전 경시청장이 실태를 고발하면서, 미야기현 경찰, 후쿠오카현 경찰 등 전국 경찰에서 부정 지출금 문제가 표면화되었다. 전국 시민 옴부즈만 연락 회의는 2004년부터 "경찰 뒷돈 추적" 캠페인을 통해 7개 도도현 경찰에서 12억 2223만 4259엔을 반환시켰다(2007년 12월 21일 현재).[13] 경찰의 부정 경리 문제가 불거진 후, 전국 경찰에서 대량의 회계 문서가 "오류로 폐기"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에 대해 조직적인 은폐 의혹이 제기되었다.
미야기현에서는 아사노 시로 지사가 현경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며 수사 보상비 예산 요구를 대폭 삭감했으나, 무라이 요시히로 지사는 당선 후 수사 보상비를 만액 집행하여 부정 경리 문제를 종결시켰다. 에히메현 경찰에서는 비자금 문제를 고발한 철도경찰대원 센바 토시로가 부당한 인사 조치를 당하고, 손해 배상 청구 소송에서 승소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2008년부터 2011년 사이, 지바현 경찰, 이와테현 경찰 등 여러 현 경찰에서 부정 경리가 발각되었으나 은폐되었다. 외무성의 외교 기밀비(보상비)에 의한 비자금 조성도 문제가 되었으며(외무성 기밀비 유용 사건), 관저 상납금이 주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히로시마 노동국 부정 지출금, 사회보험청 직원의 국민연금 보험료 횡령, 검찰청의 조사 활동비 비자금 사용, 최고재판소 비자금 의혹 등이 제기되었다. 2009년 말에는 아소 내각의 관방 기밀비 유용 의혹이 발각되어 시민 단체가 소송을 제기했다.
1995년-1996년에 전국 시민 옴부즈만 연락 회의의 조사 결과, 25개 도도부현에서 303억 8722만 엔이 반환되었고, 2006-2008년까지 발각되어 반환된 지방 자치 단체의 비자금은 29억 154만 6119엔에 달한다.
오사카시 교육위원회는 학교 유지 운영비 예산으로 비자금을 조성한 사건이 발생하여, 시민 단체가 소송을 제기했으나 피고 측이 일부를 시에 반환하는 조건으로 화해가 성립되었다. 기후현청 비자금 문제는 1992년부터 2003년까지 약 16억 9700만 엔의 비자금이 있었던 것으로 인정되었고, 시민 단체는 1986년 이후 20년간의 비자금과 지연 손해금 총액 약 81억 엔의 반환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오사카시는 비자금 조성에 대한 전청 조사를 실시하여 여러 구청에서 비자금이 추가로 발각되었으나, 동화 대책 사업 관련 풀링 자금은 비자금 총액에서 제외하는 등 축소 의혹이 제기되었다. 고베시청에서는 컴퓨터 등 물품 부정 구입 사건으로 789명이 징계 처분을 받았다.
2010년 야마구치 대학의 부정 경리 사건으로 26명이 징계 처분을 받았고, 2011년에는 간토 지역 여러 대학에서 부정 경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 보도되었다. 2013년 문부과학성은 연구비 부정 사용에 엄벌을 내릴 방침을 결정했다.[14]
2004년 방위청은 육상자위대 헌병대원의 가라 출장을 인정했으며, 오키노에라부 섬 분둔 기지에서도 공비 사물 구입, 보급품 사유화 등 부정 행위가 상시화되어 있었다는 사실이 내부 고발로 밝혀졌다.
6. 외국의 비자금 사례
1952년 리처드 닉슨의 "체커스 연설"은 선거 자금에 대한 비자금 관련 스캔들을 해소하려는 다소 성공적인 노력이었다.[4] 수년 후, 닉슨의 대통령 재선 캠페인은 "백악관 배관공"의 입을 막기 위해 비자금을 사용했다.[5]
엔론의 금융 파생 상품 거래자들은 "신중성 준비금"이라는 비자금 시스템을 사용했는데, 이 시스템에서는 부서에서 각 거래의 이익 또는 손실의 일부를 회사에 보고하고 나머지는 보류했다. 이 시스템은 원래 거래 부서의 이익을 규제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2000-01년 캘리포니아 전력 위기 동안 회사가 막대한 이익을 은폐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6]
하키 캐나다는 아이스하키 선수들에 의한 성폭력 합의금 및 기타 보험 미가입 청구를 지불하기 위해 세 개의 비자금을 유지했다. 캐나다 전역의 회원 수수료는 이 비자금 중 적어도 하나를 충당하는 데 사용되었다.[7] 이 비자금의 존재와 목적은 2022년 하키 캐나다 성폭력 스캔들 동안 밝혀졌다.[8] 1989년에서 2022년 사이에 이 자금으로 11건의 성폭력 합의금 760만 달러가 지급되었다.[9]
1984년에는 전 내각조사실 주관 마츠하시 타다미츠가 저서 『나의 죄는 항상 내 앞에 있느니라』에서 경찰의 조직적인 부정 경리 실태를 고발했다. 당시 경찰청은 해당 저서에 대해 "코멘트할 내용이 아니다"라며 무시했다. 1987년에도 전 효고현경 순사 마츠모토 히토시가 저서 『파출소 뒤는 어둠』등에서 효고현경의 조직적인 뒷돈 마련이나 초과 근무 수당 미지급 등의 부정행위를 고발했다.
경찰 비위가 계속되는 가운데, 부정 경리 문제가 내부 고발이나 자진 신고 형태로 공표되었다. 이러한 체질은 전국에서 상시화되어 있다고 한다. 2004년에는 홋카이도 경찰에서 부정 경리에 직접 관여했다고 하는 하라다 코지 전 경시청장이 실태를 고발한 것에 자극받아 미야기현 경찰, 후쿠오카현 경찰, 시즈오카현 경찰, 아이치현 경찰, 시마네현 경찰, 구마모토현 경찰의 전 직원에 의한 고발이 잇따르면서 부정 지출금 문제가 전국 규모로 표면화되었다.
전국 시민 옴부즈만 연락 회의가 2004년부터 진행한 "경찰 뒷돈 추적" 캠페인에서는 7개 도도현 경찰에서 12억 2223만 4259엔을 반환시켰다(2007년 12월 21일 현재). 1995-96년에 실시한 "관 관 접대 · 헛출장" 추궁에서는 25개 도도부현에서 303억 8722만 엔을 반환받았다(1998년 7월 조사). 또한, 2006-2008년 10월 17일까지 발각되어 반환된 지방 자치 단체의 비자금은 29억 154만 6119엔에 달한다.
경찰의 부정 경리 문제가 표면화된 후, 대량의 회계 문서가 "오류로 폐기"되는 사건이 전국 경찰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경찰청의 집계에 따르면 총 604명이 "처분"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파기는 조직적으로 이루어졌다", "처분이라고 해도 너무 가볍다", "의혹을 덮으려는 수작이다"라는 강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폐기된 문서는 수사비 증거 서류, 여행 명령서, 물품 취득서 등 뒷돈 마련과 관련된 증거 문서뿐이다. 경찰청의 문서 보존 기간은 5년이지만, 2004년 3월에 보존 기간을 연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류로" 파기되었다. 파기는 경찰청을 비롯하여 홋카이도, 경시청, 기타 37개 부현에 걸쳐 있다.
미야기현에서는 아사노 시로 지사가 현경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며, 부정 경리 문제의 온상으로 여겨지던 수사 보상비의 예산 요구를 대폭 삭감하는 등 지사와 현경의 대립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무라이 요시히로는 당선 후 바로 수사 보상비를 요구액의 만액 집행을 인정하여 부정 경리 문제를 흐지부지하게 종결시켰다.
에히메현 경찰에서는 고발한 철도경찰대원 센바 토시로가 권총을 압수당하고 직무 경험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통신 지령실 부서로 전출되었으며, 결국 승진까지 거부당했다. 현 인사위원회가 부당한 인사로 인정하고, 경찰 본부에 원직 복귀를 명령하는 소동이 일어났다. 2007년 9월, 현을 상대로 한 손해 배상 청구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2008년부터 2010년에 걸쳐 지바현 경찰, 이와테현 경찰, 시가현 경찰, 히로시마현 경찰, 야마가타현 경찰에서, 2011년에는 이시카와현 경찰에서 부정 경리가 발각되었지만, 모두 은폐되었다.
외무성의 외교 기밀비(보상비)에 의한 비자금 조성도 유명하다(외무성 기밀비 유용 사건). 관저에 대한 상납금이 주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관저 개혁, 외무성 개혁의 필요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 외, 히로시마 노동국 부정 지출금(1억 3000만 엔)이 표면화되었다.
사회보험청의 직원에 의한 국민연금 보험료 횡령이 밝혀졌다. 또한, 90개 시구정촌에서 101건의 횡령 사건이 판명되었다. 총무성은 형사 고발을 포함한 대응을 취하도록 요청하는 문서를 보냈다.
전 검사인 미이 환에 의해, 검찰청의 조사 활동비 비자금 사용이 내부 고발되었고, 2001년 1월에 『소문의 진상』에 니시오카 겐스케 기자의 기사가 게재되었다. 그 후, 미이는 TV 프로그램에서 검찰 조직의 비자금 문제에 대해 말하려 했지만, 출연 당일에 체포되었고, 매스 미디어는 "검찰에 의한 내부 고발 억압"이라고 비판했다.
전 오사카 고등재판소재판관인 이쿠타 테루오에 의해, 최고재판소에도 비자금이 존재한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쿠타의 추산에 따르면, 금액은 경찰의 비자금보다 많다고 한다.
2009년 말에는 퇴진 직전의 아소 내각에 의한 관방 기밀비(역시 보상비) 유용 의혹이 발각되었다. 시민 단체가 2010년 1월, 지출 이유 공개를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하는 소동이 벌어지고 있다.
오사카시 교육위원회가, 업체와 공모하여 학교의 유지 운영비 예산으로 비자금을 만들었다. 풀링한 총액은 12억 2500만 엔으로 보인다. 오사카 시립교의 유지 운영비 예산으로 대량의 잉크나 복사 용지를 납입한 것처럼 하여 비자금을 만들었던 사건이다. 오사카시 감사위원은 "학교 유지 운영비에 관한 집행 사무에 대해 철저하게 조사·해명하고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는 동시에, 향후 적정한 사무 집행이 확보되도록 강력히 요망한다."는 보고서를 정리했다. 시민 단체는 전 오사카시 교육위원회 교육장과 학교 사무 기기 센터, 악기 메이커 대기업 "야마하", 카키모토 덴키, 닛토 덴키 등 총 4개사를 상대로 총액 십 수억 엔의 손해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지만, 피고 측이 일부를 시에 반환하는 조건으로 오사카 지방 법원에서 화해가 성립되었다.
기후현청 비자금 문제가 2006년에 발각, 가공 청구 등을 바탕으로 조직적으로 비자금을 조성하여 현금이나 예금으로 각 부서에 풀링했다. 제3자에 의한 검토 위원회는 1992년도부터 2003년도까지의 12년간 약 16억 9700만 엔의 비자금이 있었다고 인정되어, 반환 대상 총액은 이자를 포함하여 약 19억 2000만 엔에 달한다. 인정되지는 않았지만 시민 단체 등이 조사한 결과, 1986년도 이후 20년간의 비자금과 지연 손해금 총액 약 81억 엔으로 하여 그 반환을 카지와라 전 지사 등 전현 간부 약 70명에게 청구하는 것 등을 요구하는 소송을 기후 지방 법원에 제기했다.
오사카시는 비자금 조성에 관한 전청 조사를 실시하여, 2008년 2월 13일 중간 보고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히가시스미요시 구청의 비자금 조성이 발각된 것을 받아 실시한 것이다. 중간 보고에 따르면 새롭게 건설국과 8개 구청에서 비자금 총액 약 1940만 엔이 발각되었다. 모두 직원들의 책상이나 로커 등에 통장이나 현금 그대로 보관되어 있었다. 같은 조사는 2008년 3월 10일에 결과 보고서가 나왔지만, 잔금 총액 4987만 엔, 총액은 2억 8119만 엔에 달했다. 그러나 이 보고서에서 시는 환경국의 풀링 자금 총 9426만 엔에 대해 "동화 대책 사업의 회계 절차를 시가 대행하고 있었던 케이스로 다른 풀링 자금과 성격이 다르다" 등으로 중간 보고의 계상 분에서 작위적으로 제외하고, 비자금 총액은 1억 8605만 엔으로 중간 정리보다 감액하여 공표했다. 게다가 이 비자금은 직원 개인 명의의 계좌로 관리되고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 후 2008년 8월에 나니와구 구청 등 7개의 구청에서 새롭게 비자금이 발각되었다. 이 문제에서는, 같은 해 10월에 98명이 처분을 받게 되었다. 히라마츠 구니오 시장은, 이것을 기점으로 일련의 조사를 종결하고 있다. 이러한 비자금에는 사적 유용으로 보이는 항목도 있었지만, 히라마츠 구니오 시장은 "아직 전모가 해명되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말하면서도, 관계 직원의 처분 시기나 반환 청구액 규모 등에 대해 당초 명언을 피했던 점, 2008년 8월에 발각된 사례에서는 비자금으로 유흥업소 출입이 있었다고 보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흥업소 출입에 대해서는 특정할 수 없었다는 등 추궁·처분을 단념하는 등, 동화 문제와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인지, 그 대처 자세가 전 시장보다 후퇴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고베시청에서는, 업체로부터 입수한 백지 전표를 악용하는 등의 수법으로 컴퓨터 등 총액 약 2억 1000만 엔의 물품을 부정 구입했던 것이 발각. 시는 2010년 12월 21일에 관련된 직원들에 대해 총 789명이라는 전후 최대 규모의 징계 처분을 했다.
2004년 말, 방위청은 육상자위대 헌병대원의 가라 출장을 인정했다. 가스미가우라 주둔지 헌병대 가스미가우라 파견대 소속 육조장이 출장을 간 것처럼 꾸며 약 5만 9000엔을 수령했다는 것이다. 뒷돈 조성은 이 이전에도 2003년 5월, 이이즈카 주둔지에서 대규모 가라 출장이 이루어졌다는 내부 고발이 있었고, 국회에서 문제가 되었다. 방위성 사무관의 내부 고발로, 오키노에라부 섬 분둔 기지에서도 공비로 사물을 구입하고, 보급품을 사유화하며, 불분명한 회계 처리를 하는 등의 부정 행위가 상시화되어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6. 1. 미국의 비자금 사례
1952년 리처드 닉슨의 "체커스 연설"은 선거 자금에 대한 비자금 관련 스캔들을 해소하려는 다소 성공적인 노력이었다.[4] 수년 후, 닉슨의 대통령 재선 캠페인은 "백악관 배관공"의 입을 막기 위해 비자금을 사용했다.[5]엔론의 금융 파생 상품 거래자들은 "신중성 준비금"이라는 비자금 시스템을 사용했는데, 이 시스템에서는 부서에서 각 거래의 이익 또는 손실의 일부를 회사에 보고하고 나머지는 보류했다. 이 시스템은 원래 거래 부서의 이익을 규제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2000-01년 캘리포니아 전력 위기 동안 회사가 막대한 이익을 은폐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6]
6. 2. 일본의 비자금 사례
1984년에는 전 내각조사실 주관 마츠하시 타다미츠가 저서 『나의 죄는 항상 내 앞에 있느니라』에서 경찰의 조직적인 부정 경리 실태를 고발했다. 당시 경찰청은 해당 저서에 대해 "코멘트할 내용이 아니다"라며 무시했다. 1987년에도 전 효고현경 순사 마츠모토 히토시가 저서 『파출소 뒤는 어둠』등에서 효고현경의 조직적인 뒷돈 마련이나 초과 근무 수당 미지급 등의 부정행위를 고발했다.경찰 비위가 계속되는 가운데, 부정 경리 문제가 내부 고발이나 자진 신고 형태로 공표되었다. 이러한 체질은 전국에서 상시화되어 있다고 한다. 2004년에는 홋카이도 경찰에서 부정 경리에 직접 관여했다고 하는 하라다 코지 전 경시청장이 실태를 고발한 것에 자극받아 미야기현 경찰, 후쿠오카현 경찰, 시즈오카현 경찰, 아이치현 경찰, 시마네현 경찰, 구마모토현 경찰의 전 직원에 의한 고발이 잇따르면서 부정 지출금 문제가 전국 규모로 표면화되었다.
전국 시민 옴부즈만 연락 회의가 2004년부터 진행한 "경찰 뒷돈 추적" 캠페인에서는 7개 도도현 경찰에서 12억 2223만 4259엔을 반환시켰다(2007년 12월 21일 현재). 1995-96년에 실시한 "관 관 접대 · 헛출장" 추궁에서는 25개 도도부현에서 303억 8722만 엔을 반환받았다(1998년 7월 조사). 또한, 2006-2008년 10월 17일까지 발각되어 반환된 지방 자치 단체의 비자금은 29억 154만 6119엔에 달한다.
경찰의 부정 경리 문제가 표면화된 후, 대량의 회계 문서가 "오류로 폐기"되는 사건이 전국 경찰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경찰청의 집계에 따르면 총 604명이 "처분"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파기는 조직적으로 이루어졌다", "처분이라고 해도 너무 가볍다", "의혹을 덮으려는 수작이다"라는 강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폐기된 문서는 수사비 증거 서류, 여행 명령서, 물품 취득서 등 뒷돈 마련과 관련된 증거 문서뿐이다. 경찰청의 문서 보존 기간은 5년이지만, 2004년 3월에 보존 기간을 연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류로" 파기되었다. 파기는 경찰청을 비롯하여 홋카이도, 경시청, 기타 37개 부현에 걸쳐 있다.
미야기현에서는 아사노 시로 지사가 현경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며, 부정 경리 문제의 온상으로 여겨지던 수사 보상비의 예산 요구를 대폭 삭감하는 등 지사와 현경의 대립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무라이 요시히로는 당선 후 바로 수사 보상비를 요구액의 만액 집행을 인정하여 부정 경리 문제를 흐지부지하게 종결시켰다.
에히메현 경찰에서는 고발한 철도경찰대원 센바 토시로가 권총을 압수당하고 직무 경험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통신 지령실 부서로 전출되었으며, 결국 승진까지 거부당했다. 현 인사위원회가 부당한 인사로 인정하고, 경찰 본부에 원직 복귀를 명령하는 소동이 일어났다. 2007년 9월, 현을 상대로 한 손해 배상 청구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2008년부터 2010년에 걸쳐 지바현 경찰, 이와테현 경찰, 시가현 경찰, 히로시마현 경찰, 야마가타현 경찰에서, 2011년에는 이시카와현 경찰에서 부정 경리가 발각되었지만, 모두 은폐되었다.
외무성의 외교 기밀비(보상비)에 의한 비자금 조성도 유명하다(외무성 기밀비 유용 사건). 관저에 대한 상납금이 주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관저 개혁, 외무성 개혁의 필요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 외, 히로시마 노동국 부정 지출금(1억 3000만 엔)이 표면화되었다.
사회보험청의 직원에 의한 국민연금 보험료 횡령이 밝혀졌다. 또한, 90개 시구정촌에서 101건의 횡령 사건이 판명되었다. 총무성은 형사 고발을 포함한 대응을 취하도록 요청하는 문서를 보냈다.
전 검사인 미이 환에 의해, 검찰청의 조사 활동비 비자금 사용이 내부 고발되었고, 2001년 1월에 『소문의 진상』에 니시오카 겐스케 기자의 기사가 게재되었다. 그 후, 미이는 TV 프로그램에서 검찰 조직의 비자금 문제에 대해 말하려 했지만, 출연 당일에 체포되었고, 매스 미디어는 "검찰에 의한 내부 고발 억압"이라고 비판했다.
전 오사카 고등재판소재판관인 이쿠타 테루오에 의해, 최고재판소에도 비자금이 존재한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쿠타의 추산에 따르면, 금액은 경찰의 비자금보다 많다고 한다.
2009년 말에는 퇴진 직전의 아소 내각에 의한 관방 기밀비(역시 보상비) 유용 의혹이 발각되었다. 시민 단체가 2010년 1월, 지출 이유 공개를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하는 소동이 벌어지고 있다.
오사카시 교육위원회가, 업체와 공모하여 학교의 유지 운영비 예산으로 비자금을 만들었다. 풀링한 총액은 12억 2500만 엔으로 보인다. 오사카 시립교의 유지 운영비 예산으로 대량의 잉크나 복사 용지를 납입한 것처럼 하여 비자금을 만들었던 사건이다. 오사카시 감사위원은 "학교 유지 운영비에 관한 집행 사무에 대해 철저하게 조사·해명하고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는 동시에, 향후 적정한 사무 집행이 확보되도록 강력히 요망한다."는 보고서를 정리했다. 시민 단체는 전 오사카시 교육위원회 교육장과 학교 사무 기기 센터, 악기 메이커 대기업 "야마하", 카키모토 덴키, 닛토 덴키 등 총 4개사를 상대로 총액 십 수억 엔의 손해 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지만, 피고 측이 일부를 시에 반환하는 조건으로 오사카 지방 법원에서 화해가 성립되었다.
기후현청 비자금 문제가 2006년에 발각, 가공 청구 등을 바탕으로 조직적으로 비자금을 조성하여 현금이나 예금으로 각 부서에 풀링했다. 제3자에 의한 검토 위원회는 1992년도부터 2003년도까지의 12년간 약 16억 9700만 엔의 비자금이 있었다고 인정되어, 반환 대상 총액은 이자를 포함하여 약 19억 2000만 엔에 달한다. 인정되지는 않았지만 시민 단체 등이 조사한 결과, 1986년도 이후 20년간의 비자금과 지연 손해금 총액 약 81억 엔으로 하여 그 반환을 카지와라 전 지사 등 전현 간부 약 70명에게 청구하는 것 등을 요구하는 소송을 기후 지방 법원에 제기했다.
오사카시는 비자금 조성에 관한 전청 조사를 실시하여, 2008년 2월 13일 중간 보고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히가시스미요시 구청의 비자금 조성이 발각된 것을 받아 실시한 것이다. 중간 보고에 따르면 새롭게 건설국과 8개 구청에서 비자금 총액 약 1940만 엔이 발각되었다. 모두 직원들의 책상이나 로커 등에 통장이나 현금 그대로 보관되어 있었다. 같은 조사는 2008년 3월 10일에 결과 보고서가 나왔지만, 잔금 총액 4987만 엔, 총액은 2억 8119만 엔에 달했다. 그러나 이 보고서에서 시는 환경국의 풀링 자금 총 9426만 엔에 대해 "동화 대책 사업의 회계 절차를 시가 대행하고 있었던 케이스로 다른 풀링 자금과 성격이 다르다" 등으로 중간 보고의 계상 분에서 작위적으로 제외하고, 비자금 총액은 1억 8605만 엔으로 중간 정리보다 감액하여 공표했다. 게다가 이 비자금은 직원 개인 명의의 계좌로 관리되고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 후 2008년 8월에 나니와구 구청 등 7개의 구청에서 새롭게 비자금이 발각되었다. 이 문제에서는, 같은 해 10월에 98명이 처분을 받게 되었다. 히라마츠 구니오 시장은, 이것을 기점으로 일련의 조사를 종결하고 있다. 이러한 비자금에는 사적 유용으로 보이는 항목도 있었지만, 히라마츠 구니오 시장은 "아직 전모가 해명되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고 말하면서도, 관계 직원의 처분 시기나 반환 청구액 규모 등에 대해 당초 명언을 피했던 점, 2008년 8월에 발각된 사례에서는 비자금으로 유흥업소 출입이 있었다고 보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흥업소 출입에 대해서는 특정할 수 없었다는 등 추궁·처분을 단념하는 등, 동화 문제와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인지, 그 대처 자세가 전 시장보다 후퇴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고베시청에서는, 업체로부터 입수한 백지 전표를 악용하는 등의 수법으로 컴퓨터 등 총액 약 2억 1000만 엔의 물품을 부정 구입했던 것이 발각. 시는 2010년 12월 21일에 관련된 직원들에 대해 총 789명이라는 전후 최대 규모의 징계 처분을 했다.
2004년 말, 방위청은 육상자위대 헌병대원의 가라 출장을 인정했다. 가스미가우라 주둔지 헌병대 가스미가우라 파견대 소속 육조장이 출장을 간 것처럼 꾸며 약 5만 9000엔을 수령했다는 것이다. 뒷돈 조성은 이 이전에도 2003년 5월, 이이즈카 주둔지에서 대규모 가라 출장이 이루어졌다는 내부 고발이 있었고, 국회에서 문제가 되었다. 방위성 사무관의 내부 고발로, 오키노에라부 섬 분둔 기지에서도 공비로 사물을 구입하고, 보급품을 사유화하며, 불분명한 회계 처리를 하는 등의 부정 행위가 상시화되어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6. 3. 기타 국가의 비자금 사례
7. 비자금 근절을 위한 노력
7. 1. 법/제도 개선
대한민국에서는 비자금 조성 및 은닉 행위를 근절하고, 기업 경영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법률을 강화하고 처벌 수위를 높이는 추세이다. 특히, 내부 고발자의 신분 노출을 방지하고 이들에 대한 불이익을 금지하는 등 내부 고발자 보호 제도를 강화하고 있다.7. 2. 사회적 감시 강화
7. 3. 국제 공조 강화
8. 비자금 문제의 과제와 전망
참조
[1]
웹사이트
Slush fund
http://www.dictionar[...]
2017-06-04
[2]
서적
A Dictionary of Finance and Banking
http://www.oxfordref[...]
[3]
간행물
The SAGE Encyclopedia of Economics and Society
2015
[4]
웹사이트
The 1952 Checkers Speech: The Dog Carries the Day for Richard Nixon
https://www.usnews.c[...]
2008-01-17
[5]
뉴스
Transcripts of Nixon Tapes Show the Path to Watergate
https://www.nytimes.[...]
1997-10-31
[6]
서적
Enron: The Rise and Fall
[7]
뉴스
How Hockey Canada used registration fees to build a fund to cover sexual-assault claims
https://www.theglobe[...]
2022-07-19
[8]
웹사이트
Hockey Canada maintained a third secret slush fund for sexual assault claims
https://ca.thegistsp[...]
2022-10-19
[9]
뉴스
Hockey Canada moved cash from fund used for sexual assault claims to avoid encouraging more claims: report
https://www.cbc.ca/n[...]
2022-10-21
[10]
문서
slush fund, n.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9
[11]
문서
A.Word.A.Day mailing list
http://wordsmith.org[...]
2017-03-01
[12]
웹사이트
裏金(うらがね)の類語・言い換え - 類語辞書
https://dictionary.g[...]
2024-10-11
[13]
웹사이트
警察裏金・不正支出問題
http://www.ombudsman[...]
[14]
뉴스
トップ
http://www.yomiuri.c[...]
讀賣新聞
2013-02-08
[15]
뉴스
質問なるほドリ
毎日新聞
2012-08-21
[16]
서적
告発!隠蔽されてきた自衛隊の闇 元防衛省女性事務官が体験した沖永良部島基地「腐敗といじめの20年」
光文社
[17]
뉴스
復興事業で裏金1.6億円 大手ゼネコン幹部に過剰接待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0-07-27
[18]
웹사이트
そもそも「裏金」とはなんだ? あたしたちが納得できるように説明してくれ。|室井佑月の「嗚呼、仰ってますが。」
https://www.nikkan-g[...]
2024-10-11
[19]
웹사이트
asahi.com:那須野投手に契約金5億3千万円、と横浜が明らかに - ドラフト裏金
http://www.asahi.com[...]
2020-03-12
[20]
웹사이트
元プロ野球選手が暴露 “裏金は当たり前” “今はもっと巧妙”livedoornews Sports Watch
https://news.livedoo[...]
2012-10-12
[21]
웹사이트
asahi.com:西武、スカウトで裏金 アマ2選手に1300万円 - ドラフト裏金
http://www.asahi.com[...]
2020-03-12
[22]
웹사이트
asahi.com:西武調査委が最終報告書 処分は連休明け以降に - ドラフト裏金
http://www.asahi.com[...]
2020-03-12
[23]
웹사이트
東電用地買収に裏金疑惑 青森の核燃料中間貯蔵施設 西松建設、2億円肩代わり
http://www.asahi.com[...]
[24]
웹사이트
用地買収の裏金疑惑、東電に調査求める 経産相
http://www.asahi.com[...]
[25]
웹사이트
用地買収裏金疑惑 官房長官「私契約にコメントしない
http://www.asahi.com[...]
[26]
웹사이트
西松建設が無担保融資 原発立地の前楢葉町長親族企業 東電、働きかけか
http://www.asahi.com[...]
[27]
웹인용
Slush fund
http://www.dictionar[...]
2017-06-04
[28]
서적
A Dictionary of Finance and Banking
http://www.oxfordre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