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탄역은 1959년 2월 15일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67년 7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2016년 1월 1일 충북선 누리로가 개통되었으나 같은 해 12월 9일 무궁화호로 대체되었다. 2020년 8월 2일 역 구내 침수와 토사 유출로 충주역 ~ 제천역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9월 8일 재개되었다. 2면 4선의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현재 1번과 4번 승강장은 사용하지 않으며, 충북선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주시의 건축물 - 충주역
충주역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경부선과 중부내륙선이 교차하는 철도역으로, 1928년 개업 후 한국 전쟁으로 소실되어 이전, 2005년 전철화와 2021년, 2024년 중부내륙선 개통을 거치며 교통 요충지로 발전할 예정이며, 무궁화호와 KTX-이음이 정차하고 주변에 터미널, 축구장, 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 충주시의 건축물 - 주덕역
주덕역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충북선 철도역으로, 1928년 대소원역으로 개업하여 1947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고,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으로 운영된다. - 충북선 - 충주역
충주역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경부선과 중부내륙선이 교차하는 철도역으로, 1928년 개업 후 한국 전쟁으로 소실되어 이전, 2005년 전철화와 2021년, 2024년 중부내륙선 개통을 거치며 교통 요충지로 발전할 예정이며, 무궁화호와 KTX-이음이 정차하고 주변에 터미널, 축구장, 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 충북선 - 음성역
음성역은 1928년 영업을 시작한 충북선 소재의 지상역으로, 섬식 승강장 2면 4선을 갖추고 증평역과 주덕역 사이에 위치하며, 누리로 운행 중단 후 현재는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역 주변에 학교와 우체국 등이 위치하며 고속도로 접근성은 높지만 소음 문제가 있고, 충북선 여객 운행 중단으로 주민 불편이 지속되어 운행 재개 및 시설 개선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충청북도의 철도역 - 충주역
충주역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경부선과 중부내륙선이 교차하는 철도역으로, 1928년 개업 후 한국 전쟁으로 소실되어 이전, 2005년 전철화와 2021년, 2024년 중부내륙선 개통을 거치며 교통 요충지로 발전할 예정이며, 무궁화호와 KTX-이음이 정차하고 주변에 터미널, 축구장, 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 충청북도의 철도역 - 음성역
음성역은 1928년 영업을 시작한 충북선 소재의 지상역으로, 섬식 승강장 2면 4선을 갖추고 증평역과 주덕역 사이에 위치하며, 누리로 운행 중단 후 현재는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역 주변에 학교와 우체국 등이 위치하며 고속도로 접근성은 높지만 소음 문제가 있고, 충북선 여객 운행 중단으로 주민 불편이 지속되어 운행 재개 및 시설 개선 노력이 진행 중이다.
삼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역명 | 삼탄역 |
한자 표기 | 三灘驛 |
로마자 표기 | Samtan |
소속 노선 | 충북선 |
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시 산척면 삼여울길 108 |
개업일 | 1959년 2월 15일 |
역 종류 | 보통역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관리역 | 충주관리역 |
노선 정보 | |
기점역 | 조치원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100.6 km |
이전 역 | 동량 |
이전 역과의 거리 | 7.9 |
다음 역 | 공전 |
다음 역과의 거리 | 5.8 |
역사 및 기타 정보 |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설치역 |
2. 연혁
wikitext
날짜 | 내용 |
---|---|
1959년 2월 15일 | 배치간이역으로 영업 시작 |
1967년 7월 1일 | 보통역으로 승격[4] |
2016년 1월 1일 | 충북선 누리로 운행 시작 |
2016년 12월 9일 | 누리로 운행 중단 및 무궁화호로 대체 운행 |
2020년 8월 2일 | 역 구내 침수 및 토사 유출로 충주역 ~ 제천역 구간 운행 중단[5] |
2020년 9월 8일 | 충주역 ~ 제천역 구간 운행 재개 |
2. 1. 개통 및 승격
2. 2. 열차 운행 변화
- 2016년 1월 1일: 충북선에서 누리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16년 12월 9일: 누리로 운행이 중단되고 무궁화호로 대체되었다.
- 2020년 8월 2일: 역 구내가 침수되고 토사가 유출되어 충주역 ~ 제천역 구간의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5]
- 2020년 9월 8일: 충주역 ~ 제천역 구간의 열차 운행이 재개되었다.
2. 3. 운행 중단 및 재개
- 2020년 8월 2일: 역 구내 침수와 토사 유출로 인해 충주역 ~ 제천역 구간의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5]
- 2020년 9월 8일: 충주역 ~ 제천역 구간의 열차 운행이 재개되었다.
3. 역 구조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므로 중복을 피해 생략)
3. 1. 승강장
2면 4선의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승강장 구조는 다음과 같다.
4. 인접한 역
(대전 방면)
(제천 방면)