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티아고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티아고섬은 갈라파고스 제도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에는 산 마르코스 섬, 살바도르 섬, 제임스 섬 등으로 불렸다. 두 개의 화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면적은 585km2, 최고점은 907m이다. 섬에는 설리번 만, 커즌 록, 푸에르토 에가스 등 다양한 지형이 존재하며, 바다 이구아나, 갈라파고스 바다사자, 갈라파고스 물개 등 다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한다. 1800년대부터 유입된 염소, 돼지, 당나귀는 토종 동물에게 위협이 되었으나, 현재는 제거되었다. 2019년에는 갈라파고스 육지 이구아나가 재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콰도르의 순상 화산 - 시에라네그라산 (갈라파고스 제도)
시에라네그라산은 갈라파고스 제도 이사벨라 섬에 위치한 활화산으로,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가장 큰 칼데라를 가지고 있으며, 2018년에 가장 최근 분화가 있었고, 멸종 위기종인 갈라파고스 거대 거북의 서식지이다. - 에콰도르의 순상 화산 - 핀타섬
핀타섬은 갈라파고스 제도 최북단의 화산섬으로, 멸종된 핀타땅거북 '외로운 조지'의 서식지로 유명하며 다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하고, 외래종 염소 제거 후 식생 회복과 바다사자 폐사 방지 등 보전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갈라파고스 제도의 화산 - 산타크루스섬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산타크루스섬은 중앙의 휴화산을 중심으로 다양한 식생과 지질학적 특징을 가지며, 찰스 다윈 연구소가 위치하여 제도 보존 및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고유종을 포함한 생물 다양성을 보여주는 섬이다. - 갈라파고스 제도의 화산 - 이사벨라섬
이사벨라섬은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6개의 순상 화산이 합쳐져 형성되었으며, 활화산인 시에라 네그라와 갈라파고스 코끼리거북을 포함한 독특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중요한 섬이다. - 갈라파고스 제도의 섬 - 산타크루스섬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산타크루스섬은 중앙의 휴화산을 중심으로 다양한 식생과 지질학적 특징을 가지며, 찰스 다윈 연구소가 위치하여 제도 보존 및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고유종을 포함한 생물 다양성을 보여주는 섬이다. - 갈라파고스 제도의 섬 - 이사벨라섬
이사벨라섬은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6개의 순상 화산이 합쳐져 형성되었으며, 활화산인 시에라 네그라와 갈라파고스 코끼리거북을 포함한 독특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중요한 섬이다.
산티아고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이름 | 산티아고 섬 (Isla Santiago) |
다른 이름 | 제임스 섬 (James Island) 산살바도르 섬 (Isla San Salvador) |
지리 | |
위치 | 갈라파고스 제도, 에콰도르 |
면적 | 585 km² |
최고점 | 세로 펠라도 (906m) |
인구 | |
인구 | 0 |
국가 | |
국가 | 에콰도르 |
2. 명칭
원래 스페인어 이름은 '''산 마르코스 섬'''[1](Islaes 또는 Ysla San Marcoses)[2]으로, 성 마르코를 기리는 이름이었다. 1892년, 콜럼버스의 첫 항해 400주년을 기념하는 에콰도르의 행사로, 콜럼버스가 처음 도착한 섬을 따라 '''살바도르''' 또는 '''산 살바도르 섬'''(Isla San Salvadores)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사벨라와 페르난디나도 세 번째와 네 번째 섬을 위해 유사하게 이름이 변경되었다. 현재 이름인 ''산티아고''는 스페인어로 성 야고보의 이름이며, 북부 스페인의 주요 순례지이다.
바다이구아나, 바다사자, 갈라파고스 물개, 육지거북, 바다거북, 플라멩고, 돌고래, 상어 등을 볼 수 있다. 인위적으로 풀어놓은 염소와 돼지는 토종 동물들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다윈 핀치와 갈라파고스 매는 보통 갈라파고스 물개의 영역과 함께 관찰된다.[3] 1835년에 찰스 다윈이 상륙한 4개의 섬 중 하나이다.[21][22] 산티아고 섬은 갈라파고스 제도에 있는 섬 중 하나로, 산티아고라는 이름의 순상 화산에서 형성되었다.[4] 섬에서 가장 오래된 용암류는 75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5] 화산의 낮고 평평한 정상은 낮은 점성의 용암이 화구에서 멀리까지 흘러갈 수 있게 했다.[6] 섬의 화산 기원은 섬 전역에서 발견될 수 있는 홀로세 화산쇄설암으로 섬을 덮이게 했다.[7] 섬의 동쪽과 서쪽에는 뜨거운 용암과 물의 급격한 상호 작용으로 형성된 응회구(tuff cone)가 보인다.[8] 화산의 정상은 섬의 북서쪽에 있으며, 산티아고 섬에서 마지막으로 기록된 화산 활동은 1904년에서 1906년 사이에 있었다.[9]
영어로는 이 섬을 '''요크 공작의 섬''', '''제임스 왕의 섬''', '''제임스 섬'''이라고도 불렀으며, 모두 잉글랜드의 제임스 2세를 기리는 이름이다. 이 이름은 원래 1684년 해적 윌리엄 암브로시아 카울리가 부여했으며, 제임스의 대관식 이후인 1685년에 변경되었다. 카울리는 플로레아나 섬을 찰스 2세를 기려 킹 찰스 섬이라고 명명했다.
3. 지리
3. 1. 지형
두 개의 겹친 화산으로 구성된 이 섬은 585km²의 면적에, 최고점 907m 높이를 가지고 있으며, 북서쪽의 정상에는 순상 화산이 있다. 이 섬 남서쪽의 화산은 유선형 열하를 따라서 분출했으며, 훨씬 낮은 편이다. 가장 오래된 용암 흐름은 750,000만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3]
'''설리번 만'''(Bahia Sullivan|바히아 설리번es, Sullivan Bay영어)은 산티아고 섬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반대편에는 바르톨로메 섬이 있다. 1890년의 비교적 새로운 파호이호이 (밧줄 모양) 용암류가 있으며[24], 용암의 기포로 덮인 검은 용암 및 굴뚝 모양의 흔적, 그리고 표면이 가시 모양이 된 아아 용암을 볼 수 있다[25]。거북이가 둥지를 트는 두 개의 작은 해변도 있다.
'''커즌 록'''(Cousin's Rock영어)은 잘 알려진 다이빙 명소이며, 산티아고 섬의 동해안 앞바다에 위치하고 있다. 이 커즌 록은 수면 위로 10m 정도 솟아 있는 화산암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삼각형 바위이다.
'''푸에르토 에가스'''(Puerto Egases)는 산티아고 섬의 서쪽, 제임스 만 남쪽에 위치하며, 침식된 바위가 형성된 긴 용암 해안선이 있다. 다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하며, 바다 이구아나가 일광욕을 즐긴다. 조수 웅덩이에는 많은 갈라파고스붉은바위게를 볼 수 있다. 근처에는 물개의 서식지도 있다. 푸에르토 에가스는[26], 스노클링 및 열대어의 많은 종을 관찰하기에 최적의 장소이기도 하다. 소금 생산 공장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푸에르토 에가스라는 이름은 1960년대에 이곳에서 소금 생산을 했던 엑토르 에가스 (Hector Egas)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22][27]。
3. 2. 주요 지점
'''설리번 만'''(Bahia Sullivan|바히아 설리번es, Sullivan Bay영어)은 산티아고 섬 동쪽에 있으며, 반대편에는 바르톨로메 섬이 있다. 1890년의 비교적 새로운 파호이호이 용암 (밧줄 모양) 용암류가 있으며[24], 용암의 기포로 덮인 검은 용암 및 굴뚝 모양의 흔적, 그리고 표면이 가시 모양이 된 아아 용암을 볼 수 있다[25]。거북이가 둥지를 트는 두 개의 작은 해변도 있다.
'''커즌 록'''(Cousin's Rock영어)은 잘 알려진 다이빙 명소이며, 산티아고 섬 동해안 앞바다에 있다. 수면 위로 10m 정도 솟아 있는 화산암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삼각형 바위이다.
'''푸에르토 에가스'''(Puerto Egases)는 산티아고 섬 서쪽, 제임스 만 남쪽에 있으며, 침식된 바위가 형성된 긴 용암 해안선이 있다. 다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하며, 바다 이구아나가 일광욕을 즐긴다. 조수 웅덩이에는 많은 를 볼 수 있다. 근처에는 물개 서식지도 있다. 푸에르토 에가스는[26] 스노클링 및 열대어의 많은 종을 관찰하기에 최적의 장소이기도 하다. 소금 생산 공장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푸에르토 에가스라는 이름은 1960년대에 이곳에서 소금 생산을 했던 엑토르 에가스 (Hector Egas)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22][27]。
4. 지질
산티아고섬은 두 개의 겹친 화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585km2, 최고점은 907m이다. 섬 북서쪽 정상에는 순상화산이 있다. 섬 남서쪽의 화산은 유선형 열하를 따라서 분출했으며, 훨씬 낮은 편이다. 가장 오래된 용암 흐름은 750,000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3][4][5]
섬의 화산 기원은 섬 전역에서 발견되는 홀로세 화산쇄설암으로 덮여 있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섬의 동쪽과 서쪽에는 뜨거운 용암과 물의 급격한 상호 작용으로 형성된 응회구(tuff cone)가 있다. 섬에서 가장 오래된 용암류는 75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5] 화산의 낮고 평평한 정상은 낮은 점성의 용암이 화구에서 멀리까지 흘러갈 수 있게 했다.[6] 화산의 정상은 섬의 북서쪽에 있으며, 산티아고 섬에서 마지막으로 기록된 화산 활동은 1904년에서 1906년 사이였다.[9]
5. 생태
찰스 다윈은 1835년 10월, 섬의 식물과 초목에 대해 "다른 섬들과 마찬가지로, 낮은 지역은 거의 잎이 없는 덤불로 덮여 있었지만, 나무는 다른 곳보다 더 크게 자랐습니다. 구름으로 인해 습한 상태를 유지하는 상부 지역은 푸르고 번성하는 식생을 지원합니다."라고 기록했다.[12] 홍학은 폭우로 인한 토사로 석호가 소멸될 때까지 북쪽 해안 지역에 서식했다.[28]
5. 1. 동물
바다이구아나, 바다사자, 갈라파고스 물개, 육지거북과 바다거북, 플라멩고, 돌고래, 상어 등을 볼 수 있다. 이곳에는 인위적으로 풀어놓은 많은 염소와 돼지들을 볼 수 있는데, 토종 동물들에게는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다윈 핀치와 갈라파고스 매는 보통 갈라파고스 물개의 영역과 함께 관찰된다.[28]산티아고섬의 서쪽, 제임스만의 남쪽에 있는 푸에르토 에가스는 멋진 야생의 다양성을 볼 수 있는 침식된 바위집들이 있는 긴 용암 해안선이 있다. 바다 이구아나가 햇빛을 쪼이고, 육지 이구아나는 노출된 조류를 헤치면서 뜯어먹는다.
다른 갈라파고스 제도의 섬들과 마찬가지로, 산티아고 섬은 특히 갈라파고스에 고유한 야생 동물이 풍부하다. 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물로는 갈라파고스 물개, 갈라파고스 바다사자, 샐리 라이트푸트 게, 바다 이구아나와 갈라파고스 육지 이구아나, 병코돌고래, 갈라파고스 쌀쥐, 그리고 Microlophus 등이 있다.[10] 찰스 다윈은 1835년 10월, 섬의 육지 이구아나 개체수가 엄청나다고 언급했다. "제임스 섬에 우리를 남겨두었을 때, 우리의 단 하나의 텐트를 칠 수 있을 만큼 이구아나의 굴이 없는 곳을 한동안 찾을 수 없었다는 사실만으로도 그들의 수를 강력하게 증명할 수 있습니다."[11] 갈라파고스땅거북, 바다거북류, 갈라파고스물개, 갈라파고스바다사자, 돌고래류, 상어류 등이 서식한다. 다윈핀치류와 갈라파고스매도 흔히 볼 수 있으며, 갈라파고스흉내지빠귀는 아종 ''M. p. personatus''가 분포한다.[28]
18세기에 해적이 들렀던 산티아고섬에는[29], 1800년대부터 1900년대 초에 다수의 염소, 돼지, 당나귀가 사람에 의해 이입되었고, 그 동물들은 고유종에 큰 피해를 입혔다. 초목을 훼손하는 염소는 1813년에 미국의 군함 에식스호에서 풀려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30]。그때까지 서식했던 갈라파고스 육지 이구아나는, 둥지가 야생화된 돼지에게 습격당하는 등 1800년대 말경에는 멸종했다[31][32]。
갈라파고스 코끼리거북의 고유 아종 또한 멸종이 우려되었다[33]。산티아고섬의 코끼리거북은 그 알을 먹는 돼지의 피해를 입었지만[34], 1975년부터 알의 보호・육성이 시작되어, 2000년에는 통산 500마리의 복귀를 기록하게 되었다[35]。최근의 서식 수는 1,165마리로 알려져 있다[36]。
1997년부터, 염소, 돼지, 당나귀에 대한 본격적인 박멸 사업이 산티아고섬에서도 시작되어, 2000년에는 돼지가[22], 이어서 2004년에는 당나귀가 근절되었고, 2005년에는 야생화된 염소도 섬에서 제거된 것이 2006년에 선언되었다[37]。
5. 2. 보전 및 복원
갈라파고스 국립공원 관리국과 아일랜드 컨서베이션(Island Conservation)은 2019년 1월 4일에 1,436마리의 갈라파고스 육지 이구아나(''Conolophus subcristatus'')를 180년 만에 산티아고 섬에 다시 도입했다. 이들은 섬의 생태적 건강을 회복하고 이구아나 종이 번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육지 이구아나를 재도입했다. 육지 이구아나는 1930년대에 도입되어 5,000마리 이상으로 증가했지만 먹이 부족에 직면한 노스 세이무어 섬에서 공급되었다.[29] 찰스 다윈은 1835년에 산티아고 섬에서 살아있는 육지 이구아나를 기록한 두 번째 마지막 사람이었고, 아벨-니콜라스 베르가스 뒤 프티-투아르가 1838년에 마지막으로 기록했다.18세기에 해적이 들렀던 산티아고섬에는[29], 1800년대부터 1900년대 초에 다수의 염소, 돼지, 당나귀가 사람에 의해 이입되었고, 그 동물들은 고유종에 큰 피해를 입혔다. 초목을 훼손하는 염소는 1813년에 미국의 군함 에식스호에서 풀려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30]。그때까지 서식했던 갈라파고스 육지 이구아나는, 둥지가 야생화된 돼지에게 습격당하는 등 1800년대 말경에는 멸종했다[31][32]。
갈라파고스 코끼리거북의 고유 아종 또한 멸종이 우려되었다[33]。산티아고섬의 코끼리거북은 그 알을 먹는 돼지의 피해를 입었지만[34], 1975년부터 알의 보호·육성이 시작되어, 2000년에는 통산 500마리의 복귀를 기록하게 되었다[35]。최근의 서식 수는 1,165마리로 알려져 있다[36]。
1997년부터, 염소, 돼지, 당나귀에 대한 본격적인 박멸 사업이 산티아고섬에서도 시작되어, 2000년에는 돼지가[22], 이어서 2004년에는 당나귀가 근절되었고, 2005년에는 야생화된 염소도 섬에서 제거된 것이 2006년에 선언되었다[37]。
갈라파고스 국립공원 당국은, 생태계 회복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산티아고섬에서의 갈라파고스 육지 이구아나의 서식 환경을 회복하는 계획을 입안했다. 2019년 1월 7일까지 노스 세이모어 섬에서 1,436마리의 육지 이구아나를 옮겨 야생에 방생했음을 밝혔다[38]。
6. 역사
원래 스페인어 이름은 '''산 마르코스 섬'''[1](Islaes 또는 Ysla San Marcoses)[2]로, 성 마르코를 기리는 이름이었다. 1892년, 콜럼버스의 첫 항해 400주년을 기념하는 에콰도르의 행사로, 콜럼버스가 처음 도착한 섬을 따라 '''살바도르''' 또는 '''산 살바도르 섬'''(Isla San Salvadores)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사벨라와 페르난디나도 세 번째와 네 번째 섬을 위해 유사하게 이름이 변경되었다. 현재 이름인 ''산티아고''는 스페인어로 성 야고보의 이름이며, 북부 스페인의 주요 순례지이다.
영어로는 이 섬을 '''요크 공작의 섬''', '''제임스 왕의 섬''', '''제임스 섬'''이라고도 불렀으며, 모두 잉글랜드의 제임스 2세를 기리는 이름이다.[2] 이 이름은 원래 1684년 해적 윌리엄 암브로시아 카울리가 부여했으며, 제임스의 대관식 이후인 1685년에 변경되었다.[2] 카울리는 유사하게 플로레아나 섬을 찰스 2세를 기려 킹 찰스 섬이라고 명명했다.[2]
참조
[1]
서적
Kitchin's General Atlas...
Laurie & Whittle
1797
[2]
간행물
"[[File:Nueva y correcta carta del mar Pacifico ó del Sur - Vicente de la Fuente f. - btv1b53053066z.jpg|Nueva y Correcta Carta del Mar Pacifico ó del Sur...]] ''[''New and Improved Map of the Pacific or Southern Sea'']''"
1744
[3]
웹사이트
Santiago
https://www.galapago[...]
galapagos.org
2017-06-06
[4]
웹사이트
Santiago Volcano
https://www.volcanod[...]
Volcano Discovery
2021-07-14
[5]
웹사이트
Santiago
http://www.geo.corne[...]
Cornell University
2021-04-28
[6]
논문
Geology of Santiago, Rábida, and Pinzón Islands, Galápagos
https://pubs.geoscie[...]
2021-07-14
[7]
웹사이트
Santiago
https://volcano.si.e[...]
Smithsonian Institution Museum of Natural History Global Volcanism Program
2021-07-14
[8]
웹사이트
Types of Volcanos: Splatter and Tuff Cones
https://www.geo.fu-b[...]
Freie Universität Berli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2021-07-14
[9]
웹사이트
Isla Santiago, Galapagos Islands
https://www.earthobs[...]
NASA Earth Observatory
2021-07-14
[10]
웹사이트
Santiago Island, Galapagos
https://galapagosins[...]
Galapagos Insiders
2021-07-14
[11]
웹사이트
The Voyage of the Beagle
https://www.ling.upe[...]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21-07-14
[12]
논문
The Vegetation of Isla Santiago-Past and Present
https://core.ac.uk/d[...]
2021-07-14
[13]
웹사이트
Threatened Galápagos Land Iguanas Return to Santiago Island En-Masse After 180-Year Absence
https://www.islandco[...]
Island Conservation
2019-01-09
[14]
웹사이트
Galápagos island gets its first iguanas since Darwin after mass-release
https://www.theguard[...]
2019-01-09
[15]
웹사이트
Iguanas reintroduced to Galapagos island after 200 years
https://www.cnn.com/[...]
CNN.com
2019-01-09
[16]
웹사이트
Iguanas Are Being Reintroduced to a Galapagos Island Two Centuries After They Disappeared
https://time.com/549[...]
TIME
2019-01-09
[17]
웹사이트
Iguanas reintroduced to Galapagos island after almost 200 years
https://www.independ[...]
2019-01-09
[18]
웹사이트
Iguanas Reintroduced to the Largest Galapagos Island After Nearly 200 Year Absence
https://earther.gizm[...]
Earther
2019-01-09
[19]
웹사이트
Santiago Island Lava fields and wildlife at Puerto Egas
https://www.voyagers[...]
2021-01-30
[20]
문서
伊藤 (1983)
[21]
서적
新訳 ビーグル号航海記 下
平凡社
[22]
웹사이트
Santiago
https://www.galapago[...]
Galápagos Conservancy
2017-07-12
[23]
문서
伊藤 (1983)
[24]
문서
水口 (1999)
[25]
문서
水口 (1999)
[26]
문서
藤原 (2001)
[27]
서적
ダーウィンの足跡を訪ねて
集英社
[28]
문서
伊藤 (2002)
[29]
문서
伊藤 (1983)
[30]
문서
伊藤 (2002)
[31]
문서
藤原 (2001)
[32]
문서
伊藤 (2002)
[33]
문서
伊藤 (2002)
[34]
문서
藤原 (2001)
[35]
문서
伊藤 (2002)
[36]
문서
日本ガラパゴスの会 (2010)
[37]
웹사이트
Project Isabela
https://www.galapago[...]
Garapagos Conservancy
2017-07-12
[38]
웹사이트
南米ガラパゴス、サンティアゴ島にリクイグアナが戻る 約2世紀ぶり
https://www.afpbb.co[...]
AFP
2019-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