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살트 (요르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트는 요르단 암만에서 북서쪽으로 약 1시간 거리에 위치한 도시로, 라틴어 '숲'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살투스'로 불리며 요르단강 동쪽의 주요 정착지였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 지역 행정 수도로 번성했으며, 19세기 말 나블루스 상인들의 유입으로 상업 도시로 성장했다. 한때 트란스요르단의 수도가 될 뻔했으나, 암만이 수도로 지정되었다. 2021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특히 올리브, 토마토, 포도 등의 재배가 활발하며, 알 사르트 SC라는 축구 클럽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르단의 세계유산 - 와디럼
    요르단 남부의 사막 지대인 와디 럼은 붉은 사암 산과 계곡, 나바테아인의 흔적, 영화 촬영지로 유명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곳이다.
  • 요르단의 세계유산 - 페트라
    페트라는 요르단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나바테아인들이 향신료 무역으로 번성하고 헬레니즘 양식의 건축물을 건설했으며, 지진과 정복으로 쇠퇴했지만, 1812년 재발견되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된 관광 명소이다.
  • 요르단의 도시 - 암만
    암만은 요르단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로, 랍밧 암몬에서 시작된 오랜 역사를 지니며, 헬레니즘 시대에 필라델피아로 개명, 이슬람 시대를 거쳐 요르단의 수도가 되었고, 현재는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서 역사 유적과 현대적 인프라가 공존한다.
  • 요르단의 도시 - 마프라크
    마프라크는 요르단 북부, 하우란 고원과 시리아 사막 경계에 위치한 도시이자 마프라크 주의 주도로, 고대부터 정착이 이루어졌으며 순례자 숙소를 거쳐 현재는 군사 시설과 교통의 요충지이다.
  • 아시아의 세계유산 - 호이안
    호이안은 베트남 꽝남성에 위치한 도시로, 참파 왕국 시대부터 무역항으로 발전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독특한 건축 양식과 문화를 보존하며 관광 도시로 기능한다.
  • 아시아의 세계유산 - 석굴암
    석굴암은 경덕왕 때 김대성이 짓기 시작하여 혜공왕 때 완성된 토함산 중턱의 석굴 사찰로,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한 아름다운 조각상들과 독창적인 건축미로 한국 불교 미술의 걸작으로 평가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살트 (요르단)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살트의 스카이라인, 알-살트 대모스크, 성 조지 교회, 라틴 교회, 알-살트 성, 알-살트 고고학 박물관, 알-함맘 로드, 알-살트 소규모 모스크
시계 방향으로 위쪽부터: 알-살트 스카이라인, 알-살트 대모스크, 성 조지 교회, 라틴 교회, 알-살트 성, 알-살트 고고학 박물관, 알-함맘 로드, 알-살트 소규모 모스크.
공식 명칭السلط (아랍어)
기타 명칭Σάλτος (Saltus, 고대 그리스어)
별칭Saltus (고대 그리스어)
위치요르단 발카 주
행정 구역
국가요르단
발카 주
시장Mohammad Abdulkareem Alhyari
설립기원전 300년경
자치 도시 설립1887년
지리
좌표32°02′N 35°44′E
면적48km²
광역 면적79km²
해발 고도820m
인구
총 인구 (2018년)107,874명
인구 밀도1479명/km²
기타 정보
시간대UTC+2
하계 시간 (DST)UTC+3
지역 번호+(962)5
웹사이트알-살트 공식 웹사이트
세계유산
명칭알-살트 - 관용의 장소와 도시의 환대
등재 연도2021년
지정 번호689
기준ii, iii
유형문화
지역아랍 국가

2. 어원

'살트(Salt)'라는 이름은 "숲"을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saltus|살투스la에서 유래되었다.

3. 역사

알렉산드로스 대왕 통치 시대에 마케도니아 군대에 의해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살트는 비잔틴 제국 시대에 '''살투스'''로 알려졌으며 요르단강(Transjordan (region)) 동쪽의 주요 정착지였다. 몽골 제국에 의해 파괴되었으나 맘루크 왕조(Mamluk Sultanate (Cairo))의 술탄 바이바르스(Baibars, 1260–1277) 통치 기간에 재건되었다.

살트는 요르단 계곡과 동부 사막 사이의 중요한 무역 거점이었으며, 이 지역의 많은 통치자들에게 중요한 장소였다. 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맘루크 왕조 등은 모두 이 도시의 성장에 기여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오스만 제국이 살트에 지역 행정 수도를 설립하고 제국의 다른 지역으로부터 정착을 장려하면서 살트는 가장 번성하는 시기를 누렸다.

1830년대 초, 살트는 무함마드 알리 왕조이집트의 총독 이브라힘 파샤의 시리아-팔레스타인 원정으로 공격을 받았다. 19세기 말, 나블루스의 무역상들이 교역로를 요르단강 동쪽으로 확장하면서 살트는 전성기를 맞이했고, 새로운 주민들의 유입으로 농촌에서 상업 도시로 변모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영국의 고등 판무관허버트 사무엘은 트란스요르단의 자치 정부 소재지로 살트를 제안했다. 1921년 하심 가문 출신 압둘라 1세가 토후가 되었으나, 살트 주민들과의 불화로 암만으로 수도를 옮겼다.

오스만 제국 시대의 모습을 보여주는 옛 시가지 거리


옛 시가지 주택으로 이어지는 계단


언덕 위의 살트 시가지


구 시가지 Hamam 거리

3. 1. 고대와 중세 시대

알렉산드로스 대왕 통치 시대에 마케도니아 군대에 의해 건설된 것으로 추정된다. 비잔틴 제국 시대에는 '''살투스'''로 알려졌으며 교구의 소재지였다. 당시 이 도시는 요르단강(Transjordan (region)) 동쪽의 주요 정착지로 여겨졌다. 몽골 제국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이후 맘루크 왕조(Mamluk Sultanate (Cairo))의 술탄 바이바르스(Baibars, 1260–1277)의 통치 기간에 재건되었다.

로마 제국 지배 시기 살트는 라틴어로 숲을 의미하는 '''살투스'''(Saltus)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며, 이후 동로마 제국 시대에는 주교가 배치되었다.[3] 이 시기에 살투스는 요르단강 동쪽의 중심 도시가 되었다.[3]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파괴된 살트는 맘루크 왕조 제5대 술탄 바이바르스의 통치(1260년 - 1277년)기에 재건된다.[3]

3. 2.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 시대에 살트는 요르단 계곡과 동부 사막 사이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 이러한 지리적 위치 덕분에 살트는 지역 통치자들에게 중요한 장소였다.[4]

1596년 오스만 제국의 인구 조사 기록에 따르면, 살트는 아즐룬의 ''리와''에 속한 살트 ''나히야''로 기록되었으며, 무슬림 40가구와 5명의 독신자, 기독교인 25가구가 거주했다. 주민들은 밀, 보리, 올리브, 포도원, 염소, 벌집 등 농산물에 대해 25%의 고정 세율을 지불했으며, 가끔 수입과 시장 통행료를 합하여 총 12,000 악체를 지불했다.[4]

18세기 말부터 19세기까지 살트는 발카 지역의 유일한 정착지였으며, 발카의 나머지는 베두인 부족이 지배했다. 살트는 트란스요르단 토후국 초기까지 트란스요르단에서 가장 발전된 도시이자 상업 중심지였다. 두 개의 샘에서 식수를 공급받았고, 와디 슈아이브 시내를 따라 마을 정원에 관개 용수를 제공했다. 살트는 원뿔 모양 언덕 경사면에 위치하여 요새가 있었고, 두 개의 깊은 계곡 능선을 따라 위치하여 베두인 부족의 침입에 대한 자연 방어 역할을 했다. 살트 주민들은 부족과 협상하여 살트의 시장을 이용하게 해주는 대가로 발카 동부 평원의 밀밭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했다. 부족과 공유 경작 계약을 체결하여 살트 주민들은 수확 때까지 봄에 암만과 와디 왈라에서 야영을 하고 발카의 지배 부족에게 매년 공물을 지불했다. 1810년대까지 최고 부족은 "발카의 영주"로 알려진 바누 아드완이었고, 이후 바누 사크르가 아드완을 제압하고 살트로부터 공물을 징수했다.

베두인 부족의 통제 하에 있던 살트는 오스만 당국의 간섭을 받지 않고 독자적인 자치권을 행사했다. 19세기 초 서방 여행자들은 살트의 지도자가 술탄이 임명한 오스만 시리아의 지방 총독과 동일한 권위를 행사했다고 보고했다.

19세기 초, 살트 주민들은 대부분 파쿠리, 아크라드, 아와밀라, 카티샤트 씨족에 속했다. 각 씨족은 자체 셰이크가 이끌었고, 그 중 한두 명이 요새에 거주하며 ''샤이크 알-발라드''(도시 지도자) 역할을 했다. 인구는 약 400명의 무슬림 가족과 80명의 기독교인 가족으로 구성되었다. 1820년대 아크레의 오스만 총독 자자르 파샤의 강탈을 피해 이주한 나사렛 출신 이민자들이 살트 기독교인의 상당수를 차지했다. 무슬림과 기독교인의 관계는 우호적이었으며, 두 공동체는 동일한 생활 방식, 복장 및 아랍어를 공유했다. 살트는 구역으로 나뉘어 각 구역은 세 개의 주요 씨족 중 하나가 통제했으며, 이 기간 동안 여러 모스크, 교회, 약 20개의 상점이 있었다. 살트는 카라크까지 주변 시골에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카라크는 19세기 후반까지 시장이 없었고, 살트 시장의 상품은 타이어와 이집트에서 기원했다. 살트는 건포도, 옻나무 잎(예루살렘의 가죽 공장용), ''킬리''(나불시 비누의 핵심 성분인 재의 일종)를 나블루스로, 그리고 베두인이 다마스쿠스에 공급하는 타조 깃털을 수출했다. 나블루스는 살트의 주요 파트너였으며, 살트는 나블루스에 기반을 둔 투칸 가문의 트란스요르단 중심지 역할을 했다. 주민 대부분은 농부였지만 장인과 소수의 상인도 있었으며, 후자는 나블루스, 나사렛, 다마스쿠스의 상인으로부터 위탁을 받았다.

1834년, 살트 주민들과 지역 베두인은 이집트무함마드 알리가 이끄는 이브라힘 파샤 군대에 맞서 싸웠다. (팔레스타인 농민 반란) 1840년 레반트의 오스만 통치가 회복되었지만, 살트는 명목상 제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

1866-1867년, 다마스쿠스의 총독 메흐메드 라시드 파샤 (1866-1871)는 트란스요르단에서 탄지마트 중앙 집중화 개혁을 확대하려 했다. 그는 르왈라, 울드 알리, 바누 하산의 베두인 부족, 하우란 평원인, 드루즈 산악인, 정규 보병, 기병 및 포병 부대로 구성된 대규모 부대를 이끌고 살트로 진군하여 도시 북쪽 3시간 거리에 멈춰 섰다. 거기에서 그는 당국에 대항하여 아드완 및 바누 사크르와 동맹을 맺은 살트 주민들을 사면하겠다고 제안했다. 도시는 1867년 8월 17일 오스만 군대의 살트 무혈 입성을 협상하기 위해 무슬림과 기독교 지도자 대표단을 조직했다. 라시드 파샤는 손상된 요새를 수리하고 400명의 군대를 주둔시켰다. 그는 다마스쿠스 출신의 쿠르드인 파리스 아가 카두를 살트의 초대 지역 총독으로 임명하고 살트의 엘리트 가문으로 구성된 선출된 행정 위원회를 설립했다. 라시드 파샤는 세금 체납에 대한 보상으로 도시에서 엄청난 양의 곡물과 가축을 압수했다.

19세기 후반, 나블루스 상인들의 유입으로 살트는 크게 번성했다. 이 시기 살트는 단순한 마을에서 아름다운 '나블루시' 양식의 건물들을 갖춘 도시로 빠르게 확장되었다.

3. 3. 영국 위임통치 시대와 독립

제1차 세계 대전영국 원정군의 유대인 군단 제3대대가 엘리에제르 마골린 사령관 지휘 하에 살트를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점령했다.[5][6]

전후, 팔레스타인 영국 최고 위원 허버트 사무엘은 살트에서 영국이 위임 통치 팔레스타인 동부(현재 요르단)에 하심 가문이 통치하는 실체를 선호한다고 발표했다. 1921년 압둘라 1세가 트란스요르단의 에미르가 되면서 이 소망은 현실이 되었다. 당시 살트는 대부분의 산업과 상업이 이곳을 통해 이루어졌고, 유일한 고등학교가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토후국의 수도로 유력해 보였다. 그러나 압둘라 1세와 살트 유력자들 간의 의견 불일치로 인해, 암만이 수도로 결정되었다. 암만은 당시 급격한 성장을 겪고 있는 2만 명의 작은 도시였다.

1961년 요르단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살트에는 16,176명의 주민이 있었으며, 그 중 2,157명이 기독교인이었다.

4. 행정 구역

아스-살트 수크의 문 닫힌 상점


살트시는 9개의 주요 구역으로 나뉜다.

구역인구 (2018년)
1살트 시107,874
2자이4552
3움 주제3177
4디이레 아시-샤르키예1488
5알-야제디예1559
6야르카6688
7이라4396
8알란4042
9루마이민2511
10모다리1419
11자타리1636
12흐다입435
13와디 인나카590
14움 크루베758
15와디 아스-산79
16움 알-아마드1655
17다암470
18살라프750
19잘라드1255
20와시예504
21미쉬르페295
22와디 슈야입946


5. 교육

살트에는 1918년에 설립된 공립 중등학교를 비롯하여, 1800년대부터 시작된 라틴 학교와 가톨릭 학교와 같은 많은 사립 학교들이 있다. 또한 청각 장애인을 위한 비영리 교육 센터인 성지 농아 학교가 있다. 이 도시 주변에는 발카 응용 대학교(1997년 설립)와 암만 국립 대학교 두 곳의 대학교가 있는데, 암만과 살트를 연결하는 고속도로에 위치해 있다.

6. 관광

살트는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19세기 말 나블루스 상인들이 요르단 강 동쪽으로 무역망을 확장하면서 살트에 정착하여 지은 아름다운 건물들은 돔형 지붕, 내부 안뜰, 높고 아치형 창문이 특징이다. 도시 외곽에는 로마 무덤과 1198년살라딘의 조카 알무아잠 이사가 건설한 13세기 초 아이유브 왕조 요새의 성채와 유적지가 있다. 석기 시대부터 이슬람 시대까지의 유물과 이 지역의 역사와 관련된 기타 물품을 전시하는 고고학 및 민속 박물관이 있다.[1] 또한 이드로, , 여호수아 등 여러 예언자들의 무덤이 있는 이슬람 사원들이 있다.[1]

6. 1. 오스만 시대 건축물

19세기 말, 나블루스 상인들이 요르단 강 동쪽으로 무역망을 확장하면서 살트는 전성기를 맞이했다. 이들은 살트에 정착하여 많은 아름다운 건물들을 지었는데, 이 건물들은 오늘날까지도 살트의 특징적인 건축 양식으로 남아있다.

이 웅장한 황색 사암 건물들은 다양한 스타일을 통합하고 있으며, 돔형 지붕, 내부 안뜰, 그리고 특징적인 높고 아치형 창문을 가지고 있다. 이 시대의 많은 건물들이 현재까지 남아있어 당시의 건축 양식을 엿볼 수 있다.

أبو جابر|아부 자베르ar 저택은 1892년에서 1906년 사이에 지어졌으며, 이탈리아 예술가들이 그린 프레스코 천장이 특징이다. 이 저택은 19세기 상인 저택의 가장 훌륭한 예로 꼽힌다.[4]

6. 2. 로마 무덤과 아이유브 왕조 요새

도시 외곽에는 로마 무덤이 있으며, 1198년살라딘의 조카 알무아잠 이사가 건설한 13세기 초 아이유브 왕조 요새의 성채와 유적지가 남아있다.

6. 3. 박물관

살트의 고고학 및 민속 박물관은 석기 시대부터 이슬람 시대까지의 유물과 이 지역의 역사와 관련된 기타 물품을 전시하고 있다.[1] 민속 박물관에는 베두인과 전통 의상, 일상적인 민속품이 전시되어 있다.[1] 작은 박물관과 수공예 학교에서는 도자기, 직조, 실크 스크린 인쇄 및 염색과 같은 전통 기술을 선보인다.[1]

6. 4. 이슬람 성지

살트와 그 주변에는 이드로, , 여호수아 등 여러 예언자들의 무덤이 있는 이슬람 사원들이 있다.[1] 이들의 무덤은 각각 안나비 슈아이브, 안나비 아이유브, 안나비 유샤 빈 눈으로 불리는데, '안나비'는 아랍어로 "예언자"를 뜻한다.[1] 갓의 아랍식 이름인 수아아와 아이유브, 유샤의 전통적인 무덤도 이곳에 있다.[1]

7. 세계유산

2021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관용과 도시적 환대의 장소"로 등재되었다. 등재 기준은 다음과 같다.


  • (ii) 오랜 기간에 걸쳐 또는 세계의 특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 기술, 기념비적 예술, 도시 계획 또는 조경 디자인의 발전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류를 보여주는 유산
  • (iii)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를 담고 있는 유산

8. 스포츠

요르단 프로 리그에 소속된 알 사르트 SC가 있다.

9. 산업

살트는 요르단 내에서도 비옥한 토지와 품질 좋은 과일채소 수확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올리브, 토마토, 포도, 복숭아 등이 주요 생산품이다. 또한 담배 재배도 살트의 특징이며, 도시 내에는 전통적인 담배 가게를 지금도 볼 수 있다.

살트는 포도로 유명하며, 오늘날에도 포도즙을 졸여 만든 과자(하비세)가 전통적인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술타나 건포도는 원래 살트산 건포도라는 의미였다고 현지에서는 믿어지고 있다.

와디 슈아이브의 풍경


와디 슈아이브(Wadi Shu'aib, 에테로의 계곡)는 살트 시에서도 최대 규모의 농업 지대이며, 넓은 계곡에 광대한 농지가 펼쳐져 있다. 계곡의 이름은 이슬람교에서 예언자로 여겨지는 인물 슈아이브 혹은 쇼아이브 (:en:Shoaib), 유대교기독교에서 예언자로 여겨지는 에테로 (:en:Jethro (Bible)와 동일시됨)에서 유래한다. 에테로는 모세의 장인이자 아브라함(이브라힘)의 후손이기도 하다. 개인 농장의 대부분은 와디 슈아이브에 있으며, 포도와 올리브 등을 재배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عدد سكان المملكة المقدر حسب البلدية والجنس في نھاية 2018 http://dosweb.dos.go[...] Family and Population Surveys Directorate – Department of Population and Social Statistics 2021-09-02
[2] 웹사이트 Al-Salt Story http://www.visitas-s[...] 2023-01-10
[3] 웹사이트 Cultural sites in Africa, Arab Region, Asia, Europe, and Latin America added to UNESCO’s World Heritage List https://en.unesco.or[...] 2021-07-28
[4] 서적 Hütteroth and Abdulfattah, 1977, p. 169
[5] 웹사이트 Margolin, Eliezer https://www.encyclop[...] 2022-05-03
[6] 웹사이트 Lieutenant-Colonel Eliazar Margolin leading the 39th Royal Fusiliers through Bet Shemen in Israel https://alh-research[...] 2022-05-03
[7] 웹사이트 Shrine of Prophet Shoaib (Jethro) http://www.visitas-s[...] 2023-01-10
[8] 웹사이트 Salt Greater Municipality http://www.salt.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