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춘기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춘기 (드라마)는 1993년부터 1996년까지 방영된 대한민국의 청소년 드라마이다. 총 2개의 시즌으로 구성되었으며, 시즌 1은 1993년 4월부터 1995년 2월까지, 시즌 2는 1995년 3월부터 1996년 8월까지 방영되었다. 정준, 주현, 선우은숙, 서재경, 최우혁 등 다양한 배우들이 출연했으며, 1994년 한국방송대상 청소년부문 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미경 시나리오 작품 - 언제나 봄날
언제나 봄날은 조건과 순수함의 대비를 통해 사랑과 결혼의 의미를 질문하는 드라마이며, 선우재덕, 강별 등이 주요 인물로 등장하고 2017년에 122부작으로 종영했다. - 춘천시를 배경으로 한 작품 - 겨울연가
《겨울연가》는 첫사랑이었던 강준상과 정유진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준상과 닮은 이민형의 등장으로 벌어지는 사랑과 운명의 갈등을 그린 한국 드라마로,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한류 열풍을 일으켰다. - 춘천시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첫사랑 (1996년 드라마)
1996년 KBS2에서 방영된 드라마 첫사랑은 가난한 환경 속 세 남녀의 사랑, 형제애, 복수를 그린 작품으로, 최수종, 배용준, 이승연 등이 출연하여 최고 시청률 65.8%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사춘기 (드라마) | |
---|---|
기본 정보 | |
방송명 | 청소년 드라마 사춘기 |
장르 | 성장 드라마 |
방송 시간 | 45분 |
방송 기간 | 1993년 4월 15일 ~ 1996년 8월 14일 |
방송 횟수 | 총 175부작 |
방송 채널 | MBC TV |
제작진 | |
기획 | 황인뢰 → 정문수 → 강병문 (MBC 드라마본부) |
제작사 | MBC 프로덕션 |
제작 | 장수봉 → 이관희 → 안판석 |
프로듀서 | 강병문 → 이병훈 → 이진석 |
연출 | 장용우 → 강병문 → 이창한 |
각본 | 박정화, 이정선, 김선영, 김미경, 이금주, 이혜원 |
출연 | |
출연자 | 정준, 주현, 선우은숙, 이진아, 서재경 외 |
기타 | |
시청 등급 | 12 |
2. 시리즈 개요
wikitable
기수 | 방송 횟수 | 방영 기간 | ||
---|---|---|---|---|
시즌 시작 | 시즌 종료 | |||
style="background:#FA5858; height:10px;" rowspan="1"| | 1 | 106회 | 1993년 4월 15일 | 1995년 2월 16일 |
style="background:#FE642E; height:10px;" rowspan="2"| | 2 | 69회 | 1995년 3월 9일 | 1996년 8월 14일 |
'''시즌 1'''
3. 등장 인물
정준이 이동민 역을, 주현이 이동민의 아버지 역을, 선우은숙이 이동민의 어머니 역을 맡았다.[2] 이진아는 이재복 역을 연기했다. 윤순홍은 2학년 담임이자 국어 교사인 윤 선생님 역을,[2] 이재훈은 학생 지도 주임이자 수학 교사인 이 선생님 역을,[2] 김상중은 3학년 담임이자 체육 교사인 김 선생님 역을 맡았다.[2]
장덕수는 장덕수 역을,[2] 조재완은 조명식 역을,[2] 이정호는 이정호 역을,[2] 박영희는 박지연 역을,[2] 서원은 박성희 역을 맡았다.[2] 박소정,[3] 박인선, 주민준(이영호 역),[2] 맹혜리, 최호중(석진 역),[2] 인병국,[2] 노희지,[2] 김선민[2] 등이 출연했다.
김세윤은 1983년 11월까지 강원도 춘천 남면 면장을 지내고 1988년 11월 이후 경기도 용인 남사면 통삼리로 이주한 장수광 역을 맡았다.[2] 유명옥은 장수광의 부인이자 강원 고성 장전댁으로, 1988년 11월 이후 남편과 함께 경기도 용인 남사면 통삼리로 이주한 송춘섭 역을 연기했다.[2] 조재훈은 장수광의 사위로 강원도 인제 남면 관대리에 사는 현태진 역을,[2] 서영애는 장수광의 딸로 강원도 인제 남면 관대리에 사는 장영은 역을,[2] 주한울은 장수광의 외손자로 강원도 인제 남면 관대리에 사는 현동찬 역을 맡았다.[2]
노영심,[2] 한석규,[2] 감우성,[2] 박철,[2] 김세준,[2] 곽진영,[2] 김소이,[2] 장동건,[2] 김원희,[2] 박주미,[2] 조민기,[2] 손민우,[2] 심은하,[2] 양정아,[2] 이시은,[2] 최종환,[2] 안재욱,[2] 유태웅,[2] 손건우,[2] 최미향,[2] 이현경,[2] 윤용현,[2] 홍세은,[2] 김윤정,[2] 송상미,[2] 정혜정,[2] 황윤미,[2] 심미진,[2] 이기우,[2] 정은정,[2] 전삼병,[2] 박재연[2] 등이 특별출연했다.
'''시즌 2'''
서재경은 김재경 역을, 최우혁은 김재동 역을, 이민영은 김재인 역을 맡아 연기했다. 김용건은 김재경의 아버지 역을, 김영애는 김재경의 어머니 역을 맡았다. 이 외에도 김민정이 박나영 역으로, 고주희와 노경주가 영어 선생님 역으로 출연했다. 궁선영, 김창완은 미술 선생님 역을, 김일우는 체육 선생님 역을, 설경구는 음악 선생님 역을, 윤순홍은 국어 선생님 역을, 이재훈은 수학 선생님 역을 맡았다.
김용선은 천우석의 어머니 역을 맡았으며, 오태경이 천우석 역으로 출연했다. 김현석, 이일재, 김미라, 김규민, 최호중, 문혁, 김태진, 김상협, 이강우, 고가령, 전유경 (민희 역), 차효림, 채민희, 도지영, 김주영, 문용민, 김성찬, 김건호, 박재훈, 김창환, 최정, 조하나, 최지나, 최지우, 나경미, 조미령, 정준호, 이성재, 김찬우 등이 출연했다.
3. 1. 시즌 1
정준은 이동민 역을, 주현은 이동민의 아버지 역을, 선우은숙은 이동민의 어머니 역을 맡았다.[2] 이진아는 이재복 역을 연기했다. 윤순홍은 2학년 담임이자 국어 교사인 윤 선생님 역을,[2] 이재훈은 학생 지도 주임이자 수학 교사인 이 선생님 역을,[2] 김상중은 3학년 담임이자 체육 교사인 김 선생님 역을 맡았다.[2]
장덕수는 장덕수 역을,[2] 조재완은 조명식 역을,[2] 이정호는 이정호 역을,[2] 박영희는 박지연 역을,[2] 서원은 박성희 역을 맡았다.[2] 박소정,[3] 박인선, 주민준(이영호 역),[2] 맹혜리, 최호중(석진 역),[2] 인병국,[2] 노희지,[2] 김선민[2] 등이 출연했다.
김세윤은 1983년 11월까지 강원도 춘천 남면 면장을 지내고 1988년 11월 이후 경기도 용인 남사면 통삼리로 이주한 장수광 역을 맡았다.[2] 유명옥은 장수광의 부인이자 강원 고성 장전댁으로, 1988년 11월 이후 남편과 함께 경기도 용인 남사면 통삼리로 이주한 송춘섭 역을 연기했다.[2] 조재훈은 장수광의 사위로 강원도 인제 남면 관대리에 사는 현태진 역을,[2] 서영애는 장수광의 딸로 강원도 인제 남면 관대리에 사는 장영은 역을,[2] 주한울은 장수광의 외손자로 강원도 인제 남면 관대리에 사는 현동찬 역을 맡았다.[2]
노영심,[2] 한석규,[2] 감우성,[2] 박철,[2] 김세준,[2] 곽진영,[2] 김소이,[2] 장동건,[2] 김원희,[2] 박주미,[2] 조민기,[2] 손민우,[2] 심은하,[2] 양정아,[2] 이시은,[2] 최종환,[2] 안재욱,[2] 유태웅,[2] 손건우,[2] 최미향,[2] 이현경,[2] 윤용현,[2] 홍세은,[2] 김윤정,[2] 송상미,[2] 정혜정,[2] 황윤미,[2] 심미진,[2] 이기우,[2] 정은정,[2] 전삼병,[2] 박재연[2] 등이 특별출연했다.
3. 2. 시즌 2
서재경은 김재경 역을, 최우혁은 김재동 역을, 이민영은 김재인 역을 맡아 연기했다. 김용건은 김재경의 아버지 역을, 김영애는 김재경의 어머니 역을 맡았다. 이 외에도 김민정이 박나영 역으로, 고주희와 노경주가 영어 선생님 역으로 출연했다. 궁선영, 김창완은 미술 선생님 역을, 김일우는 체육 선생님 역을, 설경구는 음악 선생님 역을, 윤순홍은 국어 선생님 역을, 이재훈은 수학 선생님 역을 맡았다.
김용선은 천우석의 어머니 역을 맡았으며, 오태경이 천우석 역으로 출연했다. 김현석, 이일재, 김미라, 김규민, 최호중, 문혁, 김태진, 김상협, 이강우, 고가령, 전유경 (민희 역), 차효림, 채민희, 도지영, 김주영, 문용민, 김성찬, 김건호, 박재훈, 김창환, 최정, 조하나, 최지나, 최지우, 나경미, 조미령, 정준호, 이성재, 김찬우 등이 출연했다.
4. 방영 목록
5. 결방 사유
1993년 5월 27일에는 <쇼 스포츠> 방송으로 결방되었다. 1994년 7월 28일에는 여름방학 특집 다큐 만화의 스타들 2부 <악동이냐 슬램덩크냐> 방송으로 결방되었다. 1994년 9월 22일에는 MBC 초청 축구대표팀 평가전(1차전) <대한민국 VS 브라질> 방송으로 결방되었다.
1994년 10월 13일에는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여자 농구 결승전 <대한민국 VS 일본>과 축구 준결승 <대한민국 VS 우즈베키스탄> 등 연속 중계방송으로 결방되었다. 1995년 3월 23일에는 제31회 한국 백상예술대상 시상식 방송으로 결방되었다.
1995년 6월 29일에는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특보로 결방되었다. 1995년 11월 9일에는 한일 프로야구 슈퍼게임 4차전(후쿠오카 돔) 중계방송으로 결방되었다. 1995년 11월 16일에는 노태우 전 대통령 비자금 사건 특보로 결방되었다.
1995년 12월 7일에는 제16회 청룡영화상 방송으로 결방되었다. 1996년 6월 12일에는 문명탐사 다큐 700년 전의 약속 <목포 축하공연> 방송으로 결방되었다. 1996년 7월 31일에는 애틀란타 올림픽으로 인해 결방되었다.[4]
6. 에피소드 관련 해프닝
1993년 4월 29일 방영된 제3회 〈육체미 소동〉의 시나리오는 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었다.[5] 1994년 2월 3일 방영된 제57회 〈성교육 제1장〉은 1995년 3월 개최된 제7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 후보에 올랐으나 탈락했다.[6]
한편, 윤여정이 캐스팅 물망에 올랐으나 1994년 1월 19일 교통사고로 인해 불발되었으며,[7] 이 과정에서 윤여정은 해당 작품을 포함한 4편의 드라마 출연이 취소되어 대한통운을 상대로 3천9백여만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서울민사지법에 제기했다.
7. 수상 경력
8. 사회적 영향 및 평가
참조
[1]
뉴스
MTV 새 주간단막극「사춘기」中(중)2년생이 본'나와 세상'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3-04-15
[2]
문서
서원
[3]
문서
고은영
[4]
문서
[5]
문서
[6]
뉴스
반석 위에 쌓아올린 협회
http://bobfull.waple[...]
한국방송작가협회
2018-06-25
[7]
뉴스
"교통사고로 출연못해" 윤여정(尹汝貞)씨 손해배상소(訴)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0-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