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파라믹소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4가지 혈청형(HPIV-1, HPIV-2, HPIV-3, HPIV-4)으로 분류되며, 각 혈청형은 특징적인 임상 증상과 유행 양상을 보인다. 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며, 특히 소아에게서 크루프, 세기관지염, 폐렴 등의 원인이 된다.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 내에서 유전체 전사 및 복제 과정을 거치며, 감염된 세포는 세포질 비대, 분열 활동 감소, 다핵 세포 형성 등의 변화를 보인다. 감염은 비말을 통해 전파되며, 진단은 호흡기 검체를 통한 바이러스 검출, 면역학적 검사, PCR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현재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으며, 치료는 대증 치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는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2019년 중국 우한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유행했고, 발열, 기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백신 접종 등으로 예방하고, 덱사메타손 등 약물로 치료한다. -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은 다양한 숙주에 질병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사람에게는 감기, SARS, MERS, COVID-19 등의 질병을 유발하는 질병의 총칭이다. - 비정형폐렴 - 홍역
홍역은 홍역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발열, 기침, 콧물, 결막염, 코플릭 반점, 홍반 반점구진성 발진 등의 증상을 보이며, 폐렴, 중이염, 뇌염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고, MMR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여전히 주요 사망 원인이며 반백신 운동으로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 비정형폐렴 - 레지오넬라증
레지오넬라증은 레지오넬라 뉴모필라균에 의해 오염된 물의 에어로졸을 흡입하여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레지오넬라 폐렴과 폰티악 열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 항생제로 치료하고 상수 안전 계획과 위생 관리로 예방할 수 있다.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 |
---|---|
개요 | |
![]() | |
관련 질병 | 파라인플루엔자 |
임상 진료과 | 호흡기과 |
바이러스 분류 | 바이러스 |
상위 분류 | 파라믹소바이러스과 |
하위 분류 | Respirovirus (일부) Human respirovirus 1 (이전 명칭: Human parainfluenza virus 1) Human respirovirus 3 (이전 명칭: Human parainfluenza virus 3) Rubulavirus (일부) Human rubulavirus 2 (이전 명칭: Human parainfluenza virus 2) Human rubulavirus 4 (이전 명칭: Human parainfluenza virus 4) |
제외 대상 | Aquaparamyxovirus Avulavirus Ferlavirus Henipavirus Morbillivirus Respirovirus (일부) Bovine respirovirus 3 Murine respirovirus Porcine respirovirus 1 Rubulavirus (일부) Achimota rubulavirus 1 Achimota rubulavirus 2 Bat mumps rubulavirus Mammalian rubulavirus 5 Mapuera rubulavirus Menangle rubulavirus Mumps rubulavirus Porcine rubulavirus Simian rubulavirus Sosuga rubulavirus Teviot rubulavirus Tioman rubulavirus Tuhoko rubulavirus 1 Tuhoko rubulavirus 2 Tuhoko rubulavirus 3 Pneumoviridae Rhabdoviridae Sunviridae Xinmoviridae |
2. 분류
사람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4가지 혈청형으로 분류되며, 각 혈청형은 특징적인 임상 증상과 유행 양상을 보인다.
- HPIV-1: 주로 크루프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 HPIV-2: 크루프뿐만 아니라 상부 호흡기 질환과 하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HPIV-3: 세기관지염 및 폐렴과 관련이 깊으며, 특히 1세 미만의 영아에게서 주로 발생한다.
- HPIV-4: HPIV-4는 4a 및 4b의 두 가지 아형으로 나뉘며, 다른 혈청형에 비해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는 경우는 드물다.
2. 1. 종류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4가지 유형, 즉 HPIV-1, HPIV-2, HPIV-3, HPIV-4형으로 분류된다. 이 바이러스들은 유전적 특성에 따라 레스피로바이러스 (HPIV-1, HPIV-3)와 루불라바이러스 (HPIV-2, HPIV-4)의 두 속으로 나뉜다.2. 2. 혈청형별 특징
사람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4가지 혈청형(HPIV-1, HPIV-2, HPIV-3, HPIV-4)으로 분류되며, 각 혈청형은 특징적인 임상 증상과 유행 양상을 보인다.- HPIV-1: 주로 크루프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 HPIV-2: 크루프뿐만 아니라 상부 호흡기 질환과 하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HPIV-3: 세기관지염 및 폐렴과 관련이 깊으며, 특히 1세 미만의 영아에게서 주로 발생한다.
- HPIV-4: HPIV-4는 4a 및 4b의 두 가지 아형으로 나뉘며, 다른 혈청형에 비해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는 경우는 드물다.
3. 구조 및 유전체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HPIV)는 3'에서 5' 방향으로 유전자가 배열되어 있으며, 유전자 배열 순서는 3′-NP-P-M-F-HN-L-5′이다. 각 유전자는 바이러스의 다양한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 NP (Nucleoprotein): 바이러스 RNA 게놈을 캡슐화하는 단백질을 생성한다.
- P (Phosphoprotein): 바이러스 복제 및 전사에 필요한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 M (Matrix protein): 바이러스 입자 조립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생성한다.
- F (Fusion protein): 숙주 세포와의 융합을 매개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 HN (Hemagglutinin-Neuraminidase): 바이러스 입자의 숙주 세포 부착 및 방출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생성한다.
- L (Large protein): 바이러스 RNA 중합효소의 구성 요소로, 바이러스 복제 및 전사에 필수적인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바이러스 게놈의 뉴클레오타이드 수가 복제와 전사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6의 법칙'을 따른다. 이 법칙은 바이러스 게놈의 특정 위치에서 뉴클레오타이드 수가 6의 배수일 때 복제 및 전사가 더 효율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법칙에는 예외가 존재하며, 정확한 원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3. 1. 바이러스 구조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외피를 가진 비리온 형태로 존재하며, 단일 가닥 음성 RNA를 유전체로 가지고 있다. 이 유전체는 약 15,000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6개의 핵심 구조 단백질을 암호화한다.3. 2. 구조 유전자 서열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HPIV)는 3'에서 5' 방향으로 유전자가 배열되어 있으며, 유전자 배열 순서는 3′-NP-P-M-F-HN-L-5′이다. 각 유전자는 바이러스의 다양한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NP (Nucleoprotein): 바이러스 RNA 게놈을 캡슐화하는 단백질을 생성한다.
- P (Phosphoprotein): 바이러스 복제 및 전사에 필요한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 M (Matrix protein): 바이러스 입자 조립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생성한다.
- F (Fusion protein): 숙주 세포와의 융합을 매개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 HN (Hemagglutinin-Neuraminidase): 바이러스 입자의 숙주 세포 부착 및 방출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생성한다.
- L (Large protein): 바이러스 RNA 중합효소의 구성 요소로, 바이러스 복제 및 전사에 필수적인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3. 3. 6의 법칙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바이러스 게놈의 뉴클레오타이드 수가 복제와 전사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6의 법칙'을 따른다. 이 법칙은 바이러스 게놈의 특정 위치에서 뉴클레오타이드 수가 6의 배수일 때 복제 및 전사가 더 효율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법칙에는 예외가 존재하며, 정확한 원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4. 바이러스 침입 및 복제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숙주 세포 내에서 유전체 전사 및 복제 과정을 거친다. 바이러스는 RNA 의존성 RNA 중합효소(L 단백질)를 사용하여 유전체를 전사하며, 전사된 mRNA는 숙주 세포의 리보솜에서 바이러스 단백질로 번역된다. 번역된 단백질은 바이러스의 복제 및 조립에 사용된다. 양성 RNA가 합성된 후 음성 RNA가 형성되고, 이 음성 RNA는 뉴클레오프로테인과 결합하여 바이러스 유전체를 구성한다. 최종적으로, 바이러스는 세포 밖으로 출아하여 새로운 숙주 세포에 감염된다. 감염된 세포는 세포질 비대, 분열 활동 감소, 국소적 둥글림을 보이며, 다핵 세포를 형성한다.
4. 1. 바이러스 부착 및 융합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hPIV)는 숙주 세포에 부착하기 위해 혈구응집소-뉴라미니다제(HN) 단백질을 사용한다. HN 단백질은 바이러스 입자의 표면에 존재하며, 숙주 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바이러스의 부착을 매개한다. 이 과정은 바이러스 감염의 첫 번째 단계이다.부착 후, 바이러스는 융합 단백질(F 단백질)을 사용하여 숙주 세포막과 융합한다. F 단백질은 바이러스 입자 표면에 위치하며, 숙주 세포막과의 융합을 촉진하여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을 세포 내로 전달한다. 융합 과정에서 여러 세포가 융합하여 거대 세포(합포체)를 형성할 수 있다.
F 단백질은 전구체 형태인 F0으로 합성되며, 활성형인 F1과 F2로 절단되어야 융합 활성을 갖는다. 이 절단 과정은 숙주 세포의 프로테아제에 의해 이루어진다.
4. 2. 유전체 전사 및 복제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유전체 전사 및 복제 과정을 거친다. 먼저, 바이러스는 RNA 의존성 RNA 중합효소(L 단백질)를 이용하여 유전체를 전사한다. 전사된 mRNA는 숙주 세포의 리보솜을 통해 바이러스 단백질로 번역된다. 번역된 단백질은 바이러스의 복제 및 조립에 사용된다. 다음으로, 양성 RNA가 합성된 후 음성 RNA가 형성되고, 이 음성 RNA는 뉴클레오프로테인과 결합하여 바이러스 유전체를 구성한다. 최종적으로, 바이러스는 세포 밖으로 출아하여 새로운 숙주 세포에 감염될 수 있게 된다.4. 3. 감염 세포 변화
감염된 세포는 세포질 비대, 분열 활동 감소, 국소적 둥글림을 보이며, 다핵 세포를 형성한다.5. 임상적 의의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HPIV)는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며, 특히 소아에게서 하부 호흡기 감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미국에서는 매년 하부 호흡기 감염 사례의 상당 부분을 HPIV가 차지하며, 소아의 HPIV 감염률이 높다. HPIV 감염 후에는 항체가 형성되지만, 재감염이 흔하게 발생한다. 잠복기는 1~7일이다.
HPIV는 다양한 호흡기 질환과 관련이 있다. 가장 흔하게는 크루프(croup, 급성 폐쇄성 후두염)를 유발하며, 특히 HPIV-1과 HPIV-2가 주요 원인이다. 크루프는 개 짖는 듯한 기침과 호흡 곤란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HPIV는 세기관지염 및 폐렴과도 관련이 있으며, 특히 HPIV-3이 이러한 질환과 밀접한 관련을 보인다. 면역 기능이 저하된 환자, 예를 들어 장기 이식 환자나 항암 치료를 받는 환자의 경우, HPIV 감염으로 인해 심각한 폐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치명적일 수도 있다. 신경계 질환과의 연관성도 보고되고 있는데, 특히 열성 경련과 관련이 있으며, HPIV-4b 감염 시 열성 경련의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드물게는 바이러스성 수막염, 길랭-바레 증후군과 같은 신경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체액성 면역 반응은 HPIV의 HN 단백질과 F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를 생성한다. 이러한 항체는 바이러스의 중화에 기여하여 감염을 억제한다. 또한,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은 HPIV 감염 제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T 세포는 감염된 세포를 파괴하여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은 바이러스 감염의 심각성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
5. 1. 감염 증상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은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거나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증상을 유발한다. 감염 시 기침, 콧물,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기관지염이나 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드물게는 심근염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호흡기계의 기초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5. 2. 역학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HPIV)는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며, 특히 소아에게서 하부 호흡기 감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미국에서는 매년 하부 호흡기 감염 사례의 상당 부분을 HPIV가 차지하며, 소아의 HPIV 감염률이 높다. HPIV 감염 후에는 항체가 형성되지만, 재감염이 흔하게 발생한다. 잠복기는 1~7일이다.5. 3. 질병과의 연관성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다양한 호흡기 질환과 관련이 있다. 가장 흔하게는 크루프(croup, 급성 폐쇄성 후두염)를 유발하며, 특히 HPIV-1과 HPIV-2가 주요 원인이다. 크루프는 개 짖는 듯한 기침과 호흡 곤란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세기관지염 및 폐렴과도 관련이 있으며, 특히 HPIV-3이 이러한 질환과 밀접한 관련을 보인다.면역 기능이 저하된 환자, 예를 들어 장기 이식 환자나 항암 치료를 받는 환자의 경우,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심각한 폐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치명적일 수도 있다.
신경계 질환과의 연관성도 보고되고 있는데, 특히 열성 경련과 관련이 있으며, HPIV-4b 감염 시 열성 경련의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드물게는 바이러스성 수막염, 길랭-바레 증후군과 같은 신경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5. 4. 면역 반응
체액성 면역 반응은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HPIV)의 HN 단백질과 F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를 생성한다. 이러한 항체는 바이러스의 중화에 기여하여 감염을 억제한다. 또한,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은 HPIV 감염 제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T 세포는 감염된 세포를 파괴하여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세포 매개 면역 반응은 바이러스 감염의 심각성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6. 감염 경로 및 환경적 요인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바이러스의 생존과 전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바이러스는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 환경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존재하며, 최적 pH는 생리적 pH 범위인 7.4~8.0이다. 37°C 이상의 고온 환경에서는 바이러스가 쉽게 비활성화되며, 저습도 환경 역시 바이러스 생존에 불리하게 작용하여 빠르게 사멸하거나 전파력이 감소한다.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배지의 종류 역시 바이러스의 생존에 영향을 미친다.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병원, 만성 간호 시설, 의원 등과 같은 장소에서 전파되기 쉬운데, 이러한 장소들은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는 핫스팟으로 간주된다.
6. 1. 전파 경로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주로 감염된 사람의 호흡기 비말을 통해 전파된다. 이는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나오는 분비물로, 바이러스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비말은 공기 중에 떠다니며, 다른 사람의 눈, 코, 입의 점막에 닿거나 흡입될 경우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과의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는데, 바이러스는 공기 중 비말 상태에서 1시간 이상 감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수평 전파가 주된 감염 경로이며, 감염된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고,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6. 2. 환경적 요인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바이러스의 생존과 전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pH: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 환경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존재한다. 최적 pH는 생리적 pH 범위인 7.4~8.0이다.
- 온도: 고온은 바이러스의 감염성을 감소시킨다. 37°C 이상의 고온 환경에서는 바이러스가 쉽게 비활성화된다.
- 습도: 저습도 환경 역시 바이러스의 생존에 불리하게 작용한다. 건조한 환경에서는 바이러스가 빠르게 사멸하거나 전파력이 감소한다.
- 배지: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배지의 종류도 바이러스의 생존에 영향을 미친다.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병원, 만성 간호 시설, 의원 등과 같은 장소에서 전파되기 쉽다. 이러한 장소들은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는 핫스팟으로 간주된다.
7. 진단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HPIV) 감염을 진단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비인두 흡인물, 비강 세척액, 또는 인두 도말과 같은 호흡기 검체를 채취하여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것이다. 바이러스 배양, 직접 면역 형광 항체(DFA) 검사, 효소 결합 면역 흡착 분석(ELISA)과 같은 면역학적 검사, 그리고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과 같은 분자 진단 기술이 사용된다. PCR은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을 증폭하여 바이러스 감염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널리 활용된다. 혈청학적 검사, 즉, 회복기 혈청에서 HPIV에 대한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지만, 급성 감염 진단에는 덜 유용하다. 진단 방법의 선택은 환자의 증상, 임상적 상황, 그리고 검사 가능성에 따라 달라진다.
7. 1. 진단 방법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의 진단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세포 배양: 바이러스를 분리하고 검출하기 위해 세포 배양을 수행한다.
- 항원 직접 검출: 면역형광법, 효소 면역 측정법(ELISA) 등을 사용하여 바이러스 항원을 직접 검출한다.
- 중합효소 연쇄 반응 (PCR): PCR 기법을 통해 바이러스의 유전 물질을 증폭하여 검출한다.
- 항체 검사:
- 쌍을 이룬 혈청 검체를 이용하여 IgG 항체를 분석한다.
- 혈구 응집 검사 (HA) 또는 혈구 흡착 억제 (HAdI) 검사를 수행한다.
- 보체 결합 반응, 중화 항체 검사, ELISA 등을 실시하여 항체를 검출한다.
8. 예방 및 치료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은 대개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적으로 치유된다. 치료는 주로 증상 완화를 목표로 하는 대증 치료가 시행된다.
대증 치료로는 발열 시 해열제를 투여하고, 기침 시 진해제를 사용하는 등 각 증상에 따른 완화 치료를 실시한다.
항바이러스제로는 리바비린이 시험관 내 실험에서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3형(HPIV-3)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였으나, 생체 내 실험에서는 일관된 결과를 얻지 못했다. 따라서 현재 리바비린은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 치료에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이차 세균 감염이 발생한 경우에는 항생제를 사용하지만, 바이러스 감염 자체에는 항생제가 효과가 없다. 기관지염이나 폐렴 등 심각한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크루프(후두기관기관지염) 치료에는 분무기를 사용하여 호흡 곤란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8. 1. 예방
현재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HPIV)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백신은 개발되지 않았다. 하지만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HPIV-1, HPIV-2, HPIV-3에 대한 백신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생-약독화 비강 내 백신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생-약독화 비강 내 백신은 1상 임상 시험에서 HPIV-3에 대한 면역원성 및 내약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체 항체, 즉 모유나 초유를 통한 초기 보호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8. 2. 치료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은 일반적으로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적으로 치유된다. 치료는 주로 증상 완화를 목표로 하는 대증 치료가 시행된다.- 대증 치료: 발열 시 해열제 투여, 기침 시 진해제 사용 등 각 증상에 따른 완화 치료를 실시한다.
- 항바이러스제:
- 리바비린: 시험관 내 실험에서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3형(HPIV-3)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였으나, 생체 내 실험에서는 일관된 결과를 얻지 못했다. 따라서 현재 리바비린은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 치료에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 항생제: 이차 세균 감염이 발생한 경우에만 항생제를 사용한다. 바이러스 감염 자체에는 항생제가 효과가 없다.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기관지염이나 폐렴 등 심각한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 분무기: 크루프(후두기관기관지염)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분무기를 통한 약물 투여는 호흡 곤란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9. 기타 정보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의 위험 요인으로는 영양실조, 비타민 A 결핍, 초기 수유 부족, 환경 오염, 과밀 거주 등이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면역 체계를 약화시켜 감염에 취약하게 만든다.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은 개발도상국에서 미취학 아동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선진국에서도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초래한다. 미국에서는 연간 약 2억 달러의 경제적 비용이 발생한다. 진단, 치료, 입원, 생산성 손실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하며, 특히 소아의 입원율 증가는 의료비 지출 증가의 주요 원인이다. 감염으로 인한 결근 및 등교 거부는 개인 및 사회 전체의 생산성 저하를 유발한다. 한편, 백신 개발 및 보급은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지만, 연구 개발 비용과 보급 과정에서의 추가 비용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감염 예방을 위한 위생 교육 및 개인 위생 관리 강화 등의 노력도 중요하다.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파라믹소바이러스과(Paramyxoviridae)에 속하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Orthomyxoviridae)에 속하여 서로 다른 과에 속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보다 더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폐렴, 뇌염, 심근염 등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감기와 유사한 콧물, 기침, 발열, 쉰 목소리 등의 증상을 보이며, 소아에게는 크루프를 일으킬 수 있다. 인플루엔자는 고열, 근육통, 두통 등 전신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가을과 봄에 유행하는 경향이 있으며, 인플루엔자는 겨울철에 주로 유행한다.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은 폐렴, 모세기관지염, 크루프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인플루엔자는 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모두 바이러스성 질환이므로, 특별한 항바이러스 치료 없이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 치료가 이루어진다. 충분한 수분 섭취, 휴식, 해열제 복용 등이 권장되며, 인플루엔자의 경우, 항바이러스제인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 등의 투여가 고려될 수 있다.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대한 특이적인 항바이러스제는 아직 없다.
9. 1. 숙주 범위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주로 사람을 숙주로 하지만, 다른 동물에게서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다만, 다른 동물에게서의 감염은 대부분 무증상으로 나타난다.9. 2. 위험 요인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의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영양실조, 비타민 A 결핍, 초기 수유 부족, 환경 오염, 그리고 과밀 거주 등이다. 이러한 요인들은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고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9. 3. 경제적 부담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은 개발도상국에서 미취학 아동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선진국에서도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초래한다. 미국에서는 연간 약 2억 달러의 경제적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제적 부담은 진단, 치료, 입원, 그리고 생산성 손실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한다. 특히 소아의 경우,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입원율이 높아 의료비 지출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감염으로 인한 결근 및 등교 거부는 개인 및 사회 전체의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며, 이는 간접적인 경제적 손실로 이어진다.한편,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한 백신 개발 및 보급은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백신 접종을 통해 감염 발생률을 줄이고, 중증 환자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의료비 지출을 절감하고, 사회 전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백신 개발에는 막대한 연구 개발 비용이 소요되며, 개발된 백신의 보급 및 접종 과정에서도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므로, 경제적 타당성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또한, 백신 개발과 더불어, 감염 예방을 위한 위생 교육 및 개인 위생 관리 강화 등의 노력을 통해 감염 확산을 억제하고, 경제적 부담을 줄여나갈 수 있다.
9. 4. 인플루엔자와의 차이점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파라믹소바이러스과(Paramyxoviridae)에 속하며, 흔히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다. 사람에게 감기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바이러스 중 하나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비교하여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바이러스 분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Orthomyxoviridae)에 속하며,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와는 다른 과에 속한다.
질병 심각도: 인플루엔자는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보다 더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인플루엔자는 폐렴, 뇌염, 심근염 등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반면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경미한 감기 증상이나 모세기관지염, 크루프 등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증상: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콧물, 기침, 발열, 쉰 목소리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 특히 소아에게는 크루프를 일으켜 특징적인 짖는 기침 소리가 나타날 수 있다. 인플루엔자는 고열, 근육통, 두통 등 전신 증상이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보다 더 심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계절성: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가을과 봄에 유행하는 경향이 있으며, 인플루엔자는 겨울철에 주로 유행한다.
합병증: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은 폐렴, 모세기관지염, 크루프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영유아의 경우 모세기관지염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다. 인플루엔자는 앞서 언급했듯이 폐렴, 뇌염, 심근염 등 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치료: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 모두 바이러스성 질환이므로, 특별한 항바이러스 치료 없이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 치료가 주로 이루어진다. 충분한 수분 섭취, 휴식, 해열제 복용 등이 권장된다. 인플루엔자의 경우, 증상 발현 초기에는 항바이러스제인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 등의 투여가 고려될 수 있다. 사람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대한 특이적인 항바이러스제는 아직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Virus Taxonomy: 2018 Release
https://ictv.global/[...]
2019-01-25
[2]
논문
Biology of parainfluenza viruses
1994-04
[3]
논문
Parainfluenza viruses
2003-04
[4]
웹사이트
Human Parainfluenza Viruse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2012-03-21
[5]
논문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human parainfluenza virus vaccines
2011-02-01
[6]
서적
Parainfluenza Viruses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at Galveston
2009-03-15
[7]
웹사이트
PARAINFLUENZA, RESPIRATORY SYNCYTIAL AND ADENO VIRUSES
http://pathmicro.med[...]
Reference.MD
2012-03-21
[8]
논문
'Rule of six': how does the Sendai virus RNA polymerase keep count?
2001-05
[9]
논문
Parainfluenza Viruses
[10]
논문
Entry of parainfluenza virus into cells as a target for interrupting childhood respiratory disease
2005-07
[11]
서적
Encyclopedia of Life Sciences
Wiley
[12]
웹사이트
Parainfluenza Virus: Epidemiology
http://emedicine.med[...]
eMedicine
2012-03-21
[13]
논문
Epidemiology and cost of infection with human parainfluenza virus types 1 and 2 in young children
1994-05
[14]
논문
Acute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nonhospitalized children
1986-05
[15]
웹사이트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https://www.who.int/[...]
WHO
2012-03-21
[16]
논문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nd parainfluenza virus vaccines
2003-12-15
[17]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human parainfluenza viruses
http://www.hpa.org.u[...]
Health Protection Agency
2012-03-21
[18]
논문
Orthomyxoviral and paramyxoviral infections in transplant patients
1995-12
[19]
웹사이트
CDC - Human Parainfluenza Viruses: Common cold and croup
https://www.cdc.gov/[...]
2009-03-15
[20]
웹사이트
Croup Background
http://emedicine.med[...]
2012-03-21
[21]
웹사이트
Parainfluenza Virus Review
http://misc.medscape[...]
2012-03-21
[22]
웹사이트
HUMAN PARAINFLUENZA VIRUS
http://www.phac-aspc[...]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2011-04-19
[23]
웹사이트
Parainfluenza Viruses—New Epidemiology and Vaccine Developments
http://www.touchinfe[...]
Touch Infectious Disease
2012-03-21
[24]
논문
Parainfluenza type 3 meningitis. Report of two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1990-03
[25]
웹사이트
Human Parainfluenza Viruses (HPIV) and Other Parainfluenza Viruses: Background, Pathophysiology, Etiology
https://emedicine.me[...]
2021-10-17
[26]
논문
Parainfluenza Virus Infection
2016-08-03
[27]
논문
Viral epidemiology of acute exacerbation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2012-02
[28]
논문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2005-05
[29]
논문
Epidemiology of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in children of developing countries
1991-05
[30]
논문
Current status of vaccines for parainfluenza virus infections
2008-10
[31]
웹사이트
Parainfluenza Viruses
http://www.els.net/W[...]
eLS
2012-03-21
[32]
웹사이트
Definition of Human parainfluenza virus
http://www.medterms.[...]
MedicineNet
2012-03-21
[33]
논문
Survival of the Respiratory Syncytial Virus During Storage Under Various Conditions
1964-12
[34]
웹사이트
Common Cold, Croup and Human Parainfluenza Viruses: Symptoms and Prevention.
http://www.newsflu.c[...]
NewsFlu
2012-03-21
[35]
웹사이트
About Human Parainfluenza Viruses (HPIVs)
https://www.cdc.gov/[...]
2024-11-11
[36]
논문
Parainfluenza Viruses
2003-04
[37]
간행물
Influenza and parainfluenza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4-11-13
[38]
간행물
パラ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心筋炎の1例
https://doi.org/10.1[...]
日本心臓財団
1982
[39]
간행물
パラ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 3 感染により増悪したと思われる気管支喘息の 1 例
https://doi.org/10.1[...]
日本呼吸器内視鏡学会
1999
[40]
웹사이트
パラ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感染症
https://www.msdmanua[...]
[41]
웹인용
Virus Taxonomy: 2018 Release
https://talk.ictvonl[...]
2018-10
[42]
논문
Biology of parainfluenza viruses
https://archive.org/[...]
1994-04
[43]
논문
Parainfluenza viruses
https://archive.org/[...]
2003-04
[44]
웹인용
Human Parainfluenza Viruse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45]
논문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human parainfluenza virus vaccines
2011-02-01
[46]
서적
Parainfluenza Viruses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at Galveston
2009-03-15
[47]
웹인용
PARAINFLUENZA, RESPIRATORY SYNCYTIAL AND ADENO VIRUSES
http://pathmicro.med[...]
Reference.MD
[48]
논문
'Rule of six': how does the Sendai virus RNA polymerase keep count?
https://archive.org/[...]
2001-05
[49]
논문
Parainfluenza Viruses
https://archive.org/[...]
[50]
논문
Entry of parainfluenza virus into cells as a target for interrupting childhood respiratory disease
https://archive.org/[...]
2005-07
[51]
서적
Parainfluenza Viruses
Wi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