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겐암라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빙겐암라인은 라인 강 굽이 남동쪽에 위치한 도시로, 라인 강과 나헤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유네스코 라인 협곡 세계 문화 유산의 남쪽 경계를 형성하며, 빙어브뤼크, 드로머스하임 등 여러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로마 시대부터 정착이 시작되었으며, 11년에 로마 제국이 빈기움 요새를 건설했다. 이후 프랑크 왕국을 거쳐 신성 로마 제국 시대를 겪으며 여러 차례 전쟁과 화재로 도시가 파괴되기도 했다. 현재는 포도 재배와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며, 빙겐 응용과학대학교 등 교육 시설도 갖추고 있다. 빙겐의 힐데가르트 등 여러 유명 인물을 배출했으며, 히친, 뉘이생조르주 등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빙겐암라인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 | |
위치 | 독일 라인란트팔츠주 |
면적 | 37.74km² |
시간대 | 중앙유럽 표준시/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 |
행정 | |
국가 | 독일 |
주 (State) | 라인란트팔츠주 (Rheinland-Pfalz) |
군 (District) | 마인츠빙겐군 (Mainz-Bingen) |
자치체 종류 | 도시 (Stadt) |
시장 | 토마스 페저 (Thomas Feser) |
시장 소속 정당 | CDU |
시장 임기 시작 | 2019년 |
우편 번호 | 55411 |
지역 번호 | 06721-06725 |
차량 번호판 코드 | MZ, BIN |
지방 자치체 코드 | 07 3 39 005 |
행정 구역 | 8개 지구 |
지리 | |
고도 | 89m |
인구 통계 | |
인구 | 29,474명 |
인구 밀도 | 781명/km²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www.bingen.de |
2. 지리
빙겐은 라인 강 굽이 바로 남동쪽에 위치하며, 도시 서쪽에는 빙겐 숲이 있다. 라인 강 건너편 북쪽으로는 라인가우 산맥, 즉 타우누스 산맥의 최남서단이 솟아 있다. 빙겐에서는 나에 강이 라인 협곡으로 흘러든다. 빙겐은 유네스코 라인 협곡 세계 문화 유산의 남쪽 경계를 형성한다.
도시 북쪽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라인강과 접해 있으며, 서쪽에는 남쪽에서 내려오는 지류인 나에 강 어귀가 열려 있다. 라인강은 도시를 지나 크게 북쪽으로 꺾여 모젤강 유역의 숲과 쾰른을 향해 흘러간다. 그 앞의 중주에는 "쥐의 탑"(Mäuseturm)으로 알려진 탑이 있는데,[17] 이는 "로맨틱 라인"의 경관 중 하나가 되었다.
나에 강을 마주보고 있는 성 마르티누스 교회를 중심으로 라인강을 따라 펼쳐진 작은 마을 주변은 푸른 숲이 우거진 완만한 언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마을 중심의 작은 언덕에는 현재 시청으로 사용되는 중세 시대의 모습을 간직한 클롭 성이 세워져 있다. 라인강변에는 부두가 정비되어 있으며, 강 건너편에는 헤센주의 뤼데스하임이라고 불리는 광대한 포도밭 구릉지가 펼쳐져 있다.
나에 강 건너편은 역시 포도밭 구릉지이며, 최근에 개발되었다.
2. 1. 구성 지역
빙어브뤼크 |
뷔데스하임 |
디터스하임 |
가울스하임 |
드로머스하임, 아이스바인의 발상지, 754년에 최초로 문서에 언급됨 |
시내 |
켐텐 암 라인 |
슈폰스하임 |
2. 2. 인구 변화
연도 | 1998 | 2000 | 2002 | 2004 | 2006 | 2008 | 2010 |
---|---|---|---|---|---|---|---|
인구 | 24,821 | 24,710 | 24,786 | 24,849 | 24,587 | 24,398 | 25,833 |
3. 역사
빙엔은 로마 제국 이전 시대부터 켈트족이 거주했던 지역으로, 나에 강과 라인 강이 합류하고 라인 강이 협곡으로 들어가는 지점에 위치하여 교통의 요지였다. 로마 시대에는 '빙기움'이라는 이름의 요새가 세워졌고, 중세 시대에는 프랑크 왕국의 왕실 영지였다가 마인츠 대주교에게 넘어갔다. 이후 독립을 추구했으나 실패했고, 마인츠 대성당 참사회의 지배를 받았다.
1792년부터 프랑스 혁명 군대의 점령으로 프랑스령이 되었으나, 빈 회의 이후 헤센 대공국과 프로이센으로 분할되었다. 1969년과 1972년에 주변 지역이 병합되었고, 1982년부터 '암 라인'이라는 수식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12세기 중반부터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으나, 잦은 추방과 박해를 겪었다. 나치 시대에는 강제 수용소로 보내져 대부분 희생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동체는 재건되지 않았다.
3. 1. 고대
빙겐은 라인 강 굽이 바로 남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도시 서쪽에 솟아 있는 빙겐 숲에 인접해 있다. 라인 강 반대편 북쪽으로는 라인가우 산맥, 즉 타우누스 산맥의 최남서단이 솟아 있다. 빙겐에서는 나헤 강이 라인 협곡으로 흘러든다.
로마 시대 이전, 나헤 강과 라인 강이 합류하고 라인 강이 협곡으로 들어가는 지점에 위치하여 교통에 유리했기 때문에 이곳에는 사람들이 살았다. 최초의 정착지는 "균열"을 의미하는 ''빙게''라는 이름의 켈트족 (골족) 정착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서기 1세기 초, 로마 군대가 라인 계곡 도로의 빙겐에 주둔했으며, 현지 이름을 라틴어로 '''빙기움'''으로 표기했다. 로마인들은 나헤 강에 나무 다리를 세우고 요새를 건설했다. 바위에서 미트라의 탄생을 묘사한 손상된 조각상을 포함하는 로마 미트라교 기념물이 빙겐에서 발견되었으며, 그 중 하나의 비문은 23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3]
기원전 11년, 로마 제국의 국경 경비를 위한 요새 빈기움성이 오늘날 크로프 성이 있는 곳에 세워졌고, 나헤강의 다리도 놓였다. 355년, 게르만 부족의 군대에 의해 빈기움성이 점령당하고 로마군은 철수했다. 이후 프랑크 왕국의 왕령이 되었다.
3. 2. 중세
빙겐암라인의 사제 에테리우스는 335년에서 360년 사이에 확고한 기독교 공동체를 설립했다. 이 시기를 증명하는 에테리우스의 묘비는 현재도 성 마르틴 바실리카에서 볼 수 있다.[4][5] 리메스 붕괴 후, 이 도시는 프랑크족의 왕실 영지가 되었고, 983년 베로나 기증을 통해 오토 2세로부터 마인츠 대주교 빌리기스에게 넘어갔다.[6] 오토 3세 치하에서 "빙거 캄머포르스트"(숲)가 생겨났다. 빌리기스 치하에서 나헤 강을 따라 조금 위쪽으로 "드루수스브뤼케"(다리)가 건설되었다.[7]
빙겐 주민들은 끊임없이 독립을 추구했고, 이는 1165년 마인츠 대주교와 황제 사이의 분쟁으로 이어져 파괴되었다. 13세기에 빙겐은 라인 도시 동맹의 회원이었다. 13세기 중반 클로프 성("부르크 클로프") 건설은 이러한 발전과 관련이 있었다. 마지막 시도는 1525년 독일 농민 전쟁에 도시가 실패적으로 참여한 것이었다. 마인츠 대성당 참사회는 1424년과 1438년에 두 차례에 걸쳐 대주교로부터 이 도시를 획득했다. 18세기 말까지 빙겐은 그들의 행정 아래에 있었다. 계곡의 많은 도시와 마찬가지로 빙겐은 여러 차례의 도시 화재와 전쟁을 겪었다.
나헤 강이 라인 강과 합류하는 지점에 켈트족이 거주했으며, 기원전 11년 로마 제국의 국경 경비를 위한 요새 빈기움성이 오늘날 클로프 성이 있는 곳에 세워졌고, 나헤강의 다리도 놓였다. 355년 게르만 부족 군대에 의해 빈기움성이 점령당하고 로마군은 철수했다. 이후 프랑크 왕국 왕령이 되었다. 983년 마인츠 대주교 빌리기는 신성 로마 황제 오토 2세로부터 빈겐을 영지로 받아 클로프 성을 건설했다.[19]
15세기 중반에는 마인츠 대주교령의 직할령이 되었다. 17세기 후반, 직할령이라는 점 때문에 30년 전쟁에서 스웨덴 군에 의해 도시가 파괴되었고, 이후 프랑스 군에 의해 지배받았다. 이때 루페르츠베르크의 여자 수도원도 파괴되어 폐쇄되었다.
3. 3. 근현대
1792년부터 1813년까지 이 도시는 프랑스 혁명 군대가 라인강 좌안을 점령한 이후, 몽토네르 (Mont-Tonnerre, 또는 돈너스베르크, Donnersberg – 두 이름 모두 "천둥 산"을 의미)의 일부인 프랑스령이었다. 1816년 빈 회의 이후 이 도시는 헤센 대공국으로 넘어갔고, 오늘날 빈거브뤼크(Bingerbrück)의 외곽 지역은 프로이센의 라인 주로 넘어감에 따라 1871년 독일 제국이 건국될 때까지 빈겐은 국경 도시가 되었다.
1969년 6월 7일, 이전의 프로이센령[8] 자치구 빈거브뤼크가 병합되었다. 1972년 4월 22일에는 드로머스하임(Dromersheim)과 스폰스하임(Sponsheim)이 빈겐에 병합되었다. "암 라인(am Rhein)"이라는 수식어는 1982년 7월 1일부터 사용되었다.[9]
2008년 빈겐에서 열린 주립 정원 박람회를 위해 이 도시의 라인 강변 지역은 대대적인 현대화를 거쳤다. 1814년에는 헤센-다름슈타트에 귀속되었다. 1816년 나폴레옹 군의 패퇴와 함께 프랑스 군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큰 피해를 보았다.
3. 4. 유대인 역사
투델라의 벤야민은 12세기 중반 빈겐에 유대인 공동체가 존재했다고 언급했다. 1198년 또는 1199년 로쉬 하샤나에 기독교인들이 작은 유대인 구역을 공격했고, 유대인들은 도시에서 쫓겨났다. 13세기 중반 마인츠 대주교의 관할 아래 고리대금업자로서 다시 빈겐에 거주했으며, 1343년에는 프랑스 유대인들이 정착했다. 1405년, 대주교는 기독교인들이 유대인에게 진 빚의 5분의 1에 대한 지불 유예를 선언했고, 이후 대주교들은 반복적으로 거액을 갈취했다.
작은 공동체에서 가르쳤던 주목할 만한 랍비로는 셀리그만 오펜하임이 있었는데, 그는 전체 라인란트 유대인 사회에 대한 자신의 권위를 확립하려는 시도로 빈겐 회의(1455–56)를 소집했지만 실패했다. 이 제안에 모세 민츠가 반대했고, 그 문제는 이삭 이세를린에게 회부되었으며, 그는 그 프로젝트를 거부했다.
유대인들은 1507년에 다시 빈겐에서 추방되었고, 16세기 후반까지 돌아오지 않았다. 1933년 유대인 인구는 465명이었고, 도피와 이민으로 인해 1939년에는 222명으로 줄었다. 1942년 빈겐에 남아 있던 169명의 유대인은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고, 결국 4명만이 돌아왔다. 회당은 1945년에 파괴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동체는 재건되지 않았다.[19]
4. 정치
빙겐암라인 시의회는 36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2년부터 시장은 CDU 소속 토마스 페저이다.[11]
2014년, 2009년, 2004년 지방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11]
4. 1. 자매 도시
빙겐암라인은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5]국가 | 도시 (결연 연도) |
---|---|
England|잉글랜드영어 | 히친 (1958)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뉘이생조르주 (1960)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베나레레라움 (1967) |
Kosovë|코소보sq | 프리슈티나 (1968) |
Türkiye|튀르키예tr | 아나무르 (2011) |
Česko|체코cs | 쿠트나호라 (2011) |
5. 문화
빙겐은 2008년 4월 18일부터 10월 19일까지 라인란트-팔츠 주립 정원 박람회를 개최했다. 이 행사는 24ha의 전시 구역에서 라인 강변을 따라 2.8km 구간에서 열렸으며, 130만 명의 방문객이 찾아 예상했던 60만 명을 훨씬 넘어섰다.[13]
5. 1. 주요 명소


- 마우제투름: 라인 강 நடு에 있는 탑으로, 통행세 징수를 위한 감시탑이었다는 설이 있다.[17] 원래 탑은 전쟁으로 파괴되었고, 현재 탑은 19세기에 재건되었다.[18]
- 성 마틴 대성당: 15세기 옛 수도원 교회로,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의 지하실이 있다.
- 클롭 성: 현재 시청으로 사용되는 중세 시대 성이다.
- 로쿠스 예배당
- 드루수스 다리와 로마네스크 양식의 다리 예배당
- 옛 라인강 크레인
- "하퍼카스텐"(Haferkasten, 1689년 이후): 스테판-게오르그 박물관이 있다.
- 푸리첼리 궁전: 1780년에 지어진 엠파이어 스타일 건물이다.
- 나폴레옹 기념비가 있는 19세기 옛 묘지
- 힐데가르트 폰 빙겐을 주제로 한 역사 박물관
- 빙겐 숲의 로마 시대 ''빌라 루스티카''
- 라인강 범람원 특별 보호 구역
- 빙거브뤼크 라이터 신호소 기술 문화 유산
- "라인-마인 산업 문화 루트"(Route der Industriekultur Rhein-Main): 밀텐베르크와 빙겐 사이 160km 구간의 산업 건조물을 연결하는 루트이다.[12] 700개의 건물이 목록화되어 있다.
도시 북쪽은 라인강과 접해 있으며, 서쪽에는 나에 강 어귀가 있다. 라인 강 앞에는 "쥐의 탑"(Mäuseturm)이 있다.
나에 강을 마주보고 있는 성 마르틴 (성 마르티누스) 교회를 중심으로 라인강을 따라 펼쳐진 작은 마을 주변은 푸른 숲이 우거진 완만한 언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마을 중심의 작은 언덕에는 현재 시청으로 사용되는 클롭 성이 있다. 라인강변에는 부두가 있으며, 강 건너편에는 헤센주의 뤼데스하임이라고 불리는 포도밭 구릉지가 펼쳐져 있다.
나에 강 건너편(오늘날 빙겔브뤼크 지구)은 포도밭 구릉지이며, 과거에는 빈겐의 힐데가르트가 세운 루페르츠베르크 여자 수도원이 있었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5. 2. 정기 행사
- 빙겐 스윙트 - 재즈 축제
- 빙거 야외 축제 - 얼터너티브 축제
- 브레이크포인트 - 전 세계적으로 데모신 최대 규모 행사 중 하나 (더 이상 개최되지 않음)
- 유혹의 밤 (Nacht der Verführung) - 포도밭에서 열리는 와인 축제
- 라인 강 불꽃 축제 (Rhein im Feuerzauber) - 대규모 불꽃놀이 행사
- 로쿠스 축제 (성 로쿠스 축제) - 민속적 성격의 교회 축제, 마인츠 주교 관구 순례
- 빈저페스트 (와인 생산자 축제) - 11일간 지속되는 라인강 최대 와인 축제
6. 경제 및 기반 시설
빙겐은 라인 강 굽이 남동쪽에 위치하며, 포도 재배가 경제의 중심이다. 라인헤센, 미텔라인, 나에 세 개의 포도 재배 지역이 만나는 곳으로, 독일 와인법상 와인 재배 ''Bereich''(''Bereich Bingen'')로 지정되어 있다.[17]
한때 항구가 있었으나 현재는 서비스 산업이 주를 이루며, 아우토반 나들목 빙겐-오스트/켐프텐/산업 지역과 샤를라흐베르크 상업 단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관광 산업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기업으로는 NSM-Löwen(슬롯 머신)과 오리콘 발저스 코팅 독일 유한회사가 있다.
과거에는 포도 농원 경영, 와인 생산, 나에 강 유역 각지 와인 산지와의 유통 및 상업 활동이 주를 이루었으나, 현재는 공업은 거의 없고, 역사적 유산도 많이 파괴되어 관광객이 많지 않다. 최근 인건비 상승으로 포도 농원 경영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18]
6. 1. 교통
빙겐 (라인) 중앙역(Bingen (Rhein) Hauptbahnhof)은 빙거브뤼크 외곽 중심부에 있으며, 인터시티 열차와 ICE 노선이 운행된다.빙겐 (라인) 시 역(Bingen (Rhein) Stadt station)은 동쪽으로 2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지역 교통에만 중요하다. 빙겐-가울스하임에도 정류장이 있다. 빙겐에 두 개의 기차역이 있는 이유는 역사적 배경 때문이다. 중앙역은 원래 라인 철도 회사(Rhenish Railway Company)가 라인 서부 철도(West Rhine Railway)에 건설한 프로이센 국경역이었고, 시내 역은 헤센 루드비히 철도(Hessian Ludwig Railway)에 속해 있었다.
빙겐 중앙역-바트 크로이츠나흐 노선의 드루수스브뤼케, 빙겐/라인 시–알체이 노선의 빙겐-켐프텐과 뷔데스하임-드로머스하임 정류장은 더 이상 운행되지 않는다.
빙겐은 아우토반 A 60과 A 61 옆에 있으며, ''분데스슈트라세'' 9번 국도를 통해 시내와 연결되어 있다.
오늘날에는 개인 교통수단만이 여전히 중요성을 지닌다. 화물 항구는 버려졌고, 이전의 겨울 항구는 현재 마리나이다.
쾰른-뒤셀도르퍼, 빙겐-뤼데스하이머 페르가스트시프파르트 및 뢰슬러리니 관광 노선의 선착장이 있다. 여객선과 자동차 페리가 빙겐과 뤼데스하임을 연결한다.
1970년대 후반까지 빙겐은 도선사[조종사] 기지였다.
7. 교육
빙겐암라인에는 다음과 같은 교육 기관들이 있다.
- 빙겐 응용과학대학교
- 슈테판-게오르크-김나지움
- 힐데가르디슐레 (마인츠 주교구 가톨릭 사립학교)
- 로쿠스-실과학교
- 루페르투스 하우프트슐레
- 빙겐 직업학교 (직업학교)
- 빙겐 시립 도서관
- 시민학교
8. 유명 인물
- 빙겐의 힐데가르트 (1098–1179): 수녀원장, 작가, 신비주의자, 작곡가, 음악가, 의사. 빙겐 여자 학교(김나지움과 직업 학교)인 힐데가르디스슐레("Higa")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12년 10월 7일,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그녀를 교회 박사로 임명했다.
- 빙겐의 베르타
- 요제프 알브레히트 폰 이트너|요제프 알브레히트 폰 이트너de (1754–1825): 작가
- 필리프 폴츠 (1805–1877): 화가
- 페르디난트 알만|페르디난트 알만de (1828–1912): 빙겐 시장이자 헤센 대공국의 ''란트슈텐데'' 의원
- 하인리히 브뤼크 (1831–1903): 마인츠 주교
- 요한 바프티스트 힐스도르프 (1835–1918): 사진작가이자 테오도어와 야코프의 아버지
- 카를 요한 브릴마이어|카를 요한 브릴마이어de (1843–1905): 가톨릭 신부, 작가, 라인헤센 지역 역사가
- 앨리스 벤샤이머 (1864–1935): 정치인이자 페미니스트
- 테오도어 힐스도르프 (1868–1944): 사진작가
- 슈테판 게오르게 (1868–1933): 시인
- 카를 프리드베르크 (1872–1955): 피아니스트이자 음악 교육가
- 야코프 힐스도르프 (1872–1916): 사진작가
- 판크라츠 블랑크|판크라츠 블랑크de (1882년 출생): ''란트타크'' (중앙당) 의원
- 잘라딘 슈미트 (1883–1951): 연극 연구원, 프로듀서, 극장 매니저
- 프리츠 나탄|프리츠 나탄de (1891–1960): 유대인 건축가로, 만하임의 시나고그, 백화점, 최초의 마천루를 설계했다.[14]
- 막스 리히터|막스 리히터de (1900–1983): 지질학자이자 고생물학자, 자유 베를린 대학교 교수
- 아우구스트 바이머|아우구스트 바이머de (1908–1980): 노동조합원 및 정치인 (CDU), 독일 연방의회 의원
- 안톤 필리프 브뤼크|안톤 필리프 브뤼크de (1913–1984): 교회 역사가, ''마르티누스 도서관'' 사서
- 귄터 두프러|귄터 두프러de (1922년 출생): 마인츠 주교관구의 주교 신학교에서 목회 전례 강사, 교회 합창단 관구장
- 클레어 마리엔펠트|클레어 마리엔펠트de (1940년 출생): 정치인, 전 독일 연방군 옴부즈맨
- 메리 로스 (1949년 출생): 가수 겸 배우
- 티나 요크 (1954년 출생): 가수
- 토마스 클링 (1957–2005): 서정 시인
- 페터 프라이|페터 프라이de (1957년 출생): 저널리스트
- Frank Schröder|프랑크 쇠더de (1964년 출생): 가수 겸 배우
- 다얀 시마츠 (1982년 출생): 축구 선수
- 얀 슐라우드라프 (1983년 출생): 축구 선수이자 빙겐 출신 첫 국가대표 선수
- 힐데가르트 폰 빙엔
- 슈테판 게오르게
- 하인리히 카이저
- 수아트 세르달
참조
[1]
웹사이트
Wahlen der Bürgermeister der verbandsfreien Gemeinden
https://www.wahlen.r[...]
Landeswahlleiter Rheinland-Pfalz
2021-07-30
[2]
웹사이트
Bingen am Rhein | the Rhine Valley
https://web.archive.[...]
2015-01-14
[3]
논문
Archaeological News
1924-07-09
[4]
간행물
Die Grabinschrift des Presbyters Aetherius von Bingen
[5]
웹사이트
Ein alter Stein in regionalgeschichte.net
http://www.regionalg[...]
2009-04-16
[6]
서적
Regesten und Urkunden zur Verfassungs- und Rechtsgeschichte der deutschen Städte im Mittelalter
https://books.google[...]
Erlangen
[7]
웹사이트
Bingen
[8]
웹사이트
Bingen - regionalgeschichte.net
http://www.regionalg[...]
[9]
웹사이트
Statistisches Landesamt Rheinland-Pfalz – Amtliches Gemeindeverzeichnis 2006
http://www.statistik[...]
2011-07-18
[10]
웹사이트
Bingen
https://www.jewishvi[...]
[11]
웹사이트
LWL RLP - Kommunalwahlen: Ergebnisse der Ratswahlen: Wahlergebnisse 2019: Stadt- und Gemeinderatswahlen
https://www.wahlen.r[...]
[12]
뉴스
Neue Wege zur alten Industriekultur
http://www.frankfurt[...]
Frankfurter Rundschau
2016-01-28
[13]
웹사이트
realtime.at - Domain gecatcht
http://www.landesgar[...]
[14]
웹사이트
Guide to the Fritz Nathan (1891-1960)Collection, 1914-2000AR 1443 / MF 533
https://web.archive.[...]
2010-06-08
[15]
웹사이트
Partnerstädte
https://www.bingen.d[...]
Bingen am Rhein
2021-02-10
[16]
문서
Population GER-RP
[17]
서적
'Deutsche Sagen'
[18]
서적
Der Rhein. Kunst und Kultur von der Quelle bis zur Mündung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
서적
Duden, geographische Namen in Deutschland: Herkunft und Bedeutung der Namen von Ländern, Städten, Bergen und Gewässern
Bibliographisches Institu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