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오관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오관시는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최북단에 위치한 지급시로, 10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춘추시대에는 형주와 양주의 관할, 전국시대에는 초나라의 세력권에 속했으며, 이후 여러 왕조를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1950년대부터 중공업 거점으로 개발되어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며, 현재는 광업, 제조업, 농업, 상업, 관광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주요 언어는 객가어와 소주 토화가 사용되며, 징광 철로, 징주 고속도로 등 교통망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둥성의 지급시 - 산터우시
산터우시는 중국 광둥성 동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고대 어촌에서 시작하여 제2차 아편 전쟁 이후 개항하며 발전했고, 현재 제조업이 발달했으며, 조주인을 중심으로 많은 인구가 거주하며, 버스, 택시,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과 산터우 항 및 제양 차오산 국제공항을 통해 국내외로 연결된다. - 광둥성의 지급시 - 선전시
선전시는 광둥성 남동부에 위치한 중국 최초의 경제특구이자 홍콩과 접경한 도시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통해 중국 경제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첨단 기술, 금융, 물류, 문화 산업이 발달하고 세계적인 기업들이 본사를 둔 마천루가 많은 도시이다.
사오관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사오관 시 |
원어 명칭 | 韶关市 |
로마자 표기 | Sháoguān |
다른 이름 | 시우콴 (Shiukwan) |
별칭 | 없음 |
행정 구역 종류 | 지급시 |
위치 |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
시 정부 소재지 | 전장 구 |
면적 | 18,645km² |
도시 면적 | 2,870.7km² |
해발 고도 | 59m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UTC+8) |
우편 번호 | 512000 |
지역 번호 | (0)751 |
ISO 코드 | CN-GD-02 |
주요 민족 | 한족 |
지역 방언 | 객가어 (지역), 광둥어 (토착; 성 수준) |
웹사이트 | 없음 |
![]() | |
인구 통계 | |
인구 (2020년) | 2,855,131명 |
도시 인구 | 1,028,460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도시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행정 | |
CPC 서기 | 장링 () |
시장 | 뤄웨이펑 () |
경제 | |
GDP (2016년) | CN¥ 1554억 US$ 241억 |
1인당 GDP (2016년) | CN¥ 54,377 US$ 8,429 |
이미지 | |
![]() | |
![]() | |
![]() | |
![]() | |
![]() |
2. 역사
사오관은 10만 년 전부터 인류가 활동했던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시내에는 구석기시대 이후의 유적이 곳곳에 남아있다. 춘추시대에는 형주, 양주의 관할이었고, 전국시대에는 초나라의 세력하에, 진대에는 남해군(南海郡)의 관할이었다. 기원전 111년, 전한은 현재의 광둥성 북부에 곡강현(曲江縣)을 설치해, 사오관 시의 구역을 관할했다.
삼국시대인 265년, 오나라는 광둥성 북부에 시흥군과 그 하부 행정구역으로서 곡강현 등 6현을 설치했고, 군청을 곡강(현재의 시가지)에 설치했다. 남북조시대 이후에는 주와 군이 설치되어, 사오관 시는 형주(衡州)의 관할이 되었다. 수나라 때인 589년에 주 북부의 명승지인 소석산(韶石山)에서 이름을 따 소주(韶州)로 개칭되었고, 이후 왕조들까지 소주의 명칭이 계승되었다. 명청대에는 현재의 사오관 시에 세관이 설치되면서 사오관이라는 통칭이 발생하였다.
국공내전 결과 중국 공산당의 지배가 시작되면서, 여러 행정 구역 변화를 거쳤다.
2. 1. 고대
사오관의 역사는 오래되었으며, 10만 년 전부터 인류가 활동하여 시내에는 구석기시대 이후의 유적이 곳곳에 남아있다. 춘추시대에는 형주와 양주의 관할이었고, 전국시대에는 초나라의 세력권에, 진대에는 남해군(南海郡)의 관할이었다. 기원전 111년, 전한은 현재의 광둥성 북부에 곡강현(曲江縣)을 설치하여 사오관시 지역을 관할하였다.삼국시대인 265년, 오나라는 광둥성 북부에 시흥군과 그 하부 행정구역으로 곡강현 등 6개 현을 설치하고, 군청을 곡강(현재의 시가지)에 두었다. 남북조시대 이후에는 주(州)와 군(郡)이 설치되어 사오관시는 형주(衡州)의 관할이 되었다. 수나라 때인 589년에 주 북부의 명승지인 소석산(韶石山)에서 이름을 따 소주(韶州)로 개칭하였고, 이후 왕조들에서도 소주라는 명칭이 이어졌다. 명청대에는 현재의 사오관시에 세관이 설치되면서 사오관이라는 통칭이 생겨났다.
2. 2. 근현대
마테오 리치는 자오칭 당국과의 불화로 인해 중국 본토 최초의 예수회 선교 시설을 1589년에 사오관으로 이전했다. 그는 사오관에 몇 년 동안 머물면서, 중요한 남북 여행로에 위치한 사오관의 이점을 활용하여 여행하는 고위 인사들과 관계를 맺어 난창, 난징, 그리고 베이징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4]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쿠콩(현재의 사오관)이 광둥성의 임시 수도였다.
1949년 11월에 광둥성은 베이장 임시행정위원회(北江臨時行政委員会)를 설치하고 사오관 시와 취장현 등의 17개 현시를 관할했다. 1950년 1월에 임시위원회는 베이장 전구(北江専区)로 개칭되었고, 1956년에 사오관 전구(韶関専区)가 설치되었다가 1970년에 사오관 지구(韶関地区)로 개칭했다. 1975년 11월에 지급시로서 사오관 시로 다시 개편되어 취장현을 관할하게 되었다. 1983년의 지방 행정 합병으로 현재의 행정구역이 탄생하였다.
2009년 6월, 위구르족과 한족 노동자들이 사오관의 장난감 공장에서 충돌했으며, 이는 7월의 우루무치 시위로 이어졌다.
사오관시의 행정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시기 | 행정 구역명 | 비고 |
---|---|---|
1949년 11월 | 베이장 임시행정위원회 | 취장현 등 17개 현시 관할 |
1950년 1월 | 베이장 전구 | 베이장 임시행정위원회에서 개칭 |
1956년 | 사오관 전구 | 설치 |
1970년 | 사오관 지구 | 사오관 전구에서 개칭 |
1975년 11월 | 사오관 시 | 지급시로 재편, 취장현 관할 |
1983년 | 사오관 시 | 지방 행정 합병으로 현재 행정구역 탄생 |
사오관은 광둥성 북부에 위치하며, '광둥의 북문'으로 불릴 만큼 예로부터 북방 지역과 화남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 요지였다. 징광 철도와 징주 고속도로가 도시를 관통하며, 주변 도시인 허위안 시, 후이저우 시, 광저우시, 칭위안 시, 장시성 간저우 시, 후난성 천저우 시와 인접해 있다.[9]
3. 지리
난링 산맥 남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어 산지와 구릉이 많고, 물의 침식으로 인해 계곡이 발달했다. 시내에는 북서쪽에서 흘러오는 우 강과 북동쪽에서 흘러오는 전 강이 합류하여 베이 강을 이루며 남쪽으로 흐른다.
기후는 온난습윤하며, 연평균 기온은 20℃ 안팎이다. 1월 평균 기온은 10℃, 7월 평균 기온은 30℃ 정도이다. 연 강수량은 1,400~1,900mm이며, 봄과 여름에 비가 집중되고 가을과 겨울에는 비교적 건조하다. 북부 산지에서는 겨울철에 눈을 볼 수도 있다.[16][17]
3. 1. 위치 및 지형
광둥성 북부에 위치하며, 허위안 시, 후이저우 시, 광저우 시, 칭위안 시, 장시성 간저우 시, 후난성 천저우 시와 접한다.[9] '광둥의 북문'으로 불려 예부터 북방 지역과 화남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였다. 징광 철도가 지나가며 광저우에서 북쪽으로 221km 떨어져 있다. 인접한 징주 고속도로를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난링 산맥의 남쪽 기슭에 있으며, 지형은 산지와 구릉이 주를 이루고, 물의 침식으로 많은 계곡이 발달했다. 시역 내 주요 산줄기는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북쪽부터 순서대로 웨이링, 다위링, 야오산, 화스산, 칭윈산 등이 있다. 각 산계 사이에는 난슝 분지, 러창 분지, 사오관 분지, 웡위안 분지 등 여러 분지가 있다. 시 경계 내에는 광둥성에서 가장 높은 지점인 1902m의 스컹쿵 산이 있다.
북서쪽의 우 강과 북동쪽의 전 강이 합류해 베이 강이 되어 남쪽 광저우로 흐른다. 중심가는 우 강과 전 강 사이의 반도에 있다. 도시로부터 하류로 12km 떨어진 지점에 댐이 있다. 도시에는 강기슭을 따라 가로수가 있는 20km 길이의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세 개의 강을 건너는 7개의 다리가 있다.
사오관의 기후는 온난습윤하며, 연평균 기온은 20도 안팎이다. 1월 기온이 가장 낮아 평균 10도 안팎이며, 7월 기온이 가장 높아 평균 30도에 달한다. 연 강수량은 1,400~1,900mm로, 봄과 여름에 강수량이 많고, 가을과 겨울에는 비가 적다. 평균 무상 기간은 310일이지만, 북부 산지에서는 눈이 내리기도 한다.[16][17]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14.9 | 17.2 | 19.7 | 25.1 | 29.0 | 31.5 | 33.8 | 33.7 | 31.4 | 27.9 | 22.8 | 17.2 |
평균 기온 (℃) | 10.3 | 12.7 | 15.6 | 20.9 | 24.7 | 27.3 | 28.8 | 28.4 | 26.2 | 22.2 | 17.0 | 11.7 |
평균 최저 기온 (℃) | 7.2 | 9.6 | 12.8 | 17.8 | 21.6 | 24.4 | 25.4 | 24.9 | 22.6 | 18.1 | 13.1 | 8.0 |
최고 기온 기록 (℃) | 27.7 | 30.5 | 32.6 | 33.7 | 36.4 | 38.5 | 40.4 | 40.3 | 38.3 | 36.6 | 34.0 | 28.5 |
최저 기온 기록 (℃) | -2.5 | -1.4 | 0.9 | 5.7 | 12.7 | 16.6 | 20.1 | 20.1 | 15.1 | 6.3 | 1.6 | -4.3 |
강수량 (mm) | 78.1 | 88.9 | 189.7 | 207.1 | 303.3 | 288.5 | 151.7 | 144.1 | 93.3 | 46.2 | 64.9 | 56.9 |
상대 습도 (%) | 77 | 78 | 82 | 81 | 81 | 81 | 77 | 78 | 78 | 73 | 75 | 74 |
3. 2. 하천
사오관 시에서는 북서쪽에서 흘러오는 우강과 북동쪽에서 흘러오는 전강이 합류하여 남쪽 광저우로 흐르는 베이장(북강)을 형성한다. 사오관 시의 중심부는 우강과 전강 사이의 반도에 위치해 있다. 이 강들은 시내에서 약 12km 하류에 있는 댐에 의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한다. 시는 강둑을 따라 약 20km 길이의 가로수길이 조성되어 있다. 세 개의 강을 건너는 7개의 다리가 있다.[9]3. 3. 기후
사오관시는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Cfa'')로, 짧고 온화하며 습한 겨울, 비가 많이 오는 봄, 길고 덥고 습한 여름, 비교적 맑은 가을을 보인다. 내륙 깊숙한 곳에 위치해 겨울은 다른 지역보다 훨씬 더 추우며, 어떤 해에는 인근 산길에 결빙성 강우가 내릴 수도 있다. 겨울은 건조하고 비교적 맑게 시작하지만, 점점 더 흐리고 습해진다. 봄은 가장 흐리고 습한 계절로, 햇볕이 30% 미만으로 비친다. 연간 강수량은 약 1600mm이며, 그 대부분이 4월부터 6월까지 내린다. 월별 24시간 평균 기온은 1월 10.3°C에서 7월 29°C 사이이며, 연평균 기온은 20.5°C이다. 월별 가조시간은 3월 16%에서 7월 54%로 연간 1,617시간의 밝은 햇볕을 받는다.[16][17]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14.9°C | 17.2°C | 19.7°C | 25.1°C | 29°C | 31.5°C | 33.8°C | 33.7°C | 31.4°C | 27.9°C | 22.8°C | 17.2°C |
평균 기온 (℃) | 10.3°C | 12.7°C | 15.6°C | 20.9°C | 24.7°C | 27.3°C | 28.8°C | 28.4°C | 26.2°C | 22.2°C | 17°C | 11.7°C |
평균 최저 기온 (℃) | 7.2°C | 9.6°C | 12.8°C | 17.8°C | 21.6°C | 24.4°C | 25.4°C | 24.9°C | 22.6°C | 18.1°C | 13.1°C | 8°C |
강수량 (mm) | 78.1mm | 88.9mm | 189.7mm | 207.1mm | 303.3mm | 288.5mm | 151.7mm | 144.1mm | 93.3mm | 46.2mm | 64.9mm | 56.9mm |
상대 습도 (%) | 77 | 78 | 82 | 81 | 81 | 81 | 77 | 78 | 78 | 73 | 75 | 74 |
4. 행정 구역
(2010년 인구 조사)
(km2)
(/k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